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사성은 원말(元末)의 반란 지도자로, 본명은 장구사이며 소금 운반 노동자 출신이다. 1353년 동생들과 함께 봉기하여 대주(大周)를 건국하고, 쑤저우를 수도로 삼아 세력을 확장했다. 그는 주원장과 대립하며 경제적 이익을 추구했지만, 주원장의 공격으로 세력이 약화되어 1367년 포로가 되었고, 이듬해 처형되었다. 장사성은 사치스러운 생활과 세력 확장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멸망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무덤은 쑤저우에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67년 사망 - 이제현
이제현은 고려 후기에 활동한 문신이자 유학자, 성리학자로, 원나라와 고려를 오가며 외교적 역할을 수행하고 개혁 정치를 펼쳤으며, 이색 등 제자를 길러 조선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1367년 사망 - 아시카가 요시아키라
아시카가 요시아키라는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아들이자 무로마치 막부의 제2대 쇼군으로, 간노의 소란 이후 막부의 정무를 맡아 남북조 시대 혼란 수습과 막부 권력 강화를 위해 소송 제도 정비, 유력 수호 세력 억압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 1321년 출생 - 쩐 예종 (9대)
쩐 예종은 쩐 왕조의 제9대 황제로, 양일례를 폐위시키고 즉위하여 쩐 왕조 질서 회복을 시도했으나, 잦은 외침과 신하들의 배반, 호꾸이리의 득세로 쇠퇴를 가속화시키고 태상황으로 실권을 장악하며 쩐 왕조 멸망의 씨앗을 뿌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 1321년 출생 - 조반니 2세 델 몬페라토
조반니 2세 델 몬페라토는 1336년부터 몬페라토를 통치하며 영토를 확장하고 북부 이탈리아에서 세력을 넓혔으며, 마요르카 여왕과의 결혼으로 갈등을 겪다가 1372년 사망했다. - 원나라의 도적 - 한산동
한산동은 원나라 말기 미륵불 신앙을 기반으로 민중 봉기를 선동하고 북송 휘종의 후손을 자처하며 홍건적의 난을 주도하려다 처형되었으나, 그의 아들 한림아가 난을 이어갔다. - 원나라의 도적 - 한림아
한림아는 유복통에 의해 소명왕으로 추대되어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주원장에게 살해된 원나라 말기 홍건적의 일원이다.
장사성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장사성 |
출생명 | 장구사 (張九四) |
로마자 표기 | Jang Sicheong |
간체 | 张士诚 |
번체 | 張士誠 |
핀인 | Zhāng Shìchéng |
출생 | 1321년 지치 원년 |
사망 | 1367년 지정 27년 |
왕조 | |
왕조 | 주 → 오 |
작위 | |
칭호 | 왕 |
재위 기간 (주왕) | 1354년–1357년 |
재위 기간 (오왕) | 1363년–1367년 |
연호 | |
연호 | 천우 (天佑) |
연호 기간 | 1354년–1357년 |
가족 | |
배우자 | 유부인 |
기타 | |
묘소 | 쑤저우시 셰탕 가도 |
![]() |
2. 생애
장사성(張士誠)의 본명은 장구사(張九四)로, 태주 인근 백구장(白駒場, 지금의 장쑤성 다펑 시)에서 태어났다. 소금 운반업에 종사하던 그는 지정 13년(1353년)에 동생들과 동료들과 함께 원나라에 맞서 봉기했다.[1][2] 얼마 후 태주, 흥화, 고우 등 양쯔강 북쪽 주요 지역을 장악했다.
1354년 정월, 고우에서 국호를 대주(大周)라 하고 스스로 성왕(誠王)이라 칭하며 연호를 천우(天祐)로 정했다. 원나라에서는 타타르(脫脫)를 중심으로 진압군을 보냈고, 고려에서도 군사를 징발했다. 1355년 9월, 타타르가 이끄는 대규모 군대가 고우를 공격했으나, 장사성은 성을 굳게 지켰다. 원나라 조정에서 참소로 인해 타타르가 병권을 잃으면서 진압군은 퇴각했고, 장사성은 이들을 추격하여 크게 이겼다.
