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마비르 (러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마비르는 러시아 크라스노다르 지방에 위치한 도시이다. 1839년 체르케소하이 아르메니아인에 의해 아르먄스키 아울로 설립되었고, 1848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로스토프나도누, 블라디캅카스, 바쿠를 잇는 철도가 1875년에 개통되었고, 1914년 도시 지위를 얻었다. 러시아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격전지였으며, 현재는 식품 가공, 기계 공학 등을 중심으로 한 산업 중심지이다. 또한 아르마비르 레이더 기지가 위치해 있으며, 아르메니아의 아르마비르, 우크라이나의 페오도시야, 벨라루스의 호멜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라스노다르 변경주 - 소치
    소치는 흑해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의 도시로, 고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2014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며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하여 관광, 경제,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크라스노다르 변경주 - 아나파
    아나파는 러시아 크라스노다르 지방의 흑해 연안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에서 오스만 제국을 거쳐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으며, 온화한 기후와 해변을 바탕으로 러시아의 대표적인 가족 여행지이자 다양한 문화 시설과 행사가 개최되는 곳이다.
  • 우라르투 - 아르메니아
    남캅카스 내륙국인 아르메니아는 우라르투 왕국을 계승한 오랜 역사, 세계 최초 기독교 국교 채택,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문화, 아르메니아어를 특징으로 하며, 지정학적 갈등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유럽 연합과의 관계 강화를 추구한다.
  • 우라르투 - 메디아
    메디아는 기원전 9세기부터 6세기까지 이란 북서부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이자 이란계 민족으로, 아시리아 지배를 벗어나 고대 근동의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페르시아에 멸망당했으며, 역사적 기록은 주로 고대 그리스 자료에 의존하고 그 실재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아르마비르 (러시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아르마비르 중앙 광장
아르마비르 중앙 광장
도시 이름아르마비르
러시아어 이름Армави́р
도시의 날9월 셋째 주 일요일
표어(정보 없음)
애칭(정보 없음)
행정 구역
국가러시아
연방 주체크라스노다르 지방
도시 관할아르마비르 시
도시 구역아르마비르 도시 구역
행정 중심지아르마비르 시
정치
수장안드레이 하르첸코 (대행)
대표 기관시 두마
역사
설립1839년
도시 지위 획득일1914년 1월 18일
지리
좌표45°00′N 41°07′E
해발 고도190m
면적280km²
인구 통계
인구 (2021년)187,177명
인구 순위96위
인구 (2010년)188,832명
인구 (2002년)193,964명
인구 (1989년)160,983명
기타 정보
우편 번호352900–352906, 352909, 352910, 352912, 352913, 352915, 352916, 352918, 352919, 352922–352924, 352930–352932, 352949
지역 번호86137
웹사이트아르마비르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오늘날의 아르마비르 지역은 처음에는 아바진인이 거주했다. 이후 튀르크족크림 칸국에서 온 타타르인도 이곳에 정착했다. 코카서스 전쟁의 결과로 남은 아바진인들은 북캅카스에서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해야 했다. 아르마비르는 또한 체르케스인의 역사적인 땅의 일부이다.[2]

1839년 체르케소하이 아르메니아인에 의해 '''아르먄스키 아울''' (아르먄스키 아울/Армя́нский ау́лru)로 설립되었다.[2] 1848년부터 현재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고대 아르메니아의 역사적 수도 중 하나인 아르마비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 이 도시는 쿠반주의 라빈스크 오델의 행정 중심지였다. 1875년에는 로스토프나도누에서 아르마비르, 블라디캅카스를 거쳐 바쿠로 이어지는 철도가 개통되었고, 1908년에는 아르마비르에서 투압세로 가는 철도도 착공되었다. 1914년 1월 18일에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러시아 내전 (1918-1920) 동안, 이 도시 근처에서 여러 차례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타만 군의 군사 작전은 1918년 아르마비르에서 끝났다. 1920년 3월 아르마비르에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도시는 독일 국방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943년 1월 붉은 군대에 의해 해방되었다.

