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시아 강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시아 강화는 오스만 제국과 사파비 왕조 간에 체결된 조약으로, 두 제국 간의 국경을 획정하고 영토를 분할했다. 이 조약으로 아르메니아와 조지아는 동서로 분할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은 서아르메니아, 서부 쿠르디스탄, 서부 조지아를, 사파비 왕조는 동아르메니아, 동부 쿠르디스탄, 동부 조지아를 차지했다. 오스만 제국은 바그다드를 포함한 이라크 대부분을 획득하여 페르시아만으로 진출했으며, 사파비 왕조는 타브리즈, 다게스탄, 아제르바이잔을 포함한 코카서스 북서부 지역을 유지했다. 또한, 양국은 종교적 관용을 위해 노력했으며, 사파비 왕조는 수니파 인물을 저주하는 의식을 중단해야 했다. 1639년 주하브 조약으로 이 조약의 내용이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마시아 강화 | |
---|---|
조약 정보 | |
제목 | 아마시아 강화 조약 |
원어 제목 (페르시아어) | پیمان آماسیه |
원어 제목 (튀르키예어) | Amasya Antlaşması |
관련 전쟁 | 오스만-사파비 전쟁 (1532년-1555년) |
체결일 | 1555년 5월 29일 |
체결 장소 | 아마시아 |
체결 당사국 | 사파비 제국, 오스만 제국 |
관련 링크 | 오스만-사파비 전쟁 (1532–55) (영문 위키백과) |
![]() | |
![]() |
2. 조약의 배경
이란과 오스만 제국 간의 국경을 설정한 이 조약은 이후 20년간의 평화 시대를 열었다. 이 조약에 따라 아르메니아와 조지아는 양국에 의해 똑같이 분할되었으며, 서아르메니아와 서부 조지아(서부 삼츠헤 포함)는 오스만 제국에게, 동아르메니아와 동부 조지아(동부 삼츠헤 포함)는 이란에게 넘어갔다.[1] 오스만 제국은 바그다드를 포함한 이라크 대부분을 얻어 페르시아만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페르시아는 옛 수도 타브리즈와 다게스탄 및 현재의 아제르바이잔을 포함한 코카서스의 다른 모든 북서부 영토를 전쟁 이전과 같이 유지했다.[2][3][4] 이렇게 설정된 국경은 동부와 서부 조지아를 나누는 산맥을 지나 아르메니아를 거쳐 자그로스 산맥의 서쪽 경사면을 따라 페르시아만까지 이어졌다.
1555년 아마시아 조약은 오스만 제국과 사파비 왕조 사이에 체결된 조약으로, 양국 간의 국경을 확정하고 20년간의 평화 시대를 열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동부 아나톨리아 전역에는 에르주룸, 샤흐리조르, 반 등 여러 완충 지대가 설정되었다.[5] 카르스는 중립으로 선언되었으며, 그곳의 기존 요새는 파괴되었다.[6][7]
또한 오스만 제국은 페르시아 순례자들이 메카와 메디나의 이슬람 성지뿐만 아니라 이라크의 시아파 순례 성지에 갈 수 있도록 접근을 보장했다.[8]
코카서스의 결정적인 분할과 메소포타미아의 오스만 제국으로의 돌이킬 수 없는 할양은 1639년에 주합 조약으로 알려진 다음 주요 평화 조약을 통해 이루어졌다.[9]
이 조약의 또 다른 조건은 사파비 왕조가 처음 세 명의 정통 칼리파에 대한 의례적인 저주를 중단해야 한다는 것이었다.[10] 아이샤와 다른 사하바 (무함마드의 동반자)는 수니파에 의해 존경받았다. 이 조건은 오스만-사파비 조약의 일반적인 요구 사항이었으며,[11] 이 경우 타흐마스프에게 굴욕적인 것으로 여겨졌다.[12]
3. 조약의 주요 내용
3. 1. 영토 분할
아르메니아와 조지아는 동서로 분할되어 서아르메니아, 서부 쿠르디스탄, 서부 조지아 (메스케티 서부 포함)는 오스만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동아르메니아, 동부 쿠르디스탄, 동부 조지아 (메스케티 동부 포함)는 사파비 왕조의 영토가 되었다.[24] 오스만 제국은 바그다드를 포함한 이라크 대부분을 획득하여 페르시아만으로 나갈 수 있게 되었고, 사파비 왕조는 전쟁 전 수도였던 타브리즈와 다게스탄, 아제르바이잔을 포함한 코카서스 북서부 영토를 그대로 유지했다.[25][26][27]
에르주룸, 샤흐리조르, 반 등 동부 아나톨리아 지방의 일부 도시는 완충 지대로 지정되었다.[28] 카르스는 중립 지대로 선언되었고, 그곳의 요새는 파괴되었다.[29][30]
3. 2. 종교 관련 조항
오스만 제국은 페르시아 순례자들이 메카와 메디나 등 이슬람 성지뿐만 아니라 이라크 내 시아파 성지 순례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31]
사파비 왕조는 처음 세 명의 정통 칼리파와 아이샤 그리고 다른 사하바(무함마드의 동반자)에 대한 의례적인 저주를 중단해야 했다.[10] 이들은 수니파에게 존경받는 인물들이었다. 이 조건은 오스만-사파비 조약의 일반적인 요구 사항이었으며,[11] 이 경우 타흐마스프 1세에게 굴욕적인 것으로 여겨졌다.[12]
3. 3. 기타 조항
오스만 제국은 페르시아 순례자들이 메카와 메디나 등 이슬람 성지뿐만 아니라 이라크의 시아파 순례 성지에 갈 수 있도록 허용했다.[31]
코카서스의 최종 분할과 메소포타미아의 오스만 제국으로의 할양은 1639년 주하브 조약으로 미루어졌다.[32]
사파비 왕조는 처음 세 명의 정통 칼리파[33], 아이샤 및 다른 사하바(무함마드의 동반자)에 대한 의례적인 저주를 중단해야 했다.[34] 이는 오스만-사파비 조약의 일반적인 요구 사항이었으며,[35] 타흐마스프에게 굴욕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4. 조약의 결과 및 영향
아마시아 강화는 이란과 오스만 제국 사이의 국경을 확정하고, 이후 20년간 평화 시대를 가져왔다.[24] 이 조약에 따라 아르메니아와 조지아는 동서로 양분되었는데, 서아르메니아, 서부 쿠르디스탄, 서부 조지아(서부 삼츠헤 포함)는 오스만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동아르메니아, 동부 쿠르디스탄, 동부 조지아(동부 삼츠헤 포함)는 이란의 영토가 되었다.[1][24]
오스만 제국은 바그다드를 포함한 이라크 대부분을 획득하여 페르시아만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되었고, 이란은 전쟁 전 수도였던 타브리즈와 북서부 코카서스 지역(다게스탄과 아제르바이잔 전역 포함)을 모두 유지했다.[2][3][4][25][26][27] 양국 간의 국경선은 동서 조지아를 나누는 산맥에서 시작하여 아르메니아를 거쳐 자그로스 산맥 서쪽 기슭을 따라 페르시아만까지 이어졌다.
