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장주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장 주기는 심장이 혈액을 효과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해 반복하는 일련의 사건들을 의미한다. 심장 주기는 크게 심실의 이완기, 수축기, 심방 수축기로 나뉘며, 등용적 이완, 유입, 등용적 수축, 분출의 4가지 주요 단계로 구성된다. 각 단계는 심장의 전기 전도 시스템에 의해 조절되며, 동방 결절(SA node)과 방실 결절(AV node)을 포함한 특정 세포 그룹이 전기적 임펄스를 생성하고 전달하여 심장 근육의 수축을 유도한다. 심장 주기는 심박출량, 전부하, 후부하, 심근 수축력과 같은 생리학적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위거스 도표는 심장 주기의 각 단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장혈관생리학 - 심박수
    심박수는 1분 동안 심장이 뛰는 횟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신체의 산소 요구량, 자율신경계, 호르몬 등의 영향을 받아 변하며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 심장혈관생리학 - 정맥
    정맥은 폐정맥을 통해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심장으로 운반하고, 전신 정맥을 통해 산소가 고갈된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리는 혈관계이며, 정맥판을 가지고 혈액 역류를 방지하고, 심장 수축, 골격근 펌프, 호흡 펌프 작용으로 심장으로 혈액을 귀환시키며, 정맥 혈전증, 문맥 고혈압, 정맥염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 생리학 - 항상성
    항상성은 생명체가 생존을 위해 체온, 혈당, 혈액 pH, 수분 및 이온 균형 등 내부 환경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으로, 음성 피드백 시스템, 신경계, 내분비계 등을 통해 조절된다.
  • 생리학 - 스트레스 요인
    스트레스 요인은 개인이 환경적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때 심리적, 신체적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으로, 지속시간, 강도, 예측 가능성, 통제 가능성에 따라 영향이 달라지며, 인지된 스트레스 척도 등으로 측정 가능하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심장주기
개요
명칭심장 주기
관련 신체 계통순환계
건강 영향유익함
작용불수의적
자극해당 없음
방법정맥을 통해 정맥 판막을 통해 이완된 심실 챔버로 혈액이 유입되도록 허용함. 심장 근육이 심실을 수축시키고 혈액이 동맥 판막을 통해 동맥으로 배출됨.
결과분당 혈액 순환 (인간)
지속 시간0.6–1초 (인간)
비고해면동물, 강장동물, 유즐동물, 편형동물, 태형동물, 창고기를 제외한 동물
세부 사항
설명심장 주기는 심장이 완전히 한 번 뛰는 동안 일어나는 사건의 연속을 말한다.
단계심방 수축
심실 수축 (수축기)
심방 및 심실 이완 (확장기)
심박수심박수는 심장이 1분 동안 뛰는 횟수이다.
조절심장 주기는 자율 신경계, 내분비계 및 기타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
임상적 중요성심장 주기의 이상은 심부전, 부정맥 및 심장 판막 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심혈관 질환을 나타낼 수 있다.

2. 심장 주기의 단계

심장은 두 개의 심방과 두 개의 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심과 우심이 쌍을 이루어 작동한다. 이들은 심장 주기를 지속적으로 반복하며 협력한다.[1] 심장 주기는 크게 심실 이완기와 심실 수축기로 나눌 수 있다.
심실 이완기는 심장이 이완하고 확장하면서 혈액을 받는 단계이다. 이완기 초반에는 양쪽 심방을 통해 혈액이 심실로 유입된다. 이완기 후반에는 심방이 수축하면서(심방 수축) 심실로 혈액을 밀어 넣는다.[5]
심실 수축기는 심실이 수축하여 혈액을 뿜어내는 단계이다. 심실은 힘차게 맥동하여 혈액을 폐와 전신으로 보낸다. 이때 두 심방은 이완 상태(심방 이완기)를 유지한다.[1]

승모판삼첨판(방실판)은 심실 이완기 동안 열려 혈액이 채워지도록 한다. 심방 수축 후, 동방 결절의 전기 신호에 의해 심실이 수축하기 시작하면(심실 수축기) 방실판이 닫혀 혈액의 역류를 막는다. 이를 등용적 수축 단계라고 한다.[1][6]