2. 1. 초기 역사

오늘날의 아르마비르 지역은 처음에는 아바진인이 거주했다. 이후 튀르크족크림 칸국에서 온 타타르인도 이곳에 정착했다. 코카서스 전쟁의 결과로 남은 아바진인들은 북캅카스에서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해야 했다. 아르마비르는 또한 체르케스인의 역사적인 땅의 일부이다.[2]

1839년 체르케소하이 아르메니아인에 의해 '''아르먄스키 아울''' (Армя́нский ау́лru)로 설립되었다.[2] 1848년부터 현재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고대 아르메니아의 역사적 수도 중 하나인 아르마비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 1875년에는 로스토프나도누에서 아르마비르, 블라디캅카스를 거쳐 바쿠로 이어지는 철도가 개통되었고, 1908년에는 아르마비르에서 투압세로 가는 철도도 착공되었다. 이 도시는 쿠반주의 라빈스크 오델의 행정 중심지였다.

러시아 내전 (1918-1920) 동안, 이 도시 근처에서 여러 차례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타만 군의 군사 작전은 1918년 아르마비르에서 끝났다. 1920년 3월 아르마비르에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도시는 독일 국방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943년 1월 붉은 군대에 의해 해방되었다.

2. 2. 도시 건설과 발전

아바진인이 거주하던 오늘날의 아르마비르 지역에는 튀르크족크림 칸국에서 온 타타르인도 정착했다. 코카서스 전쟁 결과, 남은 아바진인들은 북캅카스에서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해야 했다. 아르마비르는 체르케스인의 역사적인 땅의 일부이기도 하다.[2]

오늘날의 정착지는 1839년[2] 체르케소하이 아르메니아인에 의해 '''아르먄스키 아울''' (Армя́нский ау́лru)로 설립되었다. 1848년부터 현재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고대 아르메니아의 역사적 수도 중 하나인 아르마비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 1875년에는 로스토프나도누에서 아르마비르, 블라디캅카스를 거쳐 바쿠로 이어지는 철도가 개통되었고, 1908년에는 아르마비르에서 투압세로 가는 철도도 착공되었다. 1914년 1월 18일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러시아 내전 (1918-1920) 동안, 이 도시 근처에서 여러 차례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타만 군의 군사 작전은 1918년 아르마비르에서 끝났다. 1920년 3월 아르마비르에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도시는 독일 국방군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1943년 1월 붉은 군대에 의해 해방되었다.

2. 3. 러시아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아바진인이 거주하던 오늘날의 아르마비르 지역에는 튀르크족크림 칸국에서 온 타타르인도 정착했다. 코카서스 전쟁으로 인해 남은 아바진인들은 북캅카스에서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해야 했다. 아르마비르는 체르케스인의 역사적인 땅의 일부이기도 하다.[2]

1839년 체르케소하이 아르메니아인에 의해 '''아르먄스키 아울''' (Армя́нский ау́лru)로 설립된[2] 오늘날의 정착지는 1848년부터 현재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고대 아르메니아의 역사적 수도 중 하나인 아르마비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 1875년에는 로스토프나도누에서 아르마비르, 블라디캅카스를 거쳐 바쿠로 이어지는 철도가 개통되었고, 1908년에는 아르마비르에서 투압세로 가는 철도도 착공되었다.

러시아 내전 (1918-1920) 동안, 이 도시 근처에서 여러 차례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타만 군의 군사 작전은 1918년 아르마비르에서 끝났다. 1920년 3월 아르마비르에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되었다.[2] 1918년부터 1920년까지의 러시아 내전에서는 볼셰비키에 대항하여 아르메니아인과 산악 민족 등이 봉기하였고, 많은 잔혹한 전투가 인근에서 벌어졌으나, 결국 진압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도시는 독일 국방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943년 1월 붉은 군대에 의해 해방되었다.[2] 1941년부터 1945년까지의 제2차 세계 대전 (독소전) 당시에는 아르마비르도 독일 국방군에 점령되었으나, 1943년에 해방되었다.

