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제르바이잔 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제르바이잔 철도는 아제르바이잔의 철도 시스템을 설명하는 문서이다. 1878년 바쿠에서 시작된 아제르바이잔 철도는 러시아 제국, 소련 시대를 거쳐 1991년 아제르바이잔 독립 이후 국영 철도(ADY)가 설립되었다. 현재는 바쿠-트빌리시-카르스 철도를 포함한 다양한 국제 철도 연결을 통해 화물 및 여객 운송을 수행하고 있으며,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으로 인해 아르메니아와의 철도 운행은 중단된 상태이다. 주요 활동 분야는 화물 운송으로, 석유 제품, 곡물, 광물 건설 자재 등을 취급하며, 여객 운송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아제르바이잔은 남북, 중간, 북서, 남서, 라피스 라줄리 회랑 등 다양한 국제 수송 회랑에 참여하여 운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쿠의 기업 - 아제르바이잔 국영 석유회사
아제르바이잔 국영 석유회사(SOCAR)는 아제르바이잔의 석유 산업을 통합 관리하는 국영 기업으로, 석유 및 가스 탐사, 생산, 정제, 운송, 판매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주요 에너지 파이프라인의 지분을 보유하고 최근에는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도 진출했지만 부패 논란에 연루되기도 했다. - 바쿠의 기업 - 아제르바이잔 중앙은행
아제르바이잔 중앙은행은 아제르바이잔의 중앙 은행으로, 물가 안정 유지, 은행 시스템 안정 지원, 통화 및 외환 정책 수행 등을 담당하며 운영 위원회에 의해 관리된다. - 아제르바이잔의 브랜드 - 아제르바이잔 항공
아제르바이잔 항공은 1992년 설립된 아제르바이잔의 국영 항공사로, 서방 항공기 도입을 통해 기종을 현대화하고 국제선 운항을 확대해왔으며, 외부 요인과 재정적 어려움,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며 다수의 항공사와 코드쉐어 협정을 맺고 있다. - 아제르바이잔의 브랜드 - 아제르바이잔 국영 석유회사
아제르바이잔 국영 석유회사(SOCAR)는 아제르바이잔의 석유 산업을 통합 관리하는 국영 기업으로, 석유 및 가스 탐사, 생산, 정제, 운송, 판매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주요 에너지 파이프라인의 지분을 보유하고 최근에는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도 진출했지만 부패 논란에 연루되기도 했다.
아제르바이잔 철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아제르바이잔 철도 |
원어 명칭 | Azərbaycan Dəmir Yolları (아제르바이잔어) |
기업 형태 | 폐쇄형 합자 회사 |
설립 | 2009년 |
본사 위치 | 바쿠 |
서비스 제공 지역 | 아제르바이잔 CIS 국가 발트 3국 몰도바 우크라이나 조지아 튀르키예 이란 |
산업 | 운송 |
모회사 | AZCON Holding |
주요 서비스 | 철도 운송 |
직원 수 | 17,000명 이상 |
주요 인물 | 로브샨 루스탐모프 |
웹사이트 | 아제르바이잔 철도 공식 웹사이트 |
철도 정보 | |
개업 | 1991년 (전신: 러시아 제국 철도 1878-1917, 소비에트 연방 철도 1917-1991) |
궤간 | (1520mm) |
전철화 방식 | 직류 3,000 볼트 (3 kV DC) |
총 연장 | (2918 km) |
2. 역사
아제르바이잔 철도는 1878년 러시아 제국 시대에 바쿠 교외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1880년 사분추에서 수라하늬까지 연결되는 노선이 개통되었고, 1883년에는 바쿠에서 트빌리시까지 연결되는 장거리 노선이 개통되었다. 1900년에는 빌라제리를 경유하여 다게스탄의 데르벤트 및 마하치칼라까지 연결되는 노선이 개통되어 러시아 제국(이후 소련)과 연결되었다. 1908년에는 아라라트에서 나히체반 자치 공화국의 셰루르와 줄파까지 노선이 연장되어 아르메니아와 연결되었다.
