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신 (메소포타미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도시로, 현재 이라크에 위치해 있으며, 기원전 3천년 초부터 사람들이 거주했다. 이신은 이신 제1왕조와 제2왕조의 수도였으며, 이신-라르사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신은 굴라 신전과 같은 종교적 중심지였으며, 이쉬비-에라와 같은 통치자들의 치세 동안 번영했다. 이신은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다양한 유물들이 발견되었으며, 수메르 왕 목록과 같은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4년 발굴 - 타웅 아이
    타웅 아이는 레이먼드 다트가 발견한 약 3~4세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두개골 화석으로, 초기에는 논쟁이 있었으나 후속 연구를 통해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초기 호미닌으로 인정받았으며, 두개골 형태와 대후두공 위치는 직립 보행 가능성을 제시한다.
  • 기원전 20세기 설립 - 라르사
    라르사는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이신-라르사 시대를 거쳐 독립 왕조를 건설하고 아랍-페르시아 만 무역의 중심지를 차지했으나, 함무라비에게 정복당하고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유적지로 남아 있다.
이신 (메소포타미아)
지리
위치알카디시야 주, 이라크
지역메소포타미아
좌표31°53′06″N 45°16′07″E
일반 정보
이름이신
다른 이름이샨 알-바흐리야트
역사
시대초기 왕조 시대
이신-라르사 시대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
카사이트 시대
신 바빌로니아 시대
점유해당 없음
발굴1924년
1926년
1973년-1989년
고고학자스테판 허버트 랭던
레이먼드 P. 도허티
바르텔 흐로다
기타
유형정착지
상태해당 없음

2. 역사

이신은 우바이드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초기 왕조 시대와 아카드 제국 시대를 거쳐 우르 제3왕조 시대에 대규모 건설 사업이 이루어졌다. 우르 제3왕조가 쇠퇴하면서 이쉬비-에라가 이신 제1왕조를 세웠고, 엘람의 침입을 격퇴했다. 이신 제1왕조는 초기에 번성했으나, 라르사 등 다른 도시 국가들의 성장으로 쇠퇴했다. 물 부족, 내부 쿠데타, 라르사의 운하 건설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라르사의 림-신 1세에게 굴복했다.

바빌론 제1왕조 시대에는 건설 사업이 재개되었으나, 함무라비의 아들 샴수-일루나 시대에 파괴되었다. 이후 카시트인들이 다시 건설을 시작했고, 이신 제2왕조 시대에는 아다드-아플라-이디나 왕이 주목할 만한 활동을 했다. 이신은 페르시아 통치 시기까지 점유되었다.

최소 256개의 통치자 연호 중 약 75%가 발견되었으며, 이를 통해 에라-이미티와 엔릴-반 사이에 수무-아붐과 이쿤-피-이스타라는 두 명의 통치자가 더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수무-아붐의 통치는 1년도 채 되지 않았다.[26][27]

2. 1. 초기 역사 및 형성

이신 유적은 우바이드 시대의 토기 조각을 통해 최소한 그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본격적인 점유는 기원전 3천년 초중반 초기 왕조 시대에 시작되었다. 이신은 아카드 제국 시대에도 점유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기원전 3천년 후반, 우르 제3왕조 시대에 이신에서 대규모 건설 사업이 시작되었다. 우르가 멸망하면서 아모리인 왕조가 도시의 권력을 잡았고, 이는 이신-라르사 시대로 이어진다.

기원전 3천년 말, 우르 제3왕조가 쇠퇴하면서 다른 도시 국가들이 권력을 잡기 위해 경쟁했다. 마리 출신의 아모리인인 이쉬비-에라는 우르 제3왕조의 마지막 통치자 이비-신의 관료였다. 그는 이신의 지배권을 얻어 이신 제1왕조를 시작했다. 엘람인들은 이신과 우르를 공격하여 우르를 점령했다.[21] 이쉬비-에라의 업적 중 하나는 엘람인들을 우르와 그 지역에서 몰아낸 것이다. 그의 연호는 "왕 이스비-이르라가 강력한 무기를 가지고 그 안에 거주하던 엘람인을 우르에서 몰아낸 해"였다.[22] 수메르 왕 목록은 이쉬비-에라의 통치를 33년으로 기록하고 있지만, 왕실 비문은 단 하나만 발견되었다.

