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메데오 2세 디 사보이아 백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메데오 2세 디 사보이아 백작은 1078년부터 1080년까지 사보이아 백작으로 재위한 인물이다. 그는 오토 디 사보이아 백작의 아들이자, 형 피에트로 1세의 사망으로 백작 지위를 계승했다. 아메데오 2세는 카노사의 굴욕에 참여하여 교황과 황제의 화해를 도왔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서임권 투쟁에 중립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제네바의 조안과 결혼하여 아델라이드, 아우실리아, 움베르토 2세, 콘스탄스를 자녀로 두었으며, 움베르토 2세가 그의 뒤를 이어 사보이아 백작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50년대 출생 - 노르망디 공작 로베르 2세
    윌리엄 1세의 장남인 노르망디 공작 로베르 2세는 동생들과 잉글랜드 왕위 다툼을 벌였고, 십자군 원정 참여 후 왕위 주장에 실패, 결국 헨리 1세에게 폐위되어 투옥된 후 사망했다.
  • 1050년대 출생 - 하산 에 사바흐
    하산 에 사바흐는 11세기 페르시아의 종교 지도자이자 니자리 이스마일파 국가 건설자로, 알라무트 요새를 중심으로 셀주크 왕조에 저항하며 '아사신'으로 알려진 추종자들의 암살 전술로 이름을 떨쳤다.
  • 1080년 사망 - 단렴의
  • 1080년 사망 - 미하일 아탈리아티스
    미하일 아탈리아티스는 11세기 비잔틴 제국의 법률가, 관리, 역사가이자 작가로, 법학 연구와 관직 생활을 통해 《포네마 노미콘》 편찬, 《디아탁시스》 작성, 그리고 《역사》 기록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사보이아 백작 - 에도아르도 디 사보이아 백작
    에도아르도 디 사보이아 백작은 아메데오 5세의 아들이자 1323년부터 1329년까지 사보이아 백작로, 발레 성 포위전 패배, 모리엔 지역 분쟁 개입, 시온 주교와의 갈등, 샹베리 성 수로교 건설 등의 활동을 했으나 1329년 사망하여 동생 아이모네가 백작위를 계승했다.
  • 사보이아 백작 - 아메데오 7세 디 사보이아 백작
    아메데오 7세 디 사보이아 백작은 1383년 사보이아 백작위를 계승하여 프로방스 동부 지역과 니스 항구를 획득하고 베리의 본과 결혼하여 아메데오 8세를 자녀로 두었으며, 1391년 파상풍으로 사망했다.
아메데오 2세 디 사보이아 백작
기본 정보
아메데오 2세 디 사보이아의 초상
출생일1050년경
사망일1080년 1월 26일
작위 정보
작위사보이아 백작
통치 기간1078년 - 1080년
이전피에트로 1세
이후움베르토 2세
가문 정보
가문사보이아 가
아버지사보이아 백작 오도네
어머니토리노 여백작 아델라이데
배우자조반나 디 지네브라
자녀움베르토 2세
코스탄차
아델라이데
아우크실리아
오도네

2. 생애

아메데오 2세에 관해서는 후대에 남겨진 자료가 거의 없어 확실한 것은 적다. 알려진 것은 형 피에트로 1세와 마찬가지로 어머니의 말에 따랐다는 점과, 생애 두 번 로마를 방문했다는 것뿐이다.[2]

2. 1. 초기 생애 ( ~ 1078년)

오토 디 사보이아 백작과 토리노의 아델라이데의 둘째 아들인 아메데오 2세는 1050년경에 태어났다. 1070년에서 1073년경 부르고뉴 왕국의 다른 귀족들과 함께 로마의 성 베드로 묘에서 교회 수호를 맹세했다.[2] 1074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부르고뉴 백작 윌리엄 1세에게 이 맹세를 기억하고, 아메데오 2세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셀주크 투르크에 맞서 동방 로마 제국을 방어할 것을 설득하려 했다.[2] 어머니 아델라이데가 이 시기에 교황청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에, 이 기록은 아메데오 2세가 경력 초기에 어머니의 정책을 따랐음을 시사한다.[2]

1077년 초, 아메데오 2세는 어머니, 형 피터와 함께 누이 사보이아의 베르타와 매형인 황제 하인리히 4세를 맞이했다. 아메데오 2세와 아델라이데는 파문당한 황제가 교황과 화해할 수 있도록 카노사로 황제 부부를 호위했다.[3] 그들은 그곳에서 협상에 참여했고, 황제의 성실성을 보증했다.[2]

1078년 7월 16일, 아메데오 2세와 피터는 어머니가 노발레사 수도원에 기증하는 것을 증언했다.[2] 이것은 아메데오 2세와 피터가 함께 한 마지막 행동이었다.

