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메온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메온나는 일본의 요괴로, 비와 관련된 다양한 설화가 존재한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갓난아이를 잃은 여성이 비를 동반하며 나타나거나, 가뭄에 비를 내려주는 비의 신으로 묘사된다. 나가노현에서는 '아메온바'로 불리며 어린이를 유괴하는 요괴로 여겨지기도 한다. 토리야마 세키엔의 《화도백귀야행》에는 아메온나 그림이 등장하며, 중국 고사에서 유래한 묘사가 있지만, 세키엔이 에도 시대의 유곽을 풍자하기 위해 창작한 인물이라는 주장도 있다. 또한, 특정 여성이나 남성이 비를 몰고 다니는 사람을 비유하는 속설로 '아메온나'와 '아메오토코'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가노현의 요괴 - 로쿠로쿠비
    로쿠로쿠비는 일본의 요괴로, 목이 자유자재로 늘어나거나 몸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목이 분리되어 날아다니는 분리비행형과 목이 신축적으로 늘어나는 신축인장형으로 나뉜다.
  • 나가노현의 요괴 - 야마비코
    야마비코는 일본에서 메아리 현상을 의인화한 요괴로, 개 또는 개와 원숭이를 섞은 듯한 모습으로 묘사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전승과 형태를 지니고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상징한다.
  • 일본 민간신앙 - 마네키네코
    마네키네코는 한쪽 발을 들고 손짓하는 고양이 모양의 일본의 행운을 상징하는 조형물이며, 상업 번창, 행운, 건강 등을 상징하며 손의 방향, 색상, 재료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 일본 민간신앙 - 천인침
    천인침은 일본에서 전쟁에 나서는 군인의 무운장구와 생환을 기원하며 천 개의 바늘땀을 수놓아 만든 것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일본 정부에 의해 장려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한국인 강제 동원에 이용되기도 했다.
  • 비 (날씨) - 물웅덩이
    물웅덩이는 빗물 등으로 인해 지표면에 일시적으로 고인 물로, 자연적으로 사라지기도 하지만 도로 등 인공적인 요인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야생동물에게 수분 공급원이 되거나 질병 매개체가 되기도 하고, 교통사고나 아이들의 놀이 공간이 되기도 한다.
  • 비 (날씨) - 소나기
    소나기는 여름철 대류 현상으로 적운이나 적란운에서 급작스럽게 내리는 짧고 강렬한 비로, 우박이나 뇌우를 동반하기도 하며, 가뭄 해소에 도움을 주지만 집중호우 피해를 유발하기도 하고, 한국 문화에서는 첫사랑에 비유되기도 한다.
아메온나
기본 정보
아메온나의 그림
아메온나의 그림
이름아메온나 (雨女)
어원비 (雨) + 여자 (女)
유형요괴
문화권일본
특징
외모비에 젖은 모습, 때로는 아이를 안고 있음
능력비를 내리게 하는 능력
기원비를 갈망하는 인간의 염원, 슬픈 과거를 가진 여성의 원혼
전승
이야기아메온나가 나타나면 비가 내린다.
아이를 납치하거나, 비를 통해 재앙을 불러온다.
대중문화 속 아메온나
등장 작품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만화 등 다양한 매체에 등장
작품에 따라 긍정적/부정적 역할 수행

2. 기원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아이가 비 오는 날 행방불명되어, 그 아이를 잃어버린 여성이 아메온나가 되어 울고 있는 어린이 곁에 커다란 자루를 메고 나타난다는 설이 있다.[17][4][12]

가뭄이 계속될 때 비를 내려주어 ‘비를 원하는 사람을 도와주는 요괴’라는 신성한 ‘비신(神)’의 일종이라는 설도 있다.[18][5][13] 반면, ‘비를 부르는 성가신 요괴’라는 말도 있다.[18]

나가노현 시모이나군에서는 '''아메온바(雨おんば)'''라고도 하며, 비가 내리는 밤에 나타나[19][6][14] 어린이를 유괴하는 요괴,[20][7][15] 혹은 비가 오는 날에 방문하는 신이 타락하여 요괴화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21][8][16]

