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년은 달력의 날짜와 계절의 불일치를 보정하기 위해 1년에 하루를 더하는 현상으로, 태양력과 태음태양력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태양력에서는 4년에 한 번씩 2월 29일을 윤일로 추가하여 평균 회귀년과 역년의 차이를 줄인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그레고리력은 4의 배수인 해는 윤년으로 하되, 100의 배수인 해는 평년으로, 400의 배수인 해는 윤년으로 정한다. 태음태양력에서는 윤달을 두어 태음력과 태양력의 오차를 보정하며, 중국력과 히브리력 등에서 윤달을 추가하는 규칙이 존재한다. 윤년과 관련된 행사로는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미국 대통령 선거 등이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에서 윤년 판정 알고리즘 오류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월 29일 생일인 사람은 윤년생으로 불리며, 평년에는 2월 28일 또는 3월 1일에 생일을 기념한다. 법적으로는 각 국가의 법률에 따라 생일이 간주되며, 대한민국 민법은 평년에 2월 28일을 법적 생일로 간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윤법 - 윤달
윤달은 태음력의 계절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약 19년에 7번 추가되는 달로, 한국에서는 중기가 없는 달에 배치하며 민속적으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히브리력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윤달을 사용하며, 역사적으로 정통성 논쟁과 관련되기도 했다. - 치윤법 - 메톤 주기
메톤 주기는 19 태양년이 235 회합월과 거의 일치하는 주기로, 태음태양력에서 윤달을 삽입하여 계절과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전통 달력의 기초가 되었지만, 오차로 인해 다양한 수정 주기가 고안되었다. - 시간 및 날짜 및 달력에 관한 - 그레고리력
그레고리력은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율리우스력의 오차를 수정하기 위해 제정하여 400년에 97번의 윤년을 두는 방식으로 개선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역법이다. - 시간 및 날짜 및 달력에 관한 - 태양력
태양력은 지구의 공전 주기를 바탕으로 계절 변화를 예측하는 역법으로,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으로 발전하며 현재 세계 대부분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윤년 | |
---|---|
윤년 정보 | |
정의 | |
설명 | 1년에 하루가 추가된 해. |
다른 명칭 | 윤년(閏年) 삽입년(揷入年) |
기원 및 이유 | |
이유 | 계절과 달력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발생함. |
어원 | 영어 "leap year"의 "leap"은 '뛰다'라는 의미에서 유래, 윤년에는 날짜가 하루 '뛰어넘어가기' 때문. |
양력에서의 윤년 | |
기준 | 4년마다 윤년이 됨 400으로 나누어지는 해는 윤년임 100으로 나누어지지만 400으로 나누어지지 않는 해는 평년임 |
특징 | 윤년은 366일 윤년에는 2월이 29일이 됨 평년은 365일 |
다른 달력에서의 윤년 | |
태음력 | 태음력에서는 윤달을 통해 조정 |
기타 | 다른 달력에도 윤년 개념이 존재 이슬람력의 윤년은 매 30년마다 11번 발생. |
역사적 사실 | |
율리우스력 | 율리우스력에서는 4년마다 윤년 |
그레고리력 | 그레고리력은 4년마다 윤년을 두되 100년 단위로 윤년 제외, 400년 단위로는 윤년으로 다시 추가하는 규칙을 사용 |
윤년의 활용 | |
의미 | 날짜 계산의 정확성을 유지 천문학 및 역법에서 중요 |
기타 | 윤년은 시간과 계절의 흐름을 맞추는 데 필수적 |
기타 정보 | |
관련 용어 | 평년(Common year) 윤달 |
국제 표준 | 국제 표준에서는 윤년이 4년마다 돌아오는 것으로 정의. |
2. 윤년의 정의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음력과 태양력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윤달을 두는데, 윤달이 든 해를 윤년(閏年)이라고 한다. 지구의 공전 주기는 365.2422일인 데 비해 1삭망월은 29.5306일로 1년을 만들면 약 354일이므로 3년만 지나면 33일 가량이 모자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19년에 일곱 번가량 윤달을 둔다.