소련 시대에는 수력 발전을 바탕으로 1926년 바쿠와 사분추 사이 노선이 소련 최초로 전철화되었다. 1924년에는 알라트와 네프트찰라까지, 1941년에는 고라디즈, 민지반을 거쳐 아르메니아의 카판까지, 그리고 아스타라, 아제르바이잔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1944년에는 캐털파라그, 아그담, 스테파나케르트(한켄디)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1991년 아제르바이잔 독립 후 아제르바이잔 국영 철도(Azərbaycan Dövlət Dəmir Yolları)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으로 아르메니아 점령 지역 철도 서비스와 아르메니아행 국제 철도 교통이 중단되었다. 2009년에는 아제르바이잔 철도망의 국영 운영사인 "아제르바이잔 철도"(Azәrbaycan Dәmir Yolları Qapalı Səhmdar Cəmiyyəti, "ADY" QSC)가 설립되었다. 카르스-트빌리시-바쿠 철도는 터키, 조지아, 아제르바이잔을 연결하는 지역 철도 프로젝트이다. 2019년에는 바쿠 교외 철도가 개통되어 사분추와 연결되었다.[6]
2. 1. 러시아 제국 시대 (1878-1917)
러시아 제국에 속해 있던 아제르바이잔의 첫 번째 철도 노선은 1878년에 부설되었으며, 1880년 바쿠 교외 지역에서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현재 바쿠시에 위치한 사분추에서 수라하늬까지 연결되었다. 궤도 폭은 러시아 궤간에 해당했다.[1]1883년에는 바쿠에서 조지아의 트빌리시까지 연결되는 첫 번째 장거리 철도 노선이 개통되었다.[1]
1900년에는 빌라제리를 경유하여 바쿠와 다게스탄의 데르벤트 및 페트로프스크(마하치칼라)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 개통되어 아제르바이잔이 나머지 러시아 제국(나중에는 소련)과 연결되었다.[1]
1908년에는 아르메니아의 아라라트에서 나히체반 자치 공화국의 셰루르와 줄파까지 철도 노선이 연장되면서 아제르바이잔의 이 지역이 아르메니아와 연결되었다.[1]
이로써 아제르바이잔 철도의 개발은 잠정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간주되었다.[1]
2. 2. 소련 시대 (1917-1991)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하고 소련이 성립되면서, 러시아 제국 철도는 소련 철도로 변경되었다.
아제르바이잔의 풍부한 수력 발전 자원을 바탕으로, 아제르바이잔 철도 노선에서는 매우 이른 시기에 전철화가 시작되었다. 1926년 바쿠와 사분추 사이의 철도 노선이 1.2 kV (1,200 V) 직류로 전철화되면서, 소련 최초의 전철 운행 철도 노선이 되었다. 이후 3 kV (3,000 V) 직류로 전철화가 이루어졌다.
1924년에는 철도 노선이 남쪽으로 알라트와 네프트찰라까지 연장되었다.
1941년에는 철도 노선이 고라디즈와 민지반에서 아르메니아를 거쳐 카판까지 연장되어 아제르바이잔의 나흐치반 월경지인 줄파까지 연결되었다. 이로써 아제르바이잔의 나흐치반 월경지가 마침내 아제르바이잔 본토와 철도로 연결되었다. 같은 해에 철도 노선이 남쪽으로 이란과의 국경에 위치한 아스타라, 아제르바이잔까지 연장되었다.
1944년에는 철도 노선이 캐털파라그, 아그담 및 스테파나케르트(한켄디)까지 연장되었다.
1991년까지 아제르바이잔의 철도 교통은 소련 교통부의 감독 하에 소련 철도에서 운영되었다. 소련 철도의 아제르바이잔 지부는 바쿠, 간자, 나흐치반 시의 세 개 부서로 나뉘었다.
2. 3. 아제르바이잔 독립 이후 (1991-현재)
1991년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이 독립하면서 같은 해 아제르바이잔 국영 철도(Azərbaycan Dövlət Dəmir Yolları)가 설립되었다.

아제르바이잔의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둘러싼 아르메니아와의 분쟁으로 나고르노카라바흐를 포함한 아제르바이잔의 아르메니아 점령 지역 철도 서비스와 아르메니아로 향하는 국제 철도 교통이 중단되었다. 그 결과 아제르바이잔 철도 240.4km가 아르메니아의 점령 하에 놓였다.
