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제규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다. 1990년대 후반 《쉬리》의 성공으로 한국 영화의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2004년 《태극기 휘날리며》로 천만 관객을 돌파하며 한국 영화 흥행 기록을 갱신했다. 1962년 경상남도 마산시(현 창원시)에서 태어나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했다. 2010년대 이후에는 《마이 웨이》, 《장수상회》, 《1947 보스톤》 등을 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산고등학교 동문 - 허남식
허남식은 1976년 고등고시 합격 후 부산광역시 기획관리실장과 정무부시장을 거쳐 제31·32·33대 부산광역시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전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을 지냈으나 엘시티 비리 연루 의혹으로 논란이 있었다. - 마산고등학교 동문 - 박성호 (1957년)
박성호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학자로, 창원대학교 교수와 총장을 거쳐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현재 국립 창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동문 - 강하늘
강하늘은 2007년 드라마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뮤지컬, 연극, 광고,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연기력을 인정받고 대중적인 인지도를 쌓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동문 - 김새론
김새론은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영화 《아저씨》로 주목받고 《도희야》, 《눈길》 등에서 연기력을 인정받았으나, 2022년 음주운전 사고로 활동에 제약을 받는 대한민국 배우이다. - 창원시 출신 - 김용현 (군인)
김용현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대통령경호처장과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12월 10일 내란 혐의로 구속되었다. - 창원시 출신 - 노재원
노재원은 1954년 고등고시 합격 후 외무부에서 다양한 요직을 거쳐 주영국 참사관, 주이란 및 주쿠웨이트 대사를 지냈고,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 경력이 있지만, 외무부 차관, 주캐나다 대사, 초대 주중국 대사를 역임하며 한중 관계 발전에 기여한 외교관이다.
강제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강제규 |
한자 표기 | 姜帝圭 |
로마자 표기 | Gang Je-gyu |
출생일 | 1962년 12월 23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마산시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영화 감독 |
활동 기간 | 1996년 ~ 현재 |
배우자 | 박성미 (1989년 ~ ) |
자녀 | 슬하 2남 |
학력 |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 |
2. 생애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한[8] 강제규는 1991년 대한민국 청소년 영화제와 대한민국 시나리오 공모대전에서 처음으로 상을 받았다.[1] 이후 강제규필름을 통해 시나리오 작가, 감독을 모집하고, 제작비를 지원하는 등 후진 양성에 힘썼으며, 2004년 명필름과 합병하여 MK Pictures를 설립했다.[2]
강제규가 한국 영화에 기여한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쉬리》와 《태극기 휘날리며》이다. 《쉬리》는 한국에서 제작된 최초의 대규모 할리우드 스타일 액션 영화로, 흥행 기록을 경신하며 한국 영화의 대중화에 부분적으로 기여했다. 5년 후, 강제규가 감독한 《태극기 휘날리며》는 다시 한번 흥행 기록을 갈아치우며 대한민국에서만 천만 명 이상이 관람했다.