심실 압력이 상승하여 대동맥과 폐동맥의 압력을 넘어서면 대동맥판과 폐동맥판이 열리고 혈액이 박출된다. 이것이 심장 주기의 박출 단계이다.[1] 이후 심실 압력이 감소하면 대동맥판과 폐동맥판이 닫히고, 등용적 이완 단계가 시작된다. 이때 심방은 혈액으로 다시 채워지기 시작한다.[1] 심실이 이완되면서 승모판과 삼첨판이 다시 열리고 심실 이완기로 돌아가 새로운 심장 주기가 시작된다.[1][2]

심장 주기 동안 혈압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한다. 심근의 움직임은 동방 결절과 방실 결절의 박동 조율 세포에서 생성되는 전기적 자극에 의해 조절된다. 심근은 외부 신경 신호 없이 자체적으로 수축하는 심근 세포로 구성되지만, 심박수대사 요구에 따라 변한다.[1][2]

심전도에서 심방 수축은 P파, 심실 수축은 QRS군으로 나타난다.[2]

위거스 도표(Wiggers diagram)는 심장 주기의 사건과 세부 사항을 전기 도해선과 함께 보여준다.


이완기(오른쪽)는 심방과 심실이 함께 이완하고 확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수축기(왼쪽)는 심실이 수축하여 혈액을 뿜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심장 이완기: 양쪽 방실판막이 열려 혈액이 심실로 흘러 들어간다.


심장 수축기: 양쪽 방실판막은 닫히고 혈액이 폐동맥과 대동맥으로 분출된다.


대동맥판이 닫힐 때 대동맥 압력에 급격한 변화가 생기는데, 이를 절흔(incisura)이라고 한다. 나이가 들면 대동맥의 탄성이 감소하여 말초에서 최고 맥박이 감소할 수 있다.

2. 1. 심방 수축기 (Atrial Systole)

심방 수축은 양쪽 심방의 심근 세포가 전기적 자극과 심방을 가로지르는 전기적 전류의 전도에 따라 수축하는 것이다.[1][2] 심장 수축과 박출의 순환 과정의 구성 요소이긴 하지만, 심방 수축은 이완을 완료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완 및 확장되어 있는 양쪽 심실에 혈액을 채운다. 심방 수축은 '심실 이완기-후기'로 알려진 하위 기간에 발생하면서 이완기의 끝부분과 겹친다. 이 시점에서 심방 수축은 양쪽 심실로 보내지는 혈액량의 '마무리'를 위해 수축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심방 수축은 심장이 다시 수축하여 심실에서 대동맥과 동맥으로 혈액을 박출하기 직전에 이완을 닫는다(심실 수축).[1][2]

2. 2. 심실 수축기 (Ventricular Systole)

심실 수축기 동안 심실은 수축하고 맥동하여 심장에서 두 개의 분리된 혈액 공급, 즉 하나는 폐로, 다른 하나는 모든 신체 기관 및 시스템으로 보낸다. 이 과정에서 두 심방은 이완(심방 이완기)한다. 이러한 정확한 조정을 통해 혈액이 효율적으로 수집되어 전신에 순환된다.[1][2]

승모판삼첨판, 즉 방실 또는 AV 판막은 심실 이완기 동안 열려 채워지는 것을 허용한다. 충전 기간 후반에 심방이 수축하기 시작하여(심방 수축) 최종 혈액 덩어리를 압력 하에 심실로 밀어 넣는다.

심장 주기 전체에서 혈압은 증가하고 감소한다. 심근의 움직임은 동방 결절과 방실 결절 내에 있는 특수 박동 조율 세포에서 생성되는 일련의 전기적 자극에 의해 조정된다. 심근은 외부 신경의 신호를 받지 않고 내부 수축을 시작하는 심근 세포로 구성된다. 단, 심박수의 변화는 대사 요구에 따라 달라진다.[1][2]

심전도에서 전기적 수축기는 정상적인 신호의 P 파형 편향에서 심방 수축기를 시작하고 수축(수축기)을 시작한다.[2]

