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신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신서는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에서 타인에게 교리나 주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신약성경의 서신 역시 이러한 전통을 따른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교육적 목적으로 서신서가 널리 사용되었고, 특히 중 왕국 시대에 표준화된 형식이 존재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산문과 운문으로 된 서신서가 중요한 문학 장르로 자리 잡았으며, 키케로, 플리니우스, 오비디우스, 세네카 등이 서신 문학을 발전시켰다. 신약성경의 서신은 바울로 서신과 공동 서신으로 나뉘며, 기독교 신학 및 윤리의 근본 텍스트로 여겨진다. 기독교 서신은 헬레니즘 전통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발신인, 수신인, 인사말, 본문 순으로 구성된다. 또한 신약성경 정경 외에도 다양한 서신들이 존재하며, 전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이집트 문학 - 나르메르 팔레트
나르메르 팔레트는 나르메르 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의식용 방패 모양 팔레트로, 양면에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통합 등 다양한 도상이 묘사되어 역사적 의미와 예술적 가치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대중 문화와 학계에서 활용된다. - 고대 이집트 문학 - 시누헤 이야기
시누헤 이야기는 아메넴헤트 1세의 죽음 후 두려움에 가나안으로 도망친 고관 시누헤의 여정을 통해 이집트의 이상과 도덕을 탐구하고 고향의 가치를 되새기는 고대 이집트 문학 작품이다. - 편지 - 유서
유서는 죽음을 앞둔 사람이 재산 처리나 남기는 말을 적은 문서로, 자살 원인 분석, 재산 상속, 사회 문제 고발, 문학적 기록 등으로 활용되며, 법적 효력을 갖기 위해서는 민법상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 편지 - 지노비예프 서한
- 신약성경 - 사도행전
사도행전은 신약성경의 다섯 번째 책이자 누가복음과 함께 누가-사도행전으로 불리는 작품의 후반부로, 예수의 승천 이후 사도들의 활동과 초기 교회의 성장, 특히 베드로와 바울의 활동을 중심으로 예루살렘에서 로마까지 복음이 전파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 신약성경 -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에베소인들에게 보낸 편지는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한 구원과 성도들의 연합 및 순결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사랑을 본받아 서로 사랑하고 하나됨을 유지하며 거룩한 삶을 살 것을 권면하는 신약성서의 서신이다.
서신서 |
---|
2. 고대 서신
고대에는 서신이 교육, 문학, 종교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이집트에서는 주로 교육을 위해 서신을 사용했다.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산문과 운문 서신이 중요한 문학 형식이었다. 키케로의 편지는 로마 공화정 말기 역사 연구의 중요 자료이며, 대 플리니우스의 편지는 문학적,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오비디우스는 ''헤로이데스'' 등 운문 서신집을 남겼고, 세네카의 서신은 후대 교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에서는 서신으로 교리나 주장을 전달했으며, 신약성서의 서신도 이 전통을 따른다.
2. 1.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인들은 서신서를 썼으며, 이는 대부분 교육적 이유에서였다. 이집트학자 에드워드 웬테(1990)는 제5왕조의 파라오 제드카레 이세시가 여러 차례 재상에게 보낸 서신을 통해 서신 문학 장르의 선구자가 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1] 이 서신 문학은 구 왕국 시대의 제6왕조에 확실히 존재했으며, 제11왕조 시대에 쓰여진 교육 지침서인 『케미트의 서』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 중 왕국 시대에 이르러 서신서 작성에 대한 표준화된 형식이 존재했다. 람세스 시대에 사용된 서신서 형식은 제18왕조의 아마르나 시대에 쓰인 서신서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웬테는 제19왕조의 아나스타시 I 파피루스에서 발견된 "풍자 서신"을 이집트 학동들이 도자기 오스트라카에 필사하는 연습으로 흔히 사용했던 서신서라고 설명한다(고고학자들은 지금까지 80개 이상의 사례를 발견했다). 서신서는 망자에게 쓰이기도 했으며, 람세스 시대에 이르러서는 신들에게도 쓰였다. 후자의 경우는 페르시아 이집트사와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사 시대에 더욱 널리 퍼졌다.[1]2. 2. 고대 그리스와 로마
산문과 운문으로 된 서신서는 고대 그리스와 특히 고대 로마에서 중요한 문학 장르였다. 키케로의 편지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역사에 관한 가장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며, 그의 연설과 논문에서는 항상 나타나지 않는 구어체 라틴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있다. 대 플리니우스의 편지 또한 문학적 자질을 의식한 라틴어 산문의 예이자 역사적 정보의 원천으로 연구된다. 오비디우스는 장식 이행으로 구성된 세 편의 운문 서신집을 제작했다. 즉, 전설적인 여성들이 부재하는 연인에게 쓴 편지인 ''헤로이데스'', 그리고 시인의 망명 동안 1인칭으로 쓰여진 ''슬픔의 시''와 ''폰토에서 보낸 편지''이다. 도덕적 또는 철학적 고찰이 담긴 세네카의 서신은 이후의 교부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3. 기독교 서신
신약성경에 수록된 서신서는 크게 바울 서신과 공동서신으로 나뉜다.