토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그림 모음집 《화도백귀야행》에는 "아메온나"라는 그림이 있으며, 해설에는 "중국 무산에서 여신은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된다. 아메온나도 아마 이런 종류의 요괴일 것이다" (もろこし巫山の神女は 朝には雲となり 夕には雨となるとかや 雨女もかかる類のものなりや중국어)라고 적혀 있다. 이는 초나라의 문인 송옥의 시 『고당부』에서, 초 회왕이 꿈속의 무산의 여인을 사랑하고, 여인이 떠날 때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아침저녁으로 양태 아래에서 만납시다"라고 말한 에피소드를 인용한 것이며, "조운모우"는 남녀의 은밀한 교정을 나타내는 고사성어이다[1][9] 《화도백귀야행》에서 비와 관련된 요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으며,[2][10] 아메온나는 단순히 세키엔이 에도 시대의 요시와라 유곽을 풍자하기 위해 만들어낸 창작물이라는 주장도 있다.[3][11]

2. 1. 토리야마 세키엔의 『화도백귀야행』



토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그림 모음집 《화도백귀야행》에는 "아메온나"라는 그림이 있으며, 해설에는 "중국 무산에서 여신은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된다. 아메온나도 아마 이런 종류의 요괴일 것이다" (もろこし巫山の神女は 朝には雲となり 夕には雨となるとかや 雨女もかかる類のものなりや일본어)라고 적혀 있다.[1] 이는 초나라 문인 송옥의 《고당부》에 나오는 일화에서 인용한 것으로, 초 회왕은 무산의 여인과 사랑에 빠지는 꿈을 꿨는데, 그녀는 떠나기 전에 "나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될 것이니, 아침과 저녁에 발코니에서 만나자"라는 말을 남겼다.[1] 초나라의 문인 송옥의 시 『고당부』에서, 초나라 회왕이 꿈속의 무산의 여인을 사랑하고, 여인이 떠날 때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아침저녁으로 양태 아래에서 만납시다"라고 말한 에피소드를 인용한 것이며, "조운모우"는 남녀의 은밀한 교정을 나타내는 고사성어이다[9]

《화도백귀야행》에서 비와 관련된 요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으며,[2][10] 아메온나는 단순히 세키엔이 에도 시대의 요시와라 유곽을 풍자하기 위해 만들어낸 창작물이라는 주장도 있다.[3][11]

2. 2. 민간 전승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아이가 비 오는 날 행방불명되어, 그 아이를 잃어버린 여성이 아메온나가 되어 울고 있는 어린이 곁에 커다란 자루를 메고 나타난다는 설이 있다.[17][4][12]

가뭄이 계속될 때 비를 내려주어 ‘비를 원하는 사람을 도와주는 요괴’라는 신성한 ‘비신(神)’의 일종이라는 설도 있다.[18][5][13] 반면, ‘비를 부르는 성가신 요괴’라는 말도 있다.[18]

나가노현 시모이나군에서는 '''아메온바(雨おんば)'''라고도 하며, 비가 내리는 밤에 나타나[19][6][14] 어린이를 유괴하는 요괴,[20][7][15] 혹은 비가 오는 날에 방문하는 신이 타락하여 요괴화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21][8][16]

토리야마 세키엔의 《화도백귀야행》에는 "아메온나"라는 그림이 있으며, 해설에는 "중국 무산에서 여신은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된다. 아메온나도 아마 이런 종류의 요괴일 것이다" (もろこし巫山の神女は 朝には雲となり 夕には雨となるとかや 雨女もかかる類のものなりや중국어)라고 적혀 있다. 이는 초나라 문인 송옥의 《고당부》에 나오는 일화에서 인용한 것으로, 초 회왕은 무산의 여인과 사랑에 빠지는 꿈을 꿨는데, 그녀는 떠나기 전에 "나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될 것이니, 아침과 저녁에 발코니에서 만나자"라는 말을 남겼고, 朝雲暮雨 (Chaoyunmuyu중국어, Chōunbō일본어)는 "아침 구름 저녁 비"로 번역되며, 남녀 간의 은밀한 관계를 나타내는 오래된 성어 (중국 속담)이다.[1][9] 비와 관련된 요괴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2][10] 아메온나는 단순히 세키엔이 에도 시대요시와라 유곽을 풍자하기 위해 만들어낸 창작물이라는 주장도 있다.[3][11]

2. 3. 비의 신

아메온나는 '비를 부르는 성가신 요괴'라는 말이 있지만, 가뭄이 계속될 때 비를 내려주어 '비를 원하는 사람을 도와주는 요괴'라는 신성한 '비신(神)'의 일종이라는 설도 있다.[18]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아이가 비 오는 날 행방불명되면, 그 아이를 잃어버린 여성이 아메온나가 되어 울고 있는 어린이 곁에 커다란 자루를 메고 나타난다는 설도 있다.[17]