태양력에서는 계절과 역법의 일치를 위해 윤일을 추가하여 평균 역년 길이를 평균 회귀년에 가깝게 만든다. 현재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쓰는 그레고리력은 율리우스력을 보완한 것으로, 태양년과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400년 동안 3번의 윤년을 제외한다.
태양력에서는 계절과 역의 일치를 위해, 역년의 평균 길이를 평균 회귀년(365.242 189 44일≒365일 5시간 48분 45.168초[44])에 가능한 한 일치시킨다. 태양력에서 평년은 365일이고, 윤년은 윤일이 삽입되어 366일이다. 현재 널리 채택되고 있는 그레고리력에서는 윤년이 400년에 97회 있다.
순수한 태음력에서는 애초에 역법과 계절을 일치시키지 않으므로, 태양력과 같은 윤일은 없다. 그 대신, 평균 삭망월(29.530 589일)이 1일의 정수배가 아님으로써 발생하는, 역법과 월상과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한 윤일이 있다.
3. 태양력의 윤년
율리우스력은 기원전 46년에 고대 로마에서 채택되었으며, 4년에 한 번 윤년으로 하였다. 하지만 도입 직후에는 혼란이 있어 3년에 한 번 윤년으로 하거나, 윤년을 두지 않는 기간이 있었다. 율리우스력은 1년 평균 일수가 365.25일이어서 약 128년에 1일의 비율로 태양력과 계절이 어긋나는 문제가 있었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춘분을 3월 21일로 정하고 부활절 날짜를 정했지만, 율리우스력 때문에 16세기에는 천문학적 춘분이 태양력 상으로 3월 11일이 되어 문제시되었다.
고대 이집트 역법은 윤년이 없어 1년이 항상 365일이었다. 따라서 4년에 1일의 비율로 역과 계절이 어긋났다. 당시 회귀년이 365.25일이라는 관측 결과가 있었지만, 역법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농민들은 역법 대신 항성 시리우스의 움직임을 통해 농작업 일정을 정했다.
3. 1. 율리우스력
기원전 45년 1월 1일,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칙령에 따라 로마력이 태양력으로 개정되어 잦은 윤달이 필요 없어졌다. 카이사르의 윤년 규칙은 4년마다 윤일을 추가하는 것으로 간단했다. 율리우스력의 1년은 365.25일로, 평균 회귀년인 약 365.2422일과 거의 비슷했다.[4] 그러나 이 율리우스력도 400년마다 약 3일 정도 오차가 발생했다.
카이사르가 율리우스력을 만들기 전, 로마인들에게 2월은 이미 가장 짧은 달이었다. 로마의 미신 때문에 2월을 제외한 모든 달은 29일 또는 31일의 홀수 날짜를 가졌다.[5] 카이사르는 달력을 태양년에 가깝게 변경하면서, 윤년을 제외하고 모든 달을 30일 또는 31일로 만들었고, 2월은 변경하지 않았다.
율리우스력에서는 4년마다 윤일(leap day)을 2월 23일 이후에 삽입했다. 윤일은 ante diem bis sextum Kalendas Martiasla (3월 1일 전 6일째를 두 번)로 만들어졌는데, 이는 후대 언어에서 "윤일(bissextile)"로 번역되었다. 법적으로 이틀은 하루로 간주되었지만, 238년까지의 일반적인 관행에서는 윤일 다음에 2월의 마지막 5일이 이어져, 삽입된 날은 이중으로 된 날 중 첫 번째 날이었다.[4] 마크로비우스(Macrobius)(약 430년), 베다(Bede)(725년) 등 후대 저술가들도 윤일이 2월의 마지막 5일 전에 발생했다고 언급했다.
잉글랜드에서는 윤년을 365일로만 간주하는 로마 관행을 유지했다. 헨리 3세의 1236년 Statute De Anno et Die Bissextilila은 윤일과 그 전날을 하루로 간주하도록 지시했다.[15]
2월 29일로 대체하는 것은 관습과 실제로 진화한 것으로 보이며, "비스섹스타일(bissextile)"이라는 용어의 어원은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1750년 달력(신체제) 법이 통과된 이후 2월 29일이 영국 법률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17]
율리우스력은 기원전 46년에 고대 로마에서 채택되었으며, 초기에는 혼란이 있어 3년에 한 번 윤년으로 하거나, 윤년을 두지 않는 기간이 있었다.