이신 제1왕조는 2세기 이상 지속되었다. 초창기가 가장 강력했으며, 라르사와 여러 소규모 아모리인 도시 국가들이 부상하면서 이신의 영향력은 점차 감소했다. 이쉬메-다간은 주목할 만한 통치자였는데, 그를 위해 여러 찬가가 쓰여졌고, 이는 우르 제3왕조의 통치자 슐기의 스타일을 모방한 것으로 여겨진다.[24]

이신이 왕국으로서 붕괴된 정확한 사건들은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지만, 물 공급에 대한 접근이 이신에게 큰 문제였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이신은 궁구눔라르사와 라가쉬 지방의 왕실 임명 총독으로서 우르를 점령하면서 내부 쿠데타를 겪었다. 우르는 걸프 무역의 주요 중심지였기 때문에, 이 사건은 이신에게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혔다. 게다가 궁구눔의 두 후계자 아비사레와 수무엘 (기원전 1905년경 및 기원전 1894년)은 모두 운하를 라르사로 돌려 이신을 고립시키려 했다. 어느 시점에서는 니푸르도 잃게 되었다. 이신은 다시는 회복하지 못했다. 기원전 1860년경, 엔릴-바니라는 외부인이 이신의 왕위를 찬탈하여 이쉬비-에라가 150년 이상 전에 세운 세습 왕조를 끝냈다.[29]

2. 2. 이신 제1왕조 (기원전 2017년 ~ 기원전 1793년)

이신에서 발견된,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이딘-다간에게 바치는 찬가.


우르 제3왕조가 쇠퇴하면서 권력 공백이 생겼고, 다른 도시 국가들이 이를 채우기 위해 경쟁했다. 이쉬비-에라는 마리 출신의 아모리인으로, 우르 제3왕조의 마지막 통치자 이비-신의 관료였다. 그는 이신의 지배권을 얻어 이신 제1왕조를 시작했다. 엘람인들은 이신과 우르를 공격하여 우르를 점령했다.[21] 이쉬비-에라의 업적 중 하나는 엘람인들을 우르와 그 지역에서 몰아낸 것이었는데, 그의 연호는 "왕 이스비-이르라가 강력한 무기를 가지고 그 안에 거주하던 엘람인을 우르에서 몰아낸 해"였다.[22]

이신 제1왕조는 2세기 이상 지속되었다. 초창기에 가장 강력했지만, 라르사와 여러 소규모 아모리인 도시 국가들이 부상하면서 이신의 영향력은 점차 감소했다. 이슈메다간은 여러 찬가가 쓰여졌는데, 이는 우르 제3왕조의 통치자 슐기의 스타일을 모방한 것으로 여겨진다.[24]

이신이 왕국으로서 붕괴된 정확한 사건들은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지만, 물 공급에 대한 접근이 이신에게는 큰 문제였다. 또한, 이신은 궁구눔라르사와 라가쉬 지방의 왕실 임명 총독으로서 우르를 점령하면서 내부 쿠데타를 겪었다. 우르는 걸프 무역의 주요 중심지였기 때문에, 이 사건은 이신에게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혔다. 궁구눔의 두 후계자 아비사레와 수무엘 ( 및 기원전 1894년)은 모두 운하를 라르사로 돌려 이신을 고립시키려 했다. 이신은 다시는 회복하지 못했다. 기원전 1860년경, 엔릴바니라는 외부인이 이신의 왕위를 찬탈하여 이쉬비-에라가 150년 이상 전에 세운 세습 왕조를 끝냈다.[29]

정치적, 경제적으로 약세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신은 라르사로부터 적어도 40년 더 독립을 유지했지만, 결국 라르사의 통치자 림-신 1세에게 굴복했다.