1356년에 장사성은 남쪽으로 세력을 넓혀 평강로(平江路, 지금의 쑤저우시)를 차지하고 융평부(隆平府)로 개칭하였다.[4]
1357년에 원나라의 달식첩목이(達識帖睦邇)가 공격해오자, 장사성은 방국진(方國珍)과의 협공을 우려하여 원나라에 항복하고 태위(太尉) 벼슬을 받았다. 1358년에는 달식첩목이와 함께 양완자(楊完者)를 공격하여 그를 자살하게 만들었다.
주원장(朱元璋)과 진우량(陳友諒)이 크게 싸우는 틈을 타 장사성은 북쪽으로는 서주(徐州), 남쪽으로는 소흥(紹興)까지 세력을 넓혔다. 병사 수십만을 거느리고 군량 10만 석을 원나라 수도 대도(大都, 지금의 베이징)까지 운반하기도 했다. 1363년 9월, 스스로 오왕(吳王)이라 칭하고 동생 장사신(張士信)을 승상으로 삼아 다시 원나라에 대항했다.
장사성은 주원장과의 직접적인 충돌은 피하면서 해상 교역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추구했다. 고려에 사신을 보내거나 일본 왜구(倭寇)와 몰래 제휴하기도 했다. 1366년 주원장이 본격적인 공격을 시작하고, 동생 장사덕(張士德)이 붙잡혀 죽으면서 장사성의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다.[12]
1367년 12월, 주원장 군대에 의해 평강(平江)이 포위되었고, 9월에 함락되면서 장사성은 포로가 되었다. 응천(應天, 지금의 난징)으로 압송되던 중 살해되었다.[12] 《명사》(明史)에는 장사성이 금릉(金陵)에서 목을 매어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2. 1. 초기 생애와 봉기
태주(泰州) 인근 백구장(白駒場, 지금의 장쑤성 다펑 시) 출신인 장사성(張九四)은 소금 운반업자였다.[1][2] 그는 관대함으로 동료들의 존경을 받았고, 1353년 억압적인 원나라에 대한 반란을 일으켜 지도자가 되었다.1340년대부터 원나라는 황하 범람 등 자연재해와 제국 유지를 위한 군사비 지출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는 세금 인상으로 이어져 한족에게 큰 부담이 되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 장사성은 1353년 원나라에 반기를 들었다. 그는 형제들과 함께 태주(泰州), 흥화(興化), 고유(高郵)를 점령했다.
고향에서 관영 염전 운송과 밀매를 하던 장사성은 재물을 가볍게 여기고 백성에게 베풀어 인심을 얻었으나, 관리 및 토호와는 갈등을 겪었다.
지정(至正) 13년(1353년), 토호에게 모욕을 당한 장사성은 동생 장사의(張士義), 장사덕(張士德), 장사신(張士信) 등 18명과 함께 봉기했다. 소금 장인들이 가담하여 태주(泰州)를 함락시키고 참정(參政) 조련(趙璉)을 살해했으며, 흥화(興化), 고유(高郵) 등 장강 북쪽 요충지를 점령했다. 지정 14년(1354년)에는 성왕(誠王)이라 칭하고 국호를 '''대주(大周)'''로, 연호를 천우(天祐)로 정하였다.
장사성의 반란은 회동(淮東) 지역에서 발생했는데, 이곳은 전국 최대 소금 생산지이자 대운하가 지나는 곳이었다. 소금 전매와 강남 물자에 의존하던 원나라에게는 심각한 문제였다. 토크토(脱脱)가 이끄는 대규모 토벌군이 파견되었고, 고려와 서역에서도 군대가 동원되었다.
