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 게임 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정구는 1994년 일본 히로시마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4년마다 열리는 아시안 게임에서 진행되고 있다. 남자, 여자, 혼합 복식 및 단체전 등의 세부 종목으로 구성되며, 대한민국이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정구 - 2018년 아시안 게임 정구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의 정구 종목은 남자 단식, 남자 단체, 여자 단식, 여자 단체, 혼합 복식으로 구성되어 8월 28일부터 9월 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정구 - 2002년 아시안 게임 정구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정구는 7개국 54명의 선수가 7개 종목에서 경쟁하여 대한민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크리켓
아시안 게임 크리켓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후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개최되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인도 남녀 대표팀이 모두 우승하여 아시아 크리켓 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국가들의 발전 저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유도
아시안 게임 유도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경기부터 시작, 이후 여자 유도 도입과 단체전 및 혼성 단체전 도입을 거쳐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이어져 왔으며 일본이 최우수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아시안 게임 정구 | |
---|---|
아시안 게임 정구 | |
![]() | |
일반 정보 | |
종목 | 정구 |
영어 종목명 | Soft tennis |
경기 단체 |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
단체 약자 | OCA |
세부 종목 | |
세부 종목 수 | 7 |
남자 종목 수 | 3 |
여자 종목 수 | 3 |
혼합 종목 수 | 1 |
아시안 게임 |
2. 역대 대회
경기 | 연도 | 개최 도시 | 최우수 국가 |
---|---|---|---|
1994 | 1994 | 히로시마, 일본 | |
1998 | 1998 | 방콕, 태국 | |
2002 | 2002 | 부산, 대한민국 | |
2006 | 2006 | 도하, 카타르 | |
2010 | 2010 | 광저우, 중국 | |
2014 | 2014 | 인천, 대한민국 | |
2018 | 2018 | 자카르타–팔렘방, 인도네시아 | |
2022 | 2022 | 항저우, 중국 |
1994년 아시안 게임에서 정구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2022년까지 총 8번의 대회가 개최되었다. 대한민국은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을 포함하여 이 중 6번의 대회에서 최우수 국가를 차지하며 정구 강국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2006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는 중화 타이베이에,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일본에 최우수 국가 자리를 내주었다.
2. 1.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1994년 아시안 게임에서 정구는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남자 복식, 여자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체전 경기가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를 획득하며 종합 2위를 기록했다.2. 2.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1998년 아시안 게임 정구는 방콕에서 개최되었다. 남자 복식, 여자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체전 경기가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며 종합 1위를 기록했다.경기 | 연도 | 개최 도시 | 최우수 국가 |
---|---|---|---|
1994 | 1994 | 히로시마, 일본 | |
1998 | 1998 | 방콕, 태국 | |
2002 | 2002 | 부산, 대한민국 | |
2006 | 2006 | 도하, 카타르 | |
2010 | 2010 | 광저우, 중국 | |
2014 | 2014 | 인천, 대한민국 | |
2018 | 2018 | 자카르타–팔렘방, 인도네시아 | |
2022 | 2022 | 항저우, 중국 |
2. 3.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2002년 아시안 게임은 대한민국 부산에서 개최되었다. 남자 단식, 여자 단식, 혼합 복식 경기가 추가되어 총 7개의 세부 종목이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5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며 압도적인 성적으로 종합 1위를 기록했다.경기 | 연도 | 개최 도시 | 최우수 국가 |
---|---|---|---|
1994 | 1994년 아시안 게임 | 히로시마, 일본 | |
1998 | 1998년 아시안 게임 | 방콕, 태국 | |
2002 | 2002년 아시안 게임 | 부산, 대한민국 | |
2006 | 2006년 아시안 게임 | 도하, 카타르 | |
2010 | 2010년 아시안 게임 | 광저우, 중국 | |
2014 | 2014년 아시안 게임 | 인천, 대한민국 | |
2018 | 2018년 아시안 게임 | 자카르타–팔렘방, 인도네시아 | |
2022 | 2022년 아시안 게임 | 항저우, 중국 |
2. 4.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2006년에는 카타르 도하에서 7개의 세부 종목이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으나, 중화 타이베이(금3, 은1, 동1)에 밀려 종합 2위를 기록했다.2. 5.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2010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7개의 세부 종목이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3개, 은메달 2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하며 종합 1위를 기록하였다.2. 6.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2014년 아시안 게임 정구는 대한민국 인천에서 개최되었다. 7개의 세부 종목이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며 종합 1위를 기록했다. 특히, 홈 이점을 안고 전 종목 석권을 노렸으나, 인도네시아와의 남자 복식 경기와 중국과의 여자 단식 경기에서 편파 판정 논란이 발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2. 7.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는 남자 복식, 여자 복식 경기가 제외되어 5개의 세부 종목만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며 종합 1위를 기록했다.2. 8.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2022년 아시안 게임 정구는 중국 항저우에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한 일본에 이어 종합 2위를 기록했다.3. 세부 종목
아시안 게임 정구는 남자 단식, 남자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식, 여자 복식, 여자 단체전, 혼합 복식의 7개 세부 종목으로 나뉜다.