통치자재위 기간
이슈비에라33년
수일리슈20년
이딘다간20년
이슈메다간20년
리피트이슈타르11년
우르닌우르타28년
부르신5년
리피트엔릴5년
일라일라미티8년
엔릴바니24년
잠비야3년
이테르피샤4년
우르두쿠가4년
신마기르23년
다미크이리슈자료 없음


2. 3. 이신-라르사 시대 (기원전 2004년 ~ 기원전 1763년)

우르 제3왕조가 쇠퇴하면서 권력 공백이 생겼고, 다른 도시 국가들이 경쟁했다. 이쉬비-에라는 마리 출신의 아모리인으로, 우르 제3왕조의 마지막 통치자 이비-신의 관료였다. 그는 이신의 지배권을 얻어 이신 제1왕조를 시작했다. 엘람인들은 이신과 우르를 공격하여 우르를 점령했다.[21] 이쉬비-에라의 업적 중 하나는 엘람인들을 우르와 그 지역에서 몰아낸 것이었다.[22] 수메르 왕 목록은 이쉬비-에라의 통치를 33년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신 제1왕조는 2세기 이상 지속되었다. 초창기에 가장 강력했지만, 라르사와 여러 소규모 아모리인 도시 국가들이 부상하면서 이신의 영향력은 점차 감소했다. 주목할 만한 통치자는 이쉬메-다간이었는데, 그를 위해 여러 찬가가 쓰여졌고, 이는 우르 제3왕조의 통치자 슐기의 스타일을 모방한 것으로 여겨진다.[24]

이신이 왕국으로서 붕괴된 정확한 사건들은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지만, 몇 가지 증거들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문서에 따르면, 물 공급에 대한 접근이 이신에게 큰 문제였다. 또한, 이신은 궁구눔라르사와 라가쉬 지방의 왕실 임명 총독으로서 우르를 점령하면서 내부 쿠데타를 겪었다. 우르는 걸프 무역의 주요 중심지였기 때문에, 이 사건은 이신에게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혔다. 게다가 궁구눔의 두 후계자 아비사레와 수무엘은 운하를 라르사로 돌려 이신을 고립시키려 했다. 어느 시점에서는 니푸르도 잃게 되었다. 이신은 다시는 회복하지 못했다. 기원전 1860년경, 엔릴-바니라는 외부인이 이신의 왕위를 찬탈하여 이쉬비-에라가 150년 이상 전에 세운 세습 왕조를 끝냈다.[29]

정치적, 경제적으로 약세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신은 라르사로부터 적어도 40년 더 독립을 유지했지만, 결국 라르사의 통치자 림-신 1세에게 굴복했다.

바빌론 제1왕조가 기원전 2천년 초에 권력을 잡고 라르사를 점령한 후, 이신에서 상당한 건설 사업이 이루어졌다. 이는 함무라비의 아들 샴수-일루나의 통치 27년경으로 추정되는 파괴로 끝났다.

이신 왕들은 수메르의 후계자를 자처하며 기원전 20세기 전반 남부 메소포타미아 최대의 국가로서 번성했지만, 제5대 리피트이슈타르의 치세에 라르사가 독립하고 이후 라르사와 바빌론에 압박받아 약체화되었다. 이 시대에 반포된 리피트이슈타르 법전은 함무라비 법전이나 우르남무 법전과 함께 인류 최초의 법률 문서로서 명성이 높다.

2. 4. 바빌로니아 시대

바빌론 제1왕조가 기원전 2천년 초에 권력을 잡고 라르사를 점령한 후, 이신에서 상당한 건설 사업이 이루어졌다. 이는 함무라비의 아들 샴수-일루나의 통치 27년경으로 추정되는 파괴로 끝났는데, 이는 그곳에서 발견된 점토판을 통해 알 수 있다.[25]

이후, 기원전 1531년에 바빌론을 약탈한 카시트인들이 이신에서 다시 건설을 시작했다. 활동은 주로 굴라 신전에서 이루어졌으며, 이 시기에 이신은 단지 종교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주요 활동 단계는 2천년 말 이신 제2왕조 시대에 있었으며, 특히 왕 아다드-아플라-이디나가 두드러졌다. 이신은 페르시아 통치자 다리우스 1세의 통치 20년대(기원전 507년경)까지, 즉 해당 지역이 페르시아의 지배하에 있을 때까지 점유되었다.[25]

카시트 왕조가 멸망한 후, 이 도시를 거점으로 한 왕조가 Marduk-kabit-ahheshu|마르두크-카비트-아헤슈영어에 의해 다시 성립되었다. 이것을 '''이신 제2왕조'''(바빌론 제4왕조)라고 부른다. 다만, 마르두크-카비트-아헤슈는 이신의 출신이었지만, 이신 제2왕조의 왕들은 기본적으로 바빌론을 거점으로 했다.