율리우스력에서 윤년은 2월을 29일로 한다. 로마력 초기에는 Martius(3월)가 연초이고 Februarius(2월)가 연말이었기 때문에 윤일을 2월에 삽입했다.
율리우스력은 1년의 평균 일수가 365.25일이 되어 약 128년에 1일의 비율로 태양력과 계절이 어긋나는 문제가 있었다.
3. 2. 그레고리력
그레고리력은 율리우스력의 오차를 보완하기 위해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제정한 역법으로, 현재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된다.[6] 율리우스력은 4년에 한 번씩 윤년(2월 29일)을 추가했지만, 태양년과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그레고리력에서는 400년 동안 3번의 윤년을 제외한다.[9]
그레고리력의 윤년 규칙은 다음과 같다.
# 서력 기원 연수가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이다.
# 서력 기원 연수가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평년이다.
# 서력 기원 연수가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이다.
이에 따라 400년 동안 97번의 윤년이 있으며, 1년 평균 길이는 365.2425일이 된다.[10] 이는 춘분점을 기준으로 한 태양년보다 0.0003일(26초) 길어, 약 3,300년마다 1일의 편차가 발생한다.[6]
그레고리력은 춘분을 3월 21일경으로 유지하여 부활절 날짜를 춘분과 가깝게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12]
3. 2. 1. 그레고리력 수정 제안과 한계
그레고리력은 율리우스력을 보완하여 태양년과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400년에 3일(세 번의 윤년)을 빼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레고리력은 1년 평균 365.2425일로, 춘분점 기준 태양년보다 0.0003일(26초) 길어 약 3,300년마다 1일의 편차가 발생한다.[6]
1582년에 제정된 그레고리력은 현재까지 수정되지 않았지만, 약 3천 년마다 1일의 편차 때문에 몇 가지 수정안이 제시되었다. 대표적으로 4,000년마다 윤년을 한 번 제외하자는 제안이 있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7] 3,200년마다 1일씩 윤년을 제외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주장도 있다.
이러한 수정 제안들은 지구의 세차운동이나 조석 변화로 인한 하루 길이 증가를 고려하지 않아 문제가 있다. 특히 조석은 후빙기 반동이나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에 따라 변동이 커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역법 제정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다.
3. 2. 2. 대한민국 법률과 윤년
일본에서는 윤년 판정을 서력(西暦)이 아닌 신무천황 즉위 기원(황기)으로 행하는 것이 법령(메이지 31년 칙령 제90호(閏年ニ関スル件))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현재도 효력을 갖는다.[45]
'''메이지 31년 칙령 제90호(閏年ニ関スル件)'''
: 신무천황 즉위 기원 연수(皇紀年数)의 4로 나누어 나누어떨어지는 해를 윤년으로 한다. 단, 기원 연수에서 660을 빼면 100으로 나누어떨어지는 해 중에서, 다시 100으로 나눈 몫이 4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해는 평년으로 한다.
이는 현대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신무천황 즉위 기원 연수(황기 연수)를 4로 나누어 나누어떨어지는 해를 윤년으로 한다. 단, 황기 연수에서 660을 빼면 100으로 나누어떨어지는 해이면서, 100으로 나눈 몫이 4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해는 평년으로 한다.
이 방식은 서력 연수를 기준으로 윤년을 판정하는 그레고리력의 규칙과 동일하다.