토크토의 대군은 장사성의 거점을 공략했고, 고유(高郵)를 포위당한 장사성은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조정 내부 권력 투쟁으로 토크토가 실각하면서 원군은 혼란에 빠졌고, 장사성은 이들을 격파하여 위기를 벗어났다. 이 전투 이후 원나라의 강남 지배력은 약화되었고, 반란 세력이 할거하게 되었다.
2. 2. 대주 건국과 통치
1353년 장사성은 동생 장사의(張士義), 장사덕(張士德), 장사신(張士信), 소금 장사꾼 이백승(李伯升) 등 18인과 함께 원나라에 맞서 거병하였으며, 얼마 뒤 태주(泰州), 흥화(興化), 고우 (高郵) 등 양쯔 강 북쪽의 주요 거점들을 차지하였다.[3]1354년 정월, 장사성은 고우에서 국호를 대주(大周)라 하고 스스로 성왕(誠王)을 칭하였으며, 연호를 천우(天祐)로 정하였다.[3] 원나라에서는 태사 겸 우승상 타타르(脫脫)의 주도 하에 장사성 진압에 나섰고, 이때 고려에서 군사를 징발하였다. 1355년 9월, 타타르는 고려에서 징발한 2만 3천 군사를 포함한 80만 대군을 이끌고 고우를 공격했으나, 11월에 장사성은 성 안으로 들어가 굳게 지켰다. 원 순제(元順帝)가 참소를 받아 병권을 잃으면서 원나라 진압군은 퇴각했고, 장사성은 이들을 추격하여 크게 격파하였다.
1356년, 장사성은 남쪽으로 세력을 넓혀 평강로(平江路, 지금의 쑤저우시)를 점령하고 융평부(隆平府)로 개칭하였다.[4]
1357년, 원나라 조정의 강절행성평장(江浙行省平章) 달식첩목이(達識帖睦邇)가 양완자(楊完者)를 보내 장사성을 공격했다. 장사성은 원군이 자신과 가까이 있던 방국진(方國珍)과 연합하여 공격할 것을 우려하여 원나라에 투항하고 태위(太尉)에 봉해졌다. 1358년, 장사성은 달식첩목이와 연합하여 양완자를 공격했고, 양완자는 자살하였다.
장사성은 주원장(朱元璋)과 진우량(陳友諒)이 격돌하는 틈을 타 북쪽으로는 서주(徐州), 남쪽으로는 소흥(紹興)까지 세력을 확장하고, 병사 수십 만을 거느리며 군량 10만 석을 원나라 수도 대도(大都, 지금의 베이징)까지 운반했다. 1363년 3월, 장사성은 여진(呂珍)을 보내 홍건적 유복통(劉福通)의 무리를 안풍(安豐)에서 공격했고, 유복통과 한림아(韓林兒)는 주원장에게 투항하였다. 9월, 장사성은 스스로 오왕(吳王)을 칭하고 동생 장사신을 승상(丞相)으로, 황경부(黃敬夫), 채언문(蔡彥文), 엽덕신(葉德新) 세 사람을 참군(參軍)으로 임명하여 다시 원나라에 맞섰다. 이듬해 주원장 또한 「오왕」을 칭했다.[2][7]

2. 3. 주원장과의 경쟁과 최후

장사성은 주원장(朱元璋)과 진우량(陳友諒)이 크게 싸우는 틈을 타서 세력을 확장했다. 북쪽으로는 서주(徐州), 남쪽으로는 소흥(紹興)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차지했으며, 수십만 명의 병사를 거느리고 있었다. 또한, 군량 10만 석을 원나라의 수도인 대도(大都, 지금의 베이징)까지 운반하기도 했다.[12] 1363년 3월에는 여진(呂珍)을 보내 홍건적 유복통(劉福通)을 안풍(安豐)에서 공격했고, 유복통과 한림아(韓林兒)는 주원장에게 투항했다. 같은 해 9월, 장사성은 스스로 오왕(吳王)을 칭하고 동생 장사신(張士信)을 승상(丞相)으로 삼아 다시 원나라에 맞섰다. 이듬해 주원장 또한 「오왕」을 칭했다.