아메데오 2세에 관해서는 후세에 남겨진 자료가 거의 없어 확실한 것은 적다. 알려진 것은 형 피에트로 1세와 마찬가지로 어머니의 말에 따랐다는 점과, 생애 두 번 로마를 방문했다는 것뿐이다.

2. 2. 사보이아 백작 재위 (1078년 ~ 1080년)

1078년 8월 9일, 형 피에트로 1세가 사망하면서 아메데오 2세가 사보이아 백국의 백작 지위를 계승했다.[2] 그러나 피에트로 1세가 어머니와 공동 통치했던 토리노 변경백 지위는 계승하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불분명하다.[2] 1090년 그의 미망인 딸 아델라이드가 발행한 문서에는 그를 "백작이자 변경백"(''comes et marchio'')으로 언급하고 있지만, 이는 시대착오적인 표현일 가능성이 높다.[4]

그의 통치 기간에 대한 기록은 비엔의 생-앙드레-르-바스 카르툴라리에 단 하나 남아 있는데, "아메데우스 백작이 통치하고 있을 때"로 기록되어 있다.[5] 이는 황제의 재위 연도가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아메데오 2세가 카노사의 굴욕에서의 화해에 관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서임권 투쟁과 독일에서 발생한 하인리히 4세와의 전쟁에 중립적이었음을 보여준다.[4]

토리노의 생 앙드레 교회의 사망자 명부에 따르면 아메데오 2세는 1080년 1월 26일에 사망했다.[6] 이 날짜는 아델라이드가 3월 8일에 그녀의 아들 변경백 피터와 아메데우스 백작의 영혼을 위해 수도원에 기증한 기록으로 볼 때, 적어도 대략적으로는 정확한 것으로 보인다.[7]

아메데오 2세에 대해서는 후세에 남겨진 자료가 거의 없어 확실한 것은 적다. 알려진 것은 형 피에트로 1세와 마찬가지로 어머니의 말에 따랐다는 점과, 생애 두 번 로마를 방문했다는 것뿐이다.

3. 결혼과 자녀

후대의 《사보이 연대기》에 따르면, 아메데우스는 "부르고뉴의 지라르 백작"의 딸인 조안과 결혼했는데, 학자들은 그가 제네바의 게롤드 백작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8] 《알타쿰베 연대기》는 "아메데우스의 아내는 부르고뉴 출신이었다"고만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아메데우스 1세를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8] 만약 그의 아내가 제네바 출신이었다면, 사보이아 가문이 그렇게 일찍 제네보아의 상당 부분을 소유하게 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9]

그의 아내는 이름과 출신에 관계없이 아메데우스 2세에게 여러 자녀를 낳았지만, 그 수가 몇 명인지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있다. 그의 확실한 자녀는 다음과 같다.


  • 움베르토 2세 - 사보이아 백작
  • 콘스탄차 - 몬페라토 후작 오토네 2세 디 몬페라토 (1084년 사망)와 결혼
  • 아델라이데 (1090년 사망) - 콜리니 가문의 영주 마나세 5세와 결혼
  • 아욱실리아 - 1080년경 위베르 드 보죄 (1101년 사망)와 결혼
  • 오도네

4. 계승

아메데오 2세의 계승은 불분명하다. 훗날 사보이아 백작이 된 그의 아들 움베르토 2세는 잘 알려져 있지만, 1082년 당시 사보이아 백작은 오토 2세였다. 아메데오는 오토라는 이름의 남동생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는 이 시기의 아스티 주교였을 가능성이 더 높다. 이 때문에 콘테 디 베스메를 시작으로 일부 학자들은 오토 2세를 아메데우스 2세의 장남으로, 그가 아메데우스를 계승하고 다시 움베르토 2세가 계승했다고 추정한다.[9] 아메데우스의 죽음 직후, 아델라이드는 알프스 양쪽에 있는 모든 사보이아 영토를 장악했다.

참조

[1] 서적 The Early History of the House of Savoy (1000–123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2
[2] 웹사이트 Amedeo II, conte di Savoia http://www.treccani.[...]
[3] 논문 Women at Canossa. The Role of Elite Women in the Reconciliation between Pope Gregory VII and Henry IV of Germany (January 1077) https://storicamente[...] 2017
[4] 서적
[5] 인용구
[6] 기록
[7] 인용구
[8] 인용구
[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