3. 3. 수정 율리우스력
개정율리우스력은 4의 배수인 해에는 2월에 하루를 더하지만, 100의 배수이면서 900으로 나누었을 때 200이나 600의 나머지를 남기지 않는 해는 제외한다. 이 규칙은 2799년까지 그레고리력의 규칙과 일치한다. 개정율리우스력의 날짜가 그레고리력의 날짜와 일치하지 않는 첫 번째 해는 2800년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그레고리력에서는 윤년이지만 개정율리우스력에서는 윤년이 아니기 때문이다.[31]
이 규칙에 따르면 평균 연장은 365.242222일이다. 이것은 평균 열대년(mean tropical year)에 대한 매우 좋은 근사값이지만, 춘분년은 약간 더 길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개정율리우스력이 춘분을 3월 21일 또는 그 근처에 유지하는 데 있어 그레고리력만큼 좋은 성과를 내지는 못한다.[32]
4. 태음태양력의 윤년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음력과 태양력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윤달을 두며, 윤달이 있는 해를 윤년(閏年)이라고 한다. 초기 로마력은 12개월, 총 355일로 구성된 태음태양력이었으며, 27일 또는 28일의 윤달인 Mensis Intercalaris|Mercedoniusla를 삽입하여 달과 태양의 주기를 맞추었다.[13]
순수한 태음력에서는 역법과 계절을 일치시키지 않으므로 태양력과 같은 윤일은 없다. 대신 역법과 월상과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한 윤일이 있다. 태음태양력에서는 역을 계절과 월상 양쪽에 모두 일치시켜야 하므로, 이론적으로는 두 종류의 윤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보통은 역과 월상을 일치시키는 것은 윤이라고 불리지 않고, 역과 계절을 일치시키기 위한 윤만이 존재한다.
4. 1. 윤달
태음태양력에서는 태음력과 태양력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윤달을 두는데, 윤달이 든 해를 윤년(閏年)이라고 한다. 지구의 공전 주기는 365.2422일인 데 비해 1삭망월은 29.5306일로 1년을 만들면 약 354일이므로 3년만 지나면 33일 가량이 모자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19년에 일곱 번가량 윤달을 둔다.태음태양력에서 1역년의 길이는 평균 삭망월의 거의 정수배로밖에 선택할 수 없다. 1평균 회귀년은 12.368평균 삭망월이므로, 평년은 12개월(354일 전후), 윤년은 윤달이 삽입되어 13개월(384일 전후)이 된다.
윤년을 2.715년에 1회 넣으면, 평균 역년과 평균 회귀년이 일치한다. 실제로 행해진 치윤법에는 8년에 3회, 19년에 7회(메톤 주기), 76년에 28회(칼리포스 주기) 등이 있다.
4. 2. 중국력
태음태양력인 중국력은 윤년을 통해 윤달을 추가한다. 이때 '윤달'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중국력에서 윤달은 11월이 항상 북반구의 겨울 동지를 포함하도록 하는 규칙에 따라 추가된다. 윤달은 바로 앞 달과 같은 번호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2월(二月) 다음에 윤달이 오면 "윤이월"(閏二月, rùn'èryuè)이라고 부른다.[35]중국력은 태양과 달의 실제 움직임을 관측하여 계절과 역의 차이를 최소화하도록 윤달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역월은 삭일(월령 0을 포함하는 날)부터 다음 삭일 전일까지이다. 동지(태양이 황경 270°를 통과하는 날)를 포함하는 역월을 11월로 하고, 다른 각 중기(황도상의 태양의 위치가 황경 30°의 정수배인 날)를 포함하는 역월을 1월부터 12월로 한다. 하지만 중기에서 중기까지는 평균 30.437일로 역월의 평균보다 길기 때문에, 중기를 포함하지 않고 이름이 없는 역월이 남는 경우가 있는데, 이 역월이 윤달이 된다. 예를 들어 윤달이 7월과 8월 사이에 생기면 그 달을 "윤7월"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윤달을 포함하는 해가 윤년이다.
중국력에서는 역과 월상의 일치도 실제 신월에 역월을 시작함으로써 실현된다. 따라서 29일의 작은 달과 30일의 큰 달이 불규칙적으로 나타난다. 중국력에서는 윤년, 윤달, 달의 크기의 패턴에 규칙성이 없어 먼 미래의 역은 결정할 수 없다. 하지만 태양과 달의 움직임 관측을 정확하게 하면 역과 월상은 영원히 어긋나지 않는다(단, 태음태양력이기 때문에 역과 계절 사이에 최대 ±0.5삭망월 = 약 15일의 차이는 생길 수 있다).
