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메리카수달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메리카수달속(Lontra)은 수달의 한 속으로, 이전에는 수달속에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별도의 속으로 분류된다. 이 속에는 북아메리카수달, 바다수달, 남아메리카수달, 긴꼬리수달의 4종과 화석종인 웨이 수달을 포함한다. 이들은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그리고 남아메리카의 연안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수달아과의 계통 분류에서 다른 수달 속들과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달아과 - 해달
    해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로, 뛰어난 수영 실력과 두꺼운 모피를 지녔으며 해양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핵심종이지만, 현재는 기름 유출, 범고래의 포식, 질병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 수달아과 - 바다수달
    바다수달은 남아메리카 남서부 연안에 서식하는 가장 작은 해양 포유류 중 하나로,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등을 사냥하며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아메리카수달속 - [생물]에 관한 문서
분포
분포 지역아메리카 대륙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족제비과
아과수달아과
아메리카수달속 (Lontra)
속 명명Gray, 1843
하위 분류
하위캐나다수달 (L. canadensis)
고양이수달 (L. felina)
긴코수달 (L. longicaudis)
남방수달 (L. provocax)
†L. weiri
학명
학명Lontra Gray, 1843
모식종Lutra canadensis
모식종 명명자Gray, 1843
참고 자료
참고 자료
한국어 명칭
한국어 명칭캐나다수달속

2. 하위 종

아메리카수달속에는 4종이 속해 있다. 이전에는 유럽수달과 함께 수달속으로 분류했으나, 현재는 별도의 속으로 분리되었다.[4][3]



이 속에는 4개의 현존하는 종과 1개의 화석 종이 포함된다.

2. 1. 현존하는 종

아메리카수달속에는 4종의 현존하는 종이 속해 있다. 이들은 이전에는 유럽수달과 함께 수달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별도의 속으로 분리되었다.[4][3]

이미지학명영명・일본명분포
Lontra canadensisNorth American river otter
캐나다수달
북아메리카
Lontra provocaxsouthern river otter
칠레수달
파타고니아
Lontra longicaudisneotropical otter
꼬리수달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Lontra felinamarine otter
해달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2. 1. 1. 북아메리카수달 (''Lontra canadensis'')



북아메리카수달(''Lontra canadensis'') 또는 북아메리카강수달은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수달의 일종이다.

아종
L. c. canadensis (Schreber, 1777)
L. c. kodiacensis (Goldman, 1935)
L. c. lataxina (Cuvier, 1823)
L. c. mira (Goldman, 1935)
L. c. pacifica (J. A. Allen, 1898)
L. c. periclyzomae (Elliot, 1905)
L. c. sonora (Rhoads, 1898)



7개의 아종이 있다.[4]

2. 1. 2. 남아메리카수달 (''Lontra provocax'')

'''남아메리카수달'''(''Lontra provocax'')은 칠레, 아르헨티나에 분포하는 수달의 일종이다. southern river otter (영어: southern river otter) 또는 칠레수달(일본어: チリ-カワウソ)로도 불린다.[3] 1908년 토마스에 의해 명명되었다.[4]

이미지학명영명・일본명분포
Lontra provocaxsouthern river otter
칠레수달
파타고니아


2. 1. 3. 긴꼬리수달 (''Lontra longicaudis'')



'''긴꼬리수달'''(''Lontra longicaudis'')은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트리니다드 섬에 분포하는 수달의 일종이다. 올퍼스가 1818년에 처음 이 종을 기재했다.

긴꼬리수달은 6개의 아종으로 나뉜다.[4]

아종
L. l. annectens
L. l. colombiana
L. l. enudris
L. l. incarum
L. l. longicaudis
L. l. raferrous


2. 1. 4. 바다수달 (''Lontra felina'')



'''바다수달'''(''Lontra felina'')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수달이다.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연안에서 발견된다.[3]

이미지학명영명・일본명분포
Lontra felinamarine otter
해달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2. 2. 멸종된 종

Lontra weirila플라이오세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멸종된 수달이다.[2]

학명일반명칭분포
†Lontra weirila웨이 수달플라이오세 북아메리카[2]


3. 계통 분류

다음은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기초한 수달아과의 계통 분류이다.[7]

{| class="wikitable"

|-

! 수달아과

|-

|

{| class="wikitable"

|-

| 큰수달속

|-

| 큰수달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해달속

|-

| 해달

|-

|

{| class="wikitable"

|-

! 얼룩목수달속

|-

| 얼룩목수달

|-

|

{| class="wikitable"

|-

! 수달속

|-

|



|-

|

{| class="wikitable"

|-

! 민발톱수달속

|-

| 아프리카민발톱수달

|-

|



|}

|}

|}

|}

|}

|-

! 아메리카수달속

|-

|

{| class="wikitable"

|-

| 북아메리카수달

|-

|

{| class="wikitable"

|-

| 긴꼬리수달

|-

|



|}

|}

|}

|}

이 종들은 이전에 유라시아수달과 함께 ''수달속''에 포함되었지만, 현재는 별도의 속으로 옮겨졌다.

이 속에는 4개의 현존하는 종과 1개의 화석 종이 포함된다.

참조

[1] MSW3 Carnivora
[2] 논문 "''Lontra weiri'', sp. nov., a Pliocene river otter (Mammalia, Carnivora, Mustelidae, Lutrinae) from the Hagerman Fossil Beds (Hagerman Fossil Beds National Monument), Idaho, USA" 2016-07
[3]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4] 서적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5] MSW3 Carnivora
[6] 저널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http://www.biomedcen[...] 2008-02
[7] 저널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