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루살렘 성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루살렘 성경은 1943년 교황 비오 12세의 지시에 따라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전을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시작되었다. 1956년 프랑스어 초판이 출판되었고, 이후 영어 번역본이 제작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이 성경은 현대적인 성서 비평학에 기반한 주석과 해석을 제공하며, 가톨릭 전례에서 널리 사용된다. 영어 번역본은 J.R.R. 톨킨이 요나서 번역에 참여하는 등, 원문 해석에 현대적인 학문적 접근을 반영했다. 예루살렘 성경은 구약성경에서 야훼(Yahweh)를 사용했으나, 2008년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지시에 따라 전례용 성경에서 이 표기가 삭제되었다. 현재까지 다양한 개정을 거쳐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성서학 및 신학 분야, 교회 및 전례, 그리고 문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기독교 - 비틀즈의 예수 발언
    1966년 존 레논의 "우리는 예수보다 더 유명하다"라는 발언은 전 세계적인 논란과 비틀즈 음반 소각 시위를 야기했으며, 표현의 자유와 종교적 신념의 충돌이라는 사회적 논쟁을 촉발하고 비틀즈의 음악적, 사회적 영향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도미니코회 - 신학대전
    신학대전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집필한 기독교 신학의 대표적 저서로, 이성과 신앙의 조화를 추구하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기반으로 하느님의 존재와 본성, 창조, 인간의 본성, 윤리, 법, 은총, 성사, 종말론 등 광범위한 주제를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미완성 부분을 제자들이 완성하여 오늘날까지 기독교 신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도미니코회 -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은 이탈리아 피렌체에 위치한 성당으로, 도미니코 수도회에 의해 13세기 중반 건설이 시작되어 1420년 축성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 알베르티의 파사드 설계와 바사리의 내부 개조, 그리고 마사초의 "성 삼위일체"를 비롯한 예술 작품들을 소장하고 있는 산타 마리아 노벨라 미술관으로도 사용되는 곳이다.
예루살렘 성경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제목예루살렘 성경
전체 이름La Bible de Jérusalem
약칭JB 또는 TJB
언어프랑스어
출판 연도1956년
출판사엘살렘 프랑스 성서 고고학 학원
소속가톨릭
번역 정보
완역 성경 출판일1966년
본문 기초구약성경: La Bible de Jérusalem, 마소라 본문 (특히 시편에서 칠십인역의 영향이 강하며, 일부 불가타 성경 영향도 있음).
신약성경: La Bible de Jérusalem, 네슬-알란트 Novum Testamentum Graece와 높은 일치도를 보이는 절충 본문 (주요 이본은 다수 본문 및 거룩한 전통에서 가져옴, 즉 요한의 코마 및 마르코 복음 16장의 긴 결말을 포함하거나 언급함).
제2경전: 칠십인역 (불가타 성경 영향도 있음).
번역 유형역동적 동등성
저작권
저작권1966, 1967, 1968년 Darton, Longman & Todd Ltd와 Doubleday and Co. Inc.
주요 성경 구절
창세기 1:1-3태초에 하느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 땅은 모양이 없는 혼돈 상태였고, 심연 위에는 어둠이 있었으며, 하느님의 영이 물 위를 감돌고 있었다. 하느님께서 “빛이 생겨라.” 하시자 빛이 생겨났다.
요한복음 3:16하느님께서는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외아들을 내주시어,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멸망하지 않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셨다.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The Jerusalem Bible

2. 역사

1943년 교황 비오 12세는 회칙 《성령의 영감(Divino Afflante Spiritu)》을 반포하여, 가톨릭 학자들이 자국어로 성경을 번역할 때 라틴어 불가타 성경 대신 히브리어그리스어 원전을 직접 번역할 것을 권장하였다.[15][16] 이에 따라 예루살렘의 에콜 비블리크(예루살렘 고고학 학회)에 있던 도미니코회 학자들과 여러 학자들이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전을 프랑스어로 번역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다.[15]