종목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 2010 | 2014 | 2018 | 2022 | 개최 횟수 |
---|---|---|---|---|---|---|---|---|---|---|
남자 단식 | X | X | X | X | X | X | 6 | |||
남자 복식 | d | X | X | X | X | X | X | 6 | ||
남자 단체 | d | X | X | X | X | X | X | X | X | 8 |
여자 단식 | X | X | X | X | X | X | 6 | |||
여자 복식 | d | X | X | X | X | X | X | 6 | ||
여자 단체 | d | X | X | X | X | X | X | X | X | 8 |
혼합 복식 | X | X | X | X | X | X | 6 |
- 남자 단식, 여자 단식, 혼합 복식은 2002년 아시안 게임 정구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남자 복식과 여자 복식은 1994년 아시안 게임 정구부터 정식 종목이었으나, 2018년 아시안 게임 정구부터 제외되었다.
- 남자 단체전과 여자 단체전은 1994년 아시안 게임 정구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3. 1. 남자
아시안 게임 정구 남자 종목은 단식, 복식, 단체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자 단식은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남자 복식은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이었으나, 2018년 대회부터 제외되었다.
- 남자 단체전은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3. 1. 1. 남자 단식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동메달 |
---|---|---|---|---|---|
2002 | 부산 | 김경한 | 김희수 | 랴오난카이 | |
2006 | 도하 | 왕쥔옌 | 시노하라 히데노리 | 남택호 | |
2010 | 광저우 | 이요한 | 배환성 | 나카모토 케이야 | 양성파 |
2014 | 인천 | 김현준 | EDI | 김동훈 | 저우모 |
2018 | 팔렘방 | 김진웅 | 엘버트 시 | 김동훈 | 프리마 |
2022 | 항저우 | 우에마쓰 토시키 | 장유송 | 천위쉰 | 윤형욱 |
3. 1. 2. 남자 복식
아시안 게임 정구 남자 복식은 1994년 히로시마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나, 2018년 대회부터 제외되었다.년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동메달 |
---|---|---|---|---|---|
1994 | 히로시마 | 이명구 유영동 | 장한섭 이승우 | 랴오난카이 라이융랴오 | |
1998 | 방콕 | 궈쉬둥 팡퉁셴 | 랴오난카이 예위밍 | 정인수 유영동 | |
2002 | 부산 | 이원학 유영동 | 황정환 김희수 | 랴오난카이 차이허진 | |
2006 | 도하 | 양성파 리가홍 | 김재복 유영동 | 나카호리 시게오 다카가와 쓰구오 | |
2010 | 광저우 | 양성파 리가홍 | 김태정 배환성 | 시노하라 히데노리 고바야시 고지 | 나카호리 시게오 다카가와 쓰구오 |
2014 | 인천 | 김동훈 김범준 | 린딩쥔 리가홍 | 이상권 박규철 | 라이리황 허멍쉰 |
2018 | 팔렘방 | -- | -- | -- | -- |
2023 | 항저우 | -- | -- | -- | -- |
3. 1. 3. 남자 단체전
아시안 게임 정구 남자 단체전은 1994년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동메달 |
---|---|---|---|---|---|
1994 | 히로시마 | 중화 타이베이 | 대한민국 | 일본 | |
1998 | 방콕 | 대한민국 | 중화 타이베이 | 일본 | |
2002 | 부산 | 대한민국 | 일본 | 중화 타이베이 | |
2006 | 도하 | 일본 | 중화 타이베이 | 대한민국 | |
2010 | 광저우 | 중화 타이베이 | 일본 | 대한민국 | 중국 |
2014 | 인천 | 대한민국 | 일본 | 중화 타이베이 | 중국 |
2018 | 팔렘방 | 대한민국 | 일본 | 중화 타이베이 | |
2022 | 항저우 | 일본 | 중화 타이베이 | 대한민국 |
3. 2. 여자
아시안 게임 정구 여자 종목은 단식, 복식, 단체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자 단식은 2002년 대회부터, 여자 복식과 단체전은 1994년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여자 복식은 2018년 대회부터 제외되었다.
