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멘엠오페의 교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멘엠오페의 교훈은 아멘엠오페가 저술했다고 전해지는 고대 이집트의 지혜 문학 작품이다. 기원전 11세기에서 6세기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며, 주요 증거 자료는 대영 박물관 파피루스 10474이다. 이집트의 지혜 문학 작품과 성경 잠언 사이의 유사성이 학계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었으며, 많은 학자들은 아멘엠오페가 잠언에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아멘엠오페의 교훈과 잠언은 가난한 자를 억압하지 말 것, 지혜로운 자의 말에 귀 기울일 것 등 여러 내용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이집트 문학 - 나르메르 팔레트
    나르메르 팔레트는 나르메르 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의식용 방패 모양 팔레트로, 양면에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통합 등 다양한 도상이 묘사되어 역사적 의미와 예술적 가치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대중 문화와 학계에서 활용된다.
  • 고대 이집트 문학 - 서신서
    서신서는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에서 교리나 주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신약성경의 서신은 바울로 서신과 공동 서신으로 나뉘어 기독교 신학 및 윤리의 근본 텍스트로 여겨진다.
아멘엠오페의 교훈
기본 정보
유형교훈 문학
언어고대 이집트어
시대람세스 시대 말기
저자아멘엠오페
필사 시기기원전 11세기 ~ 기원전 10세기
다른 이름아멘-엠-오페의 가르침
내용30개의 장으로 구성된 가르침 모음
추가 정보
관련 성경 구절잠언 22:17-23:14

2. 저자와 연대

''아멘엠오페의 교훈''은 아멘엠오페라는 인물에 의해 쓰여졌다고 전해지지만, 정확한 저자와 연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다만, 발견된 여러 파피루스 사본과 필기용 판자, 오스트라콘 등을 통해 기원전 11세기에서 기원전 6세기 사이에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증거 자료'''

''아멘엠오페의 교훈''은 여러 사본을 통해 전해져 내려오는데, 그중 가장 완전한 텍스트는 대영 박물관 파피루스 10474이다.[1][9] 이 파피루스는 1888년 초 E. A. 왈리스 버지가 테베에서 입수했다.[1] 두루마리의 길이는 약 3.66m이고 너비는 254mm이다. 앞면에는 ''교훈''의 신관 문자가 적혀 있고, 뒷면에는 다른 내용들이 적혀 있다.[10] 1888년 11월, 피터 르 페이지 르누프는 이 파피루스에서 창세기에 나오는 요셉의 이야기와 관련 없는 기사에서 몇 단어를 인용하며 "주목할 만한 구절"을 언급했다.[11]

1922년 버지는 짧은 텍스트 설명과 번역본을 출판했고,[13] 1923년에는 상형 문자 전사 및 번역과 함께 사진 복제본을 대영 박물관에서 공식 출판했다.[14] 1924년에는 더 광범위한 해설을 포함하여 출판했다.[15][16] H.O. 랑게 (1925), J. 러플 (1964), V. 레이스니 (2007) 등이 상형 문자 전사를 포함한 후속 출판물을 냈다. 파피루스의 사진 사본은 대영 박물관에서 구할 수 있다.[17]

대영 박물관 파피루스 10474 외에도 파피루스 조각, 필기용 판자 4개, 오스트라콘, 낙서 등에서 ''아멘엠오페''의 추가 조각들이 발견되어 총 8개의 증거 자료가 존재한다.[1][18] 하지만 다른 텍스트들은 완전하지 않아, 대영 박물관 파피루스가 텍스트의 주요 증거로 남아 있다.[1] 학자들이 다양한 증거 자료에 부여한 연대는 기원전 1069년경(파피루스 조각 및 필기용 판자 중 하나)에서 기원전 500년경(대영 박물관 파피루스 10474)까지 다양하다.[19]

텍스트 증거, 연대별[19]
기원전 날짜왕조조각유형
1069–71221–22스톡홀름 MM 18416파피루스191–257
1069–71221–22루브르 E. 17173판자34–37
1000–90021 말 – 22 초카이로 1840오스트라콘47–66
945–71222메디네트 하부낙서1
747–52525–26토리노 6237판자470–500
747–52525–26모스크바 I 1 δ 324판자105–115
747–52525–26토리노 부록 4661판자1
600–50026 말 – 27 초B. M. 10474파피루스1–551


2. 1. 주요 증거 자료

''아멘엠오페의 교훈''은 여러 사본을 통해 전해져 내려오는데, 그중 가장 완전한 텍스트는 대영 박물관 파피루스 10474이다.[1][9] 이 파피루스는 1888년 초 E. A. 왈리스 버지가 테베에서 입수했다.[1] 두루마리의 길이는 약 3.66m이고 너비는 254mm이다. 앞면에는 ''교훈''의 신관 문자가 적혀 있고, 뒷면에는 다른 내용들이 적혀 있다.[10] 1888년 11월, 피터 르 페이지 르누프는 이 파피루스에서 창세기에 나오는 요셉의 이야기와 관련 없는 기사에서 몇 단어를 인용하며 "주목할 만한 구절"을 언급했다.[11]