1890년 마리-조제프 라그랑주(père Marie-Joseph Lagrange) 신부에 의해 설립된 예루살렘 프랑스 성서고고학원(École biblique et archéologique française)은 성지(聖地) 지역에서 고고학과 성서학을 연구하는 가장 오래된 연구 기관이었다.[15] 설립 초기부터 성서 기원에 대한 연구가 이 기관의 중심 과제였으며, 역사학, 고고학, 민족학, 지리학, 비문학, 고전어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협력해 왔다.[1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성서고고학원은 새로운 성서 번역을 결정했는데, 이는 라그랑주 신부의 의도와 1943년 교황 비오 12세가 발표한 회칙 「신의 영감으로」(Divino afflante Spiritu)의 정신에도 부합하는 것이었다.[16] 30명이 넘는 연구자와 성서 비평학자들이 토마-조르주 시플로(Thomas-Georges Chifflot)의 지휘 아래, 롤랑 드 보(Roland de Vaux)의 협력을 받아 히브리어, 아람어, 고대 그리스어 원전을 번역하는 작업에 매달렸다.[16] 성서의 각 권은 각주와 함께 설명을 제공하고, 여백에는 성경 참조를 표기하는 과학적인 작업 대상이 되었다.[17] 각 권에 대한 심층적인 서론에서는 본문의 신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그 기록과 관련된 역사적, 문학적 요소들도 다루었다.[17]

이러한 노력의 결과, 1956년 프랑스어 성경(La Bible de Jérusalem) 초판이 출판되었다.[30] 이 성경은 1945년부터 1955년까지 43권으로 나뉘어 출판된 초판 발행 후 약 10년 뒤에 한 권으로 묶여 출판되었으며, 번역과 주석이 수정 및 보완되었다.[30] 현대적인 성서 비평학에 기반한 주석과 해석은 당시에는 혁신적인 것이었으며, 가톨릭 전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경이 되었다.[31]

1966년 영어로 번역된 예루살렘 성경(The Jerusalem Bible)은 히브리어그리스어 원전을 직접 번역하였으며, 여러 해석이 가능한 구절에서는 프랑스어 번역본의 해석을 따랐다.[37] J. R. R. 톨킨요나서 번역에 공헌하는 등[23] 원문 해석에 큰 영향을 주었다. 예루살렘 성경은 각 책의 서문과 각주, 번역 방식에 현대적인 학문적 접근과 역사비평적 방식을 반영하였다. 예를 들어, 모세 오경 서문에서는 모세의 역사적 집필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솔로몬 왕이 집필했다고 전해지는 지혜서에 대해서도 같은 입장을 취했다.

예루살렘 성경은 17세기 두에랭스 성경 이후 널리 배포된 최초의 가톨릭 영어 성경 번역본이다. 유럽권 국가의 미사 및 전례에서 공식 채택되어 영어 미사에서 독서와 복음 낭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높은 학문성과 대중성으로 폭넓은 호평을 받았으며, 진보적인 개신교에서도 수용되었다.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가 혼재되어 있지만,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아 양측에서 모두 받아들여졌다. 20세기에 나온 우수한 영어 성경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미국감리교회 예배에서 사용이 허가된 성경 번역본 중 하나이다.

예루살렘 성경은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이름으로 역사적인 이름인 야훼(Yahweh)를 6,823곳에 사용했다.[5] 1956년판 프랑스어 성경을 문자 그대로 따랐다면 "영원하신 분"으로 번역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야훼 표기는 일부 사람들에게 환영받았다. 그러나 2008년 6월 29일, 성전례성 장관 프란치스코 아린제 추기경은 베네딕토 16세 교황의 지시에 따라 모든 주교회의 의장들에게 야훼라는 이름을 전례용 가톨릭 성경과 노래, 기도문에서 삭제해야 한다는 서한을 보냈다.[6] 이는 야훼라는 이름의 발음이 오랜 유대교기독교 전통을 위반하기 때문이다.[7][28][29]

1973년, 예루살렘 프랑스 성서고고학원(École biblique et archéologique française de Jérusalem)은 학문적 성과를 반영하고 문체를 개선하여 프랑스어 번역본을 개정했다.[32] 1978년에는 다색 인쇄 삽화가 포함된 판본이 발행되었다.[33] 1998년에는 어휘를 갱신하고 내용 및 형식을 개선하며 최신 성서 연구 성과를 반영한 프랑스어 번역본 제3판이 출판되었다.[34]