장사성은 주원장과의 직접적인 전투는 피하면서, 고기잡이와 소금 판매를 통해 얻는 이익으로 해상 교역을 하며 경제력을 키웠다. 이 과정에서 고려에 사신을 보내 특산물을 바치기도 했고, 일본의 왜구(倭寇)와도 몰래 손을 잡았다. 이는 훗날 명(明)이 「해금정책」을 실시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주원장은 장사성의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주변 지역부터 공략하는 전략을 폈다. 1366년, 주원장은 장사성에 대한 본격적인 공격을 시작했고, 명장으로 이름 높던 장사성의 동생 장사덕(張士德)이 주원장 군에 붙잡혀 굶어 죽으면서 장사성의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다.[12]
1366년 12월, 장사성의 근거지인 평강(平江, 지금의 쑤저우)이 주원장에게 포위되었다. 1367년 9월, 평강성은 함락되었고 장사성은 포로로 잡혔다. 그는 응천(應天, 지금의 난징)으로 압송되던 중 살해되었다.[12] 《명사》(明史)에는 장사성이 금릉(金陵)에서 목을 매어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2] 다른 이야기로는, 주원장이 장사성을 심문할 때 장사성이 "하늘의 해는 밝지만 나에게는 비치지 않았다"라고 말하자, 주원장이 그를 활줄로 목 졸라 죽이고 성루에 매달아 백성들에게 보였다고도 한다.
장사성의 무덤은 쑤저우 시 사당진(斜塘鎭)에 남아 있다. 현대 역사가들은 장사성이 천유량과 협력했다면 주원장을 압도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장사성은 양쯔강 하류 지역을 지배하는 것에 만족했고, 주원장의 영토를 공격하려던 두 번의 시도는 모두 실패로 끝났다.[8]
주원장이 천유량과 그의 아들 진력을 물리치고 그들의 영토를 완전히 차지한 후(1365년경), 더 많은 병력을 장사성에게 집중할 수 있었다.[8] 1366년 4월 24일 중국 대운하의 가오요우를 함락하여 장사성이 북쪽 원나라로부터 지원받는 것을 막았다. 같은 해(1366년)에 장사성은 그의 군대의 중요한 장군이었던 그의 동생 장사덕을 잃었다.[9] 1366년 12월 말, 장사성의 수도 소주는 주원장의 군대에 포위되었다.[8]
두 "오왕" 간의 싸움은 1367년 10월 1일, 10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소주가 주원장의 군대에 함락되면서 끝났다.[8] 장사성은 자살하려 했으나 붙잡혀 주원장의 수도 난징으로 압송되었다.[8] 그곳에서 장사성은 매를 맞아 죽었거나[2][7] 자살했다는 기록이 있다.[8][10] 한편 주원장은 장사성의 군대 25만 명을 자신의 군대에 편입했고,[8] 1368년 설날(1368년 1월 20일 또는 23일)에 명나라의 초대 황제로 즉위했다.[2][7]
장사성이 죽은 후에도 소주 백성들은 그를 잊지 않았다. 매년 7월 30일(장사성의 생일)에 짚으로 만든 용 장난감을 문에 걸고, 짚 줄기 94개에 불을 지피며 장사성을 기렸다. 주민들은 지장보살(地藏王)을 숭배한다고 둘러댔지만, 실제로는 장사성을 '지역 군주(地张王)'로서 숭배한 것이었다. 이러한 풍습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때까지 이어졌다.
