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마르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르신은 기원전 2046년에서 2038년까지 9년 동안 우르 제국을 통치한 수메르의 왕이다. 그는 아르빌룸, 샤슈룸 등 여러 지역에 대한 원정을 벌였으며, 룰루비와 하마지 북부 지역까지 제국을 확장했다. 또한 에리두의 지구라트를 건설하려 시도했다. 아마르신은 말년에 내분에 직면했으며, 그의 죽음에 대한 기록은 불분명하다. 바빌론 연대기에는 그가 신발의 전갈에 물려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후대에 무능한 왕으로 평가받았으나 이는 그의 후계자의 선전의 결과일 수 있다. 그의 통치 기간의 사건들은 연호에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신 - 이신 (메소포타미아)
    이신은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우바이드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이쉬비에라가 이신 제1왕조를 세워 메소포타미아 정치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이후 이신-라르사 시대를 거쳐 카시트 왕조 멸망 후에는 이신 제2왕조가 성립되었다.
  • 이신 - 아다드
    아다드는 내용이 없는 문서이므로 삭제를 제안하거나 관련 내용을 추가하여 문서를 채워야 한다.
  • 우르 제3왕조 - 우르남무
    우르남무는 기원전 21세기경 수메르 지역을 통치한 우르 제3왕조의 창건자로서, 우르를 중심으로 메소포타미아 패권을 장악하고 우르 지구라트 건설, 우르남무 법전 제정 등 왕조의 기틀을 다진 인물이다.
  • 우르 제3왕조 - 입비신
    입비신은 우르 제3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제국 행정력 약화, 기근, 이슈비-에라의 반란 등 여러 난관에 직면하다 엘람의 침공으로 멸망했으며, 그의 통치 어려움과 멸망 과정은 우르 멸망 애가에 묘사되어 있다.
  • 우르의 왕 - 메산네파다
    메산네파다는 기원전 26세기경 우르를 통치하며 정치적, 경제적 번영을 이끌고 키시의 왕 칭호를 사용한 수메르 왕조의 시조로, 그의 업적은 아안네파다의 헌납 명판과 투말 비문, 그리고 "우르의 보물"을 통해 알 수 있다.
  • 우르의 왕 - 푸아비
    푸아비는 우르 왕릉에서 도굴되지 않은 채 발굴된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의 여왕으로, 그녀의 무덤에서는 황금 머리 장식과 우르의 리라를 비롯한 다양한 부장품이 출토되어 당시 수메르 사회의 문화와 높은 사회적 지위를 엿볼 수 있다.
아마르신
기본 정보
이름아마르신
다른 이름부르신 4세
로마자 표기Amar-Sin
한자 표기𒀭𒀫𒀭𒂗𒍪
칭호우르의 왕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세계 사방의 왕
통치 기간
재위기원전 2046년 ~ 기원전 2037년 (중간 연대기)
이전슐기
이후슈신
가계
아버지슐기
왕조우르 제3왕조
배우자아비심티
기타
계승신수메르 제국의 왕
아말-신의 봉헌정
건축 기초못 조각상. 아말-신 스스로 건설자의 버드나무 통 바구니와 설형문자 봉헌 서판을 들고 있는 모습을 묘사함.

2. 재위 기간 및 업적

아마르신의 재위 기간은 9년으로, 모든 연대기가 알려져 있다.[3] 에리두니푸르의 신전 조영, 성벽 건설 사업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엔릴의 집을 높인 자"라는 비문이 남아있다.

아마르신은 우르빌룸 등 여러 지역과 마르하시의 아르윌루크피와 같은 엘람 통치자들을 상대로 원정을 벌였다.[3] 또한 아모리인 등과도 싸웠으며, 자리쿰을 통해 아수르를 통치했다.

바빌론의 ''바이네르 연대기''는 아마르신이 에사길라에서 아키투 축제의 제물을 바꾸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는 황소에 뿔이 받혀 죽을 것이라고 예언되었지만, 신발의 [전갈?] '물림'으로 죽었다고 한다.