4. 3. 히브리력
히브리력은 태음태양력으로, 메톤 주기에 따라 19년마다 7번(3년, 6년, 8년, 11년, 14년, 17년, 19년) 윤달을 추가한다.[35] 이 윤달은 '아다르 리손'(Adar Rishon, 첫 번째 아다르)이라고 불리며, '아다르'(Adar) 앞에 추가된다. 그러면 '아다르'는 '아다르 세이니'(Adar Sheini, 두 번째 아다르)가 된다. 이렇게 윤달을 추가하는 이유는 유월절(Pesah|페사흐he)이 토라(Pentateuch)의 여러 구절에서 요구하는 대로 항상 봄에 오도록 하기 위함이다.또한, 히브리력에는 연초를 하루 또는 이틀 연기하는 연기 규칙이 있다. 이 규칙은 히브리어로 "lo adu rosh|로 아두 로쉬he"(לא אד״ו ראש|로 아두 로쉬he), 즉 "로쉬(로쉬 하샤나, 연초 첫날)는 일요일, 수요일, 금요일이 아니다"라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월절 첫날은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이 될 수 없다. 이 규칙은 히브리어로 "lo badu Pesah|로 바두 페사흐he"(לא בד״ו פסח|로 바두 페사흐he)라고 알려져 있기도 하다.
이 규칙의 한 가지 이유는 속죄일이 이웃한 안식일(토요일)과 인접할 수 없도록, 즉 금요일이나 일요일에 해당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속죄일은 토요일에 해당될 수 있다. 두 번째 이유는 초막절이 토요일에 해당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12개월로 구성된 해는 353일에서 355일이다. k'sidra|크시드라he("순서대로") 354일 해에는 달의 길이가 30일과 29일이 번갈아 가며 나타난다. chaser|하세르he("부족한") 해에는 키슬레브달이 29일로 줄어든다. malei|말레이he("가득 찬") 해에는 마르헤슈반달이 30일로 늘어난다. 13개월 해는 30일짜리 아다르 알레프가 추가되어 383일에서 385일이다.
5. 기타 역법의 윤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45년에 도입한 율리우스력은 4년마다 윤일을 추가하는 간단한 규칙을 따랐다.[4] 이는 평균 회귀년과 거의 유사하지만, 400년마다 약 3일 정도 차이가 발생한다. 율리우스력은 약 1600년간 사용되다가 그레고리력으로 변경되었다.
1년을 7일의 정수배로 하여 평년을 52주(364일), 윤년을 53주(371일)로 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다.[48] 이 경우, 서력 연수가 5의 배수이면서 40의 배수가 아닐 때, 그리고 400의 배수일 때 윤주년으로 하는 방식 등이 있다.
약 29년마다 윤년을 두고, 그 해에 1주일의 윤주를 삽입하는 윤력법도 제안된 바 있다(en:Leap week calendar).[48] 이는 2019년의 태양년을 기준으로 29년마다 7일의 윤일을 삽입하면 1235년에 1일의 차이가 발생하는 계산에 근거한다.
이 외에도, 바하이력은 19개월로 구성된 태양력으로, '삽입일'을 통해 춘분과 새해를 맞춘다. 벵골력, 인도 국가력은 윤년을 그레고리력의 2월 29일에 가깝게 맞춰 날짜 변환을 용이하게 했다.[48] 태국 태음력은 불기를 사용하지만 1941년 이후 그레고리력과 동기화되었다.[48]
5. 1. 이슬람력
이슬람력(히즈라력)은 순수한 태음력이므로, 태양력과 같이 계절과 역법을 일치시키기 위한 윤년은 없다. 대신, 평균 삭망월(29.530 589일)이 1일의 정수배가 아니기 때문에 발생하는 역법과 월상과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한 윤일이 있다.일반적으로 이슬람력에서는 작은 달(29일)과 큰 달(30일)이 번갈아 가며 나타난다. 그러나 이 경우 1개월의 평균이 29.5일이 되어 실제 월상과 조금씩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30년에 11번, 작은 달에 윤일을 넣어 큰 달로 만든다. 이렇게 하면 1개월의 평균이 29.530555일이 되어 삭망월과 거의 일치하게 된다.
윤일이 포함된 해를 윤년이라고 하며, 평년은 354일, 윤년은 355일이다. 히즈라 연호의 연수를 30으로 나눈 나머지가 2, 5, 7, 10, 13, 16, 18, 21, 24, 26, 29인 해가 윤년이 된다.