이 왕조 중 가장 유명한 왕은 네부카드네자르 1세인데, 그는 카시트 왕조 멸망 시 엘람에 의해 빼앗겼던 바빌론의 도시신 마르두크 신의 신상을 엘람으로부터 되찾아 마르두크 신 제사를 부활시켰다. 이는 바빌로니아에서 정치적으로나 종교적으로나 중요한 의미를 가졌던 것으로 보이며, 네부카드네자르 1세의 승리를 다룬 문학 작품이 다수 남아 있다.

그러나, 같은 왕조의 후반에는 아시리아의 세력이 확대되어 그 압박으로 인해 이신 제2왕조는 혼란에 빠졌고, 바빌로니아는 분열 상태가 되었다.

2. 5. 이신 제2왕조 (바빌론 제4왕조, 기원전 1155년 ~ 기원전 1025년)

Marduk-kabit-ahheshu영어에 의해 카시트 왕조가 멸망한 후 이신을 거점으로 한 왕조가 다시 성립되었다. 이를 '''이신 제2왕조'''(바빌론 제4왕조)라고 부른다. 마르두크-카비트-아헤슈는 이신 출신이었지만, 이신 제2왕조의 왕들은 기본적으로 바빌론을 거점으로 했다.

이 왕조에서 가장 유명한 왕은 네부카드네자르 1세인데, 그는 카시트 왕조 멸망 시 엘람에 의해 빼앗겼던 바빌론의 도시신 마르두크 신의 신상을 엘람으로부터 되찾아 마르두크 신 제사를 부활시켰다. 이는 바빌로니아에서 정치적으로나 종교적으로나 중요한 의미를 가졌던 것으로 보이며, 네부카드네자르 1세의 승리를 다룬 문학 작품이 다수 남아 있다.

그러나 이신 제2왕조 후반에는 아시리아의 세력이 확대되어 그 압박으로 인해 혼란에 빠졌고, 바빌로니아는 분열 상태가 되었다.

이신 제2왕조(바빌론 제4왕조)의 역대 왕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위 기간(기원전)
Marduk-kabit-ahheshu영어1155년 ~ 1146년
Itti-Marduk-balatu (king)영어1146년 ~ 1132년
Ninurta-nadin-shumi영어1132년 ~ 1126년
네부카드네자르 1세1126년 ~ 1103년
Enlil-nadin-apli영어1103년 ~ 1100년
Marduk-nadin-ahhe영어1100년 ~ 1082년
Marduk-shapik-zeri영어1082년 ~ 1069년
Adad-apla-iddina영어1069년 ~ 1046년
Marduk-ahhe-eriba영어1046년
Marduk-zer-X영어1046년 ~ 1033년
Nabu-shum-libur영어1033년 ~ 1025년


3. 고고학

이신 유적지에서 약탈하는 사람들


이신은 고대 도시 니푸르에서 남쪽으로 약 약 32.19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유적지는 약 150 헥타르 면적에 최대 높이 약 10미터에 달한다.

1922년까지 이 지역은 이신의 유적지로 추정되었다.[4] 1924년 스티븐 허버트 랭던은 키시 발굴 중 하루 동안 이샨 알-바흐리야트를 방문하여 이슈메-다간과 엔릴-바니의 점토 벽돌을 발견했다.[5] 2년 후, 미국 동양 연구 학교의 레이먼드 P. 도허티는 이틀간 유적을 조사하여 부르-신과 신바빌로니아 통치자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점토 벽돌을 발견했다.[6][7][8]

'''왼쪽:''' 설형 문자 점토판. 고 바빌로니아 시대, 기원전 1900-1700년경
'''오른쪽:''' 수메르 설형 문자 "기초석". 이 점토 원뿔은 벽에 박혀 있었으며, 이신 (텔 바흐리야트)의 왕 이슈메-다간 (기원전 1953-1935년)에 의해 건설된 이신 성벽의 건립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1973년부터 1989년까지 11 시즌 동안 뮌헨 근동 고고학 연구소를 대표하여 바르텔 흐루다가 이끄는 독일 고고학자 팀이 이신에서 현대 고고학 작업을 수행했다. 화재로 파괴된 건물에서 고 바빌로니아 시대의 수백 개 설형 문자 점토판이 발견되었다.[9][10][11][12] 그러나 걸프 전쟁 (1990–1991)과 이라크 전쟁 (2003–2011)으로 인해 연구가 중단되었고, 발굴 종료 이후 유적지에서 광범위한 약탈이 재개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독일 팀이 작업을 시작했을 때조차 유적지는 이미 심하게 약탈된 상태였다.[13]