3. 통치와 정책
1354년, 장사성은 대주(大周)를 건국하고 스스로 성왕(誠王)이라 칭하며 연호를 천우(天佑)로 정했다.[3] 같은 해, 중국 대운하 북쪽, 양쯔강 바로 남쪽에 위치한 중요한 소금 무역 중심지인 양주를 장악했다. 1356년에는 장강 이남의 주요 교통 및 상업 중심지인 쑤저우를 점령하고 수도로 삼았다.[4] 장사성이 지배하게 된 지역은 중국의 주요 곡창지대이자 중국 전체 소금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는 곳이었다.[2]
장사성은 그의 형인 장석신(張士信)을 재상으로, 장석덕(張士德)을 대장군으로 임명했다. 대주 건국 후 많은 한족 출신 원나라 장군들이 장사성에게 귀순했다. 대주는 원나라, 주원장, 진우량 등 경쟁 세력에 비해 가장 번영한 왕국이 되었다. 장사성의 정권은 대체로 원나라의 모델을 따랐지만, 이전의 전통적인 중국 용어도 일부 사용했다.[2]
당시 중국 중부 지역의 지배권을 놓고 장사성의 주요 경쟁자는 난징에 자리를 잡은 주원장이었다. 1356년에서 1357년 사이에 주원장에게 충성하는 군대에게 여러 차례 패배한 후, 장사성은 자치권을 인정받는 대가로 주원장에게 조공을 바치겠다고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8] 1357년 장사성은 원나라 정부로부터 작위를 받아들이고, 바다를 통해 원나라 수도(북경) 지역으로 곡물 무역을 시작하기로 동의했다.[2]
1363년, 장사성은 자신의 영토를 상당히 확장했고, 주원장의 예를 따라 오(吳王) 왕이라고 선포했다. 주원장은 그보다 앞서(1361년) 자신을 오공(吳公)이라 칭했고, 1364년에는 오왕(吳王)으로 승격했다.[2][7]
장사성은 쑤저우 일대를 점령한 초기에 수리 사업, 논 개간, 산업 진흥, 신화폐 주조, 군사력 개혁 등을 실시했으나, 곧 동생에게 정치를 맡기고 방탕한 생활에 빠졌다. 웅장한 궁궐을 건설하는 등 사치를 즐겼고, 혁명 의식이 낮아 현상 유지를 위해 일시적으로 원나라와 손을 잡기도 했다. 원나라 말기 각지에 할거한 군웅들 중에서 장사성은 경제적으로 가장 부강하고 문화적으로도 가장 선진적인 지역을 지배했지만, 사치에 대한 경향이 심하고 세력 확장에 대한 의욕이 부족했다. 이는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3. 1. 문화와 사상
저명한 소설가 로관중(羅貫中)에 대한 신뢰할 만한 정보는 매우 적지만, 일부 학자들은 로관중이 장사성의 왕국 초기 장사성의 막료였을 가능성을 추측한다. 로관중은 장사체가 몽골 지배자들과 타협한 후 그에게 환멸을 느꼈다고 여겨진다. 환멸 후 로관중은 문학적 경력으로 전환하여 삼국지연의를 저술했다. 그러나 빈약한 역사적 증거는 다양하게 해석되어, 분쟁에 참여한 다른 참가자 편에 로관중이 있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11]장사성의 이름 "사성(士誠)"은 유학자들로부터 "황제에 걸맞는 훌륭한 이름"으로 헌정받았지만, 그 진짜 의미는 『맹자』의 "사, 성 소인이니(士、誠に小人なり)"라는 구절에서 유래하며, 장구사(張九四)를 "한 글자도 모르는 건달 출신의 신흥 인물"에 불과하다고 은근히 비방한 것이다. 이 일화는 후에 홍무제(그는 장사성과 마찬가지로, 본래 신분이 낮았다)에게 유학자(사대부)에 대한 의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어 문자옥을 유발했다.