심실 수축은 좌심실과 우심실의 심근 세포의 심실 융합체의 전기적 자극에 따른 수축이다. 우심실의 수축은 산소가 고갈된 혈액을 폐동맥판을 통해 폐동맥으로 펌프질하여 폐 순환을 제공한다. 동시에, 좌심실 수축의 수축은 대동맥판, 대동맥 및 모든 동맥을 통해 혈액을 펌프질하여 모든 신체 시스템에 산소화된 혈액의 전신 순환을 제공한다. (혈압은 좌심실 수축 동안 좌심실에서 분지되는 더 큰 동맥에서 일상적으로 측정된다).[1][2]

이후에는 등용적 이완이 이어지며, 이 동안 심실 내부의 압력이 상당히 감소하기 시작하고, 그 후 혈액이 우심방(상대정맥)과 좌심방(폐정맥에서)으로 흐르면서 심방이 다시 채워지기 시작한다.[1] 심실이 이완되기 시작하면 승모판과 삼첨판이 다시 열리고 완료된 주기는 심실 이완기로 돌아가고 심장 주기의 새로운 "시작"이 된다.[1][2]

2. 2. 1. 등용적 수축기 (Isovolumetric Contraction)

동방 결절에서 오는 전기 신호에 의해 심실이 수축하기 시작하고(심실 수축기), 역압이 증가함에 따라 방실 또는 AV 판막(승모판삼첨판)이 닫히게 되어 심실의 혈액이 안으로 흐르거나 밖으로 흐르는 것을 멈춘다. 이를 ''등용적 수축'' 단계라고 한다.[1][6]

2. 2. 2. 박출기 (Ejection Phase)

수축기 수축으로 인해 심실의 압력이 빠르게 상승하여 대동맥과 폐동맥의 줄기 압력을 초과한다. 그러면 필요한 판막(대동맥판 및 폐동맥판)이 열리게 되고, 두 심실에서 분리된 혈액 덩어리가 박출된다.[1] 이것이 심장 주기의 박출 단계이다. 이는 (원형 다이어그램 참조) ''심실 수축기 – 첫 번째 단계''와 ''심실 수축기 – 두 번째 단계''로 묘사된다.[2] 심실 압력이 최고점을 밑돌고 대동맥과 폐동맥의 줄기 압력보다 낮아지면 대동맥판과 폐동맥판이 다시 닫힌다. 오른 쪽 여백의 위거스 다이어그램, 파란색 선 추적을 참조한다.[2]

2. 3. 심실 이완기 (Ventricular Diastole)

심장에는 두 개의 심방과 두 개의 심실이 있으며, 좌심과 우심으로 쌍을 이루어 심장 주기를 반복하며 협력한다.[1] 심실 이완기는 심장이 이완하고 확장하면서 두 심방을 통해 양쪽 심실로 혈액을 받는 기간이다. 이완기 초반에 혈액이 채워지고, 이완기 후반에는 두 심방이 수축하여(심방 수축) 각 심방은 아래 심실로 혈액을 펌프질한다.[5]

승모판삼첨판, 즉 방실 또는 AV 판막은 심실 이완기 동안 열려 채워지는 것을 허용한다. 충전 기간 후반에 심방이 수축하기 시작하여(심방 수축) 최종 혈액 덩어리를 압력 하에 심실로 밀어 넣는다.[1]

심장 주기 전체에서 혈압은 증가하고 감소한다. 심근의 움직임은 동방 결절과 방실 결절 내에 있는 특수 박동 조율 세포에서 생성되는 일련의 전기적 자극에 의해 조정된다. 심근은 외부 신경의 신호를 받지 않고 내부 수축을 시작하는 심근 세포로 구성된다. 단, 심박수의 변화는 대사 요구에 따라 달라진다.[1][2]

2. 3. 1. 등용적 이완기 (Isovolumetric Relaxation)

심실 내부의 압력이 상당히 감소하기 시작하는 ''등용적 이완'' 동안, 혈액이 우심방(상대정맥)과 좌심방(폐정맥에서)으로 흐르면서 심방이 다시 채워지기 시작한다.[1] 심실이 이완되기 시작하면 승모판삼첨판이 다시 열리고 완료된 주기는 심실 이완기로 돌아가고 심장 주기의 새로운 "시작"이 된다.[1][2]

