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만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만삼은 원나라 말기, 명나라 초기에 활동한 중국의 거부로, 저우장을 건설하고 발전시킨 인물이다. 그는 주원장의 명나라 건국을 재정적으로 지원했으나, 난징 성벽 축조와 군대 포상 등 과도한 행동으로 주원장의 미움을 사 윈난으로 유배되었다. 심만삼은 저우장을 중심으로 상업 활동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으며, 쑤저우의 부호 육덕원의 재산을 물려받아 더욱 성장했다. 그의 재산은 명나라 전체 예산보다 많았다는 소문이 돌 정도로 유명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만삼제 요리와 심수로, 수릉 등 저우장에는 심만삼 관련 유적과 문화가 존재한다. 심만삼은 윈난 유배 후 고차도 개척에 기여했으나, 그의 후손들은 비극적인 말로를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79년 사망 - 엔리케 2세
    알폰소 11세의 서자 엔리케 2세는 이복동생 페드로 1세에 맞서 카스티야 내전으로 왕위를 찬탈하고 프랑스와 동맹을 맺어 백년 전쟁을 지원했으며 귀족 우대 정책을 펼친 카스티야 왕국의 왕이다.
  • 1330년 출생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1330년 출생 - 공민왕
    공민왕은 고려의 제31대 왕으로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개혁을 추진했지만, 친원 세력의 반발과 외세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개혁 정책과 신돈 등용을 통해 토지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시해당했다.
  • 홍무제 - 건문제
    건문제는 명나라의 제2대 황제로, 유교적 이상 정치를 추구하며 개혁을 시도했으나 숙부들의 반란으로 실종되었고 사후 복권되었다.
  • 홍무제 - 홍건적의 난
    홍건적의 난은 14세기 중반 원나라 말기에 백련교도 한산동과 유복통 등이 주도하여 부패한 정치와 자연재해로 피폐해진 민심을 기반으로 일어난 대규모 농민 반란으로, 고려 침입과 주원장의 명나라 건국에 영향을 주었다.
심만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심복 (沈富)
출생1330년
출생지쑤저우, 장쑤 성
사망1379년 (향년 49세)
사망지쿤산 시, 장쑤 성
직업
직업사업가, 정치가
관직
직책명 제국 장쑤성 쿤산 태수
임기1372년 ~ 1379년
군주명 태조 주원장
기타
소속 정당무소속

2. 가계


  • 아버지 : 심우 (원나라 중대부)
  • 동생 : 심만사
  • 아들 : 심무
  • 아들 : 심왕
  • * 손자 : 심지
  • * 손자 : 심장
  • 아들 : 심영
  • * 손자 : 심삼
  • ** 후손 : 심본익 - 심만삼 가문의 대저택 심청 완성

3. 생애

심만삼(沈萬三)은 원나라 말기부터 명나라 초기까지 강남 지역에서 활동했던 거부였다. 명나라 초기부터 부자의 대명사로 이름을 알렸으며, 항간에는 그의 재산이 명나라 전체 예산보다 많았다는 소문이 돌 정도였다.[7]

명사(明史) 기록에 따르면 심만삼은 글을 쓰는 사람들에게 한 편의 문장을 써오면 은 20냥을 주는 등 예술 작품을 모으는 것을 좋아했다.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거래였기에 이 소문을 들은 명나라의 많은 사람들이 그의 집 앞에 모여 작품을 팔기 위해 진을 쳤다고 한다.[7]

심만삼은 쑤저우, 난징, 윈난 등 여러 지역을 방문했지만, 항상 저우장을 자신의 경력이 시작된 곳으로 여겼다. 그의 저택은 은택강을 따라 창고, 정원, 누각이 있는 읍성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었다.[1] 홍무제 주원장은 그의 재산을 질투했고, 위협을 느껴 심만삼을 윈난으로 유배 보냈다. 사람들은 심만삼을 매우 좋아했고, 그가 죽지 않고 불멸이 되었을 것이라고 믿었다. 청나라 시대에도 누군가 늙지 않은 심만삼을 윈난에서 만났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저우장에는 심만삼의 이름을 딴 것들이 많다. 저우장의 수로(水路)는 '심수로(沈水路)'라 불리고, 심만삼의 수릉(水陵)도 있다. 또한, 저우장에는 심만삼이 천만냥의 은을 캐낸 곳이라고 하는 '십찰해'가 있다.