BBC 스페셜 프로그램 '아시안 인베이전(Asian Invasion)' 인터뷰에서 강제규는 다음 작품으로 SF 영화를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저는 한국을 소재로 한 영화를 두 편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전 세계가 직면한 문제와 관련된, 좀 더 글로벌한 영화를 준비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2. 1. 어린 시절
강제규는 1962년 경상남도 마산시(현 창원시)에서 태어났다.[1] 진주 강씨이다.[7] 그는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도 영화감독의 꿈을 키웠다.2. 2. 영화감독 데뷔와 초기 활동
마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1년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에 진학하였다. 졸업 후 서울극장 합동영화사 조감독으로 영화계에 입문했다. 1989년 대학교 동기인 배우 박성미와 결혼하였다.[7][8]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강우석 감독의 《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 등의 각본을 쓰면서 감독의 꿈을 키웠다. 1996년 설날에 개봉한 《은행나무 침대》로 감독 데뷔, 총 68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대종상과 청룡영화제 신인감독상을 받았다.[1]
2. 3. 《쉬리》의 성공과 한국 영화 르네상스
첫 작품으로 대중의 주목을 받은 강제규의 두 번째 작품은 《쉬리》였다. 그는 북한의 식량난 문제를 접하고 이 작품을 기획하였다. 《은행나무 침대》가 시공을 초월한 사랑을 소재로 하였다면, 이 영화는 남·북 분단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고 있었다.[1]당시로서는 엄청난 규모인 24억원의 제작비를 들인 《쉬리》는 8개월 간의 제작 기간을 거쳐 1999년 설 연휴에 개봉되었다. 종영일까지 600만 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한 《쉬리》는 당시의 흥행 관념을 완전히 바꾸며 최고 흥행 기록을 세웠다. 이는 비슷한 시기에 개봉했던 세계적인 대흥행작 《타이타닉》의 대한민국 흥행 기록 450만 명을 훨씬 상회하는 수치이기도 하다. 이 기록은 《친구》가 개봉하기 전까지 깨지지 않았으며, 2009년 현재까지 통산 12위의 기록으로 남아 있다. 또한 일본에 130만달러로 수출을 하였고, 뉴욕 국제 영화제에서도 개막작으로 상영되었다.[1]
이 영화는 강제규에게 부와 명성을 가져다 주었으며, 이를 계기로 그는 영화사 강제규필름을 설립하게 된다. 이후 그는 강제규필름을 통해 시나리오 작가, 감독을 모집하고, 제작비를 지원하는 등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1]
2. 4. 《태극기 휘날리며》와 천만 관객 시대
2004년 초, 강제규는 한국 전쟁을 소재로 한 《태극기 휘날리며》를 개봉했다. 이 영화는 2003년 말 개봉한 《실미도》에 이어 한국 영화 사상 두 번째로 천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가 되었다. 1,174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1] 《태극기 휘날리며》는 대종상에서 미술상, 촬영상, 음향상을 수상했으며, 제50회 아시아-태평양 영화제에서는 최고 감독상과 작품상을 수상했다. 또한 이란의 파즈르 국제 영화제에도 초청작으로 상영되었다. 박스 오피스 모조(Box Office Mojo)에 따르면, 《태극기 휘날리며》는 세계적으로 6870만달러(미국에서는 110.00000000000001만달러)를 벌어들였으며, 이는 2004년 전 세계 영화 중 75위, 대한민국 영화 중에서는 최고 기록이다.2. 5. 2010년대 이후 활동
2011년, 강제규는 7년간의 공백기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범아시아 캐스팅과 한국 영화 사상 최고 제작비를 들인 영화 《마이 웨이》를 공개했다.[3]3. 작품 세계
강제규는 데뷔작 《은행나무 침대》에서 시공을 초월한 사랑이라는 판타지적 요소를 활용했다. 《쉬리》와 《태극기 휘날리며》에서는 남북 분단과 한국 전쟁이라는 한국 현대사의 비극을 다루는 등 현실적인 문제의식을 보여주었다.[1] 《쉬리》는 한국 영화로서는 드물게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스타일의 액션 장면과 스케일을 선보이며 한국 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태극기 휘날리며》는 한국 전쟁을 배경으로 엇갈린 형제의 운명과 비극적인 가족사를 그려내며, 전쟁의 참혹함과 분단의 아픔을 되새기게 했다.[1] 강제규는 사회적 문제의식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대중성을 확보하는 연출력을 통해 한국 영화의 질적, 양적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 2011년에는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한 영화 《마이 웨이》를 공개했다.[3]