바울 서신은 바울이 작성한 것으로 전해지는 13편의 편지를 말한다. 초대 교회의 믿음과 갈등을 보여주는 초기 기독교 문서로, 기독교 신학과 윤리의 기초 텍스트로 받아들여진다.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는 전통적으로 바울의 저작으로 여겨졌으나, 현대 학자들은 문체와 내용상의 차이점을 들어 바울의 저작이 아니라는 데 대체로 동의한다.[26]
공동 서신은 바울 외 다른 인물들이 작성한 7개의 서신을 말한다.
현대 성경에서는 사도행전 뒤에 바울로 서신을 놓고, 그 뒤에 공동서신을 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리스어 사본들에서는 대부분 공동 서신이 바울 서신 앞에 배치되어 있다.[27]
신약성경의 서신서는 공동번역 성서의 명칭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배열되어 있다.
-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 고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 고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 갈라디아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 에페소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 빌립보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 골로새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 데살로니카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 데살로니카 신자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 디모데에게 보낸 첫째 편지
- 디모데에게 보낸 둘째 편지
- 디도에게 보낸 편지
- 빌레몬에게 보낸 편지
- 히브리서
- 야고보서
- 베드로의 첫째 편지
- 베드로의 둘째 편지
- 요한의 첫째 편지
- 요한의 둘째 편지
- 요한의 셋째 편지
- 유다서
3. 1. 형식
기독교 서신은 신약성경과 초기 기독교 교부들의 서신 모두 공식화된 헬레니즘 전통에 따라 작성되었다. 이는 서신 저자, 특히 바울의 경우 헬레니즘의 영향을 반영한다. 고전학자 스티브 리스는 바울 시대의 수천 통의 그리스, 로마, 유대교 편지를 비교 분석하여 바울이 많은 일반적인 서신 관례를 따랐음을 관찰했다.현대 서신과 달리, 서신서는 대개 맨 처음에 발신인의 이름을 명시하고, 이어서 수신인의 이름을 명시한다(예: 빌립보서 1:1 참조). 편지를 받아 적은 서기(좀 더 정확하게는 대필가)는 서신의 마지막 부분에서 언급될 수 있다(예: 로마서 16:22). 우편 시스템이 없었기 때문에, 전달자의 이름도 언급될 수 있다(예: 에베소서 6:21–22).
발신인과 수신인의 이름 뒤에, 바울 서신은 종종 "은혜와 평강이 당신에게 있기를 바랍니다"라는 인사로 시작한다. "은혜"는 헬레니즘의 일반적인 인사였고, "평강"(샬롬)은 일반적인 유대교의 인사였다. 이는 유대교 신앙과 헬레니즘 문화 속에서 바울의 이중적인 정체성을 반영한다. 또한 청중에게 감사의 말이 있을 수도 있다. 세속적인 편지에서는 건강을 기원하는 기도나 소망이 뒤따랐다.
본문은 전체 내용의 주요 주제를 소개하는 간략한 설명으로 시작한다. 서신의 형식은 대략적으로 도입부와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입부"에는 간단한 인사와 더불어, 누가 누구에게 보낸 서신인지 기록한다. 또한, 자신의 상황, 상대방의 상황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하는 서신도 있다. "본문"에는 서신 저자의 주장, 권고 등을 기록한다.
3. 2. 신약성경의 서신
신약성경에 수록된 서신서는 크게 바울이 작성한 것으로 전해지는 바울 서신과 그 외의 인물들이 작성한 공동 서신으로 나뉜다.바울 서신은 초대 교회의 믿음과 갈등을 보여주는 초기 기독교 문서로, 기독교 신학과 윤리의 기초 텍스트로 받아들여진다.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는 전통적으로 바울의 저작으로 여겨졌으나, 현대 학자들은 문체와 내용상의 차이점을 들어 바울의 저작이 아니라는 데 대체로 동의한다.[26]
현대 성경에서는 사도행전 뒤에 바울 서신을 놓고, 그 뒤에 공동서신을 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리스어 사본들에서는 대부분 공동 서신이 바울 서신 앞에 배치되어 있다.[27]
공동 서신은 바울 외 다른 인물들이 작성한 7개의 서신을 말한다.