2. 3. 2. 급속 충만기 (Rapid Filling)

심장 이완기는 심장이 수축 후 이완되고 팽창하면서 순환계에서 돌아오는 혈액으로 다시 채워지는 심장 주기의 기간이다.[1][2] 양쪽 방실판막이 열려 심방을 통해 두 심실로 직접 혈액이 '무압력' 상태로 흐르도록 하여 다음 수축을 위해 모인다. 이 기간은 위거스 다이어그램의 중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으며, "이완기"라고 표시된 패널을 참조한다. 여기서는 이완기의 대부분 동안 양쪽 심방과 심실의 압력 수준이 거의 0으로 나타난다. ("심방 압력"과 "심실 압력"이라고 표시된 회색 및 밝은 파란색 선을 참조 - 위거스 도표.) 또한 "심실 용적"의 빨간색 선을 볼 수 있는데, "등용적 이완" 단계의 낮은 고원에서 "심방 수축" 하위 단계에서 발생하는 최대 용적으로 혈액량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1][2]

2. 3. 3. 완만 충만기 (Diastasis)

심장 이완기는 수축 후 심장이 이완되고 팽창하면서 순환계에서 돌아오는 혈액으로 다시 채워지는 심장 주기의 기간이다.[1][2] 양쪽 방실판막(삼첨판승모판)이 열려 심방을 통해 두 심실로 직접 혈액이 '무압력' 상태로 흘러 다음 수축을 위해 모인다. 이 기간은 위거스 다이어그램에서 "이완기"라고 표시된 패널의 중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다. 여기서는 이완기 대부분 동안 양쪽 심방과 심실의 압력 수준이 거의 0으로 나타난다. (위거스 도표에서 "심방 압력"과 "심실 압력"이라고 표시된 회색 및 밝은 파란색 선 참조) 또한 "심실 용적"의 빨간색 선을 보면, "등용적 이완" 단계의 낮은 고원에서 "심방 수축" 하위 단계에서 발생하는 최대 용적으로 혈액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2]

3. 심장 주기와 위거스 도표 (Wiggers Diagram)

심장에는 두 개의 심방과 두 개의 심실이 있으며, 좌심과 우심이 쌍을 이루어 심장 주기를 지속적으로 반복하며 협력한다.[1] 심장 주기가 시작될 때 심실 이완기 동안 심장은 이완하고 확장하며 두 심방을 통해 양쪽 심실로 혈액을 받는다. 심실 이완기 후반 말에 두 심방이 수축하기 시작하고(심방 수축), 각 심방은 아래 심실로 혈액을 펌프질한다.[5] 심실 수축기 동안 심실은 수축하고 맥동하여 심장에서 두 개의 분리된 혈액 공급, 즉 하나는 폐로, 다른 하나는 모든 신체 기관 및 시스템으로 보낸다. 이때 두 심방은 이완한다(심방 이완기). 이러한 조정은 혈액이 효율적으로 수집되어 전신에 순환되도록 한다.[1][2]

승모판삼첨판, 즉 방실 또는 AV 판막은 심실 이완기 동안 열려 채워지는 것을 허용한다. 충전 기간 후반에 심방이 수축하기 시작하여(심방 수축) 최종 혈액 덩어리를 압력 하에 심실로 밀어 넣는다. 그런 다음 동방 결절에서 오는 전기 신호에 의해 심실이 수축하기 시작하고(심실 수축기), 이들에 대한 역압이 증가함에 따라 AV 판막이 닫히게 되어 심실의 혈액이 안으로 흐르거나 밖으로 흐르는 것을 멈춘다. 이를 ''등용적 수축'' 단계라고 한다.[1][6]

수축기 수축으로 인해 심실의 압력이 빠르게 상승하여 대동맥과 폐동맥의 줄기 압력을 초과하여 필요한 판막(대동맥판 및 폐동맥판)이 열리게 되어 두 심실에서 분리된 혈액 덩어리가 박출된다.[1] 이것이 심장 주기의 박출 단계이며, ''심실 수축기 – 첫 번째 단계''와 ''심실 수축기 – 두 번째 단계''로 묘사된다.[2] 심실 압력이 최고점을 밑돌고 대동맥과 폐동맥의 줄기 압력보다 낮아지면 대동맥판과 폐동맥판이 다시 닫힌다. 위거스 다이어그램의 파란색 선을 참조.[2]