3. 2. 1. 여자 단식
여자 단식은 2002년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동메달 |
---|---|---|---|---|---|
2002 | 부산 | 박영희 | 김현주 | 자오잉 | |
2006 | 도하 | 장완치 | 장팅 | 쓰지 미와 | |
2010 | 광저우 | 자오 레이 | 김애경 | 김경련 | 장완치 |
2014 | 인천 | 김보미 | 천후이 | 김애경 | 장이 |
2018 | 팔렘방 | 다카하시 노아 | 정주링 | 드위 라하유 | 위 위안이 |
2023 | 항저우 | 문혜경 | 다카하시 노아 | 리 덩린 | 마 위에 |
3. 2. 2. 여자 복식
여자 복식은 1994년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나, 2018년 대회부터 제외되었다.년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동메달 |
---|---|---|---|---|---|
1994 | 히로시마 | 구마노 미유키|쿠마노 미유키일본어 스나모토 유리코|스나모토 유리코일본어 | 정순영|정순영한국어 윤선경|윤선경한국어 | 후루사와 미유키|후루사와 미유키일본어 사하시 레이코|사하시 레이코일본어 | |
1998 | 방콕 | 강지숙|강지숙한국어 이미경|이미경한국어 | 히가시 나오코|히가시 나오코일본어 미야지 유코|미야지 유코일본어 | ||
2002 | 부산 | 장미화|장미화한국어 김서운|김서운한국어 | 미즈카미 시노|미즈카미 시노일본어 하치야 시호|하치야 시호일본어 | 김명희|김명희한국어 박영희|박영희한국어 | |
2006 | 도하 | 타마이즈미 하루미|다마이즈미 하루미일본어 우에시마 아유미|우에시마 아유미일본어 | 쓰지 미와|쓰지 미와일본어 하마나카 히로미|하마나카 히로미일본어 | 김경련|김경련한국어 이경표|이경표한국어 | |
2010 | 광저우 | 우에하라 에리|우에하라 에리일본어 스기모토 히토미|스기모토 히토미일본어 | 김애경|김애경한국어 주옥|주옥한국어 | 사사키 마이|사사키 마이일본어 오바 아야카|오바 아야카일본어 | |
2014 | 인천 | 김애경|김애경한국어 주옥|주옥한국어 | 김지연|김지연한국어 윤수정|윤수정한국어 | 모리타 나오|모리타 나오일본어 야마시타 히카루|야마시타 히카루일본어 | |
2018 | 팔렘방 | — | — | — | — |
3. 2. 3. 여자 단체전
여자 단체전은 1994년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연도 | 개최지 | 금 | 은 | 동 | 동 |
---|---|---|---|---|---|
1994 | 히로시마 | 대한민국 | 타이베이 | 일본 | |
1998 | 방콕 | 대한민국 | 일본 | 타이베이 | |
2002 | 부산광역시 | 대한민국 | 일본 | 타이베이 | |
2006 | 도하 | 대한민국 | 일본 | 타이베이 | |
2010 | 광저우 | 일본 | 타이베이 | 중국 | 대한민국 |
2014 | 인천 | 대한민국 | 일본 | 타이베이 | 중국 |
2018 | 팔렘방 | 일본 | 대한민국 | 타이베이 | 중국 |
2022 | 항저우 |
3. 3. 혼합 복식
2002년 아시안 게임 정구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연도 | 개최지 | 금 | 은 | 동 |
---|---|---|---|---|
2002 | 부산 | 유영동 & 김서운 | 팡통시엔 & 저우추핑 | 김희수 & 박영희 |
2006 | 도하 | 위현환 & 김지은 | 유영동 & 김경련 | 다카가와 쓰네요 & 타마이즈미 하루미 |