1922년 버지는 짧은 텍스트 설명과 번역본을 출판했고,[13] 1923년에는 상형 문자 전사 및 번역과 함께 사진 복제본을 대영 박물관에서 공식 출판했다.[14] 1924년에는 더 광범위한 해설을 포함하여 출판했다.[15][16] H.O. 랑게 (1925), J. 러플 (1964), V. 레이스니 (2007) 등이 상형 문자 전사를 포함한 후속 출판물을 냈다. 파피루스의 사진 사본은 대영 박물관에서 구할 수 있다.[17]

대영 박물관 파피루스 10474 외에도 파피루스 조각, 필기용 판자 4개, 오스트라콘, 낙서 등에서 ''아멘엠오페''의 추가 조각들이 발견되어 총 8개의 증거 자료가 존재한다.[1][18] 하지만 다른 텍스트들은 완전하지 않아, 대영 박물관 파피루스가 텍스트의 주요 증거로 남아 있다.[1] 학자들이 다양한 증거 자료에 부여한 연대는 기원전 1069년경(파피루스 조각 및 필기용 판자 중 하나)에서 기원전 500년경(대영 박물관 파피루스 10474)까지 다양하다.[19]

텍스트 증거, 연대별[19]
기원전 날짜왕조조각유형
1069–71221–22스톡홀름 MM 18416파피루스191–257
1069–71221–22루브르 E. 17173판자34–37
1000–90021 말 – 22 초카이로 1840오스트라콘47–66
945–71222메디네트 하부낙서1
747–52525–26토리노 6237판자470–500
747–52525–26모스크바 I 1 δ 324판자105–115
747–52525–26토리노 부록 4661판자1
600–50026 말 – 27 초B. M. 10474파피루스1–551


3. 주요 내용

4. 문학적 특징

5. 성경과의 관계

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에 대한 이집트의 영향력은 이집트의 제3중간기 동안 히스기야의 통치 기간에 특히 강력했다.[20] 그 결과, "히브리 문학은 이집트의 교훈서에서 파생된 개념과 인물로 가득 차 있으며",[21] 아메넴오페가 가장 두드러진 예로 자주 언급된다.[1][22] 1922년 아메넴오페에서 발췌한 내용을 처음으로 발표했을 때 버지도 성경의 지혜서와의 뚜렷한 유사성을 언급했다.[23] 그는 1923년과 1924년 출판물에서 이러한 언급을 확대하여 아메넴오페의 종교적 도덕성이 히브리 성경의 가르침과 "매우 유사"하며, 아메넴오페잠언, 시편, 신명기 텍스트 간의 구체적인 유사점을 제시했다.[24] 다른 사람들도 곧 그의 뒤를 따랐다.

아돌프 에르만은 1924년에 『아멘엠오페의 교훈』 텍스트와 성경의 잠언 사이의 광범위한 일치 목록을 발표했는데, 그 대부분은 잠언 22:17–23:11에 집중되어 있었다.[26] 에르만은 『아멘엠오페』를 사용하여 잠언 22:20의 난해한 구절을 수정하고, ''sheloshim''("서른")으로 대체하면 문맥상 의미가 통할 뿐만 아니라 두 텍스트 사이에 유사점이 생긴다고 지적했다.[1][27][28] 복원된 "서른 개의 잠언"은 잠언 22:20에서 『아멘엠오페』의 서른 개의 장과 일치한다.[29]



'''(잠언 22:20)''': "지혜와 지식의 귀한 말씀을 너에게 알려주어 네가 진리를 깨닫게 하려 함이 아니냐?" (표준새번역)





'''(아멘엠오페, 30장, 539행)''': "이 서른 개 장을 보라. 그것들은 가르치고, 교육한다."[29]



에르만은 『아멘엠오페』가 서른 개의 장을 명시적으로 열거하지만, 잠언은 명확한 구분이 없어 필사 과정에서 의미를 잃을 가능성이 높기에, 히브리 텍스트가 이집트 텍스트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았다.[30] 에르만 이후 두 작품 사이에 문학적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점에는 학자들 사이에서 거의 합의가 이루어졌지만, 영향의 방향은 논쟁의 대상이다. 대다수는 잠언 22:17–23:10이 『아멘엠오페』에 의존했다고 결론 내렸고, 소수는 히브리 텍스트가 『아멘엠오페』의 영감이었거나, 두 작품 모두 셈어 원본에 의존했다고 본다.[1][31]