3. 1. 사회적 논란 및 비판
영화 '쉬리'의 성공 이후, 강제규 감독은 영화계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지만, 몇 가지 논란과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특히, 강제규 필름에서 제작된 일부 영화들의 과도한 마케팅과 스크린 독과점 문제는 영화계 내부에서 비판받았다.2005년, 강제규 감독은 일본 언론인과의 인터뷰에서 "젊은 세대는 일본에 악감정이 없지만, 유교 사상 때문에 어른들의 가르침을 따라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 되었다. 연예 저널리스트 아소 고타로는 2005년 한국에서 강제규 감독과 회식했을 때, "일본인인 우리는 언제까지 (과거의 전쟁에 관련된 일에 관해) 사과를 해야 한국 사람들이 용서해 줄까요?"라고 질문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강제규 감독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고 한다. "저희 젊은 세대는 현대 일본 사람들에게 아무런 악감정도 품고 있지 않습니다. 친구도 많고, 다 좋은 사람들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은 유교의 나라이고, 연장자에게는 무조건 따르는 것이 미덕으로 여겨집니다. 한국의 노인들 중에는 전쟁 중 고통받았던 기억에 괴로워하는 사람들도 아직 많습니다. 그들은 조선어를 금지당하고, 일본어 교과서로 공부했으며, 신사나 도리이를 세운 곳에서 신앙을 강요받았습니다. 그런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일본의 과거 과오를 용서해서는 안 된다'고 말씀하십니다. 우리는 그 가르침을 지키고 실천해야 효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효도야말로 유교의 근본 가르침이기 때문입니다. 그 점을 부디 이해해 주십시오."[9]
4. 영화 목록
강제규 감독의 영화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87년 | 됴화 | 조감독 | |
1990년 |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 | 각본 | |
1991년 | 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 | 각본 | |
1994년 | 장미의 나날 | 각본 | |
1994년 | 공포특급 | 공동연출, 공동각본 | |
1997년 | 지상만가 | 각본 | |
2000년 | 유령 | 프로듀서 | |
2002년 | SSU | 총괄 프로듀서 | |
2009년 | 아이리스 | 기획 |
감독, 각본, 제작에 참여한 영화는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있다.
4. 1. 감독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96년 | 은행나무 침대 | 감독, 각본 | |
1999년 | 쉬리 | 감독, 공동 각본 | |
2004년 | 태극기 휘날리며 | 감독, 공동 기획, 공동 각본 | |
2011년 | 마이 웨이 | 감독, 공동 제작, 공동 각본 | |
2014년 | 민우씨 오는 날 | 감독, 각본 | 단편 영화 |
2015년 | 장수상회 | 감독, 각색 | |
2023년 | 1947 보스톤 | 감독 |
4. 2. 각본
- 1990년 영화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
- 1991년 영화 《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
- 1994년 영화 《장미의 나날》
- 1994년 영화 《공포특급》 (공동각본)
- 1996년 영화 《은행나무 침대》
- 1998년 영화 《쉬리》 (공동각본)
- 2004년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 (공동각본)
- 2011년 영화 《My Way》 (공동각본)
- 2014년 영화 《민우씨 오는 날》
- 2015년 영화 《장수상회》 (각색)
- 1990년 ''그들도 우리처럼''
- 1991년 ''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
- 1994년 ''장미의 나날''
- 1994년 ''게임의 법칙''
- 1996년 ''은행나무 침대 2''
- 1997년 ''애가''
- 1999년 ''쉬리''
- 2004년 ''태극기 휘날리며''
- 2009년 ''아이리스''
- 2011년 ''마이 웨이''
- 2014년 ''어웨이팅'' (단편 영화)
- 2015년 ''장수상회''
- 2023년 ''길 위에 김대중''
- 1996년 은행나무 침대
- 1997년 지상만가
- 1999년 쉬리
- 2004년 태극기 휘날리며
- 2023년 보스턴 1947
4. 3. 제작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96년 | 은행나무 침대 | 감독, 각본 | |
1997년 | 지상만가 | 각본 | |
1999년 | 쉬리 | 감독, 각본 | |
2000년 | 유령 | 프로듀서 | |
2002년 | SSU | 총괄 프로듀서 | |
