신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출(헬리애컬 출현)은 별이 새벽 동쪽 지평선에 처음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별의 위치가 바뀌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황도 상의 별은 1년에 한 번, 황도에서 멀리 떨어진 별은 26,000년에 걸쳐 나타난다. 헬리애컬 출현은 기상 조건에 따라 관측 시기가 달라지며, 고고천문학에서 중요한 기준점으로 활용되어 왔다. 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그리스, 마오리족, 마푸체족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농업, 달력, 항해 등 다양한 목적으로 헬리애컬 출현을 활용했다. 관련 용어로는 코스미컬, 애크로니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문학에서의 시간 - 동지점
동지는 태양 황경이 270°인 시점으로 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짧고, 여러 문화권에서 축제와 풍습이 행해지며, 한국에서는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는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날이다. - 천문학에서의 시간 - 완화 시간
완화 시간은 물리학, 화학, 천문학 등에서 시스템이 외부 섭동이나 불균형으로부터 평형 상태로 복귀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볼츠만 운송 방정식, 응축물질물리학, 핵자기 공명, 화학 반응 속도, 대기 과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스템의 동역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활용된다. - 관측천문학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관측천문학 - 달의 위상
달의 위상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따라 삭, 상현달, 망, 하현달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약 29.5일의 주기로 변화하고 달력, 전통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신출 | |
---|---|
개요 | |
정의 | 항성이 태양 뒤에 숨어 있다가 새벽에 다시 보이는 현상 |
설명 | 일출 직전에 별이 잠깐 나타났다가 태양 때문에 사라지는 특별한 아침 |
역사 및 문화 | |
중요성 | 고대 천문학에서 중요하게 여겨짐 |
관련 문화 | 고대 이집트 고대 그리스 |
천문학적 현상 | |
조건 | 별이 태양과 함께 뜨고 지는 시기 이후에 발생 |
관측 시기 | 일출 직전 |
관련 용어 | 항성의 출몰 |
한국어 표기 | |
용어 | 신출 (新出) |
2. 정의 및 천문학적 원리
헬리애컬 출현 Heliacal rising|헬리애컬 라이징eng, 또는 신출(新出)은 특정 별이 태양이 뜨기 직전 새벽 동쪽 지평선에서 처음으로 관측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발생하는 천문학적 현상이다. 지구에서 볼 때 태양은 하늘의 별들을 배경으로 매일 약 1도씩 동쪽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가상의 경로를 황도라고 한다. 이 때문에 어떤 별들은 1년 중 특정 기간 동안 태양과 같은 방향에 위치하게 되어 낮 시간에 하늘에 뜨게 되므로 관측할 수 없다. 지구가 공전을 계속하여 태양과 별의 상대적 위치가 변하면, 이전에는 보이지 않던 별이 다시 태양이 뜨기 직전 새벽 하늘에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 첫 관측 시점을 신출이라고 부른다. 이후 해당 별은 매일 조금씩 더 일찍 떠서 점차 오랫동안 관측할 수 있게 된다.
2. 1. 헬리애컬 출현의 발생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함에 따라, 관측자에게 보이는 태양의 위치는 별들을 기준으로 매일 약 1도씩 동쪽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경로는 황도라고 불린다. 이 때문에 특정 별은 1년 중 절반 동안만 밤하늘에서 관측 가능하며, 나머지 절반 동안은 낮 시간에 하늘에 떠 있어 밝은 태양 빛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어떤 별의 헬리애컬 출현(Heliacal rising, 또는 희년출현)은 지구가 공전 궤도상의 특정 지점에 도달하여, 그 별이 태양이 뜨기 직전 새벽 동쪽 지평선에 처음으로 다시 나타나기 시작할 때 발생한다. 헬리애컬 출현 이후, 그 별은 매일 조금씩 더 일찍 떠서 태양 빛에 가려지기 전까지 더 오랫동안 관측할 수 있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별은 태양을 기준으로 점차 서쪽으로 이동하게 되고(하루에 약 1도씩), 결국 해가 뜨기 전에 서쪽 지평선 아래로 지게 되어 새벽 하늘에서는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는데, 이를 황혼 몰락(acronychal setting)이라고 한다.[6]
동일한 별은 이전 헬리애컬 출현 이후 약 1년 뒤에 다시 새벽 동쪽 하늘에 나타난다. 황도 근처에 있는 별의 경우, 세차운동으로 인한 태양년과 항성년의 미세한 차이 때문에 헬리애컬 출현은 약 1항성년(약 365.2564일) 후에 다시 발생하지만, 이는 별의 고유 운동에 따라 약간씩 달라질 수 있다. 황도에서 멀리 떨어진 별들의 경우, 헬리애컬 출현 주기는 다소 다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변한다. 어떤 경우든, 춘분점 세차운동의 영향으로 특정 별의 헬리애컬 출현 시기는 약 26,000년의 주기를 가지고 황도십이궁 전체를 이동하게 된다.