다음은 ''등용적 이완''으로, 이 동안 심실 내부의 압력이 상당히 감소하기 시작하고, 그 후 혈액이 우심방(상대정맥)과 좌심방(폐정맥에서)으로 흐르면서 심방이 다시 채워지기 시작한다.[1] 심실이 이완되기 시작하면 승모판과 삼첨판이 다시 열리고 완료된 주기는 심실 이완기로 돌아가고 심장 주기의 새로운 "시작"이 된다.[1][2]

심장 주기 전체에서 혈압이 증가하고 감소한다. 심근의 움직임은 동방 결절과 방실 결절 내에 있는 특수 박동 조율 세포에서 생성되는 일련의 전기적 자극에 의해 조정된다. 심근은 외부 신경의 신호를 받지 않고 내부 수축을 시작하는 심근 세포로 구성된다. 단, 심박수의 변화는 대사 요구에 따라 달라진다.[1][2]

심전도에서 전기적 수축기는 정상적인 신호의 P 파형 편향에서 심방 수축기를 시작하고 수축(수축기)을 시작한다.[2]

심장 주기는 1) "등용적 이완", 2) 유입, 3) "등용적 수축", 4) "분출"의 네 가지 주요 활동 단계를 포함한다.[1][2] 1단계와 2단계( "등용적 이완" 더하기 유입)는 "급속 유입", "디아스타시스", "심방 수축"과 같으며, 심방 수축을 포함하는 심실 이완기를 구성한다. 이 기간 동안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액이 이완된 심실 ''안으로'' 심방을 통해 흐른다.[1][2] 3단계와 4단계("등용적 수축" 더하기 "분출")는 심실 수축기이며, 두 심실에서 각각 폐동맥과 대동맥으로 별도의 혈액 공급을 동시에 펌핑하는 기간이다.[1][2] 특히, 이완기 말에 심방이 수축을 시작한 다음 심실로 혈액을 펌프질한다; 심실 이완(심실 이완기) 동안의 이러한 가압 전달을 ''심방 수축''이라고 한다.[1][2]

대동맥판의 닫힘은 대동맥의 압력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며 이를 절흔(incisura)이라고 한다. 압력의 이러한 짧고 급격한 변화는 동맥 혈관을 따라 빠르게 약화된다. 맥파는 또한 동맥 혈관의 분기에서 반사되어 주 동맥에서 이중절흔(dicrotic notch)을 발생시킨다. 반사된 맥파와 수축기 파동의 합은 맥압을 증가시키고 조직 관류를 돕는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대동맥은 경직되고 탄성이 감소하여 말초에서 최고 맥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심장 이완기는 수축 후 심장이 이완되고 팽창하면서 순환계에서 돌아오는 혈액으로 다시 채워지는 심장 주기의 기간이다.[1][2] 양쪽 방실판막이 열려 심방을 통해 두 심실로 직접 혈액이 '무압력' 상태로 흐르도록 하여 다음 수축을 위해 모인다. 이 기간은 위거스 도표의 중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으며, "이완기"라고 표시된 패널을 참조한다. 여기서는 이완기의 대부분 동안 양쪽 심방과 심실의 압력 수준이 거의 0으로 나타난다. ("심방 압력"과 "심실 압력"이라고 표시된 회색 및 밝은 파란색 선을 참조 - 위거스 도표.) 또한 "심실 용적"의 빨간색 선을 볼 수 있는데, "등용적 이완" 단계의 낮은 고원에서 "심방 수축" 하위 단계에서 발생하는 최대 용적으로 혈액량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1][2]

4. 심장의 전기 전도 시스템

심근의 움직임은 동방 결절과 방실 결절 내에 있는 특수 박동 조율 세포에서 생성되는 일련의 전기적 자극에 의해 조정된다. 심근은 외부 신경의 신호를 받지 않고 내부 수축을 시작하는 심근 세포로 구성된다. 단, 심박수의 변화는 대사 요구에 따라 달라진다.[1][2]