2004년 | 태극기 휘날리며 | 감독, 각본 | |
2009년 | 아이리스 | 기획 | |
2011년 | 마이 웨이 | 감독 | |
2015년 | 장수상회 | 감독 | |
2023년 | 1947 보스톤 | 감독, 각본 |
5. 수상 경력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결과 |
---|---|---|---|---|
1991년 | 한국시나리오대상 | 수상 | ||
1993년 | 제29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시나리오상 | 수상 | |
1994년 | 제30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각본상 | 수상 | |
제5회 춘사대상영화제 | 창작각본상 | 게임의 법칙 | 수상 | |
1996년 | 제34회 대종상 | 신인감독상 | 수상 | |
제17회 청룡영화상 | 신인감독상 | 수상 | ||
한국여성문화협회 | 96 최고 작품상 | 수상 | ||
1997년 | 제2회 씨네21 영화상 | 올해의 신인감독상, 최우수작품상 | 수상 | |
1999년 | 제36회 대종상 | 기획상 | 수상 | |
제35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작품상, 영화부문 감독상, 영화부문 대상 | 수상 | ||
제19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특별상, 기획상, 각본상 | 수상 | ||
제44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 | 심사위원 특별상, 편집상 | 수상 | ||
제20회 청룡영화상 | 감독상, 한국영화최다관객상 | 수상 | ||
제7회 한국최고인기연예대상 | 영화부문 작품상, 감독상 | 수상 | ||
1999년 | 제2회 디렉터스 컷 시상식 | 올해의 영화인상 | 수상 | |
2001년 | 제24회 황금촬영상 | 제작공로상 | 수상 | |
2004년 | 제40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작품상 | 태극기 휘날리며 | 수상 |
2004년 | 제49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 | 작품상, 감독상 | 태극기 휘날리며 | 수상 |
2004년 | 제12회 춘사대상영화제 | 심사위원특별상 | 태극기 휘날리며 | 수상 |
2005년 | 제2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 최고의 작품상, 최고의 감독상 | 태극기 휘날리며 | 수상 |
2007년 | 제7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 감독상 | 수상 | |
예총예술문화상 | 대상 | 수상 | ||
2012년 | 아스타나 국제영화제 | 공로상 | 수상 | |
댈러스 국제영화제 | 관객상 | 수상 |
6.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강염원 ( ~ 2020년 5월 21일) |
어머니 | 이일순 (1934년 ~ 2011년 8월 6일) |
배우자 | 박성미 (1962년 10월 18일 ~ ) |
아들 | 강윤원, 강지완 |
형 | 강대흥 |
형수 | 한미숙 |
조카 | 강한솔, 강한샘 |
첫째 여동생 | 강명숙 |
첫째 제부 | 조문 (사망) |
조카 | 조성진, 조일선 |
둘째 여동생 | 강현숙 |
둘째 제부 | 이경섭 |
조카 | 이가영 |
참조
[1]
웹사이트
Movist.com - 무비스트는 영화다
https://web.archive.[...]
2008-01-28
[2]
웹사이트
Myung Films, MK Pictures to merge into one brand
https://www.asiae.co[...]
2010-07-14
[3]
웹사이트
Kang Je Kyu: 'I Devoted My Passion to 'My Way''
https://web.archive.[...]
KBS Global
2011-12-16
[4]
웹사이트
Grand Bell Awards 2004
http://www.koreanfil[...]
2004-06-11
[5]
NAVER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1-08-22
[6]
KMDb
강제규 (カン・ジェギュ)
http://kmdb.or.kr/ac[...]
2011-08-22
[7]
웹사이트
스카이데일리, 강수연·강호동 연예인 알부자 ‘무적 대장군 후예’
https://www.skyedail[...]
2016-09-08
[8]
웹사이트
남정욱의 演藝, 人 ① 한국의 ‘현대’ 영화를 발굴한 강제규 감독
http://monthly.chosu[...]
2015-01-28
[9]
서적
誰がJ-POPを救えるか?
朝日新聞出版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 대통령, 국민대표 80명에게 ‘빛의 임명장’ 받았다…임명장이 거치된 ‘큐브’는?
국민대표 80인, 이재명 대통령에 ‘빛의 임명장’[현장 화보]
‘14살 의인’부터 광복둥이까지…‘대통령 이재명’ 임명 국민대표 80명
국민대표 80인이 수여하는 ‘빛의 임명장’···미리 보는 대통령 국민임명식
강제규 감독 "'쉬리' 재개봉, 집 나간 자식 찾은 기분"
한국 첫 블록버스터 '쉬리'…극장서 4K로 다시 즐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