헬리애컬 출현은 관측자의 시야에 따라 달라지므로, 정확한 관측 시점은 기상 조건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7] 역사적으로 헬리애컬 출현 현상은 고고천문학 연구에서 중요한 연대 측정 기준으로 활용되어 왔다.[8]
2. 2. 태양년과 항성년
헬리애컬 출현(신출) 주기는 기본적으로 항성년(약 365.2564일)을 따른다. 이는 특정 별이 다음 해 같은 시각, 같은 위치에서 관측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그러나 지구의 세차운동 때문에 춘분점이 황도를 따라 서서히 이동하면서,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여 계절이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인 태양년과 항성년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 차이로 인해, 특히 황도 근처에 있는 별들의 헬리애컬 출현 시기는 매년 조금씩 달라지게 된다.[6] 별 자체의 고유 운동 또한 이러한 주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황도에서 멀리 떨어진 별들의 경우, 헬리애컬 출현 주기는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이며 더 천천히 변한다. 장기적으로 세차운동의 영향으로 인해, 특정 별의 헬리애컬 출현 시기는 약 26,000년의 주기를 가지고 황도십이궁 전체를 순환하게 된다.
2. 3. 관측 조건
희년출현은 대상의 관측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시기는 기상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7]3. 주극성과의 관계
일부 별들은 적도가 아닌 특정 위도에서 관측할 때 뜨거나 지지 않는다. 이러한 별을 주극성이라고 부르며, 관측자에게는 항상 하늘에 떠 있거나 반대로 전혀 보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북극성(폴라리스)은 호주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남십자성은 유럽에서는 볼 수 없다. 이는 해당 별들이 각 지역의 지평선 아래에 항상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주극성'이라는 용어는 북회귀선과 적도 사이 지역에서는 다소 제한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남극 부근의 별자리들은 일 년 중 특정 기간에만 잠시 보이는데, 이는 반대쪽 극지방의 별자리에도 비슷하게 적용된다.
4. 역사적 중요성
역사적으로 별의 신출(헬리애컬 출현) 현상은 고고천문학 연구에서 중요한 기준점으로 활용되어 왔다.[8] 고대 문명에서는 특정 별이 뜨고 지는 것을 관측하여 초기 달력이나 황도대를 만드는 데 사용하였다. 특히 수메르, 바빌로니아, 고대 이집트, 고대 그리스 등 여러 문명에서는 다양한 별의 신출 시점을 기준으로 중요한 농업 활동의 시기를 결정했다.[8]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은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마타리키라 부르며 그 신출을 새해의 시작(약 6월)으로 삼았고, 남아메리카의 마푸체족 역시 플레이아데스 성단(''응아우포니'')의 신출을 새해(We Tripantu|위 트리판투arn)를 알리는 중요한 지표로 여겼다.
4. 1.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에서는 다른 고대 문명들처럼 별의 신출을 농업 활동 시기를 정하는 데 중요하게 활용했다.[8] 특히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의 신출은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시리우스의 신출은 정확히 1 항성년 주기가 아니라, "소티스 해"라고 불리는 독자적인 주기를 따랐다. 이 소티스 해는 365.25일의 율리우스력 1년보다 약 1분 더 길었다.[9] 카이로를 기준으로 시리우스의 신출은 율리우스력으로 대략 7월 19일경에 관측되었다.[10] 이 시기는 나일강의 연례 범람이 시작되는 때와 거의 일치하여 농사에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 하지만 나일강 범람은 태양년을 기준으로 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리우스 신출일과의 차이가 점차 벌어졌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시리우스가 밤하늘에 다시 나타나는 이 신출을 새해(웝 렌페트)의 시작으로 보고, 이를 기준으로 365일짜리 민간 달력을 만들었다.[9] 그러나 이 달력에는 윤년이 없었기 때문에, 실제 태양년과는 4년마다 약 하루씩 오차가 누적되었다. 이러한 오차에 대한 관측과 기록은 이집트 천문학에서 소티스 주기를 이해하는 바탕이 되었고, 훗날 더 정확한 율리우스력과 알렉산드리아력을 만드는 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이집트인들은 밤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데칸이라고 불리는 36개의 별 또는 별자리의 신출을 활용했다. 이 데칸들은 황도를 10°씩 나누는 구간에 해당하며, 이집트 민간 달력의 10일 주기에 맞춰 밤하늘에 순서대로 떠올랐다.