1985년, 새 예루살렘 성경(New Jerusalem Bible)이라는 제목으로 영어 번역본이 개정되었다.[24][25] 이 번역본은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스어 원본에서 직접 번역되었으며, 프랑스어 번역본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문체와 해석은 기존 번역본을 유지했다. 2019년에는 『개정판 새 예루살렘 성경』(Revised New Jerusalem Bible)이 출판되었는데, 이 번역본은 원전 번역의 정확성, 읽기 쉬운 문체, 포괄적인 언어를 적용했다.[14][27]

2007년, 가톨릭 진리 협회(Catholic Truth Society)는 예루살렘 성경의 개정판인 CTS 새 가톨릭 성경(CTS New Catholic Bible)을 출판했다.[8][9][10] 이 개정판에서는 야훼주님(The LORD)으로 표기하고, 시편을 (Grail Psalter)으로 교체했다.[11] CTS 새 가톨릭 성경(CTS New Catholic Bible)은 현재 잉글랜드, 웨일스 및 기타 영어권 가톨릭교회에서 공식 전례용 성경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루살렘 프랑스 성서고고학원(École biblique et archéologique française de Jérusalem)은 현재 "전통 속의 성경"(The Bible in its Traditions)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12][18][19][20][21] 이 프로젝트는 다양한 번역본을 비교하고 성경 본문이 문화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22]

영문 예루살렘 성경


2. 1. 초기 역사 (1943-1956)

1943년 교황 비오 12세는 회칙 《성령의 영감(Divino Afflante Spiritu)》을 반포하여, 가톨릭 학자들이 자국어로 성경을 번역할 때 라틴어 불가타 성경 대신 히브리어그리스어 원전을 직접 번역할 것을 권장하였다.[15][16] 이에 따라 예루살렘의 에콜 비블리크(예루살렘 고고학 학회)에 있던 도미니코회 학자들과 여러 학자들이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전을 프랑스어로 번역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다.[15]

1890년 마리-조제프 라그랑주(père Marie-Joseph Lagrange) 신부에 의해 설립된 예루살렘 프랑스 성서고고학원(École biblique et archéologique française)은 성지(聖地) 지역에서 고고학과 성서학을 연구하는 가장 오래된 연구 기관이었다.[15] 설립 초기부터 성서 기원에 대한 연구가 이 기관의 중심 과제였으며, 역사학, 고고학, 민족학, 지리학, 비문학, 고전어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협력해 왔다.[1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성서고고학원은 새로운 성서 번역을 결정했는데, 이는 라그랑주 신부의 의도와 1943년 교황 비오 12세가 발표한 회칙 「신의 영감으로」(Divino afflante Spiritu)의 정신에도 부합하는 것이었다.[16] 30명이 넘는 연구자와 성서 비평학자들이 토마-조르주 시플로(Thomas-Georges Chifflot)의 지휘 아래, 롤랑 드 보(Roland de Vaux)의 협력을 받아 히브리어, 아람어, 고대 그리스어 원전을 번역하는 작업에 매달렸다.[16] 성서의 각 권은 각주와 함께 설명을 제공하고, 여백에는 성경 참조를 표기하는 과학적인 작업 대상이 되었다.[17] 각 권에 대한 심층적인 서론에서는 본문의 신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그 기록과 관련된 역사적, 문학적 요소들도 다루었다.[17]

이러한 노력의 결과, 1956년 프랑스어 성경(La Bible de Jérusalem) 초판이 출판되었다.[30] 이 성경은 1945년부터 1955년까지 43권으로 나뉘어 출판된 초판 발행 후 약 10년 뒤에 한 권으로 묶여 출판되었으며, 번역과 주석이 수정 및 보완되었다.[30] 현대적인 성서 비평학에 기반한 주석과 해석은 당시에는 혁신적인 것이었으며, 가톨릭 전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경이 되었다.[31]

2. 2. 영어 번역 및 확산 (1966-1985)

1966년 영어로 번역된 예루살렘 성경(The Jerusalem Bible)은 히브리어그리스어 원전을 직접 번역하였으며, 여러 해석이 가능한 구절에서는 프랑스어 번역본의 해석을 따랐다.[37] J. R. R. 톨킨요나서 번역에 공헌하는 등[23] 원문 해석에 큰 영향을 주었다. 예루살렘 성경은 각 책의 서문과 각주, 번역 방식에 현대적인 학문적 접근과 역사비평적 방식을 반영하였다. 예를 들어, 모세 오경 서문에서는 모세의 역사적 집필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솔로몬 왕이 집필했다고 전해지는 지혜서에 대해서도 같은 입장을 취했다.