이러한 계산법에 따르면 이슬람력은 약 2450년에 걸쳐 달력과 월상이 하루 정도 차이가 나게 된다. 중세 이슬람 천문학자들이 사용하고 일부 무슬림들이 여전히 사용하는 이슬람력표는 30년 주기 중 11년마다 음력 마지막 달에 규칙적인 윤일을 추가한다.[36] 이 추가된 날은 마지막 달인 즐 알히자의 끝에 있는데, 이 달은 하지의 달이기도 하다.[37]
5. 2. 바하이력
바하이력은 19개월로 구성된 태양력이며, 각 달은 19일로 이루어져 총 361일이다. 새해는 춘분에 해당하는 나우루즈(Naw-Rúz)에 시작되며, 3월 21일경이다. 19번째 달 전에는 "삽입일(Intercalary Days)"이라고 불리는 아이얌이하(Ayyám-i-Há) 기간이 있다. 이 기간은 일반적으로 4일이지만, 다음 해가 춘분에 시작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하루가 추가된다. 이는 미리 계산되어 알려져 있다.5. 3. 벵골력, 인도 국가력, 태국 태음력
방글라데시의 개정 벵골력과 인도 국가력은 윤년을 그레고리력의 2월 29일에 가깝게 맞추어 구성하여, 그레고리력과의 날짜 변환이 용이하다.[48]태국 태음력은 불기(BE)를 사용하지만 1941년 서기 이후 그레고리력과 동기화되었다.[48]
6. 윤년과 관련된 행사
윤년은 특정 행사의 주기와 관련이 있다. 하계 올림픽은 1896년 이래 4년마다 윤년에 개최된다.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는 1988년부터, 미국 대통령 선거는 1789년부터 4년마다 윤년에 치러진다.
6. 1. 올림픽
1896년 이래 4년마다 하계 올림픽이 개최되며, 윤년인 해에 열린다(비공식적인 1906년 아테네 대회와 예외적으로 연기된 2020년 도쿄 대회는 제외).[46] 1924년부터 1992년까지는 동계 올림픽도 하계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윤년에 개최되었다. 이 때문에 윤년은 스포츠계에서 "'''올림픽 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올림픽헌장에는 윤년 관련 규정이 없고, 제2회 파리 대회는 윤년이 아닌 평년(1900년)에 개최되었으므로, 이 명칭은 정확하지 않다. 2100년도 하계 올림픽이 열리는 해이지만 평년이다.6. 2.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1988년부터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는 4년마다 윤년에 치러진다. 이는 하계 올림픽 주기와 일치한다.6. 3. 미국 대통령 선거
미국 대통령 선거는 1789년부터 4년마다 윤년 주기에 맞춰 11월 초에 실시된다.6. 4. 기타 행사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코파 아메리카, OFC 네이션스컵은 윤년에 개최된다.[1]7. 컴퓨터 시스템과 윤년
컴퓨터 시스템에서 윤년을 판정하는 알고리즘은 오류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 흔히 이것이 원인이 되어 시스템에 중대한 장애를 일으킨다. 예를 들어, “서기 연도가 4의 배수인 연도”라고만 정의하거나, 특정 연도까지만 윤년으로 코딩하는 경우가 있다.[49]
2010년에는 이진화십진 표현의 문제로 인해 2016년으로 인식되어 "윤년"으로 오인하는 버그가 다수 발생했다. (2010년 문제#연도 처리의 버그 참조)[49]
7. 1. 윤년 판정 알고리즘
컴퓨터 시스템에서 윤년을 판정하는 알고리즘은 오류가 있는 경우가 많아 시스템에 중대한 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서기 연도가 4의 배수인 연도"라고만 정의하거나, 특정 연도까지만 윤년으로 코딩하는 경우가 있다.[49]2010년에는 이진화십진 표현의 문제로 인해 2016년으로 인식되어 "윤년"으로 오인하는 버그가 다수 발생했다. (2010년 문제#연도 처리의 버그 참조)
그레고리력의 윤년은 다음 조건 중 하나로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 조건 1. 서기 연도가 400의 배수이면 윤년
- 조건 2. 조건 1을 만족하지 않고, 서기 연도가 100의 배수이면 평년
- 조건 3. 조건 1과 2를 모두 만족하지 않고, 서기 연도가 4의 배수이면 윤년
- 조건 4. 조건 1~3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평년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에서 서기 연도가 적힌 셀을 A1이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49]
- `=IF(MOD(A1,400)=0,"윤년",IF(MOD(A1,100)=0,"평년",IF(MOD(A1,4)=0,"윤년","평년")))`
- `=IFS(MOD(A1,400)=0,"윤년",MOD(A1,100)=0,"평년",MOD(A1,4)=0,"윤년",TRUE,"평년")` (IFS 함수 사용 가능 버전)
- `=SWITCH(0,MOD(A1,400),"윤년",MOD(A1,100),"평년",MOD(A1,4),"윤년","평년")` (SWITCH 함수 사용 가능 버전)
윤년 규칙은 다음과 같은 하나의 논리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49]