4. 2. 메소포타미아 문명
별이 뜨고 지는 별자리는 초기의 달력 또는 황도대에 통합되었다. 수메르인과 바빌로니아인은 농업 활동 시기를 정하는 데 다양한 별의 헬리악적 출현을 사용하였다.4. 3.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인들 역시 다른 고대 문명과 마찬가지로, 특정 별이 헬리악적 출현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농업 활동의 시기를 결정하는 데 활용했다.4. 4. 마오리족
마오리족은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마타리키라고 부른다. 마타리키의 헬리애컬 출현(태양이 뜨기 직전 동쪽 하늘에서 별이 처음 나타나는 현상)은 새해의 시작(대략 6월경)을 의미한다.4. 5. 마푸체족
남아메리카의 마푸체족은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응아우포니''라고 불렀다. 응아우포니는 마푸체족의 새해인 ''위 트리판투''가 다가올 무렵 서쪽 하늘로 사라졌다가, 자연에서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기 며칠 전 동쪽 하늘 새벽녘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이처럼 응아우포니가 다시 나타나는 헬리악적 출현은 ''위 트리판투''가 왔음을 알리는 중요한 신호였다. 구체적으로, 동지가 되기 12일 전, 해가 뜨기 약 1시간 전에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현상을 통해 새해의 시작을 확인했다.5. 관련 용어
- '''애크로니컬 상승''' (Acronycal risingeng): 일몰 시점에 천체가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외행성의 경우 충과 관련이 있다.[13][14]
- '''코스미컬 뜨고 짐''' (Cosmical rising/settingeng): 일출 시점에 천체가 뜨거나 일몰 시점에 지는 현상을 가리킨다.[12][13][14]
5. 1. 용어 사용의 혼란
일몰 시 동쪽 지평선 위로 행성이 떠오르는 것을 'acronycal|애크로니컬eng 상승'이라고 한다. 이는 외행성의 경우 충에 해당하며, 합의 한 종류이기도 하다. 달이 애크로니컬 상승을 할 때는 보름달 근처이며, 이 시기에 1년에 두세 번 눈에 띄는 월식이 발생할 수 있다.'Cosmic(al)|코스미컬eng'은 일출 시 상승하거나 일몰 시 지는 것, 또는 새벽 어스름에 처음으로 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12]
천체의 뜨고 짐은 '겉보기' 현상(위에서 논의된)과 실제 또는 '진정한' 뜨고 짐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코스미컬"과 "애크로니컬"이라는 용어는 그 사용에 있어 일관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13][14] 아래 표는 뜨고 지는 여러 경우에 이 용어들이 어떻게 다르게 적용되는지를 보여준다.
낮 시간 | 가시성 | 뜨는 시점 (동쪽) | 지는 시점 (서쪽) |
---|---|---|---|
아침 (매튜티널) | 참 (낮에) | 코스미컬 | 애크로니컬[14] / 코스미컬[13] |
겉보기 (황혼에) | 헬리악 (처음 밤하늘에 나타남) | 헬리악[14] / 코스미컬[13] (마지막 아침에 나타남) | |
저녁 (베스퍼) | 참 (낮에) | 애크로니컬 | 코스미컬[14] / 애크로니컬[13] |
겉보기 (황혼에) | 헬리악[14] / 애크로니컬[13] (처음 저녁에 나타남) | 헬리악 (마지막 밤하늘에 나타남) | |
[13][14] |
참조
[1]
OED
heliacal
[2]
Merriam-Webster
heliacal
[3]
Dictionary.com
heliacal
[4]
웹사이트
Show Me a Dawn, or "Heliacal," Rising
ttp://solar-center.s[...]
Stanford University
[5]
OED
Pleiad
[6]
웹사이트
rising and setting of stars
https://www.sizes.co[...]
[7]
웹사이트
Archaic Astronomy and Heliacal Rising
https://archaeoastro[...]
2005-09-10
[8]
간행물
Heliacal Rise Phenomena
SAGE Publications
[9]
harvp
[10]
citation
La Via
http://www.lavia.org[...]
2017-02-08
[11]
citation
The Reconstructed Chronology of the Egyptian Kings, ''Vol. I''
https://web.archive.[...]
2017-02-09
[12]
간행물
Acronical Risings and Settings
https://ui.adsabs.ha[...]
2012-01-01
[13]
간행물
Ardua et Astra: On the Calculation of the Dates of the Rising and Setting of Stars
https://discovery.uc[...]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
웹사이트
Understanding - Rising and setting of stars
https://promenade.im[...]
2022-10-29
[15]
문서
heliacal は英語なので、ローマ字読みに基づいた表記「ヘリアカル・ライジング」とするのは誤り。
[16]
서적
天文学辞典
地人書館
[17]
서적
Astronomy before the telescope
British Museum Press
[18]
웹사이트
Show Me a Dawn, or "Heliacal," Rising
http://solar-center.[...]
[19]
웹사이트
rising and setting of stars
http://www.sizes.com[...]
[20]
웹사이트
Archaic Astronomy and Heliacal Rising
http://archaeoastr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