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18년은 여러 국가에서 연호를 사용하고, 다양한 사건이 일어난 해이다. 한반도에서는 궁예가 축출되고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여 고려 태조가 즉위했다. 유럽에서는 콘라트 1세가 사망하고, 머시아의 에델플래드가 사망하는 등 여러 사건이 발생했다. 아시아에서는 요나라가 상경을 점령하고, 전촉의 왕건이 사망하는 등의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918년 | |
---|---|
개요 | |
연도 | 918년 |
간지 | 무인년(戊寅年), 호랑이띠 |
세기 | 10세기 |
주요 사건 | |
고려 건국 | 고려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하고 고려를 건국함. |
고창 전투 | 고창 전투가 발발함. |
뤄양 학살 | 뤄양 학살이 발생함. |
후량 멸망 | 후량이 멸망함. |
키타이 건국 | 야율아보기가 키타이를 건국함. |
2. 연호
- 후량 정명(貞明) 4년
- 요 신책(神冊) 3년
- 후백제 정개(政開) 19년
- 태봉 정개(政開) 5년
- 고려 천수(天授) 원년
- 일본 엔기(延喜일본어) 18년
- 전촉 광천(光天) 원년
- 남한 건형(乾亨) 2년
- 오 천우 15년 (당소종의 연호를 계속 사용)
- 오월, 민 정명 4년 (후량의 연호 사용)
- 위전 동경 7년
- 발해 대인선 12년
- 신라 경명왕 2년
- 단기 3251년
3. 기년
후량 말제(末帝) 6년
요(遼) 태조(太祖) 12년
신라 경명왕(景明王) 2년
태봉 궁예(弓裔) 18년
고려 태조(太祖) 원년
후백제 견훤(甄萱) 정개 19년
발해 대인선(大諲譔) 13년
간지 무인
일본 엔기 18년, 황기 1578년
중국 오대 후량 정명 4년, 십국 오 천우 15년 (당소종의 연호를 계속 사용), 오월 정명 4년 (후량의 연호 사용), 민 정명 4년 (후량의 연호 사용), 남한 건형 2년, 전촉 광천 원년, 기타 요 신책 3년, 위전 동경 7년, 발해 대인선 12년, 남조 연호 불명 (시원・천서경성・안화・정우・초력 중 하나)
한국 신라 경명왕 2년, 고려 천수 원년, 후고구려 정개 5년, 후백제 정개 19년, 단기 3251년
4. 사건
7월 24일 - 철원의 무리들의 마음이 홀연히 변하여 왕건을 추대하여 태봉의 황제 궁예를 내쫓고, 태봉을 무너뜨렸다.
7월 25일 -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고 즉위, 연호를 천수로 정했다.
918년 - 고려의 건국: 궁예가 축출되고 왕건이 즉위하여 고려를 건국하였다. 고려 태조가 즉위하다.
한반도에서 왕건이 태봉을 멸망시키고 고려를 건국.
4. 1. 한반도
7월 24일 - 철원의 무리들의 마음이 홀연히 변하여 왕건을 추대하여 태봉의 황제 궁예를 내쫓고, 태봉을 무너뜨렸다. 7월 25일 -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고 즉위, 연호를 천수로 정했다. 왕건은 철원에서 왕위에 올라 고려 왕조를 창건하고 개성을 수도로 삼았다. 한반도에서 왕건이 태봉을 멸망시키고 고려를 건국하였다.4. 2. 유럽
- 12월 23일 - 콘라트 1세는 아르눌프 1세 ('''악공''')와의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7년간의 통치 끝에 바일부르크 성에서 사망했다. 콘라트는 임종 직전에 동생 에버하르트 3세에게 동프랑크 왕관을 작센의 공작인 하인리히 1세에게 넘기도록 설득했다. 콘라트는 독일의 풀다 대성당 (성 보니파시오의 묘소)에 묻혔다.