신약성경의 서신서는 공동번역 성서의 명칭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배열되어 있다.
-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 고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 고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 갈라디아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 에페소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 빌립보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 골로새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 데살로니카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 데살로니카 신자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 디모데에게 보낸 첫째 편지
- 디모데에게 보낸 둘째 편지
- 디도에게 보낸 편지
- 빌레몬에게 보낸 편지
- 히브리서
- 야고보서
- 베드로의 첫째 편지
- 베드로의 둘째 편지
- 요한의 첫째 편지
- 요한의 둘째 편지
- 요한의 셋째 편지
- 유다서
3. 2. 1. 바울 서신
사도 바울이 작성한 것으로 전해지는 13편의 편지를 바울 서신이라고 한다. 바울 서신에서는 초대 교회에서 나타난 믿음의 모양과 갈등들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역사성으로 인해 성경 정경으로 채택되어 현재까지 기독교 신학과 윤리의 근본적인 텍스트로 받아들여진다.[26]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는 저자의 이름이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통적으로 사도 바울의 저작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3세기 오리게네스가 바울 저작성에 대해 비판한 이후, 16세기부터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히브리서가 다른 바울 서신과 문체 및 내용 면에서 많은 차이점이 있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26]대부분의 학자들은 바울이 실제로 7편의 서신을 썼다고 보지만, 4편(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 디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편지, 디도에게 보낸 편지)은 위서로 간주하며,[4] 2편(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골로사이인들에게 보낸 편지)은 저작 여부가 불분명하다.[4]
바울 서신은 현대 성경에서 사도행전과 공동 서신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그리스어 필사본에서는 공동 서신이 바울 서신보다 앞에 배치되어 있다.[27]
바울 서신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28]
분류 | 서신서 |
---|---|
명백히 인정되는 서신 | |
제2 바울로 서신 | |
목회서신 | |
위작일 가능성 높음 |
3. 2. 2. 공동 서신
신약성경에 수록된 서신서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뉘는데, 그 중 공동 서신은 바울로가 아닌 다른 이들이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7개의 서신을 말한다.[8] 공동 서신은 다음과 같다.전통적인 서신 이름 | 텍스트에 따른 저자 (NRSV) | 전통적인 귀속[9] | 현대의 합의[9] | 텍스트에 따른 수신자 (NRSV) |
---|---|---|---|---|
야고보서 |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종인 야고보" | 예수의 형제 야고보 | 미상의 야고보 | "흩어져 있는 열두 지파"[10] |
베드로전서 |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인 베드로" | 시몬 베드로 | 아마도 시몬 베드로 | "폰토스, 갈라디아, 가바도기아, 아시아 및 비두니아에 흩어져 있는 나그네들에게"[11] |
베드로후서 |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자 사도인 시몬(Sim(e)on) 베드로" | 시몬 베드로 | 시몬 베드로가 아님 | 모든 기독교인에게[12] |
요한1서 | 익명 | 세베데의 아들 요한 | 미상 | 동료 기독교인에게[13] |
요한2서 | 익명 | 세베데의 아들 요한 | 미상 | "택함받은 부인과 그의 자녀들"에게[14] |
요한3서 | 익명 | 세베데의 아들 요한 | 미상 | "사랑하는 가이오"에게[15] |
유다서 | "유다" 또는 "유다스", "예수 그리스도와 야고보의 종" | 예수의 형제 유다 | 미상의 유다 | 모든 기독교인에게[16] |
3. 2. 3. 정경 외 서신
바울과 세네카의 서신(젊은 세네카에게 보낸 서신이라고도 알려짐)은 14통의 편지 묶음이다.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세 번째 서신은 한때 아르메니아 정교회에서 정경으로 간주되었으며, 두 개의 편지로 구성된 서신이다. 라오디게아인들에게 보낸 서신은 풀다 코덱스에 수록된 라틴어 버전이 있다. 베드로가 빌립에게 보낸 편지도 정경 외 서신에 속한다.에는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 번째 서신이 언급되어 있다.[17] 및 에는 격렬한 편지라고 불리는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세 번째 서신이 언급되어 있다. 에는 바울에게 보낸 고린토인들의 편지가 언급되어 있다. 에는 에베소인들에게 보낸 더 이른 서신이 언급되어 있다. 에는 라오디게아인들에게 보낸 서신이 언급되어 있다. 에는 유다의 더 이른 서신이,[18] 에는 요한의 더 이른 서신이 언급되어 있다.[19]
신약성서 정경에 없는 외경에 속하는 서신도 전해지고 있다.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세 번째 서신》 등이다. 또한 《라오디게아인들에게 보낸 서신》 등은 유실되어 현존하지 않는다.