예루살렘 성경은 17세기 두에랭스 성경 이후 널리 배포된 최초의 가톨릭 영어 성경 번역본이다. 유럽권 국가의 미사 및 전례에서 공식 채택되어 영어 미사에서 독서와 복음 낭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높은 학문성과 대중성으로 폭넓은 호평을 받았으며, 진보적인 개신교에서도 수용되었다.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가 혼재되어 있지만,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아 양측에서 모두 받아들여졌다. 20세기에 나온 우수한 영어 성경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미국감리교회 예배에서 사용이 허가된 성경 번역본 중 하나이다.

예루살렘 성경은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이름으로 역사적인 이름인 야훼(Yahweh)를 6,823곳에 사용했다.[5] 1956년판 프랑스어 성경을 문자 그대로 따랐다면 "영원하신 분"으로 번역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야훼 표기는 일부 사람들에게 환영받았다. 그러나 2008년 6월 29일, 성전례성 장관 프란치스코 아린제 추기경은 베네딕토 16세 교황의 지시에 따라 모든 주교회의 의장들에게 야훼라는 이름을 전례용 가톨릭 성경과 노래, 기도문에서 삭제해야 한다는 서한을 보냈다.[6] 이는 야훼라는 이름의 발음이 오랜 유대교기독교 전통을 위반하기 때문이다.[7][28][29]

2. 3. 개정 및 현대화 (1973-현재)

1973년, 예루살렘 프랑스 성서고고학원(École biblique et archéologique française de Jérusalem)은 학문적 성과를 반영하고 문체를 개선하여 프랑스어 번역본을 개정했다.[32] 1978년에는 다색 인쇄 삽화가 포함된 판본이 발행되었다.[33] 1998년에는 어휘를 갱신하고 내용 및 형식을 개선하며 최신 성서 연구 성과를 반영한 프랑스어 번역본 제3판이 출판되었다.[34]

1985년, 새 예루살렘 성경(New Jerusalem Bible)이라는 제목으로 영어 번역본이 개정되었다.[24][25] 이 번역본은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스어 원본에서 직접 번역되었으며, 프랑스어 번역본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문체와 해석은 기존 번역본을 유지했다. 2019년에는 『개정판 새 예루살렘 성경』(Revised New Jerusalem Bible)이 출판되었는데, 이 번역본은 원전 번역의 정확성, 읽기 쉬운 문체, 포괄적인 언어를 적용했다.[14][27]

2007년, 가톨릭 진리 협회(Catholic Truth Society)는 예루살렘 성경의 개정판인 CTS 새 가톨릭 성경(CTS New Catholic Bible)을 출판했다.[8][9][10] 이 개정판에서는 야훼주님(The LORD)으로 표기하고, 시편을 (Grail Psalter)으로 교체했다.[11] CTS 새 가톨릭 성경(CTS New Catholic Bible)은 현재 잉글랜드, 웨일스 및 기타 영어권 가톨릭교회에서 공식 전례용 성경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루살렘 프랑스 성서고고학원(École biblique et archéologique française de Jérusalem)은 현재 "전통 속의 성경"(The Bible in its Traditions)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12][18][19][20][21] 이 프로젝트는 다양한 번역본을 비교하고 성경 본문이 문화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22]

3. 번역 특징

영어 번역 자체는 문학적 가치를 이유로 당시 선호되었던 원문 그대로의 직접적인 해석 방식을 채택하였다. 여기에는 당시 원문 해석의 대가인 J. R. R. 톨킨의 공헌이 지대하였다. 예루살렘 성경에서 그의 대표적인 공헌은 요나서의 번역이다.[37] 각 책들의 서문과 각주 그리고 번역 방식은 현대적인 학문적 접근과 역사비평적 방식들을 많이 반영하였다. 이를테면, 모세 오경에 대해서는 책 서문에서 실제로 모세가 집필했을 역사적인 가능성에 대하여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하였다. 또한, 솔로몬 왕이 집필했다고 전해지는 지혜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책 서문에서 그 가능성을 부정하였다.