화물 운송에서 카스피해의 바쿠 유정에서 흑해의 조지아 항구 바투미로의 석유 수출은 철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1999년 아제르바이잔 국영 철도의 화물 시장 점유율은 21%였다.
2009년에는 아제르바이잔 국영 철도를 기반으로 아제르바이잔 철도망의 국영 운영사인 "아제르바이잔 철도"(Azәrbaycan Dәmir Yolları Qapalı Səhmdar Cəmiyyəti, "ADY" QSC)가 설립되어 기능적으로 이를 대체했다.
카르스-트빌리시-바쿠 철도는 터키, 조지아, 아제르바이잔을 직접 연결하는 지역 철도 프로젝트이다. 2017년에 완료될 예정이었으나[4], 아제르바이잔 내에서는 추가 철도 노선이 건설되지 않고 기존 노선 현대화 및 신형 차량 도입이 이루어졌다. 카르스-트빌리시-바쿠 철도 완공으로 철도의 화물 시장 점유율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 5월 13일 바쿠에서 열린 TransCaspian 2015 무역 박람회에서 Stadler Rail과 국영 철도 ADY는 5대의 키스 2층 전기 동차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5]
국영 철도 ADY는 50대의 알스톰 KZ8A 2단 25kV AC 전기 화물 기관차를 3억유로에 발주했다. 2015년 9월 7일, 알스톰은 아제르바이잔에 공급될 AZ8A 화물 전기 기관차의 부품 개발을 시작했다.
2. 3. 1. 바쿠 교외 철도
2019년에 바쿠 교외 철도가 개통되어 사분추와 연결되었다.[6]3. 주요 지표 및 활동 분야
아제르바이잔 철도는 총 연장 2,918km이며, 이 중 단선 구간은 2,117km, 복선 구간은 815km이다. 전체의 43%인 1,272km가 전철화 구간이다.
시설 노후화로 인해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튀르키예에서 조지아를 거쳐 아제르바이잔으로 이어지는 바쿠-트빌리시-카르스 철도 건설 공사에 맞추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3. 1. 화물 운송
카스피해 연안의 바쿠에서 흑해 연안의 바투미까지 석유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아제르바이잔 철도의 중요한 자금원이 되었으며, 1999년에는 화물 수송이 전체 수입의 21%를 차지했다.[7] 2015년에는 화물용 알스톰사 KZ8A 전기 기관차가 도입되었다.[16]2021년 기준 아제르바이잔 철도의 주요 화물 그룹별 수송량 및 비율은 다음과 같다.
3. 2. 여객 운송
소련 붕괴 이후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으로 나고르노카라바흐를 포함한 아르메니아 점령 지역의 철도(총 연장 240.4km)가 단절되어 양국 간 국제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그 결과 아제르바이잔 본토와 나히체반 사이의 철도 이동이 불가능해졌고, 이란에서 나히체반을 거쳐 아제르바이잔 본토로 향하는 열차도 폐지되었다. 이란에서 아제르바이잔으로 향하는 열차는 나히체반에만 운행된다. 다른 국제 열차는 러시아 및 조지아 간에 운행되고 있다.
2017년 10월 30일 터키,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3개국을 잇는 바쿠-트빌리시-카르스 철도가 개통되었다[15]。아제르바이잔 영내에서는 신선 건설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노후화된 설비 현대화가 진행되고 있다. 2015년 슈타들러 레일사에서 제작한 2층 객차 "'''KISS'''"가 도입되었으며[16], 같은 해 화물용 알스톰사 KZ8A 전기 기관차 도입도 시작되었다.
4. 국제 철도 연결
5. 국제 수송 회랑
아제르바이잔은 여러 국제 수송 회랑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남북 교통 회랑 (International North–South Transport Corridor): 인도와 이란에서 러시아, 서유럽, 발트해 연안 및 스칸디나비아 국가로 화물을 운송하는 데 사용된다. 이 회랑은 다른 노선보다 운송 거리와 시간을 2~3배 단축시킨다. 해상 운송보다 20~25일 정도 빠르다.[10] 2000년 러시아, 이란, 인도 간 협정이 체결되었고, 아제르바이잔은 2005년에 가입했다.