신약성경 정경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사도 교부들의 서신들도 전해지고 있다. 성 이그나티우스의 『트랄레스인들에게 보낸 서신』 등이 있다.
4. 전례에서의 사용
전례에서 서신서는 신약성경의 서신( 바울 서신과 공동 서신 )을 가리키는데, 때로는 사도행전이나 요한 묵시록에서 발췌하기도 하지만 4대 복음서는 제외된다. 이는 특정 날짜 또는 특정 행사에 읽도록 예정된 구절을 말한다.
로마 가톨릭 미사와 성공회 성찬례에서는 서신서를 본기도와 복음 낭독 사이에 읽으며, 해당 그레고리오 성가에는 특별한 음조(''tonus epistolae'')가 있다. 장엄 미사에서 서신서가 불리거나 제창될 때는 부제가 한다. 루터교 예배에서는 점강창과 복음 사이 장로 또는 감독이 읽는다.
동방 정교회와 비잔틴 전례 가톨릭의 성찬례에서 서신 낭독은 "사도"라고 불리며, 사도행전과 서신서를 포함하지만 요한 묵시록은 포함하지 않는다. 라틴 전례와 달리 구약 낭독은 없다.[20] 사순절 기간 중 주일이 아닌 날에는 성찬례가 거행되지 않으므로, 1년 내내 매일 서신 교독문이 있다. 이 매일의 서신 낭독은 부활절 날짜에 의존하는 파스카 주기의 일부이다. 수많은 성인들의 축일과 기념일에도 교독문이 지정되어 있다. 한 번의 성찬례 동안 사도에서 한 번, 두 번 또는 세 번 낭독이 있을 수 있다. 서신은 프로키메논과 알렐루야 사이에 읽으며, 항상 복음서 낭독과 연결되지만 조과와 같은 일부 예식은 복음 낭독은 있지만 서신은 없다. 성찬례 외에도 여러 예식에서 서신과 복음 낭독을 한다. 이러한 예식에는 종종 프로키메논과 알렐루야가 포함된다. 서신은 독서자가 낭송하지만, 주교가 집전하는 성찬례에서는 부제가 읽는다. 서신을 낭송하는 사람은 프로키메논의 구절도 읽는다.
기독교 각 교파는 각자 신약성서 서신서를 예배에 사용하고 있다.
4. 1. 서방 교회
로마 가톨릭교회의 미사, 성공회의 성찬식과 루터교회 등 비교적 전통적이거나 에큐메니컬한 개신교의 주일 및 교회력 축일 예배에서, '수정 공동 성서 일과' 등 성서 일과에 따른 서신서 구절은 첫째 독서 (주로 구약성서), '시편'의 응송 또는 교독 후에, 복음서 낭독 전에, 둘째 독서로 낭독된다.[23][24] 구약성서나 서신서 대신 '사도행전'이나 '요한 묵시록' (광의의 "사도 서신")이 낭독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복음서 (사제가 낭독) 외에는 신도가 낭독하는 경우가 많다.4. 2. 동방 교회

동방 정교회와 비잔틴 전례 가톨릭의 성찬례에서 서신 낭독은 "사도"라고 불리며, 이는 서신을 읽는 전례서에도 붙여진 이름이다. 사도는 사도행전과 서신서를 포함하지만, 요한 묵시록은 포함하지 않는다. 라틴 전례와 달리 구약 낭독은 없다.[20] 사순절 기간 중 주일이 아닌 날에는 성찬례가 거행되지 않으므로, 1년 내내 매일 서신 교독문이 있다. 이 매일의 서신 낭독은 부활절 날짜에 의존하는 파스카 주기의 일부이다. 수많은 성인들의 축일과 기념일에도 교독문이 지정되어 있다. 한 번의 성찬례 동안 사도에서 한 번, 두 번 또는 세 번 낭독이 있을 수 있다. 서신은 프로키메논과 알렐루야 사이에 읽는다. 서신 낭독은 항상 복음서 낭독과 연결되어 있지만, 조과와 같은 일부 예식은 복음 낭독은 있지만 서신은 없다(만과는 여러 축일에, 일반적으로 사도들을 위해, 세 번의 서신 낭독이 있지만 복음서는 없다). 성찬례 외에도 여러 예식에서 서신과 복음 낭독을 한다. 이러한 예식에는 종종 프로키메논과 알렐루야가 포함된다. 서신은 독서자가 낭송하지만, 주교가 집전하는 성찬례에서는 부제가 읽는다. 서신을 낭송하는 사람은 프로키메논의 구절도 읽는다.