3. 행정 구역 및 지위

행정 구역의 행정 구역 내에서, 11개의 농촌 정착지와 함께, '''아르마비르 시'''로 통합되어 있다. 이는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이다.[4] 지방 자치체로서, 아르마비르 시는 '''아르마비르 시 도시 구'''로 통합되어 있다.[5]

4. 지리

4. 1. 기후

아르마비르는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6] 1936년부터 2012년까지의 기후 자료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은 10.7°C이며, 연간 강수량은 602.7mm이다.[12] 가장 더운 달은 8월로 평균 최고 기온은 29.5°C,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최저 기온은 -5.4°C이다. 역대 최고 기온은 42.0°C, 역대 최저 기온은 -33.2°C이다.[12]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은 조금 더 상승했으며, 강수량 패턴도 약간의 변화를 보였다.[7] 월별 일조 시간은 1월 94시간에서 7월 310시간까지 변화하며, 연간 총 일조 시간은 2276시간이다.[8][9]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23.89.617.823.026.930.029.524.417.310.24.416.7
평균 최저 기온 (°C)-5.4-4.4-0.55.810.614.216.716.111.66.31.7-2.65.9
강수량 (mm)35.231.036.147.870.581.057.456.944.553.547.940.7602.7
강수 일수11.39.811.111.311.911.39.08.98.49.710.711.6124.8
일조 시간94113156191255280310286229174109792276


5. 경제 및 산업

아르마비르는 크라스노다르 지방에서 크라스노다르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산업 중심지이다. 이 도시는 식품 가공, 기계 공학 및 목재 가공 산업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1933년에 설립된 쿠반에서 가장 오래된 엔지니어링 기업 중 하나인 쿠반젤도르마쉬가 이곳에 위치해 있다.

아르마비르 주변은 비옥한 토지 덕분에 식품 가공업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기계 및 생산 설비 등의 공업도 발달했다. 또한 철도의 요충지이기도 하며, 로스토프나도누에서 바쿠로 향하는 노선이 통과하고, 투압세로 향하는 지선도 있다. 두 노선 모두 북캅카스 철도 지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도시 교통 수단은 1973년부터 정비되었으며, 트롤리버스와 마르슈루트카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군의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의 레이더가 유지되고 있다.

5. 1. 교통

아르마비르는 철도의 요충지로, 로스토프나도누에서 바쿠로 향하는 노선과 투압세로 향하는 지선이 통과한다. 이 노선들은 모두 북캅카스 철도 지사에서 운영한다. 도시 교통은 1973년부터 정비되었으며, 트롤리버스와 마르슈루트카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군의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의 레이더가 유지되고 있다.

6. 군사

아르마비르 레이더 기지는 바로노프스키 비행장 부지에 위치하며, 도시에서 남서쪽으로 12km 떨어져 있다. 아르마비르 비행장은 도시 근처에 있다.

7. 자매 도시

아르마비르 (러시아)는 다음의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0]

8. 저명한 인물


  • 콘스탄틴 오르벨리안은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소련 인민 예술가였다.
  • 아르센 파피키안은 프로 축구 감독이자 전직 선수이다.
  • 조지 아바키안은 음반 프로듀서이다.

참조

[1] 간행물 2010Census
[2] 서적 Энциклопедия Города России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3] 서적 Bitter Choices: Loyalty and Betrayal in the Russian Conquest of the North Caucasus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
[4] 간행물 Reference Information #34.01-707/13-03
[5] 간행물 Law #684-KZ
[6] 웹사이트 World Map of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www.schweizer[...]
[7] 웹사이트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 Климат Бийска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22-12-22
[8] 웹사이트 Climatebase http://climatebase.r[...] 2017-10-29
[9]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3-08-02
[10] 웹사이트 Международные связи https://www.armawir.[...] Armavir 2020-02-06
[11] 웹사이트 city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4-30
[12] 웹인용 Climatebase http://climatebase.r[...] 2017-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