나가노현 시모이나군에서는 '''아메온바(雨おんば)'''라고도 불리며, 비가 내리는 밤에 나타나[19] 어린이를 유괴하는 요괴,[20] 혹은 비 오는 날에 방문하는 신이 타락하여 요괴화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21]

토리야마 세키엔의 《화도백귀야행》에는 "아메온나"라는 그림이 있으며, 해설에는 "중국 무산에서 여신은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된다. 아메온나도 아마 이런 종류의 요괴일 것이다"라고 적혀 있다. 이는 초나라 문인 송옥의 《고당부》에 나오는 일화에서 인용한 것으로, 초 회왕은 무산의 여인과 사랑에 빠지는 꿈을 꿨는데, 그녀는 떠나기 전에 "나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될 것이니, 아침과 저녁에 발코니에서 만나자"라는 말을 남겼다. 朝雲暮雨 (중국어: Chaoyunmuyu, 일본어: Chōunbō)는 "아침 구름 저녁 비"로 번역되며, 남녀 간의 은밀한 관계를 나타내는 오래된 성어 (중국 속담)이다.[1] 하지만, 비와 관련된 요괴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2] 아메온나는 단순히 세키엔이 에도 시대요시와라 유곽을 풍자하기 위해 만들어낸 창작물이라는 주장도 있다.[3]

3. 개인에 관한 속설: 아메온나, 아메오토코

여성이 무언가(외출이나 중요 행사 등)를 하려고 하면, 꼭 비가 내리게 하는 (혹은 그렇게 보이는) 사람을 '아메온나'라고 부르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남성은 '''아메오토코(雨男)'''라고 불린다. 또한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하레온나, 하레오토코(晴れ女,晴れ男)' 가 있다.

말의 구성이 위와 닮은 유키오토코와 유키온나는 다른 종류의 민간 전승으로, 공상 속의 존재이다. 여기서 말하는 아메온나, 아메오토코(하레온나, 하레오토코 포함)는, 어떤 실제의 특정 개인에 대하여, '~씨는 아메온나(아메오토코)다.'와 같이 '''간주하는''' 속신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3. 1. 아메온나, 아메오토코를 주제로 한 작품

이시카와 다쓰조의 소설 『어떤 비의 여인의 초상』, 사토 아이코의 소설 『아침 비 여인의 걷어붙임』, 사와다 후지코의 소설 『비의 여자 - 공사 숙소 사건 기록장』, 아와사카 츠마오의 소설 『비의 여자』, 시모다 게이주의 소설 『비에 괴로워하는 여자』, 다카하시 사요코의 소설 『비의 여자 ~가집~』이 있다. LADYBUG의 노래 『비의 남자』, 이로쿠이。의 노래 『마천루의 비의 남자』, 후지코 F. 후지오의 만화 도라에몽 에피소드 중 하나인 『비의 남자는 괴로워』가 있다.

참조

[1] 서적 鳥山石燕 画図百鬼夜行 [[国書刊行会]]
[2] 서적 日本妖怪大事典 [[角川書店]]
[3] 서적 百鬼解読 [[講談社]]
[4] 서적 本当にいる日本の「現代妖怪」図鑑 [[笠倉出版社]]
[5] 서적 妖怪大図鑑 講談社
[6] 서적 動物妖怪譚 [[中央公論新社]]
[7] 서적 妖怪お化け雑学事典 講談社
[8] 서적 日本の妖怪百科 [[河出書房新社]]
[9] 서적 鳥山石燕 画図百鬼夜行 [[国書刊行会]]
[10] 서적 日本妖怪大事典 [[角川書店]]
[11] 서적 百鬼解読 [[講談社]]
[12] 서적 本当にいる日本の「現代妖怪」図鑑 [[笠倉出版社]]
[13] 서적 妖怪大図鑑 講談社
[14] 서적 動物妖怪譚 [[中央公論新社]]
[15] 서적 妖怪お化け雑学事典 講談社
[16] 서적 日本の妖怪百科 [[河出書房新社]]
[17] 서적 정말로 있는 일본의 ‘현대요괴’ 도감 [[가사쿠라 출판사]]
[18] 서적 요괴대도감II [[고단샤]]
[19] 서적 전국요괴사전 [[쇼가쿠칸]]
[20] 서적 요괴 도깨비 잡학사전 고단샤
[21] 서적 일본의 요괴백과 3마을의 요괴 그림과 사진으로 원령의 세계를 찾다 [[가와제쇼보신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