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달베르트 폰 프라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달베르트 폰 프라크는 997년 프로이센 지역에 복음을 전파하려다 순교한 인물이다. 폴란드 국왕의 지원을 받아 선교 활동을 시작했으나, 이교도들의 반발에 부딪혀 살해당했다. 순교 후 성인으로 추대되었으며, 그의 유해는 현재 폴란드 그니에즈노 대성당과 체코 프라하의 성 비투스 대성당에 안치되어 있다. 아달베르트는 중부 유럽 여러 국가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받으며, 순교 1000주년에는 여러 국가에서 기념 행사가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의 귀족 - 벤첼 안톤 폰 카우니츠리트베르크 후작
벤첼 안톤 폰 카우니츠리트베르크 후작은 1711년 빈에서 태어나 오스트리아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1753년부터 1792년까지 오스트리아 국무 재상 겸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외교 혁명을 주도하고 계몽주의적 개혁과 폴란드 분할에 관여했다. - 체코의 귀족 - 보후슬라프 하시슈테인스키
보후슬라프 하시슈테인스키는 사회 비판, 프라하 묘사, 인간 본질 탐구 등 다양한 주제의 작품을 남긴 체코의 작가이자 인문주의자이다. - 10세기 기독교 순교자 - 바츨라프 1세 (보헤미아 공작)
바츨라프 1세는 10세기 보헤미아 공작으로, 기독교를 장려하고 프라하 성 비투스 대성당을 건립했으며, 동생 볼레슬라프 1세에게 암살당한 후 성인으로 추앙받아 체코 민족의 영웅으로 숭배받는다. - 10세기 기독교 순교자 - 에드워드 순교왕
에드워드 순교왕은 975년 잉글랜드 왕위에 올랐으나 978년에 암살당했으며, 사후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956년 출생 - 후지와라노 긴스에
후지와라노 긴스에는 헤이안 시대 고우시 내친왕의 아들이자 무라카미 천황의 총애를 받은 공경으로, 레이제이 천황 때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내대신을 20년간 역임하며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정권을 지탱했고, 그의 후손들은 칸인류의 시조가 되어 많은 공가 가문의 기원이 되었다. - 956년 출생 - 긴타로
긴타로는 일본 민간 설화에 등장하는 강인함과 용기의 상징이며, 곰과 씨름하며 성장하여 미나모토노 요리미쓰의 부하로 활약했고,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소재로 활용되어 현대 일본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달베르트 폰 프라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 |
이름 | 아달베르트 폰 프라크 |
다른 이름 | 성 아달베르투스 (라틴어) 스바티 보이테흐 (체코어) 스바티 보이테흐 (슬로바키아어) 시비엥티 보이치에흐 (폴란드어) 센트 아달베르트 (벨라) (헝가리어) 보이테쿠스 (라틴어) |
칭호 | 주교와 순교자 |
출생일 | 956년경 |
출생지 | 리비체나트치들리노우, 보헤미아 공국 (현재의 체코 공화국) |
사망일 | 997년 4월 23일 |
사망지 | Święty Gaj 또는 프리모르스크, 프로이센 (현재의 폴란드 또는 러시아) |
기념일 | 4월 23일 |
숭배 장소 | 가톨릭교회, 정교회 |
시성일 | 999년 |
시성 장소 | 로마 |
시성자 | 교황 실베스테르 2세 |
주요 성지 | 그니에즈노, 프라하 |
상징 | 창 |
수호 | 폴란드 체코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 프라하 대교구 (주요) 폴란드 문학 학생 칼리닌그라드 주 |
기타 정보 |
2. 생애
956년경 리비체나트치들리노우에서 슬라브니크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970년부터 980년까지 마그데부르크의 아달베르트 주교에게 교육받고, 981년 스승이 사망하자 그의 이름을 따서 개명했다.
982년 프라하 주교로 임명되어 보헤미아인, 폴란드인, 헝가리인 대상 선교를 시작했다. 부유한 집안 출신이었지만, 자선과 검소함으로 유명했고, 일부다처제와 우상 숭배 등 이교 신앙에 반대하며 노예 무역에도 반대했다.
989년 로마로 이주했다가, 995년 교황 요한 15세의 도움으로 프라하에 돌아왔으나, 슬라브니크 가문과 브르쇼프치 가문 간의 대립으로 다시 프라하를 떠났다. 993년 브르제브노프 수도원을 설립했다.
996년 폴란드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의 명으로 프로이센 선교를 떠났다. 이후 헝가리로 가서 헝가리의 게자 대공과 아들 헝가리의 이슈트반에게 세례를 주고, 폴란드 볼레스와프 1세에게 환영받아 그니에즈노 주교로 임명되었다.