예루살렘 성경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영어 성경으로서 17세기 두에랭스 성경 이후로 널리 배포되어 받아들여졌다. 예루살렘 성경은 유럽권 국가의 미사 및 전례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어, 특히 영어 미사에서 독서와 복음 낭독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수준 높은 학문성을 갖고 있어 폭넓게 호평을 받았고 대중적으로도 사랑을 받게 되었다. 예루살렘 성경은 진보적이고 현대주의적 성향을 가진 개신교도들에게도 받아들여졌다. 본문은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가 혼재된 성격을 지녔지만, 특별히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 어느 쪽에 지나치게 편중되지 않았다. 그러한 연유로 대부분 영국과 미국 양측에서 모두 받아들여졌다. 일반적으로 예루살렘 성경은 20세기에 나온 품질 좋은 영어 성경 가운데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예루살렘 성경》의 편집자인 헨리 웬즈브로는 예루살렘 성경이 "기본적으로 프랑스어 《예루살렘 성경》에서 번역된 것으로, 주로 영어권 세계에 이 프랑스어 성경의 성서 학문을 전달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본문 번역은 원래 주석을 위한 수단에 불과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또한 이렇게 썼다. "반대 주장에도 불구하고, 예루살렘 성경이 프랑스어에서 번역되었다는 것은 분명하다. 아마 히브리어나 그리스어를 가끔 참고했을 수도 있지만, 그 반대는 아니다."[3]

예루살렘 성경은 17세기 두에-랭스역 이후 처음으로 널리 받아들여진 가톨릭 영어 성경 번역본이다. 또한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의 학문성으로 널리 칭찬을 받았으며, 자유주의적 및 온건한 프로테스탄트들에 의해 널리 존경받고 때때로 사용되고 있다. 예루살렘 성경은 미국 성공회 예배에서 사용이 허가된 성경 번역본 중 하나이다.

J. R. R. 톨킨은 예루살렘 성경을 위해 요나서를 번역했지만, 최종본은 상당히 편집되었으며, 그는 "주요 공동 작업자" 중 한 명으로 등재되어 있다.[4]

3. 1. 원문 번역 원칙

예루살렘 성경은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스어 성경 원문에서 직접 번역되었다.[3] 해석이 다양할 경우에는 프랑스어 성경인 예루살렘 성경의 해석을 참고하였다.[3] 번역에는 당시 원문 해석의 대가인 J. R. R. 톨킨이 공헌하였으며, 대표적으로 요나서 번역이 있다.[37][4]

예루살렘 성경은 역사 비평적 방법론을 적극 수용하여 성경 본문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37] 예를 들어, 모세 오경의 저자가 모세라는 전통적인 견해와 지혜서의 저자가 솔로몬 왕이라는 것에 대해 역사적 가능성을 부정하는 의견을 제시하였다.[37]

3. 2. 문체 및 표현

예루살렘 성경은 문학적 가치를 살리기 위해 원문의 직접적인 해석 방식을 채택했으며, J. R. R. 톨킨요나서 번역에 기여했다.[37] 서문과 각주, 번역 방식에는 현대적인 학문적 접근과 역사비평적 방식이 반영되었다. 예를 들어, 모세 오경 서문에서는 모세의 저작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지혜서 서문에서도 솔로몬 왕의 저작 가능성을 부정한다.

예루살렘 성경은 17세기 두에랭스 성경 이후 널리 배포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영어 성경으로, 유럽권 국가의 미사 및 전례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특히 영어 미사에서 독서와 복음 낭독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학문적으로도 호평을 받았으며, 진보적이고 현대주의적 성향의 개신교도들에게도 받아들여졌다.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가 혼재되어 있지만,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아 양측에서 모두 받아들여졌다. 일반적으로 20세기에 나온 품질 좋은 영어 성경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는다.