야로슬라프 체르니는 카이로 1840 오스트라콘에 새겨진 아멘엠오페 텍스트의 연대를 제21왕조 후기로 추정했다.[34] 21왕조 연대는 아멘엠오페가 잠언의 가장 이른 시기보다 앞선 시기임을 나타내므로, 아멘엠오페가 잠언보다 우선하며 다른 방향으로의 영향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35]

이집트 우선성에 대한 다른 증거로는 아멘엠오페와 카젬니의 교훈 및 프타호테프의 교훈(둘 다 적어도 제12왕조로 거슬러 올라감)[36], 아니의 교훈(제18왕조 말 또는 제19왕조 초)[37]과 같은 초기 고대 이집트 작품 간의 긴밀한 문학적 관계, 아멘엠오페의 장르, 주제 및 어휘의 이집트적 특성[38], 이집트 원본이 성경 저자에 의해 채택된 편집 및 구조적 메커니즘[39] 등이 있다.

1960년대에 학자들 사이에서는 아멘엠오페의 우선성과 잠언에 대한 영향에 대한 사실상 합의가 이루어졌다.[40] 존 A. 윌슨은 "두 지혜 문학 작품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으며 아멘엠오페가 조상 텍스트라고 믿는다. 히브리어의 이차적인 성격은 확립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선언했다.[41] ''예루살렘 성경''[42] 등 많은 연구 성경과 주석서들이 이를 따랐다. 가톨릭 ''뉴 아메리칸 성경'' 번역자들은 잠언 22:19의 모호한 히브리어 텍스트를 "나는 당신에게 아멘엠오페의 말씀을 알린다"로 수정했다.[45]

R. N. 와이브레이는 "아멘엠오페"와 "잠언"의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며, 이집트 텍스트의 일부 주제만 잠언 22:17–24:22에서 발견되며 순서가 다르다고 주장했다.[46] 그러나 J. A. 에머튼[47]과 닐리 슈팍[48]은 와이브레이의 결론에 반박했다. 존 러플은 "추정되는 연관성은 피상적이며, 주제의 유사성을 넘어서지 않고, 다르게 다루어진다."라고 했다.[49]

아멘엠오페의 교훈잠언은 여러 구절에서 내용과 표현 방식이 매우 유사하다.[50] 예를 들어, 가난한 자를 억압하지 말라는 가르침(잠언 22:22, 아멘엠오페의 교훈 ch. 2), 분노하는 자와 어울리지 말라는 가르침(잠언 22:24-5, 아멘엠오페의 교훈 ch. 10), 재물을 좇지 말라는 가르침(잠언 23:4-5, 아멘엠오페의 교훈 ch. 7) 등은 두 텍스트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50]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유사성이 발견된다.[50]

5. 1. 학계의 논쟁

아돌프 에르만은 1924년에 『아멘엠오페의 교훈』 텍스트와 성경의 잠언 사이의 광범위한 일치 목록을 발표했는데, 그 대부분은 잠언 22:17–23:11에 집중되어 있었다.[26] 에르만은 『아멘엠오페』를 사용하여 잠언 22:20의 난해한 구절을 수정하고, ''sheloshim''("서른")으로 대체하면 문맥상 의미가 통할 뿐만 아니라 두 텍스트 사이에 유사점이 생긴다고 지적했다.[1][27][28] 복원된 "서른 개의 잠언"은 잠언 22:20에서 『아멘엠오페』의 서른 개의 장과 일치한다.[29]



'''(잠언 22:20)''': "지혜와 지식의 귀한 말씀을 너에게 알려주어 네가 진리를 깨닫게 하려 함이 아니냐?" (표준새번역)





'''(아멘엠오페, 30장, 539행)''': "이 서른 개 장을 보라. 그것들은 가르치고, 교육한다."[29]



에르만은 『아멘엠오페』가 서른 개의 장을 명시적으로 열거하지만, 잠언은 명확한 구분이 없어 필사 과정에서 의미를 잃을 가능성이 높기에, 히브리 텍스트가 이집트 텍스트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았다.[30] 에르만 이후 두 작품 사이에 문학적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점에는 학자들 사이에서 거의 합의가 이루어졌지만, 영향의 방향은 논쟁의 대상이다. 대다수는 잠언 22:17–23:10이 『아멘엠오페』에 의존했다고 결론 내렸고, 소수는 히브리 텍스트가 『아멘엠오페』의 영감이었거나, 두 작품 모두 셈어 원본에 의존했다고 본다.[1][31]

야로슬라프 체르니는 카이로 1840 오스트라콘에 새겨진 아멘엠오페 텍스트의 연대를 제21왕조 후기로 추정했다.[34] 21왕조 연대는 아멘엠오페가 잠언의 가장 이른 시기보다 앞선 시기임을 나타내므로, 아멘엠오페가 잠언보다 우선하며 다른 방향으로의 영향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35]

이집트 우선성에 대한 다른 증거로는 아멘엠오페와 카젬니의 교훈 및 프타호테프의 교훈(둘 다 적어도 제12왕조로 거슬러 올라감)[36], 아니의 교훈(제18왕조 말 또는 제19왕조 초)[37]과 같은 초기 고대 이집트 작품 간의 긴밀한 문학적 관계, 아멘엠오페의 장르, 주제 및 어휘의 이집트적 특성[38], 이집트 원본이 성경 저자에 의해 채택된 편집 및 구조적 메커니즘[39] 등이 있다.