심전도에서 전기적 수축기는 정상적인 신호의 P 파형 편향에서 심방 수축기를 시작하고 수축(수축기)을 시작한다.[2]

건강한 심장에서 각 심장 주기 또는 심박동 동안의 모든 활동과 휴식은 심장의 전기 전도 시스템의 신호에 의해 시작되고 조율되며, 이는 심장의 심근 세포인 특수 근육 세포 전체에 전기적 임펄스를 전달하는 심장의 "배선"이다.[1][2] 이러한 임펄스는 궁극적으로 심장 근육을 자극하여 수축하게 하고, 그로 인해 심실에서 동맥과 심장 순환계로 혈액을 배출하게 한다.

심장 전체에서 이러한 신호의 리듬 시퀀스 (또는 동조율)는 동방 결절과 방실 결절의 두 가지 특수 세포에 의해서 조정된다.[1][2]

4. 1. 동방 결절 (SA node)

심장 전체에서 동성 리듬(sinus rhythm) 신호 순서는 두 그룹의 특수 세포에 의해 조정된다. 우심방 위쪽 벽에 위치한 동방 결절(SA node)과 심방과 심실 사이의 우심방 아래쪽 벽에 위치한 방실 결절(AV node)이 그것이다.[1][2]

심장 박동 조율기(pacemaker)라고도 불리는 동방 결절은 심근 세포 전체에 활동 전위(action potential)를 생성하여 심방 수축을 자극하는 전기적 임펄스 파동을 생성하는 시작점이다.[7][8]

4. 2. 방실 결절 (AV node)

우심방 하부 벽, 심방과 심실 사이에 위치한 방실 결절(AV)은 동방 결절과 함께 심장 전기 전도 시스템의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1][2] 방실 결절은 동방 결절에서 오는 전기적 흐름을 늦추고 조정하는 게이트 역할을 한다. 히스 다발 및 푸르키녜 섬유로 알려진 회로를 통해 심실로 전도되기 전에, 방실 결절에서 프로그램된 지연은 혈액이 심방을 통해 흘러 심실을 채우는 시간을 제공한다. 이는 심실 수축 직전에 발생하여 새로운 혈액량을 배출하고 심장주기를 완료한다.[8]

4. 3. 히스 다발 (Bundle of His) 및 푸르키녜 섬유 (Purkinje fibers)

건강한 심장의 각 심장 주기(심박동)에서 모든 활동과 휴식은 심장의 전기 전도 시스템 신호에 의해 시작되고 조율된다. 이 시스템은 심장의 심근 세포인 특수 근육 세포 전체에 전기적 임펄스를 전달하는 심장의 "배선"이다.[1][2] 이러한 임펄스는 심장 근육을 자극하여 수축하게 하고, 심실에서 동맥과 심장 순환계로 혈액을 배출하게 한다. 또한 심장 근육 세포, 특히 심방에서 복잡한 임펄스 생성과 근육 수축을 제어하는 정교하게 시간 조절되고 지속적인 신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심장 전체에서 이러한 신호의 리듬 시퀀스 (또는 동조율)는 두 그룹의 특수 세포에 의해 조정된다. 동방 결절(SA)은 우심방의 상부 벽에 위치하고, 방실 결절(AV)은 심방과 심실 사이의 우심방 하부 벽에 위치한다.[1][2] ''심장 박동 조율기''로 알려진 동방 결절은 심근 세포 전체에 활동 전위를 생성하여 심방 수축을 자극하는 전기적 임펄스 파동을 생성하는 시작점이다.[7][8]

임펄스 파동은 AV 결절에 도달하면 지연된다. AV 결절은 심방 아래로, 히스 다발 및 푸르키녜 섬유로 알려진 회로를 통해 전도되기 전에 전기적 흐름을 늦추고 조정하는 게이트 역할을 한다. 이 모든 것은 두 심실의 수축을 자극한다. AV 결절에서 프로그램된 지연은 혈액이 심방을 통해 흘러 심실을 채우는 시간을 제공하며, 이는 수축(수축기)이 돌아와 새로운 혈액량을 배출하고 심장 주기를 완료하기 직전에 발생한다.[8]