예루살렘 성경은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이름으로 야훼(Yahweh)를 사용했는데, 영어 번역본에서 6,823곳에 이 표기가 나타난다.[5] 그러나 2008년 6월 29일, 프란치스코 아린제 추기경은 베네딕토 16세 교황의 지시에 따라 모든 주교회의 의장들에게 야훼라는 이름을 전례용 가톨릭 성경과 노래, 기도문에서 삭제해야 한다는 서한을 보냈다.[6] 이는 야훼라는 이름의 발음이 오랜 유대교기독교 전통을 위반하기 때문이다.[7][28][29]

3. 3. 학문적 주석 및 해설

4. 구성

예루살렘 성경은 일반적인 로마 가톨릭 교회 성경과 같은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 신약성경
  • * 4복음서: 마태오복음서, 마르코복음서, 루카복음서, 요한복음서
  • * 사도행전
  • * 전통적으로 바울에게 돌려지는 13권의 바울 서신
  • * 익명의 저자에 의한 히브리서
  • * 7권의 공인서신, 각각 야고보, 베드로, 요한, 유다의 이름을 冠する。
  • * 요한계시록

4. 1. 구약성경

4. 1. 1. 모세오경

창세기, 탈출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4. 1. 2. 역사서

여호수아기, 판관기, 룻기, 사무엘기 상권, 사무엘기 하권, 열왕기 상권, 열왕기 하권, 역대기 상권, 역대기 하권, 에즈라기, 느헤미야기, 에스테르기, 토빗기, 유딧기, 마카베오기 상권, 마카베오기 하권

4. 1. 3. 시서와 지혜서

욥기, 시편, 잠언, 코헬렛, 아가, 지혜서, 집회서

4. 1. 4. 예언서

이사야서, 예레미야서, 애가, 바룩서, 에제키엘서, 다니엘서, 호세아서, 요엘서, 아모스서, 오바드야서, 요나서, 미카서, 나훔서, 하바쿡서, 스바니야서, 하까이서, 즈카르야서, 말라키서

4. 2. 신약성경

4복음서: 마태오복음서, 마르코복음서, 루카복음서, 요한복음서

사도행전

전통적으로 바울에게 돌려지는 13권의 바울 서신

익명의 저자에 의한 히브리서

7권의 공인서신, 각각 야고보, 베드로, 요한, 유다의 이름을 冠する。

요한계시록

4. 2. 1. 복음서

마태오 복음서, 마르코 복음서, 루카 복음서, 요한 복음서

4. 2. 2. 역사서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주어진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역사서' 섹션에 사도행전에 대한 내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4. 2. 3. 바오로 서간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서간,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둘째 서간, 갈라티아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에페소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필리피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콜로새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테살로니카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서간, 테살로니카 신자들에게 보낸 둘째 서간, 티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서간, 티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서간, 티토에게 보낸 서간, 필레몬에게 보낸 서간, 히브리서

4. 2. 4. 공동 서간

야고보서, 베드로의 첫째 서간, 베드로의 둘째 서간, 요한의 첫째 서간, 요한의 둘째 서간, 요한의 셋째 서간, 유다서

4. 2. 5. 예언서

요한 묵시록은 신약성경의 마지막 권이자 예언서이다.

5. 한국 가톨릭 교회와 예루살렘 성경

5. 1.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의 '성경' 번역 (2005)

5. 2. 한국 가톨릭 교회의 성경 번역 노력과 과제

6. 비판과 논란

6. 1. 야훼(Yahweh) 표기 문제

예루살렘 성경은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이름으로 역사적인 이름인 야훼(Yahweh)를 사용했으며, 이 번역본에서 6,823곳에 이렇게 표기하였다.[5] 이는 유대교와 기독교 전통에서 금기시되어 온 발음이다.[7][28][29] 1956년판 「예루살렘 성경」(La Bible de Jerusalem)을 문자 그대로 따랐다면 이 이름은 "영원하신 분"으로 번역되었을 것이다.[5]

2008년 6월 29일,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지시에 따라 성전례성의 장관인 프란치스코 아린제 추기경은 모든 주교회의 의장들에게 야훼라는 이름을 전례용 가톨릭 성경과 노래 및 기도문에서 삭제해야 한다는 서한을 보냈다.[6] 이에 따라, 예루살렘 성경 본문을 사용하는 「CTS 신 가톨릭 성경」에서는 야훼 대신 '주님'(The LORD)으로 표기하고, 시편을 그레일 번역판으로 교체했다.