저우좡

3. 1. 부의 축적

심만삼 가문은 원나라 말기와 명나라 초기에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대부호 집안이었다. 이들은 저우장을 건설하고 발전시켰다. 명사(明史)에는 주원장이 명나라를 건국할 때 심만삼의 재력 도움을 받아 서수휘, 진우량, 장사성 등의 세력을 격파했다고 기록되어 있다.[7] 심만삼은 개인적으로 난징 성벽을 쌓고 군대를 포상하는 등 주원장의 미움을 사서 결국 운남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7]

심만삼은 원나라 말기 상하이와 난징에서 곡물, 비단, 도자기 등 특산품을 거래하며 부를 쌓았다.[7] 그는 저우좡에서 농업으로 경력을 시작했는데, 이곳은 따뜻한 기후와 쉬운 관개 시설을 갖추고 있어 농업에 적합했다.[3] 쑤저우의 부자 루더위안은 심만삼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그에게 많은 돈을 맡겼고, 이를 통해 심만삼은 더 많은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4] 심만삼은 저우좡의 편리한 수운을 이용하여 차, 비단, 도자기, 식량을 수출하고 보석, 상아 제품, 향신료를 수입하는 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3]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심만삼은 그 규모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한 보물 창고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돈으로 난징 성벽과 현무호와 같은 시설을 건설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심만삼은 쑤저우의 편리한 수로를 최대한 활용하여 외국 무역으로 양쯔강 남부 지역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이 되었고, 쑤저우를 사업의 중요한 장소로 만들었다. 그는 명나라 초에 홍무제가 난징을 수도로 선택했을 때 수도 성벽의 3분의 1을 건설하는 데 기여하기도 했다.

하지만 명나라 최고 부자였던 심만삼의 최후는 쓸쓸했다. 남경성을 건축한 공으로 주원장은 그의 두 아들을 황실 고위관리로 임명했지만, 훗날 두 아들이 비리사건에 연루되어 심만삼은 운남으로, 두 아들은 차오저우로 귀양을 갔고 그의 재산은 모두 몰수되었다.[7] 심지어 심만삼의 증손과 사위가 반란사건(남옥사건)에 연루되어 일가 전체가 몰살당하는 비극을 겪었다.[7] 그는 비록 죽음은 면했지만, 다시 재기할 희망을 포기한 채 운남에서 쓸쓸한 여생을 보내다 굶어 죽었다고 한다.[7]

저우장에는 심만삼의 이름을 딴 것들이 많다. 저우장의 명물 요리인 만삼제(万三蹄)는 심만삼의 유명세를 이용한 요리 중 하나이며, 심만삼과 만삼제는 중국인들에게 '최고의 부(富)'의 상징이다.[7]

3. 2. 명나라 건국 기여와 몰락

명나라 건국에 기여한 심만삼(沈萬三)은 원나라 말기와 명나라 초기에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대부호였다. 저우장(주장, 周庄)을 건설하고 발전시킨 심만삼은 명사(明史)에 따르면 주원장이 서수휘, 진우량, 장사성 등의 세력을 격파하고 명나라를 건국하는데 재정적으로 큰 도움을 주었다.[7]

심만삼은 상하이와 난징에서 곡물, 비단, 도자기 등을 거래하며 부를 쌓았고, 주원장을 적극 지원했다. 난징(남경, 건업) 성벽 건설에 참여하여 전체 공사비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10km 이상의 성벽을 자비로 건설했으며, 군대 포상 비용을 부담하겠다는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7]

그러나 심만삼은 난징 성벽을 쌓고 군대를 포상하는 등 지나치게 부를 과시하여 주원장의 미움을 사 윈난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두 아들이 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심만삼은 윈난으로, 두 아들은 차오저우로 귀양을 갔고 재산은 모두 몰수되었다. 이후 심만삼의 증손과 사위가 반란 사건(남옥사건)에 연루되어 일가 전체가 몰살당하는 비극을 겪었다. 심만삼은 죽음은 면했지만 윈난에서 쓸쓸히 여생을 보내다 굶어 죽었다고 전해진다.[7]

주원장과 심만삼의 이야기는 위대한 정치인과 사업가의 대결을 다룬 유일한 사례로, 결국 황제의 권력이 승리했다는 역사적 교훈을 남겼다.[5]

3. 3. 고차도(古茶道) 개척

심만삼은 윈난성으로 유배된 후, 많은 친구들이 그를 방문했다. 그들은 돈을 벌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찾았는데, 차, 도자기, 수공예품 등을 북서부 지역과 티베트로 운송하는 것이었다. 이 경로는 현재 고차도(古茶道)라고 불린다. 그곳의 날씨는 춥고 고갯길은 험준했지만, 심만삼은 개발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자신의 경험과 상업적 기지를 바탕으로 강 남쪽의 전형적인 제품들을 티베트, 인도, 미얀마 등으로 운송했다.

차를 짊어진 사람들, 중국 쓰촨성; 어니스트 헨리 윌슨 (1908).