1960년대에 학자들 사이에서는 아멘엠오페의 우선성과 잠언에 대한 영향에 대한 사실상 합의가 이루어졌다.[40] 존 A. 윌슨은 "두 지혜 문학 작품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으며 아멘엠오페가 조상 텍스트라고 믿는다. 히브리어의 이차적인 성격은 확립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선언했다.[41] ''예루살렘 성경''[42] 등 많은 연구 성경과 주석서들이 이를 따랐다. 가톨릭 ''뉴 아메리칸 성경'' 번역자들은 잠언 22:19의 모호한 히브리어 텍스트를 "나는 당신에게 아멘엠오페의 말씀을 알린다"로 수정했다.[45]

R. N. 와이브레이는 "아멘엠오페"와 "잠언"의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며, 이집트 텍스트의 일부 주제만 잠언 22:17–24:22에서 발견되며 순서가 다르다고 주장했다.[46] 그러나 J. A. 에머튼[47]과 닐리 슈팍[48]은 와이브레이의 결론에 반박했다. 존 러플은 "추정되는 연관성은 피상적이며, 주제의 유사성을 넘어서지 않고, 다르게 다루어진다."라고 했다.[49]

5. 2. 구체적인 유사성

아멘엠오페의 교훈잠언은 여러 구절에서 내용과 표현 방식이 매우 유사하다.[50] 예를 들어, 가난한 자를 억압하지 말라는 가르침(잠언 22:22, 아멘엠오페의 교훈 ch. 2), 분노하는 자와 어울리지 말라는 가르침(잠언 22:24-5, 아멘엠오페의 교훈 ch. 10), 재물을 좇지 말라는 가르침(잠언 23:4-5, 아멘엠오페의 교훈 ch. 7) 등은 두 텍스트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50]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유사성이 발견된다.[50]

6. 현대적 의의

참조

[1] 서적 Lichtheim 1976
[2] 서적 Williams 1978
[3] 서적 Weeks 1994
[4] 서적 Washington 1994
[5] 서적 Ray 1997
[6] 서적 Lichtheim 1973
[7] 서적 Wilson 1951
[8] 간행물 Studies in Comparative Religion Catholic Truth Society 1934
[9] 서적 Budge 1920
[10] 서적 Budge 1923
[10] 서적 Posener 1945
[11] 서적 Renouf 1888
[12] 서적 Usick 2006
[13] 서적 Budge 1922
[14] 서적 Budge 1923
[15] 서적 Budge 1924
[16] 웹사이트 The Teaching of Amen-Em-Apt, Son of Kanekht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2020-01-08
[17] 웹사이트 British Museum Web Site (www.britishmuseum.org) https://www.britishm[...]
[18] 서적 Black 2002
[19] 서적 Black 2002
[20] 서적 Williams 1971
[21] 서적 Williams 1971
[22] 서적 Williams 1971
[23] 서적 Budge 1922
[24] 서적 Budge 1923
[24] 서적 Budge 1924
[25] 서적 Mercer 1926
[26] 서적 Erman 1924
[27] 서적 Erman 1924
[28] 서적 Black 2002
[29] 서적 Lichtheim 1976
[30] 서적 Mertz 1978
[31] 서적 Overland 1996
[32] 서적 Lange 1925
[33] 서적 Ruffle 1995
[34] 서적 Williams 1961
[35] 서적 Overland 1996
[36] 서적 Gardiner 1942
[37] 서적 Lichtheim 1976
[38] 서적 Williams 1961
[39] 논문 Overland 1996
[40] 서적 Shupak 2005
[41] 서적 Wilson 1951
[42] 서적 Jones 1966
[43] 서적 Pfeiffer 1948
[44] 서적 Eissfeldt 1965
[45] 간행물 Textual Notes 1970
[46] 서적 Whybray Proverbs 1995
[47] 논문 Emerton 2001
[48] 서적 Shupak 2005
[49] 웹인용 The Teaching of Amenemope and its Connection with the Book of Proverbs http://98.131.162.17[...] 1977
[50] 서적 The Legacy of Egypt Oxford 194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