에르주룸, 샤흐리조르, 반 등 동부 아나톨리아 지역의 일부 도시는 완충 지대로 지정되었고,[5][28] 카르스는 중립 지역으로 선언되었으며, 그곳의 요새는 파괴되었다.[6][7][29][30]
오스만 제국은 페르시아 순례자들이 메카와 메디나 등 이슬람 성지와 이라크의 시아파 성지를 방문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8][31]
코카서스 지역의 분할과 메소포타미아의 오스만 제국 할양은 1639년 주하브 조약을 통해 최종 확정되었다.[9][32]
이 조약은 또한 사파비 왕조에게 처음 세 명의 정통 칼리파,[10][33] 아이샤와 사하바를 저주하는 행위를 중단하도록 요구했다. 이는 시아파인 사파비 왕조와 타흐마스프 1세에게 굴욕적인 조항으로 여겨졌다.[11][12][34][35]
5. 역사적 평가
아마시아 조약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사료 부족으로 인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Georgia
Rowman & Littlefield
2015
[2]
간행물
The Reign of Suleiman the Magnificent, 1520–1566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3]
서적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7-31
[4]
간행물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2010
[5]
서적
Ottoman-Iranian Borderlands: Making a Boundary, 1843–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6]
서적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7-31
[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Georgia
Rowman & Littlefield
2015
[8]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9]
웹사이트
Феодальный строй
http://slovari.yande[...]
2009-04-26
[10]
서적
Safavid Iran: Rebirth of a Persian Empire
I.B.Tauris
2012-04-11
[11]
서적
The Ottoman Empire and the World Around It
I.B.Tauris
2006-03-03
[12]
서적
The Sunna and Shi'a in History: Division and Ecumenism in the Muslim Middle East
Palgrave Macmillan
2011-11-08
[1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Georgia
Rowman & Littlefield
2015
[14]
간행물
The Reign of Suleiman the Magnificent, 1520-1566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15]
서적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7-31
[16]
간행물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2010
[17]
서적
Ottoman-Iranian Borderlands: Making a Boundary, 1843–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8]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19]
웹사이트
Феодальный строй
http://slovari.yande[...]
[20]
서적
Safavid Iran: Rebirth of a Persian Empire
I.B.Tauris
2012-04-11
[21]
문서
スンナ派ではアブー・バクル、ウマル・イブン・ハッターブ、ウスマーン・イブン・アッファーンも正統カリフとして認める一方、シーア派はムハンマドの従兄弟かつ娘婿であるアリー・イブン=アビー=ターリブとその子孫のみがイマームとして後継者の権利を持つと主張した。
[22]
서적
The Ottoman Empire and the World Around It
I.B.Tauris
2006-03-03
[23]
서적
The Sunna and Shi'a in History: Division and Ecumenism in the Muslim Middle East
Palgrave Macmillan
2011-11-08
[2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Georgia
Rowman & Littlefield
2015
[25]
간행물
The Reign of Suleiman the Magnificent, 1520-1566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26]
서적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7-31
[27]
간행물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2010
[28]
서적
Ottoman-Iranian Borderlands: Making a Boundary, 1843–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29]
서적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7-31
[3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Georgia
Rowman & Littlefield
2015
[31]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32]
웹사이트
Феодальный строй
http://slovari.yande[...]
2009-04-26
[33]
서적
Safavid Iran: Rebirth of a Persian Empire
I.B.Tauris
2012-04-11
[34]
서적
The Ottoman Empire and the World Around It
I.B.Tauris
2006-03-03
[35]
서적
The Sunna and Shi'a in History: Division and Ecumenism in the Muslim Middle East
Palgrave Macmillan
2011-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