4. 심만삼 관련 유적 및 문화

저우장(주장, 周庄)에는 원나라 말기와 명나라 초기에 중국에서 최고로 유명한 대부호였던 심만삼(沈萬三)의 이름을 딴 것들이 많다. 저우장의 명물 요리인 만삼제(万三蹄)는 심만삼의 유명세를 이용한 요리 중 하나이며, 심만삼과 만삼제는 중국인들에게 '최고의 부(富)'의 상징이다.[7] 또한, 저우장에는 심만삼이 천만냥의 은을 캐낸 곳이라는 '십찰해'가 있고, 저우장의 수로(水路)는 심만삼의 성씨를 따서 '심수로(沈水路)'라 부르며, 여기에는 심만삼의 수릉(水陵)도 있다.

심만삼 가문의 대저택 심청(沈厅)은 그의 자손 심본익이 청나라 건륭제 7년(1742년)에 건조한 것이다. "심만삼의 저택은 은택강을 따라 창고, 정원, 누각이 있는 읍성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다."[1] "심만삼의 웅장한 저택은 여전히 저우좡에 있다."[2]

그러나 심만삼과 그의 자손들이 저우장(주장, 周庄)과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대대로 부귀영화를 누린 것만은 아니다. 홍무제 주원장은 그의 재산을 질투했고, 이 부유한 자가 위협이 될 것을 우려하여 심만삼을 윈난으로 유배 보냈다. 심만삼은 윈난에서 여생을 보냈지만, 사람들은 심만삼을 매우 좋아했고, 그가 죽지 않고 불멸이 되었을 것이라고 믿고 싶어했다. 청나라 시대에도 누군가는 늙지 않은 심만삼을 윈난에서 만났다고 주장했다.

5. 역사적 평가

심만삼은 원나라 말기부터 명나라 초기까지 강남 지역에서 활동한 거부로, 명나라 초기부터 부자의 대명사로 이름을 알렸다. 항간에는 그의 재산이 명나라 전체 예산보다 많았다는 소문이 돌 정도로, 명나라 대표 부자였다고 할 수 있다.[7]

심만삼은 주원장이 명나라를 건국할 때 재정적으로 큰 도움을 주었다. 서수휘, 진우량, 장사성 등의 세력을 격파하는 데 그의 재력이 활용되었다. 또한 난징 성벽을 쌓는 데 개인 자금을 출연하고 군대를 포상하는 등 나랏일에도 적극적으로 재정 지원을 하였다. '명사(明史)' 기록에 따르면, 심만삼은 서예 작품 수집을 좋아하여 글쟁이에게 한 편의 문장을 써오면 은 20량을 주었는데, 이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금액이었다. 이 소문을 듣고 명나라에서 글깨나 쓴다는 사람들이 모두 그의 집 앞에 모여 작품을 팔려고 했다고 한다.[7]

그러나 심만삼은 주원장의 미움을 사서 운남으로 귀향을 가게 되었다. 난징 성벽 건설과 군대 포상 등 그의 행적이 주원장의 권위에 도전하는 것으로 비춰졌기 때문이다. 그의 두 아들은 황실 고위 관리로 임명되었으나 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귀양을 갔고, 재산은 모두 몰수되었다. 설상가상으로 심만삼의 증손과 사위가 반란 사건(남옥사건)에 연루되어 일가 전체가 몰살당하는 비극을 겪었다. 심만삼은 죽음은 면했지만 재기할 희망을 잃고 운남에서 굶어 죽었다고 한다.[7]

심만삼이 어떻게 큰 부를 얻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록이 없다. 일설에는 그가 원나라 오강(吴江) 일대 부자 육덕원(陆德源)의 비서로 재산 관리를 맡았는데, 훗날 육덕원이 속세를 떠나면서 자신의 모든 재산을 심만삼에게 넘겨주어 강남 최고 부자가 되었다고 한다.[7]

심만삼이라는 이름은 중국에서 부자의 상징으로 통한다. 오늘날에도 강소, 절강, 복건 등 지역에서는 돈 많은 사람을 '심만삼'이라고 비유하는 풍습이 남아있다.[7] 주원장과 심만삼의 이야기는 위대한 정치인과 위대한 사업가 간의 대결을 다룬 사례로, 황제의 권력이 결국 승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5]

참조

[1] 웹사이트 周庄镇志 http://news.difangzh[...] 2009-12-03
[2] 웹사이트 苏谈 http://club.xilu.com[...]
[3] 웹사이트 吴风录 http://www.iguoxue.c[...] 2012-09-12
[4] 웹사이트 周庄镇志 http://news.difangzh[...] 2009-12-03
[5] 웹사이트 Shen Wansan - 1330 births. https://blog.e-hokka[...] 2020-11-08
[6] 서적 대륙의 거상
[7] 뉴스 중국 부자의 상징‘심만삼(沈万三)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봉황망코리아 차이나포커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