- 중간 회랑 (The Middle Corridor): 중국에서 튀르키예와 유럽 연합으로 화물을 운송하는 경로이다. 평균 10~12일 만에 상품을 운송할 수 있다.[11]
- 북서 교통 회랑 (North West Transport Corridor): 바쿠-트빌리시-카르스 철도를 이용하여 터키와 러시아 간 화물 운송량을 늘린다. 러시아산 석탄과 곡물 화물을 터키로 쉽게 운송할 수 있다.[12]
- 남서 교통 회랑 (South-West Transport Corridor): 페르시아만/인도 - 이란 - 아제르바이잔 - 조지아 - 우크라이나 - 유럽(또는 튀르키예 - 유럽) 경로로 운영된다.[14] 2016년 바쿠에서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이란, 우크라이나 철도 및 해운 기업 간 회랑 개발 의정서가 체결되었다.
- 라피스 라줄리 회랑 (Lapis Lazuli corridor): 2017년 아슈하바트에서 아프가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터키 간 체결된 협정으로, 운송 기반 시설 현대화와 통관 절차 간소화를 목표로 한다.[1]
5. 1. 남북 교통 회랑 (International North–South Transport Corridor)
북-남 교통 회랑은 인도와 이란 걸프 지역에서 러시아, 서유럽, 발트해 연안 국가 및 스칸디나비아 국가로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설계되었다.[10] 이 회랑의 주요 장점은 다른 노선에 비해 운송 거리와 시간이 2~3배 짧다는 것이다. 페르시아만과 인도양, 수에즈 운하, 지중해, 발트해를 거쳐 헬싱키까지 해상 운송 시 45~60일이 걸리는 데 반해, 이 회랑을 이용하면 20~25일이 소요된다.북-남 국제 교통 회랑 설립에 관한 협정은 2000년 9월 12일 러시아, 이란, 인도 정부 간에 체결되었다. 아제르바이잔은 2005년 9월 20일 법에 따라 이 협정에 가입했다.
5. 2. 중간 회랑 (The Middle Corridor)
중간 회랑 또는 트랜스 카스피해 국제 운송 경로(TITR)는 중국에서 튀르키예, 그리고 유럽 연합으로, 또한 그 반대로의 화물 운송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운송 회랑의 관리 및 개발은 설립된 컨소시엄 회원들에 의해 수행된다.이 회랑을 운행하는 열차는 중국에서 유럽으로 상품을 평균 10~12일 만에 운송하는데, 이는 운송 회랑의 주요 장점 중 하나이다.[11]
총 연장 2,918km 중 단선 구간은 2,117km, 복선 구간은 815km이다. 총 연장의 43%에 해당하는 1,272km가 전철화되어 있다.
시설 노후화가 진행되어 개수가 필요하지만, 튀르키예에서 조지아를 거쳐 아제르바이잔에 이르는 바쿠-트빌리시-카르스 철도 건설 공사에 맞춰 개선이 예상된다.
소련 붕괴 이후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으로 인해, 아르메니아에 점령된 지역의 철도(총 연장 240.4km)가 단절되어, 양국 간의 국제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그 결과 아제르바이잔 본토와 나히체반 사이의 철도 이동이 불가능해졌다.
화물 수송에서는 카스피해 연안의 바쿠에서 흑해 연안의 바투미까지 석유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아제르바이잔 철도의 중요한 자금원이 되었으며, 1999년에는 화물 수송이 전체 수입의 21%를 차지했다.
2017년 10월 30일에는 터키,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3개국을 잇는 바쿠-트빌리시-카르스 철도가 개통되었다.[15] 아제르바이잔 영내에서는 신선 건설은 이루어지지 않지만, 노후화된 설비의 현대화가 진행되고 있다. 2015년에는 슈타들러 레일사에서 제작한 2층 객차 "KISS"가 도입되었으며[16], 같은 해에는 화물용 알스톰사 KZ8A 전기 기관차의 도입도 시작되었다.