2010 | 광저우 | 지용민 & 김경련 | 리자훙 & 정주링 | 류자룬 & 한자링 |
김태정 & 김애경 | ||||
2014 | 인천 | 김애경 & 김범준 | 천후이 & 저우모 | 김지연 & 박규철 |
프리마 심파차르지 & 스테파니 | ||||
2018 | 팔렘방 | 정주링 & 위카이원 | 문혜경 & 김기성 | 김지연 & 김범준 |
하야시다 리코 & 우에마쓰 토시키 |
4.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23 | 13 | 14 | 50 | |
2 | 7 | 9 | 14 | 30 | |
3 | 5 | 10 | 13 | 28 | |
4 | 1 | 3 | 8 | 12 | |
5 | 0 | 1 | 1 | 2 | |
합계 | 36 | 36 | 50 | 122 |
5. 참가국
국가 | 90 | 94 | 98 | 02 | 06 | 10 | 14 | 18 | 22 | 참가 횟수 |
---|---|---|---|---|---|---|---|---|---|---|
Bangladesh|방글라데시영어 | X | 1 | ||||||||
Brunei|브루나이영어 | X | 1 | ||||||||
Cambodia|캄보디아영어 | 3 | 7 | 10 | 3 | ||||||
China|중국중국어 | 16 | X | 10 | 8 | 7 | 10 | 10 | 5 | 3 | 9 |
16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9 | |
India|인도영어 | 8 | 10 | 10 | 3 | ||||||
Indonesia|인도네시아영어 | X | 7 | 10 | 7 | 4 | |||||
Japan|일본일본어 | 16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9 |
Kazakhstan|카자흐스탄영어 | 4 | 1 | ||||||||
Kyrgyzstan|키르기스스탄영어 | 2 | 1 | ||||||||
Laos|라오스영어 | 5 | 7 | 7 | 3 | ||||||
Malaysia|말레이시아영어 | X | 6 | 2 | |||||||
Maldives|몰디브영어 | X | X | 5 | 5 | 4 | |||||
Mongolia|몽골영어 | X | X | 8 | 10 | 9 | 10 | 10 | 10 | 10 | 9 |
Nepal|네팔영어 | X | X | 5 | 2 | 5 | 5 | 10 | 7 | ||
North Korea|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5 | 4 | 3 | 3 | ||||||
Pakistan|파키스탄영어 | 8 | 1 | ||||||||
Philippines|필리핀영어 | X | X | 10 | 4 | 7 | 10 | 3 | 8 | 10 | 9 |
Singapore|싱가포르영어 | X | X | 2 | |||||||
South Korea|대한민국한국어 | X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9 |
Tajikistan|타지키스탄영어 | 2 | 2 | 2 | 3 | ||||||
Thailand|태국영어 | X | X | 10 | 1 | 10 | 10 | 6 | |||
Vietnam|베트남영어 | X | 4 | 4 | 4 | 4 | 5 | ||||
참가국 수 | 11 | 15 | 11 | 7 | 10 | 11 | 13 | 14 | 12 | |
선수 수 | 113 | 86 | 54 | 67 | 85 | 87 | 113 | 97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