6. 2. 역사 비평적 방법론에 대한 비판

7. 영향

7. 1. 성서학 및 신학 분야

7. 2. 교회 및 전례

7. 3. 문화 전반

참조

[1] 웹사이트 The New Lectionary for England and Wales https://liturgyoffic[...] 2021-11-03
[2] 웹사이트 New Zealand helps with new lectionary project https://cathnews.co.[...] 2021-11-03
[3] 웹사이트 How the Bible Came to Us https://web.archive.[...] 2015-03-22
[4] 웹사이트 Read a rare, unedited translation of Jonah by J.R.R. Tolkien https://aleteia.org/[...] 2021-01-06
[5] 서적 La Bible de Jerusalem n/a 1956
[6] 웹사이트 Letter to the Bishops Conferences on the Name of God https://web.archive.[...] 2010-09-13
[7] 웹사이트 Vatican Says No 'Yahweh' In Songs, Prayers At Catholic Masses http://www.catholic.[...] Catholic.org 2015-01-13
[8] 웹사이트 Letter to the Bishops Conferences on The Name of God http://www.bible-res[...] 2015-01-13
[9] 웹사이트 Use of Yahweh in Church Songs http://www.americanc[...] 2015-01-13
[10] 웹사이트 No 'Yahweh' in liturgies is no problem for the archdiocese, officials say http://www.jpiicente[...] Archdiocese of Denver 2014-11-25
[11] 서적 Foreword
[12] 웹사이트 École biblique et archéologique française de Jérusalem https://web.archive.[...] 2007-03-10
[13] 웹사이트 La Bible en ses Traditions https://web.archive.[...] 2010-04-22
[14] 웹사이트 The Revised New Jerusalem Bible: 9780525573197 PenguinRandomHouse.com: Books https://www.penguinr[...] 2024-10-25
[15] 간행물 De la Bible aux Bibles : la Bible de Jérusalem https://fr.aleteia.o[...] 2023-09-03
[16] 간행물 De la Bible aux Bibles : la Bible de Jérusalem https://fr.aleteia.o[...] 2023-09-03
[17] 간행물 De la Bible aux Bibles : la Bible de Jérusalem https://fr.aleteia.o[...] 2023-09-03
[18] 웹사이트 Accueil https://www.bibletra[...] 2023-08-20
[19] 간행물 École biblique et archéologique française de Jérusalem http://ebaf.edu/inde[...] 2023-09-04
[20] 간행물 La Bible en ses Traditions https://web.archive.[...] 2023-09-04
[21] 웹사이트 Chrétiens du Levant : une exégèse 2.0 https://www.lefigaro[...] 2023-08-20
[22] 간행물 De la Bible aux Bibles : la Bible de Jérusalem https://fr.aleteia.o[...] 2023-09-03
[23] 웹사이트 Read a rare, unedited translation of Jonah by J.R.R. Tolkien https://aleteia.org/[...] 2021-01-06
[24] 간행물 Letter to the Bishops Conferences on The Name of God http://www.bible-res[...] 2023-09-04
[25] 간행물 Use of Yahweh in Church Songs http://www.americanc[...] 2023-09-04
[26] 간행물 No 'Yahweh' in liturgies is no problem for the archdiocese, officials say http://www.jpiicente[...] 2023-09-04
[27] 간행물 Revised New Jerusalem Bible http://dltbooks.com/[...] 2023-09-04
[28] 간행물 Letter to the Bishops Conferences on the Name of God http://www.adoremus.[...] 2023-09-04
[29] 간행물 Vatican Says No 'Yahweh' In Songs, Prayers At Catholic Masses http://www.catholic.[...] 2023-09-04
[30] 간행물 De la Bible aux Bibles : la Bible de Jérusalem https://fr.aleteia.o[...] 2023-09-03
[31] 간행물 De la Bible aux Bibles : la Bible de Jérusalem https://fr.aleteia.o[...] 2023-09-03
[32] 간행물 De la Bible aux Bibles : la Bible de Jérusalem https://fr.aleteia.o[...] 2023-09-03
[33] 서적
[34] 웹사이트 Les autres modifications de la Bible de Jérusalem https://www.letemps.[...] 2020-03-25
[35] 웹사이트 Liturgical Books In The English Speaking World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11-10-14
[36] 웹사이트 The Bishops Conference of England and Wales: Liturgy Office: England and Wales: Sacred Scripture: Versions approved for use in the Liturgy http://www.liturgyof[...]
[37] 서적 톨킨 서간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