- 코르브릿지 전투: 하이-리브 에알드레드 1세는 스코틀랜드의 콘스탄틴 2세 왕에게 버니시아에서 자신의 지위를 되찾도록 돕도록 설득했다. 그들은 현재 노르드가 지배하는 그의 영토를 침공했다. 라그날 우어 이마르 휘하의 바이킹은 코르브릿지(북부 노섬브리아 왕국)에서 스코틀랜드 군과 그 동맹군을 격파했지만, 그들 역시 큰 피해를 입었다.
- 여름 – 머시아의 레이디 에델플래드는 요크 왕국 내의 불만을 품은 세력과 모략을 꾸미기 시작했다. 머시아 군은 지역 시골을 약탈하고 데인로의 5개 자치구에 속하는 레스터 요새를 평화롭게 점령하는 한편, 그녀의 오빠인 에드워드 1세 왕은 스탬퍼드를 점령했다.
- 6월 12일 – 에델플래드는 바이킹에 대항하는 원정 중 탬워스에서 사망했다. 그녀는 남편 에설레드와 함께 글로스터의 세인트 오스왈드 수도원에 묻혔다. 에델플래드는 그녀의 외동딸 앨프윈이 계승했다.
- 기네드 왕국의 이드왈 포엘 왕과 하웰 다 및 데헤우바르스의 클로도그 공은 에드워드 1세의 종주권을 받아들인다. 바이킹은 앵글시를 습격한다.
4. 3. 아시아
7월 25일 – 왕건은 한국의 장군으로, 단명한 국가 태봉을 멸망시키고 철원에서 왕위에 오른다. 그는 고려 왕조를 창건하고 개성을 수도로 삼았다. 거란족의 황제 태조는 '''최고 수도'''를 의미하는 상경(현재의 내몽골 자치구)이라는 새로 축조된 도시를 점령한다. 이곳은 중국의 요나라의 거주지가 된다.5. 탄생
6. 사망
- 7월 24일 - 태봉(泰封)의 초대 국왕(國王) 궁예
- 태봉(泰封)의 무신(武臣) 종간(宗侃)
- 태봉(泰封)의 무신(武臣) 이흔암(伊昕巖)
- 태봉(泰封)의 무신(武臣) 환선길(桓宣吉)
- 태봉(泰封)의 무신(武臣) 환향식(桓香寔)
- 태봉(泰封)의 무신(武臣) 임춘길(林春吉)
- 12월 23일 - 독일의 군주 콘라두스 1세.
- 1월 21일 – 유지준, 중국 장군
- 6월 12일 – 애텔플래드, 머시아의 여군주
- 7월 6일 – 윌리엄 1세, 아키텐 공작
- 9월 10일 – 보두앵 2세, 프랑크 변경백
- 10월 1일 – 주, 전촉 황후
- 후세인 이븐 함단, 아바스 왕조 장군
- 임내명 부인, 중국 귀족
- 미요시노 기요츠라, 일본 학자
- 오티르 ('''흑인''' ), 노르드 바이킹 족장
- 탄취안보, 중국 군벌
- 왕건, 전촉 황제
- 허지순, 중국 총독 겸 섭정
- 주진, 중국 군벌
- 소적로, 요나라의 외척
6. 1. 한반도
궁예가 실정으로 민심을 잃자, 918년 음력 6월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등이 정변을 일으켜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가 건국되었다. 궁예는 도주하다가 부양 백성들에게 살해되었다. 7월 24일에는 태봉의 초대 국왕 궁예가 사망했다.6. 2. 유럽
918년 유럽에서는 여러 사건과 인물들의 죽음이 있었다.[1] 머시아의 여군주 애텔플래드가 6월 12일에 사망했고[1], 아키텐 공작 윌리엄 1세는 7월 6일에 사망했다. 보두앵 2세는 9월 10일에 사망했으며, 프랑크 왕 콘라트 1세는 12월 23일에 사망했다.6. 3. 아시아
918년에는 여러 주요 인물들이 사망했다. 동아시아에서는 태봉(후고구려)의 왕이었던 궁예가 사망했다.[1] 전촉의 황제 왕건이 사망했다.[1] 중국에서는 후량의 장군 유지준과[1] 당나라의 군벌 탄취안보가 사망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