# 서기 연도가 "4의 배수이고", "100의 배수가 아니다" 또는 "400의 배수이다"면 윤년, 그렇지 않으면 평년.
Microsoft Excel이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Microsoft Excel에서는 서기 연도가 기재되어 있는 셀을 A1,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서기 연도가 저장되어 있는 변수를 `year` 또는 `YEAR`로 한다.)[49]
- `=IF(OR(AND(MOD(A1,4)=0,MOD(A1,100)<>0),MOD(A1,400)=0),"윤년","평년")` (Microsoft Excel 등)
- `year % 4 == 0 && year % 100 != 0 || year % 400 == 0` (C언어 등)
- `year Mod 4 = 0 And year Mod 100 <> 0 Or year Mod 400 = 0` (Visual Basic 등)
- `FUNCTION MOD(YEAR 4) = ZERO AND FUNCTION MOD(YEAR 100) NOT = ZERO OR FUNCTION MOD(YEAR 400) = ZERO` (COBOL)
8. 윤년 출생자의 생일
2월 29일에 태어난 사람은 "윤년생"(leapling) 또는 "윤일생"(leaper)이라고 불린다.[30] 평년에는 2월 28일이나 3월 1일에 생일을 축하한다.
엄밀히 말하면, 윤년생은 실제 나이보다 더 적은 수의 '생일 기념일'을 갖는다. 이 현상은 윤년의 생일 기념일만 계산하여 사람의 실제 나이의 4분의 1이라고 주장할 때 극적인 효과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버트와 설리번의 1879년 희가극인 『펜잔스 해적』에서 프레데릭(해적 견습생)은 21번째 생일까지(즉, 1900년이 윤년이 아니었기 때문에 88세가 될 때까지) 해적들에게 봉사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법적인 생일은 지역 법률이 시간 간격을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홍콩은 1990년 이후 윤년에 태어난 사람의 법적 생일을 평년에는 3월 1일로 간주한다.[33] 영국에서도 3월 1일을 윤년생의 법적 생일로 간주한다.[34]
일본 법률에서는 생일을 기준으로 하는 행정 절차에 한하여 "간주 생일"을 2월 28일로 한다. 연령계산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1년의 만료(나이 듦)는 생일 전날이 되므로, 2월 29일생은 윤년 여부와 관계없이 매년 2월 28일 24시에 나이를 먹는다.
8. 1. 대한민국 법률과 생일
대한민국 법률에서는 만 나이를 계산할 때 2월 29일에 태어난 사람의 생일을 평년에는 2월 28일로 간주한다.[30] 이는 연령계산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것으로, 2월 29일생은 윤년 여부와 관계없이 매년 2월 28일 24시에 나이를 먹게 된다.[30]참조
[1]
서적
Astronomical Algorithms
Willmann-Bell
1998
[2]
웹사이트
leap year
http://www.etymonlin[...]
2012-08-15
[3]
웹사이트
leap year
https://web.archive.[...]
2020-01-06
[4]
웹사이트
Astronomical almanac online glossary
https://aa.usno.navy[...]
US Naval Observatory
2024-08-15
[5]
백과사전
Why Are There Only 28 Days in February?
https://www.britanni[...]