정교회 등을 포함하는 동방 교회에서, 영어 『정교회 스터디 바이블』, 교회 슬라브어 성경, 러시아어 『시노드 성경』 등의 신약성경은 서방 교회에서 사용되는 성경과 내용은 같지만, 예배(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전례에 의한 성무일과 등)에서 복음서는 낭독되지만, 서간(사도서)의 낭독은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5. 중세의 서신
중세 시대 동안, 서신 작성 기술은 수많은 교본에서 가르쳐졌으며, ars dictaminis는 중요한 교육적 담론의 장르가 되었다. 편지 쓰기의 필요성은 초기 중세 시대의 일반적인 시민 생활의 악화와 로마 도로 시스템의 쇠퇴에 기인하는 바가 컸는데, 이러한 요인들은 거래할 업무가 있는 문해력을 갖춘 사람들이 직접 여행하는 대신 편지를 보내도록 만들었다.[21] 이 시기의 ''공용어''인 라틴어로 방대한 양의 편지와 편지 작성 매뉴얼이 작성되었다.[22] 중세 유럽에서는 편지를 쓰는 것이 활발해졌다. 많은 신학자들의 편지가 전해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Letters from Ancient Egypt: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Writing from the Ancient World Series Volume 1
Scholars Press
[2]
간행물
Paul's Large Letters: Pauline Subscriptions in the Light of Ancient Epistolary Conventions
https://www.academia[...]
T&T Clark
2016
[3]
간행물
The New Jerome Biblical Commentary
Geoffrey Chapman
1989
[4]
웹사이트
New Testament Letter Structure
http://catholic-reso[...]
Catholic Resources
[5]
간행물
Paul and First-Century Letter Writing: Secretaries, Composition and Collection
InterVarsity Press; Apollos
2004
[6]
서적
The Canon of the New Testament: Its Origin,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http://ixoyc.net/dat[...]
Clarendon Press
[7]
웹사이트
Pauline Forgeries: 2 Thessalonians as a Test Case
https://ehrmanblog.o[...]
Bart Ehrman Foundation
2014-12-16
[8]
간행물
Encarta-encyclopedie Winkler Prins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1993–2002
[9]
서적
Lost Christianities: The Battles for Scripture and the Faiths We Never Knew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0]
문서
James 1:1
[11]
문서
1 Peter 1:1
[12]
문서
2 Peter 1:1, "To those who have received a faith as precious as ours through the righteousness of our God and Savior Jesus Christ"
[13]
문서
The letter addresses the audience as "my dear children" (e.g. 1 John 2:1) and "dear friends" (e.g. 1 John 2:7). 1 John 3:2 states: 'Dear friends, now we are children of God...', showing that the author is addressing fellow Christians, whom he intermittently calls 'children of God' (which includes himself), as well as 'dear friends' (or 'beloved' in some translations).
[14]
문서
2 John 2
[15]
문서
3 John 1
[16]
문서
Jude 1, "To those who are called, who are beloved in God the Father and kept safe for Jesus Christ"
[17]
웹사이트
Also called "A Prior Epistle of Paul to the Corinthians"
http://www.icwsemina[...]
[18]
문서
Also called 2 Jude.
[19]
웹사이트
Also called "The Epistle of John to the Church Ruled by Diotrephes"
https://web.archive.[...]
2006-06-23
[20]
문서
Apostle (in Liturgy)
[21]
서적
"Letter-Writing Manuals and Instruction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istorical and Bibliographic Stud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007
[22]
서적
"Letter-Writing Manuals and Instruction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istorical and Bibliographic Stud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007
[23]
웹사이트
教会暦と聖書朗読2021年
https://www.cbcj.cat[...]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21-08-21
[24]
웹사이트
主日と祝祭日の聖書日課
http://frkuroda.s361[...]
浩史牧師のページ [[日本キリスト教会]]
2021-08-20
[25]
논문
“The Right Path: A Post-Mongol Persian Ismaili Treatise.”
2010
[26]
간행물
The New Jerome Biblical Commentary
Geoffrey Chapman
1989
[27]
서적
The Canon of the New Testament: Its Origin,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http://ixoyc.net/dat[...]
[28]
강연
16: Forgeries in the Name of Pau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