2. 1. 프로이센 선교와 순교
997년, 아달베르트는 폴란드 북동부 프로이센(프러시아) 지역 주민들에게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볼레스와프 1세는 아달베르트에게 병사들을 동행시켜 지원했으나,[7] 프로이센인들은 이교 신앙을 굳게 지키며 기독교 선교에 강하게 반발했다. 아달베르트는 발트해 연안을 따라 이동하며 선교 활동을 펼쳤으나,[8] 신성한 참나무를 자르는 등 이교도들의 신앙을 부정하는 행위로 인해 그들의 분노를 샀다. 결국 997년 4월 23일, 트루소(현재의 폴란드 엘블롱크) 동부 연안 또는 Primorsk, Kaliningrad Oblast|피슈하우젠영어(현재의 칼리닌그라드주 프리모르스크) 근교에서 프로이센인들에게 붙잡혀 순교했다.[9]3. 사후 추대와 공경
아달베르트는 순교 후 몇 년 지나지 않아 '''프라하의 성 아달베르트'''로 추대되었다. 999년 실베스테르 2세에 의해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그의 시신은 폴란드의 볼레스와프 1세가 프로이센인들에게 막대한 양의 금을 지불하고 되찾아와 그니에즈노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1039년 보헤미아의 브르제티슬라프 1세 공작에 의해 프라하로 이장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폴란드 측 기록에 따르면 실제로는 폴란드인들이 유해를 숨기고 다른 사람의 유해를 넘겨주었다고도 한다.
약 1175년에 제작된 그니에즈노 대성당의 청동 그니에즈노 문은 아달베르트의 생애를 그린 18개의 부조로 장식되어 있다. 이 문은 성인의 생애를 묘사하는 일련의 장면으로 장식된 유럽 유일의 로마네스크 교회 문이며, 아달베르트의 순교를 기록하는 귀중한 유물이다.
아달베르트의 순교 1000주년은 1997년 4월 23일에 기념되었다. 폴란드, 체코, 독일, 러시아 및 기타 국가에서 기념되었으며, 가톨릭, 동방 정교회, 복음주의 교회의 대표자들이 그니에즈노에 있는 아달베르트의 무덤으로 순례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그 성당을 방문하여 약 100만 명의 신자와 7개 유럽 국가의 수장들이 참여하는 전례를 거행했다.
아달베르트가 프러시아인에게 순교한 것으로 여겨지는 칼리닌그라드주의 베레고보예(구 텐키튼) 마을 근처에 10미터 높이의 십자가가 세워졌다.
3. 1. 유해 논란
성 아달베르트는 999년 실베스테르 2세에 의해 성인으로 추대되었다.[6] 그의 유해는 원래 폴란드의 볼레스와프 1세가 금을 주고 사들여 그니에즈노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이는 볼레스와프 1세의 지위를 유럽에서 높이는 데 기여했다.
1039년, 보헤미아 공작 브르제티슬라프 1세는 성 아달베르트의 유해를 그니에즈노에서 프라하로 가져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폴란드 측 기록(''Roczniki Polskie'')에 따르면, 폴란드인들이 체코인들의 태도를 경계하여 실제 유해는 숨기고 다른 유해를 넘겨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1000년에 볼레스와프 1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3세에게 아달베르트의 팔뼈 하나를 넘겨주었고, 이 뼈는 1928년에 그니에즈노에 보관된 유해에 추가되었다.
현재 성 아달베르트의 유해는 폴란드 포즈난 근교 그니에즈노 시의 그니에즈노 대성당과 체코 프라하의 성 보이테크 교회 두 곳에 안치되어 있다고 주장되고 있다. 폴란드에서는 카지미에시 1세가 아달베르트를 보헤미아에서 내쫓고 나중에 유해를 요구한 체코인들의 태도에 분개하여, 다른 사람의 유해를 성 아달베르트의 것이라고 속여 넘겨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는 「폴란드 연대기」의 기술과 일치한다. 실제로 성 아달베르트의 것으로 추정되는 두개골이 폴란드의 그니에즈노 대성당과 체코 프라하의 교회 두 곳에 모두 존재한다.
4. 기념과 영향
성 아달베르트는 체코, 폴란드, 헝가리, 독일 등 중부 유럽 여러 국가의 수호성인으로 널리 공경받고 있다. 그의 축일은 4월 23일이며,[14][15] 가톨릭 교회뿐만 아니라 독일 복음주의 교회[21], 동방 정교회에서도 기념하고 있다.[22]
그니에즈노 대성당의 거대한 청동 그니에즈노 문은 아달베르트의 생애를 그린 18개의 부조로 장식되어 있다. 이 문은 성인의 생애를 묘사하는 일련의 장면으로 장식된 유럽 유일의 로마네스크 교회 문이며, 아달베르트의 순교를 기록하는 귀중한 유물이다.
