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슈르-벨-칼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슈르-벨-칼라는 기원전 1073년부터 1056년까지 중기 아시리아 제국을 통치한 군주였다. 그의 치세는 서쪽 레반트 지역이 아람인에게 점령당하는 등 제국의 쇠퇴기였다. 그는 바빌론 왕과 우호 관계를 맺고, 건설 사업과 동물 수집 활동을 벌였으며, 《부서진 오벨리스크》를 통해 그의 업적이 전해진다. 아슈르-벨-칼라는 북쪽의 우라르투와 아람 족을 상대로 원정을 벌였으나, 아람 족의 끊임없는 공격으로 국경 방어에 어려움을 겪었다.

2. 생애

아슈르-벨-칼라는 아버지 투쿨티-아필-에사라 1세의 뒤를 이어 아시리아의 왕위에 올랐다. 그의 통치 기간은 북방 민족 및 아람족과의 끊임없는 전쟁, 그리고 남쪽 바빌로니아와의 복잡한 외교 관계로 특징지어진다.

즉위 초반, 그는 북쪽의 우라르투를 공격하는 등 군사 활동에 집중했으며, 이후 서쪽 국경을 지속적으로 위협하는 아람족과의 전쟁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아슈르-벨-칼라는 유프라테스 강을 건너 카르케미쉬까지 진격하여 아람족과 싸우는 등[6] 적극적인 공세를 펼쳤으나, 아람족의 압박으로 일부 영토를 잃기도 했다.[7] 이러한 초기 활동의 일부는 대영 박물관에 소장된 《부서진 오벨리스크》[5]를 통해 엿볼 수 있다.

한편, 바빌로니아와는 초기 마르두크-샤피크-제리 왕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으나,[12] 그가 사망한 후에는 바빌로니아의 왕위 계승 문제에 군사적으로 개입했다. 그는 아다드-아플라-이디나를 새로운 왕으로 세우고 그의 딸과 결혼하여[13] 양국 간의 관계를 안정시키려 했다.[14]

2. 1. 즉위 초, 북방 원정과 아람족과의 전쟁

대영 박물관에 소장된 《부서진 오벨리스크》[5]는 아슈르-벨-칼라의 통치 초기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중요한 유물이다. 이 비문은 미완성 상태로 남아있지만, 바이드너, 야리츠, 보르거 등 학자들은 여러 근거를 들어 아슈르-벨-칼라의 것으로 보고 있다. 그 근거로는 아버지 투쿨티-아필-에사라 1세의 원정을 모방하여 지중해(아무루 땅의 "상부 바다")에서 ''나히루''(해마)를 사냥했다고 기록한 점, 바빌로니아식 달 이름을 사용한 점, 그의 이름이 새겨진 이슈타르 여신상과 함께 발견된 점, 그리고 아람족을 KUR ''아-레-메''에 사는 민족으로 지칭하며 이들이 아시리아 영토로 진출했음을 명확히 기록한 점 등이 있다. 이 오벨리스크는 1853년 8월 아시리아 고고학자 호르무즈 라삼이 "산헤립의 궁전과 아슈르바니팔의 궁전 사이"에서 발견했으며, 5개의 신성한 상징 아래 왕이 포로들을 밟고 서 있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따라서 아슈르-벨-칼라의 통치 초반 사건들은 이 유물이 그의 것이라는 가정 하에 재구성된다.

기록에 따르면, 아슈르-벨-칼라는 즉위 첫 해에 북쪽의 우라르투를 상대로 원정을 시작했으며, 연대기 관직(림무) 임명은 이듬해로 미루었다. 그의 통치 두 번째 해에는 힘메, 하브후, 그리고 마리 지역에 관심을 돌렸는데, 당시 마리는 아시리아 왕위를 노리던 투쿨티-메르가 장악하고 있었다.

이후 그의 주된 관심사는 국경을 계속해서 압박해오는 아람족과의 전쟁이었다. 그는 아람족을 끈질기게 추격했으며, 심지어 "염소 가죽으로 만든 뗏목을 타고 유프라테스 강을 건너"[6] 그들을 공격하기도 했다. 그는 카르케미쉬까지 진격하여 아람족과 싸우고 도시를 약탈했으며, 《부서진 오벨리스크》에 따르면 하르부르 계곡에서도 최소 15차례 이상 원정을 벌였다. 고대 두누-사-우지비였던 기리카노에서 발견된 문서는 그의 통치 5년 또는 6년째(일리-이디나의 연대기, 기원전 1069/68년)의 상황을 보여준다. 이 문서 중 하나는 그 전 해(아슈르-렘-니셰슈의 연대기)에 시나무 지역의 두누-사-리술-살라-아슈르에서 벌어진 전투를 언급하며, 이 전투에서 영토를 잃었음을 기록하고 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지역 전체가 아람족에게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7]

