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노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노머는 아노머 중심과 아노머 기준 원자의 입체화학적 관계에 따라 α 또는 β로 명명되는 이성질체를 의미한다. 헤미아세탈에서 아노머 중심은 1번 탄소이며, 고리형 구조에서 아노머 중심의 고리 바깥쪽 산소 원자와 아노머 기준 원자의 하이드록시기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α-아노머와 β-아노머로 구분된다. 아노머화는 한 아노머가 다른 아노머로 변환되는 과정으로, 환원당에서 변광회전으로 불리며, 산이나 염기에 의해 촉매된다. 아노머의 안정성은 아노머 효과, 1,3-이축방향 상호작용, 수소 결합, 쌍극자 반발력 등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D-만노피라노스와 D-글루코피라노스 등 당의 종류에 따라 안정한 아노머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당류 - 케토스
    케토스는 분자 구조 내에 케톤기를 가진 단당류로, 탄소 원자 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광합성과 에너지 대사 등 생체 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알도스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 단당류 - 당화
    당화는 아밀라아제 효소나 산을 이용하여 다당류인 전분을 단당류 또는 이당류로 분해하는 과정으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누룩이나 맥아를 사용하여 일본주, 소주, 맥주, 위스키, 엿, 감주 등 다양한 식품 및 주류 제조에 활용된다.
  • 탄수화물 화학 - 당단백질
    당단백질은 탄수화물이 단백질에 공유결합된 복합체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세포의 생물학적 과정에서 구조 유지, 물질 수송, 면역 반응, 세포 부착 및 인식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생체 분자이다.
  • 탄수화물 화학 - 당화
    당화는 아밀라아제 효소나 산을 이용하여 다당류인 전분을 단당류 또는 이당류로 분해하는 과정으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누룩이나 맥아를 사용하여 일본주, 소주, 맥주, 위스키, 엿, 감주 등 다양한 식품 및 주류 제조에 활용된다.
  • 입체화학 - 배위수
    배위수는 중심 원자에 직접 결합한 이웃 원자의 총 개수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배위 화합물의 성질과 원자 배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결정 구조나 리간드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고 실험적 방법이나 계산 화학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 입체화학 - 카이랄성
    카이랄성은 거울상과 겹쳐지지 않는 성질로, 물리학, 화학, 수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자, 결정, 도형 등에서 관찰되며, 특히 화학에서는 거울상 이성질체 관계, 생물학에서는 특정 분자의 생명체 내 흔한 발견, 의약품 개발에서 약효 개선 및 부작용 감소 연구와 관련된다.
아노머

2. 명명법

아노머 중심과 아노머 기준 원자 사이의 입체배치 관계에 따라 α-아노머 또는 β-아노머로 정해지며, 이들은 부분입체 이성질체이다.[10][2][5]


  • 아노머 중심: 헤미아세탈에서는 아노머 탄소인 1번 탄소(C-1)이다. 헤미케탈에서는 케톤카보닐 탄소에서 유래한 탄소이다(예: D-프럭토스의 2번 탄소).
  • 아노머 기준 원자: 알도헥소스에서는 고리 내에서 아노머 탄소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입체 중심이다. 이 원자는 당을 D-형 또는 L-형으로 정의하는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α-D-글루코피라노스에서 아노머 기준 원자는 5번 탄소(C-5)이다.


왼쪽


아노머를 명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피셔 투영식 기준: 고리형 피셔 투영식[11][3][6]에서 아노머 중심의 고리 바깥쪽 산소 원자와 아노머 기준 원자의 고리 바깥쪽 산소 원자(하이드록시기)가 시스(같은 쪽) 관계이면 α-아노머이고, 트랜스(다른 쪽) 관계이면 β-아노머이다.[12][4][7]

2. 절대 입체 배치 기준: 아노머 탄소와 아노머 기준 원자의 절대 입체 배치를 규칙에 따라 결정했을 때, 두 원자의 입체 배치가 서로 다르면(S,R 또는 R,S) α-아노머이고, 같으면(R,R 또는 S,S) β-아노머이다.

  • 예시: α-D-글루코피라노스는 C-1(S)과 C-5(R)에서 서로 다른 입체 배치를 가지므로 α-아노머이다. 반면, β-D-글루코피라노스는 C-1(R)과 C-5(R)에서 같은 입체 배치를 가지므로 β-아노머이다.
  • 예시: α-L-아라비노피라노스는 C-1(R)과 C-4(S)에서 서로 다른 입체 배치를 가지므로 α-아노머이다. (L-아라비노스의 기준 원자는 C-4이다.)