5. 3. 북서 교통 회랑 (North West Transport Corridor)
바쿠-트빌리시-카르스 철도가 2017년에 개통되면서 북서부 교통 회랑 건설이 가능해졌다. 이 회랑은 바쿠-트빌리시-카르스 철도를 이용하여 터키와 러시아 사이의 화물 운송량을 늘리기 위해 설계되었다. 특히, 북서부 교통 회랑은 러시아에서 생산된 석탄과 곡물 화물을 바쿠-트빌리시-카르스 철도를 통해 터키로 쉽게 운송할 수 있게 한다.[12]5. 4. 남서 교통 회랑 (South-West Transport Corridor)
이 회랑의 역사는 2016년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13] 남서부 수송 회랑은 페르시아만/인도 - 이란 - 아제르바이잔 - 조지아 - 우크라이나 - 유럽(또는 튀르키예 - 유럽)의 지리적 경로를 따라 운영된다.[14] 이 회랑은 아제르바이잔 철도(ADY)의 주도로 설립되었다. 이 노선은 2016년 1월 12일 바쿠에서 발표되었으며, 이 자리에서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이란, 우크라이나의 철도 및 해운 기업 간의 논의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 회랑 개발에 관한 의정서가 체결되었다. 이 문서에 따르면 회랑의 전체 명칭은 "페르시아만 - 이란 아스타라 및 카스피해 - 흑해 - 유럽"이다.5. 5. 라피스 라줄리 회랑 (Lapis Lazuli corridor)
2017년 11월 15일, 아슈하바트에서 아프가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터키 간 라피스 라줄리 회랑(Lapis-Lazuli route) 통과 및 운송 협력에 관한 5자 협정이 체결되었다.[1] 이 문서는 참여 국가들의 운송 기반 시설(도로, 철도, 해상) 현대화와 통관 절차 간소화를 목표로 한다.[1] 이 협정은 계약 당사국 영토를 통한 상품의 중단 없는 운송을 쉽게 하고, 교통 통과 관련 문제 및 절차를 간소화하며, 차량, 화물, 승객의 안전을 보장한다.[1]참조
[1]
뉴스
Azerbaijan Railways
http://www.indexmund[...]
Indexmundi
2021-09-18
[2]
웹사이트
The railway transport
https://www.azerbaij[...]
[3]
웹사이트
Recent Developments in the Baku-Tbilisi-Kars Railway Project
https://www.eurasian[...]
[4]
웹사이트
İlham Əliyev Bakı-Tbilisi-Qars dəmir yolunun açılış mərasimində iştirak edib » Azərbaycan Prezidentinin Rəsmi internet səhifəsi
https://president.az[...]
[5]
웹사이트
Stadler to supply double-deck EMUs to Azerbaijan
http://www.railwayga[...]
2018-04-21
[6]
웹사이트
Ilham Aliyev inaugurated Sabunchu Railway Station Complex
https://president.az[...]
[7]
웹사이트
Dəmir yolları ilə ən çox daşınan yüklər
https://freight.ady.[...]
[8]
웹사이트
Azərbaycan Dəmir Yollarının sərnişindaşıma statistikası
https://ticket.ady.a[...]
[9]
웹사이트
Caspian corridor agreement
http://www.railwayga[...]
2018-04-21
[10]
웹사이트
"Şimal-Cənub" Beynəlxalq Nəqliyyat Dəhlizi
https://www.mincom.g[...]
[11]
웹사이트
Şərq-Qərb dəhlizi
https://freight.ady.[...]
[12]
웹사이트
İlk Bakı-Tbilisi-Qars dəmiryolu rəsmən açılıb
https://www.bbc.com/[...]
[13]
웹사이트
Cənub-Qərb və Şimal-Qərb nəqliyyat dəhlizləri » Teref.az
https://teref.az/siy[...]
[14]
웹사이트
"Cənub-Qərb" nəqliyyat dəhlizi ilə buraxılacaq yeni sınaq qatarı Azərbaycandan keçəcək
https://report.az/in[...]
2020-06-21
[15]
뉴스
カスピ海周辺3か国つなぐ鉄道が開通 中国─西欧の所要時間短縮
https://www.afpbb.co[...]
[16]
웹사이트
Stadler to supply double-deck EMUs to Azerbaijan
http://www.railwayga[...]
[17]
문서
Станцию Ахалкалаки в Грузии спроектируют в Азербайджане
http://vestikavkaza.[...]
[18]
뉴스
Azerbaijan Railways
http://www.indexmund[...]
Indexmundi
2009-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