2. 2. 바빌로니아와의 관계

아슈르-벨-칼라는 즉위 후 당시 바빌론의 왕이었던 마르두크-샤피크-제리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마르두크-샤피크-제리는 아시리아를 방문했다가 십파르로 돌아갔다.[12] 이는 아슈르-벨-칼라의 아버지 투쿨티-아필-에샤라와 마르두크-샤피크-제리의 전임자 마르두크-나딘-아헤가 서로 적대했던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이러한 우호 관계는 공동의 적인 아람인에 맞서기 위한 전략적 동맹의 필요성 때문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마르두크-샤피크-제리가 약 5년 뒤 사망하자, 아슈르-벨-칼라는 바빌로니아의 왕위 계승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자신이 원하는 인물을 왕위에 앉히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 연대기 기록에 따르면, 아슈르-벨-칼라는 특정 해 세바트 달에 군대를 이끌고 두르-쿠리갈주 지역의 도시들을 정복하고 그곳의 총독이었던 이티-마르두크-발라투의 아들 카다슈만-부리아시를 사로잡았다고 한다.[13]

이후 아슈르-벨-칼라는 아다드-아플라-이디나를 새로운 바빌론의 왕으로 세웠다. ''연대기적 역사''[13]에 따르면 아다드-아플라-이디나는 아슈르-벨-칼라에 의해 왕위에 올랐으며, 아슈르-벨-칼라는 그의 딸과 결혼하고 "막대한 지참금과 함께 그녀를 아시리아로 데려갔다"고 한다. 한편, ''선별 연대기''는 아다드-아플라-이디나의 아버지가 앞서 언급된 이티-마르두크-발라투라고 기록하고 있다. ''연대기적 역사''는 이 시기 "아시리아바빌로니아 백성들이 서로 평화롭게 섞여 살았다"고 기록하며 당시 두 나라의 관계가 안정되었음을 시사한다.[14]

3. 건설 사업과 동물 수집

아슈르-벨-칼라 재위 기간(기원전 1073–1056년)에 니네베이슈타르 신전에 세워진 유일하게 알려진 나체의 아시리아 여인상. 현재 런던의 대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아슈르-벨-칼라는 도시 건설에도 힘썼는데, 도시의 해자를 다시 파고 공공 정원의 관개 시설을 정비하는 활동을 했다. 그는 자신의 도시 아슈르삼나무, 회양목, 테레빈스, 타마리스크 나무를 이용한 궁전을 지었다고 기록했다. 또한 아시리아의 왕 아슈르-단 1세가 팠으나 수원지가 무너져 30년간 물이 흐르지 않던 운하의 수원지를 다시 파고 물을 대어 정원을 가꾸었다고 밝혔다.[8] 그는 궁궐 창고를 완전히 재건했으며,[11] 니네베의 신 궁전에 테라스를 건설하고 자신이 사냥한 '나히루'라는 동물의 형상을 본뜬 문지기를 세웠다. 또한 아다드-니라리 1세(기원전 1307–1275년)가 건설했던 부두 벽을 수리하기도 했다.[4]

아시리아의 높아진 위상을 반영하듯, 이집트로부터 이국적인 동물들을 선물받기도 했다. 그는 이 동물들을 백성들에게 보여주었는데('니셰 마티슈 우셰브리'', "그는 그의 땅 백성들에게 보여주었다"),[9] 희귀 동물 수집에 큰 관심을 보였다. 그는 선물받거나 상인을 통해 얻은 동물들로 컬렉션을 만들고 번식시키려 노력했다. 여기에는 큰 암컷 유인원, 악어, '강의 사람'이라 불린 대해(大海)의 동물, 그리고 낙타 등이 포함되었다.[10] 아슈르-벨-칼라는 동물 수집 외에도 사냥을 즐겨, 하티 땅 앞의 아라지쿠시와 레바논 산 기슭에서 야생 황소와 암소를 사냥했다고 기록했다.

4. 유산

(내용 없음)

참조

[1] 서적 Political history of Post-Kassite Babylonia (1158-722 b. C.) (A) https://books.google[...] Gregorian Biblical BookShop 1968
[2] 서적 The Prosopography of the Neo-Assyrian Empire, Volume 1, Part I: A The Neo-Assyrian Text Corpus Project
[3] 문서 Assyrian Kinglist
[4]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II, Part 2, History of the Middle East and the Aegean Region, 1380–1000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문서 Broken Obelisk
[6] 문서 Annals
[7] 간행물 Ugarit at Seventy-Five :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Ugarit at Seventy-Five" held at Trinity International University, Deerfield, Illinois, February 18-20, 2005 under the auspices of the Middle Western Branch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and the Mid-West Region of the Society of the Biblical Literature Eisenbrauns
[8] 서적 Royal autobiography in the book of Qoheleth Walter de Gruyter
[9] 서적 The Construction of the Assyrian Empire: A Historical Study of the Inscriptions of Shalmanesar III Relating to His Campaigns in the West Brill
[10] 서적 Studies in the period of David and Solomon and other essays Eisenbrauns
[11] 서적 On the Skirts of Canaan in the Iron Age: Historical and Topographical Researches Peeters Publishers
[12] 문서 Eclectic Chronicle
[13] 문서 Synchronistic History
[14]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Post-Kassite Babylonia, 1158–722 BC Pontificium Institutum Biblic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