α-D-글루코피라노스β-D-글루코피라노스
α-D-글루코피라노스 구조
β-D-글루코피라노스 구조
α-L-아라비노피라노스β-L-아라비노피라노스
α-L-아라비노피라노스 구조
β-L-아라비노피라노스 구조


3. 아노머화

아노머화는 한 아노머가 다른 아노머로 전환되는 과정이다. 환원당의 경우, 아노머화는 변광회전(mutarotation영어)이라고도 불리며, 수용액에서 쉽게 일어나고 염기에 의해 촉매된다. 이 과정은 가역적이어서, 결국 α-아노머와 β-아노머가 일정한 비율로 섞인 평형 상태의 혼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α-아노머와 β-아노머의 평형 비율은 당의 종류에 따라 고유하다. 예를 들어, D-글루코스는 처음 어떤 입체배치로 시작하든 상관없이, 수용액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약 64%의 β-D-글루코피라노스와 36%의 α-D-글루코피라노스가 섞인 혼합물 상태로 평형에 도달한다. 이렇게 아노머의 비율이 변하면서 혼합물의 광학 활성(선광도)이 변하는 현상이 바로 변광회전이다. 아노머화가 일어나는 자세한 메커니즘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아노머화의 메커니즘

아노머화(anomerization)는 한 아노머가 다른 아노머로 변환되는 과정이다.

D-갈락토스의 사슬형 구조


당은 주로 고리형 구조로 존재하지만, 수용액에서는 사슬형 구조와 평형 상태를 이룬다. 알도헥소스의 경우, 이 평형은 1번 탄소(C-1)와 5번 탄소(C-5)의 산소 원자 사이에 헤미아세탈 결합이 분해되어 사슬형 구조를 형성하고, 다시 결합하여 고리형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헤미아세탈 결합이 다시 형성될 때, C-5의 하이드록시기(OH기)는 C-1의 알데하이드기의 입체화학적으로 구별되는 두 면 중 하나를 공격할 수 있다. 어느 쪽 면을 공격하는지에 따라 α-아노머 또는 β-아노머가 형성된다.

α-아노머와 β-아노머 사이의 변환 과정에서 사슬형 구조가 중간 생성물로 나타난다.


환원당의 경우, 아노머화는 용액 속에서 빠르게 일어나며, 이 가역적인 과정은 두 아노머가 일정한 비율로 섞인 평형 상태의 혼합물을 만든다. 이 비율은 당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D-글루코스는 어떤 입체 배치로 시작하든 용액 속에서 점차 β-D-글루코피라노스 약 64%와 α-D-글루코피라노스 약 36%의 혼합물이 된다. 아노머 비율이 변하면서 선광도가 변하는 현상을 변선광이라고 한다.

글리코사이드의 아노머화는 일반적으로 산성 조건에서 일어난다. 이 과정은 보통 다음 단계를 거친다: 고리 외부 아세탈 산소의 양성자화, 알코올이 떨어져 나가면서 옥소카르베늄 이온 형성, 형성된 옥소카르베늄 이온의 반대쪽 면에서 알코올에 의한 친핵성 공격, 마지막으로 탈양성자화.

촉매로서 2-피리돈을 사용한 α 및 β 아노머의 상호 변환


만약 이 반응이 2-피리돈과 같은 양쪽성 용매 속에서 일어나면, 아노머화 속도는 더욱 빨라진다[8].

4. 물리적 특성 및 안정성

α-아노머와 β-아노머는 서로 부분입체 이성질체 관계이므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이 다르다. 아노머의 안정성은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 아노머 효과: 고리 내 산소질소 원자와 같이 전자를 끌어당기는 작용기가 축 방향(axial)에 위치할 때 아노머를 안정화시키는 효과이다. 이 효과는 과 같은 극성 용매에서는 약해지거나 사라진다.
  • 1,3-이축방향 상호작용: 아노머 그룹이 축 방향에 위치할 때 발생하는 원자들 간의 공간적 겹침에 의한 반발력(입체 장애)으로, 아노머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이 효과는 특히 피라노스와 같은 6원자 고리 화합물에서 중요하며, 수용액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 수소 결합: 아노머 그룹과 고리 내 다른 작용기 사이에 수소 결합이 형성되면 아노머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 쌍극자 반발: 아노머 그룹과 고리 내 다른 작용기 사이의 쌍극자 모멘트가 서로 반발하면 아노머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D-글루코피라노시드의 경우 수용액에서 β-아노머가 더 안정하다. 이는 주로 β-아노머에서는 불안정화 요인인 1,3-이축방향 상호작용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 D-만노피라노스의 경우 α-아노머가 더 안정하다. 이는 α-아노머 형태에서 아노머 위치의 하이드록실기와 인접한 탄소의 하이드록실기 간의 쌍극자 반발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노머는 서로 물리적 특성이 다르므로, 이를 구별하고 연구하는 데 비선광도가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비선광도는 편광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Organic Chemistry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 간행물 α (alpha), β (beta)
[3] 웹사이트 Chemistry -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http://www.chem.qmul[...]
[4] 간행물 Nomenclature of Carbohydrates (Recommendations 1996) http://www.chem.qmul[...] 2010-10-27
[5] 서적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6] 웹사이트 Nomenclature of Carbohydrates (Recommendations 1996) http://www.chem.qmul[...] 2011-11-07
[7] 논문 Nomenclature of Carbohydrates (Recommendations 1996) http://www.iupac.org[...]
[8] 논문 Pyranose mutarotation
[9] 서적 Organic Chemistry, McGraw-Hill Higher Education press
[10] 간행물 α (alpha), β (beta) http://goldbook.iupa[...] IUPAC Gold Book 2016-11-22
[11] URL http://www.chem.qmul[...]
[12] 간행물 Nomenclature of Carbohydrates (Recommendations 1996) http://www.chem.qmul[...] 2017-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