닌타 신전의 굴라 사원에서 중요한 발견물은 아카드 제국 통치자 마니슈투수의 설화석고 곤봉 머리였으며, "세상의 왕 마니-이스투수는 여신 니니시나에게 (이 곤봉을) 바쳤다"라고 새겨져 있었다. 말기움의 통치자 타킬-일리수의 비문도 발견되었다.[14] 초기 발견물에는 젬데트 나스르 시대의 도장과 우루크 시대의 작은 석조 사자 조각상이 포함되었다.[15]

발굴의 주요 초점은 4미터 폭의 벽으로 둘러싸인 굴라 사원 단지였다. 이 단지는 최소 이신 I, 카시트, 신바빌로니아 시대를 거쳐 건설되었으며, 기원전 3천 년대 초의 발견물들은 더 이른 시기에 존재했음을 시사했다. 발견물에는 개 30구의 매장, 개 이미지가 새겨진 구리 펜던트, 점토 개 조각상 (그 중 하나는 굴라에게 바치는 기도문이 새겨져 있음)이 포함되었다. 이신 제2왕조의 8대 통치자 아다드-아플라-이디나의 비문이 새겨진 벽돌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치유의 여신 닌-에제나에게 헌정된 것이었다.

주요 언덕의 또 다른 구역에서는 기원전 3천 년대의 건물에서 금 장신구, 청동 무기, 원통형 인장, 그리고 몇 개의 설형 문자 점토판 (그 중 두 개는 초기 왕조 시대의 것)이 발견되었으며, 이신의 바드-갈 "대성벽" 도시 벽 건설을 언급하는 이슈메-다간의 점토 못과 우르-두-쿠가의 비문이 새겨진 벽돌이 발견되었다.[16] 카시트 층에서는 초기 왕조 III 시대의 조각상 (높이 16.5cm)이 발견되었는데, 무릎을 꿇고 삼중 벨트만 착용한 남자의 모습이었다.[17] 사원 단지 바로 남쪽에서 초기 왕조 I 시대의 건물 두 채가 발견되었다.[18]

현재의 이샨 알 바흐리야트 유적이 이신 시로 여겨지고 있다. 20세기에 두 차례의 대규모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지구라트와 궁전이 발견되었다. 가장 오래된 거주 흔적은 우바이드 문화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수메르 시대까지의 역사를 밝힐 정보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4. 문화

부르-신의 원통형 인장


이신은 메소포타미아 도시들을 연결하는 수로의 일부인 이신니툼 운하에 위치해 있었다.[28] 이신의 수호신은 치료의 여신 닌틴우가(굴라)였으며, 그녀를 위한 신전이 그곳에 세워졌다. 이신 왕 엔릴바니는 굴라에게 바치는 에-니-두브-비 신전, 수드에게 바치는 에-딤-갈-안-나 신전, 닌니시나에게 바치는 에-우르-기-라 신전, 그리고 닌브갈을 위한 신전을 지었다고 보고했다.[29][30]

이쉬비-에라는 이전 우르 제3왕조 시대에 번성했던 많은 종교적 관습을 이어갔다. 그는 매년 신성 결혼 의식을 계속 수행했다. 이 의식 동안 왕은 필멸의 두무지(양치기)의 역할을 맡았고, 사랑과 전쟁의 여신 이난나(이슈타르로도 알려짐)를 대표하는 여사제와 성관계를 가졌다. 이는 왕과 신들의 관계를 강화하여 국가 전체에 안정과 번영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신 왕들은 또한 자신의 딸들을 우르의 달의 신의 공식 여사제로 임명하는 관행을 계속했다.

이 시대의 문학 역시 이신 왕조가 처음 시작되었을 때 우르 제3왕조의 전통을 이어갔다. 예를 들어, 이전 천년기에 시작된 장르인 왕실 찬가가 계속되었다. 이신 통치자들을 위해 쓰인 많은 왕실 찬가는 우르의 찬가의 주제, 구조, 언어를 반영했다. 때로는 찬가가 왕의 목소리로 1인칭으로 쓰이기도 했고, 때로는 (이미 죽은) 왕에게 들려주기 위한 일반 시민들의 간청이기도 했다.