수신은 반란을 일으켜 기원전 2040년경까지 왕을 칭했다. 아마르신은 궁정 내에서도 적을 두고 있었는데, 왕비 아비심티는 아마르신을 버리고 수신의 반역을 도왔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아마르신은 살해되었고 (병사했다는 설도 있다), 수신이 왕위를 빼앗아 아마르신파 관료들은 실각했다. 후대에 아마르신은 무능한 왕으로 기록되었지만, 이는 수신 측의 선전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2. 1. 군사 원정

아마르신은 우르빌룸, 샤슈룸, 슈루둠, 비툼-라비움, 자브루, 후누리 등 여러 지역으로 원정을 떠났다.[3] 마르하시의 아르윌루크피와 같은 엘람 통치자들을 상대로도 원정을 벌였다.[3] 그의 통치 아래 우르 제국은 룰루비와 하마지 북부 지역까지 확장되었고, 이 지역에는 자체 총독이 임명되었다. 아마르신은 아카드 총독 자리쿰을 통해 아수르를 통치했는데, 이는 그의 기념 비문을 통해 확인된다.[4] 또한, 아모리인 등과도 싸웠다.

2. 2. 건축 사업

아마르신은 수메르의 고대 유적을 재건하려는 시도로 유명하다. 미완성된 지구라트에리두 건설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5] 니푸르의 신전을 조영하여 "엔릴의 집을 높인 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부왕 슐기가 건설하던 성벽 건설 사업도 계속 진행했다.[14]

3. 내부 갈등과 죽음

아마르신의 통치 말년, 그의 형제인 슈신이 왕위를 찬탈하려는 시도를 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몇몇 내분이 있었다.[6] 아마르신 통치 7년에 황실 근위대 아가-우스는 가르-두라는 부대로 교체되었는데, 이 부대는 종종 아마르신의 가르-두라고 불렸다.[6] 이 부대는 아마르신이 사망한 직후인 통치 9년에 기록에서 사라진다. 같은 해, 아마르신은 제국 전역의 군사 관계자들을 우르에 초대하여 연회를 열고 충성 서약을 받았다.[7] 지방 총독들은 아마르신의 통치 중반에 축출되었다가 그의 사후에 다시 복귀하는 등 특이한 변화를 겪었다.[9]

왕비 아비심티는 아마르신을 버리고 슈신의 반역을 도왔다고 기록되어 있다.

''바이네르 연대기''에 따르면, "아마르신은 ... 에사길라에서 아키투 축제의 큰 황소와 양 제물을 바꾸었다. 그는 황소에 뿔이 받혀 죽을 것이라고 예언되었지만, 그는 신발의 [전갈?] '물림'으로 죽었다."[10][11] 아마르신이 암살되었는지, 아니면 자연사했는지는 불분명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아마르신은 살해되었고(병사했다는 설도 있다), 슈신이 왕위를 계승했다.

4. 연호

아마르신의 모든 연호는 알려져 있으며, 당시 관례에 따라 왕의 통치 기간 동안 일어난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 아마르신의 연호 대부분은 종교 의식과 관련되어 있으며, 일부는 군사적 정복에 대한 기록도 포함하고 있다.[12]

4. 1. 예시

다음은 아마르신의 재위 기간에 일어난 사건들을 기록한 연호들이다.[12]

  • Amar-Suen|아마르신sux은 왕이다.
  • 하르시와 키마쉬가 파괴되었다.
  • Amar-Suen|아마르신sux이 우르빌룸을 파괴했다.
  • 에누누갈란나가 우루크의 이난나의 엔-사제로 임명되었다.
  • Amar-Suen|아마르신sux이 사쉬룸을 두 번째로 파괴하고, 슈루둠을 파괴했다.
  • Amar-Suen|아마르신sux이 비툼-라비움, 자브루, 그들의 영토와 후누리를 파괴했다.

5. 유물

참조

[1] 간행물 "Princely Employments in the Reign of Shulgi" 2022
[2] 간행물 "Of Bears and Men. Thoughts on the End of Šulgi’s Reign and on the Ensuing Succession" Eisenbrau 2013
[3] 웹사이트 Year-names for Amar-Sin http://cdli.ucla.edu[...]
[4] 서적 The Archaeology of Elam
[5]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Cities from Al-U'baid to the end of Uruk 5"
[6]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2022-12-04
[7] 학술지 Joys of Cooking in Ur III Babylonia https://www.academia[...]
[8] 학술지 More Šu-Suen Seals During the Reign of Amar-Suen https://cdli.mpiwg-b[...] 2010-06-01
[9] 학술지 The Tenure of Provincial Governors: Some Observations https://www.academia[...] 2013
[10] 간행물 L’avènement de Shu-Sin 1994
[11] 간행물 Thronfolger auch Mitregent? 1970–71
[12] 웹사이트 Amar-Sin year names http://cdli.ox.ac.uk[...]
[13] 서적 Cuneiform Texts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Volume I Tablets Cones and Bricks of the Third Ur Dynasty http://resources.me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88
[14] 서적 文明の誕生 メソポタミア、ローマ、そして日本へ 중앙공론신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