2023-05-31
[6]
서적
Calendrical calcu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7]
백과사전
Calendar
Gale
[8]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Calendars
http://aa.usno.navy.[...]
2017-08-10
[9]
웹사이트
Leap Years
https://web.archive.[...]
2011-06-14
[10]
서적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University Science Books
2013
[11]
서적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University Science Books
1992
[12]
서적
Mapping time: The Calendar and its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3]
인물
1825
[14]
웹사이트
Calendarium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2013
[15]
서적
The Statutes at Large, from Magna Charta to the End of the Last Parliament
https://archive.org/[...]
Mark Basket
2021-10-21
[16]
서적
First Part of the Institutes of the Lawes of England
1628
[17]
서적
The Statutes at Large: from the 23rd to the 26th Year of King George II
https://archive.org/[...]
Charles Bathurst
2020-01-28
[18]
서적
Handy Book of Rules and Tables for Verifying Dates With the Christian Era Giving an Account of the Chief Eras and Systems Used by Various Nations...
https://archive.org/[...]
George Bell & Sons
[19]
서적
The Prayer Book interleaved
https://archive.org/[...]
Rivingtons
1870
[20]
서적
Book of Common Prayer
https://archive.org/[...]
John Baskerville
[21]
법률
Liber Extra
[22]
웹사이트
The Privilege of Ladies
http://www.snopes.co[...]
snopes.com
2010
[23]
웹사이트
The Leap Year Proposal Law
https://www.slaw.ca/[...]
2024-04-08
[24]
웹사이트
The Bissextile Beverage
https://www.wsj.com/[...]
2008-02-23
[25]
웹사이트
Leap Year Proposal: What's The Story Behind It?
http://www.huffingto[...]
2012-02-29
[26]
웹사이트
La Bougie du Sapeur: the world's least frequent newspaper
http://www.france24.[...]
2012-02-29
[27]
웹사이트
A Greek Wedding
http://www.anagnosis[...]
[28]
웹사이트
Teaching Tips 63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Anthony – Leap Year Capital of the World
http://www.timeandda[...]
Time and Date
2008
[30]
웹사이트
Mirror
https://www.mirror.c[...]
2012-02-28
[31]
웹사이트
Legislative History of the Civil Code of the Republic of China
http://law.moj.gov.t[...]
[32]
웹사이트
Part I General Principles of the Republic of China
http://law.moj.gov.t[...]
[33]
웹사이트
Age of Majority (Related Provisions) Ordinance (Ch. 410 Sec. 5)
http://www.legislati[...]
Hong Kong Department of Justice
1997-06-30
[34]
웹사이트
Leap day birthdays: 'How old are you really?'
https://www.bbc.com/[...]
BBC
2020-02-28
[35]
성경
Exodus 23:15, Exodus 34:18, Deuteronomy 15:1, Deuteronomy 15:13
[36]
웹사이트
The Islamic leap year
http://www.timeandda[...]
Time and Date AS
2012-02-29
[37]
웹사이트
Leap year trivia you might want to know
http://www.gmanetwor[...]
GMA News
2012-02-29
[38]
웹사이트
Fixed Arithmetic Calendar Cycle Jitter
http://individual.ut[...]
University of Toronto
2019-10-24
[39]
웹사이트
A Concise Review of the Iranian Calendar
http://aramis.obspm.[...]
Paris Observatory
2010-12-19
[40]
웹사이트
Hijri-Shamsi Calendar
http://www.alislam.o[...]
Al Islam
2015-04-18
[41]
웹사이트
The Coptic Calendar and Church of Alexandria.
http://www.coptics.i[...]
The Monastery of St. Macarius Press, The Desert of Scete
2022-09-13
[42]
뉴스
Ethiopia: The country where a year lasts 13 months
https://www.bbc.com/[...]
BBC News
2022-09-17
[43]
기타
[44]
기타
[45]
웹사이트
閏年ニ関スル件
https://hourei.ndl.g[...]
国立国会図書館
2023-09-04
[46]
기타
[47]
기타
[48]
서적
増補改訂 天文学辞典
地人書館
1991
[49]
기타
[50]
웹사이트
윤년
https://ko.wikisourc[...]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