수메르 왕 목록이 훨씬 더 오래된 많은 자료를 사용했지만, 이 시기에 최종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목록의 편집 자체가 이신 왕조로 이어지는 듯하며, 이는 이신 왕조를 이전의 (비록 때로는 전설적인) 왕들과 연결하여 백성들의 마음에 정당성을 부여했다.[31]

5. 문학

이신 왕조 시대의 문학은 우르 제3왕조의 전통을 이어받았다. 이전 천년기에 시작된 왕실 찬가가 계속되었는데, 이신 통치자들을 위해 쓰인 많은 왕실 찬가는 우르의 찬가의 주제, 구조, 언어를 반영했다. 찬가는 왕의 목소리로 1인칭으로 쓰이기도 했고, 때로는 (이미 죽은) 왕에게 들려주기 위한 일반 시민들의 간청이기도 했다.[31]

수메르 왕 목록은 훨씬 더 오래된 많은 자료를 사용했지만, 이 시기에 최종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목록의 편집 자체가 이신 왕조로 이어지는 듯하며, 이는 이신 왕조를 이전의 (때로는 전설적인) 왕들과 연결하여 백성들에게 정당성을 부여했다.[31]

참조

[1] 웹사이트 Sumerian King List http://etcsl.orinst.[...] ETCSL 2010-12-19
[2] 논문 The Healing Goddess, Her Dogs and Physicians in Late Third Millennium BC Mesopotamia 2020
[3] 간행물 Excavations in Iraq 1975 1976
[4] 간행물 The Location of Isin 1922
[5] 서적 Excavations at Kish I (1923–1924) 1924
[6] 간행물 An Archæological Survey in Southern Babylonia I https://www.journals[...] 1926
[7] 간행물 An Archæological Survey in Southern Babylonia (Continued) 1927
[8] 간행물 Searching for Ancient Remains in Lower ’Irâq: Report of an Archaeological Survey Made in Southern Babylonia during the First Quarter of 1926 1925
[9] 간행물 Excavations in Iraq 1973-74 1975
[10] 간행물 Excavations in Iraq 1985-86 1987
[11] 간행물 Excavations in Iraq 1987-88 1989
[12] 간행물 Excavations in Iraq 1989–1990 1991
[13] 논문 Destruction and looting of archaeological sites between Fāra/Šuruppak and Išān Bahrīyāt/Isin. Damage assessment during the Fara regional survey project FARSUP 2018
[14] 서적 Akka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3
[15] 간행물 Excavations in Iraq 1983-84 1985
[16] 간행물 Excavations in Iraq 1977-78 1979
[17] 간행물 Excavations in Iraq 1972-73 1973
[18] 논문 Review of "Isin-Išān-Baḥrīyāt, IV: Die Ergebnisse der Ausgrabungen 1986–1989 by B. Hrouda" 1996
[19] 논문 Archives and Record-keeping in Sargonic Mesopotamia 1982
[20] 서적 Isin in the Kassite Period De Gruyter, Berlin, Boston 2017
[21] 서적 The Royal Letters in Their Historical Setting 3: Ur, Isin, Kazallu, and the Final Decades of the Ur III State (Letters 21–24) Penn State University Press, University Park, USA 2011
[22] 논문 An Ishbi-Irra Date Formula 1948
[23] 서적 ISI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0
[24] 논문 New light on the reign of Išme-Dagan 1998
[25] 서적 An Edomite in Isin De Gruyter, Berlin, Boston 2021
[26] 논문 Studies on the Old Babylonian Kings of Isin and Their Dynasties with an Updated List of Isin Year Names 2021
[27] 서적 Isin year names https://digitalcommo[...] Andrews University Press 1988
[28] 간행물 The Waters of Ur 1960
[29] 논문 The Last Years of the Kings of ISIN 1959
[30] 논문 The Isin "Dog House" Revisited 1988
[31] 논문 The Date of the Sumerian King List 1960
[32] 웹사이트 Sumerian King List http://www-etcsl.ori[...] ETCSL 2010-12-19
[33] 웹사이트 Sumerian King List http://etcsl.orinst.[...] ETCS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