4. 평가와 유산
주원장에게 사로잡힌 장사성은 자살을 시도했으나 발각되어 난징으로 압송되었다.[8] 그곳에서 매를 맞아 죽었거나[2][7] 자살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8][10]
4. 1. 부정적 평가
현대 역사가들은 장사성이 좀 더 결단력을 가지고 주원장의 경쟁자였던 천유량과 협력했다면, 초기 명나라를 압도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평가한다. 그러나 장사성은 양쯔강 하류 지역을 지배하는 것에 만족했고, 주원장의 영토를 공격하려던 두 차례의 시도 모두 실패했다.[8]주원장이 천유량과 그의 아들 진력을 물리치고 그들의 영토를 완전히 장악한 후(1365년경), 더 많은 병력을 장사성에게 집중할 수 있었다.[8] 1366년에는 장사성의 중요한 장군이었던 동생 장사덕이 사망하면서 전력에 큰 손실을 입었다.[9]
장사성은 소주(蘇州) 일대를 점령한 초기에 수리 사업, 논 개간, 산업 진흥, 신화폐 주조, 군사력 개혁 등을 실시하며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곧 동생에게 정치를 맡기고 방탕한 생활에 빠졌으며, 사치스러운 생활을 즐겨 웅장한 궁궐을 건설하기도 했다. 또한 혁명 의식이 낮아 현상 유지를 위해 일시적으로 원나라와 손을 잡기도 했다.
장사성은 경제적으로 부강하고 문화적으로 선진적인 지역을 지배했지만, 사치스러운 경향이 심하고 세력 확장에 대한 의욕이 부족했다. 이러한 점이 결국 그의 멸망 원인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2][7]
4. 2. 현대적 관점
현대 역사가들은 장사성이 좀 더 결단력 있게 행동하여 주원장의 또 다른 경쟁자이자 서쪽 이웃이었던 천유량과 협력했더라면, 장사성과 천유량이 힘을 합쳐 주원장의 초기 명나라를 압도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장사성은 "나태"하여 양쯔강 하류 지역을 지배하는 것에 만족했던 것으로 보이며, 주원장의 영토를 공격하려던 두 차례의 시도 모두 결정적인 패배로 끝났다.[8]소주 협당에는 장사성의 무덤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장사성이 죽은 뒤에도 소주 백성들은 그를 잊지 못했다. 매년 7월 30일(장사성의 생일)이면 소주 백성들은 집 문에 짚으로 만든 용 장난감을 걸고 축하했다. 또한 짚 줄기 94개에 불을 붙였는데, 숫자 '9'와 '4'는 장사성의 이름을 구성하는 숫자이자 '오랫동안 생각하다(久思)'와 발음이 같았기 때문이다. 전설에 따르면 황제가 된 주원장은 이러한 풍습을 의심하여 지역 관리들에게 조사를 명했고, 백성들은 지장보살(地藏王, 중국어 발음: Dizangwang)을 숭배한다고 둘러댔다. 그러나 이는 사실 말장난으로, 백성들은 실제로는 지역 군주(地张王, 중국어 발음: Dizhangwang)로서 장사성을 숭배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축하 행사는 공산당 통치 시기에도 계속되었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때까지 이어졌다.
참조
[1]
서적
Salt Production Techniques in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2]
서적
Zhu Yuanzhang and Early Ming Legislation: The Reordering of Chinese Society Following the Era of Mongol Rule
https://books.google[...]
BRILL
[3]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4, Part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ART OF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www.nyu.edu/[...]
2023-08-24
[5]
서적
Civil Examinations and Meritocracy in Late Imperial China
Harvard University Press
[6]
서적
A Cultural History of Civil Examinations in Late Imperial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
서적
Cities of Jiangnan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UNY Press
[8]
서적
War, Politics and Society in Early Modern China, 900-1795: 900 - 1795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9]
서적
History of Ming (明代史)
Changqiao (長橋) Publishers
[10]
웹사이트
Zhang Shicheng
http://history.cultu[...]
[11]
서적
Three Kingdoms: A Historical Nove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