5. 심장 주기와 관련된 생리학적 개념

심장은 두 개의 심방과 두 개의 심실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은 좌심과 우심으로 쌍을 이루어, 좌심방과 좌심실, 우심방과 우심실로 짝을 이루어 지속적으로 심장 주기를 반복하며 협력한다.[1] 주기가 시작될 때, 심실 이완기 초반 동안 심장은 이완하고 확장하며 두 심방을 통해 양쪽 심실로 혈액을 받는다. 심실 이완기 후반 말에 두 심방이 수축하기 시작하고(심방 수축), 각 심방은 아래 심실로 혈액을 펌프질한다.[5] 심실 수축기 동안 심실은 수축하고 힘차게 맥동하여(또는 배출하여) 심장에서 두 개의 분리된 혈액 공급, 즉 하나는 폐로, 다른 하나는 모든 신체 기관 및 시스템으로 보낸다. 두 심방은 이완한다(심방 이완기). 이러한 정확한 조정은 혈액이 효율적으로 수집되어 전신에 순환되도록 한다.[1][2]

승모판삼첨판, 즉 방실 또는 AV 판막은 심실 이완기 동안 열려 채워지는 것을 허용한다. 충전 기간 후반에 심방이 수축하기 시작하여(심방 수축) 최종 혈액 덩어리를 압력 하에 심실로 밀어 넣는다. 그런 다음 동방 결절에서 오는 전기 신호에 의해 심실이 수축하기 시작하고(심실 수축기), 이들에 대한 역압이 증가함에 따라 AV 판막이 닫히게 되어 심실의 혈액이 안으로 흐르거나 밖으로 흐르는 것을 멈춘다. 이를 ''등용적 수축'' 단계라고 한다.[1][6]

수축기 수축으로 인해 심실의 압력이 빠르게 상승하여 대동맥과 폐동맥의 줄기 압력을 초과하여 필요한 판막(대동맥판 및 폐동맥 판막)이 열리게 되어 두 심실에서 분리된 혈액 덩어리가 박출된다.[1] 이것이 심장 주기의 박출 단계이다. 심실 압력이 최고점을 밑돌고 대동맥과 폐동맥의 줄기 압력보다 낮아지면 대동맥판과 폐동맥판이 다시 닫힌다. 위거스 다이어그램 참조.[2]

다음은 ''등용적 이완''으로, 이 동안 심실 내부의 압력이 상당히 감소하기 시작하고, 그 후 혈액이 우심방(상대정맥)과 좌심방(폐정맥에서)으로 흐르면서 심방이 다시 채워지기 시작한다.[1] 심실이 이완되기 시작하면 승모판과 삼첨판이 다시 열리고 완료된 주기는 심실 이완기로 돌아가고 심장 주기의 새로운 "시작"이 된다.[1][2]

심장 주기 전체에서 혈압이 증가하고 감소한다. 심근의 움직임은 동방 결절과 방실 결절 내에 있는 특수 박동 조율 세포에서 생성되는 일련의 전기적 자극에 의해 조정된다. 심근은 외부 신경의 신호를 받지 않고 내부 수축을 시작하는 심근 세포로 구성된다. 단, 심박수의 변화는 대사 요구에 따라 달라진다.[1][2]

참조

[1] 웹사이트 Physiology: Cardiac cycle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2-10-03
[2] 논문 Constructing the Wiggers diagram using core concepts: a classroom activity https://journals.phy[...] 2022-11-10
[3] 서적 Mayo Clinic Heart Book https://archive.org/[...] William Morrow 2000
[4] 서적 Guyton and Hall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Elsevier
[5] 서적 Cleveland Clinic Heart Book https://archive.org/[...] Hyperion 2000
[6] 서적 Cleveland Clinic Heart Book https://archive.org/[...] Hyperion 2000
[7] 서적 Mayo Clinic Heart Book https://archive.org/[...] William Morrow 2000
[8] 서적 Heart Diseases and Disorders Sourcebook, 2nd ed. https://archive.org/[...] Frederick G. Ruffner, Jr./Omnigraphics 2000
[9] 사전 cardiac cycle https://www.kmle.co.[...] 옛 대한의협 3 의학용어 사전
[10]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Elsevier Saunder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