아달베르트의 순교 1000주년인 1997년 4월 23일에는 폴란드, 체코, 독일,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대규모 기념 행사가 열렸다. 가톨릭, 동방 정교회, 복음주의 교회의 대표자들이 그니에즈노에 있는 아달베르트의 무덤으로 순례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그 성당을 방문하여 약 100만 명의 신자와 7개 유럽 국가의 수장들이 참여하는 전례를 거행했다.
아달베르트가 프러시아인에게 순교한 것으로 여겨지는 칼리닌그라드주의 베레고보예(구 텐키튼) 마을 근처에 10미터 높이의 십자가가 세워졌다.
날짜 | 내용 |
---|---|
1월 25일 | 상 로케 성당으로 유해 이장 기념[16] |
4월 22일 | 인스브루크 교구 기념[11], 잉글랜드와 웨일스 가톨릭 교회 기념[12][13] |
4월 23일 | 기일 기념[14][15], 독일 복음주의 교회[21] 및 동방 정교회[22] 기념 |
5월 14일 | 아헨 교회 봉헌 기념[16] |
8월 25일 | 유해 이장 기념, 그니에즈노에서 프라하로 유해 이장 (1039년)[17] |
8월 26일 | 유해 이장 기념, 브로츠와프로 유해 이장[16] |
10월 20일 | 유해 이장 기념, 그니에즈노로 유해 이장 (1090년)[18] |
10월 22일 | 유해 이장 기념, 그니에즈노로 유해 이장[19] |
11월 6일 | 유해 이장 기념, 에스테르곰으로 유해 이장[20] |
참조
[1]
웹사이트
"Saint Adalbert Bishop of Prague",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0-01-30
[2]
웹사이트
Hungarian Saints: Adalbert, Martin, Stanislas, Emeric and Stephen
http://www.christian[...]
2015-10-20
[3]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April
https://books.google[...]
A&C Black
1999
[4]
웹사이트
Szent Adalbert
http://www.katolikus[...]
Catholic Church in Hungary
2018-03-07
[5]
웹사이트
St. Adalbert of Prague {{!}} Saint of the Day {{!}} AmericanCatholic.org
http://www.americanc[...]
2016-03-04
[6]
웹사이트
"St. Adalbert of Prague", Franciscan Media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Monks of Ramsgate. "Adalbert", ''Book of Saints'' (1921)
http://saints.sqpn.c[...]
2012-05
[8]
서적
The Conversion of Lithuania: From Pagan Barbarians to Late Medieval Christians
The Institute of Lithuanian Literature and Folklore
[9]
웹사이트
"St. Adalbert of Prague", Catholic News Agency
https://www.catholic[...]
2020-04-19
[10]
웹사이트
of Behemia's patron saint Adalbert find new resting place
https://www.radio.cz[...]
[11]
서적
Direktorium 2022 (ab Advent 2021) für die Diözesen Innsbruck und Feldkirch
[12]
웹사이트
OFFICE FOR LITURGY
https://www.salfordl[...]
2022-08-19
[13]
웹사이트
Local calendar information
https://universalis.[...]
2022-08-19
[14]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2004)
http://archive.org/d[...]
2004
[15]
웹사이트
23 kwietnia: św. Wojciecha, biskupa i męczennika, głównego patrona Polski
https://ordo.palloty[...]
2022-08-19
[16]
웹사이트
Adalbert von Prag - Ökumenisches Heiligenlexikon
https://www.heiligen[...]
2022-08-19
[17]
웹사이트
sv. Radim
http://catholica.cz/[...]
2022-08-19
[18]
웹사이트
Translacja - święto patronalne św. Wojciecha
https://niedziela.pl[...]
2022-08-19
[19]
웹사이트
Gniezno: uroczystość Przeniesienia Relikwii św. Wojciecha {{!}} eKAI
https://www.ekai.pl/[...]
2001-11-30
[20]
간행물
Szent Adalbert és Magyarország
https://www.academia[...]
2022-08-19
[21]
웹사이트
Das Kirchenjahr Evangelischer Sonn- und Feiertagskalender 2016/2017
https://eivelkirche.[...]
[22]
웹사이트
Latin Saints of the Orthodox Patriarchate of Rome
http://www.orthodoxe[...]
2022-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