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라트는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에서 숭배되었던 여신으로, '보리 가루를 섞거나 반죽하다'라는 뜻의 동사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알라의 여성형이라는 설이 있다. 나바테아인들은 알-라트를 아테나, 튀케, 미네르바와 동일시했으며, "위대한 여신"으로 불렀다. 이슬람 자료에서는 바누 사키프 부족의 주신으로 묘사되며, 타이프에서 숭배받았다. 꾸란에서는 알-라트가 알 웃자, 마나트와 함께 언급되지만, 사탄의 시 사건과 관련되어 논란이 있다. 알-라트는 식물의 신, 대기 현상, 하늘의 신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팔미라의 알라트 신전은 ISIL에 의해 훼손되었다가 복원되어 다마스쿠스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알-라트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2] 중세 아랍어 사전 편찬자들은 이 이름이 '보리 가루를 섞거나 반죽하다'라는 뜻의 동사 ''latta''에서 파생되었다고 보았다. 에제키엘서에 따르면 예루살렘 성전에 세워진 "질투의 우상"에 아내가 불륜을 저질렀다고 의심한 남편이 보리 가루를 바쳤다는 기록이 있는데, 알-칼비의 ''우상의 서''에서 알-라트의 이미지 근처에서 이와 비슷한 의식이 행해졌음을 추론할 수 있다.[2] 다른 어원설에 따르면 알-라트는 알라의 여성형으로, 원래는 ''ʾal-ʾilat''로 알려졌을 수도 있다고 한다.
알-라트는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가 저술한 ''역사''에서 '알리라트'로 언급되었으며, 아프로디테(우라니아의 아프로디테)와 동일시되었다.[3] 헤로도토스는 고대 아라비아인들이 디오니소스(오로탈트)와 아프로디테(알리라트) 두 신만을 믿었다고 기록했다.[5]
이슬람 자료에서 알-라트는 바누 사키프 부족의 주신으로 묘사되며, 타이프에서 숭배받았다.[14] 타이프의 알-라트 신전은 금과 오닉스로 장식된 입방체 화강암 형태였으며, 신전 주변 지역은 신성하게 여겨졌다.[14] 히샴 이븐 알-칼비의 ''우상들의 책''에 따르면, 알-라트 신전은 바누 아타브 이븐 말리크의 보호를 받았다.[14] 쿠라이시를 포함한 다른 부족들도 알-라트를 숭배했으며, 자이드 알라트, 타임 알라트와 같이 여신의 이름을 딴 아이들의 이름이 있었다.[14]
2. 어원 및 명칭
알-라트는 여신 아세라 또는 아티라트의 칭호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 단어는 셈족 신 엘의 아내 이름인 엘라트와 유사하다. 메소포타미아 여신 에레시키갈을 모델로 한 서부 셈족 여신은 ''알라툼''으로 알려졌으며, 카르타고에서는 알라투로 인식되었다.
여신 알라트의 이름은 다양한 언어로 기록되어 있는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언어 표기 음역 제국 아람어 𐡄𐡍𐡀𐡋𐡕|han-ʾIlatarc 나바테아 아랍어 𐢀𐢑𐢞|Allātmis 팔미라 아람어 𐡠𐡫𐡶|Allātmis 사파이트어 ʾIlāt|ʾIlātmis, ha-Lāt|ha-Lātmis, Lāt|Lātmis 다다니틱어 𐪁𐪉|Lātmis 타무드어 𐪁𐪉|Lātmis 고대 그리스어 Ἀλιλάτ|Alilátgrc 사바어 𐩡𐩩|Lātxsa, 𐩡𐩩𐩬|Lātānxsa 고전 아랍어 أللاَّت|ʾal-Lātar
3. 이슬람 이전 시대의 숭배
알-라트는 북아라비아에서 널리 숭배되었지만, 남아라비아에서는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6] 하지만 예멘과 접경한 아라비아 부족들 사이에서는 숭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6] 동아라비아에서도 알-라트 숭배의 증거가 발견된다.[6] 사파어와 히스마어 비문에서 알-라트는 고독, 자비, 웰빙, 편안함, 번영 등을 위해 불려졌다.[6] 여행자들은 날씨, 보호, 복수, 전리품 등을 위해 알-라트를 불렀으며, 케다르인도 알-라트를 숭배했다.[6]
ʿĀd 부족은 이람의 기둥에 알-라트 신전을 지었다.[6] 알-라트는 나바테아 문자 비문에서 "이람에 있는 여신" 또는 "보스라에 있는 여신"으로 불렸다.[6] 헤그라에서는 "아므나드의 알라트"라고 불렸다.[6]
3. 1. 나바테아와 알-라트
나바테아인과 하트라 사람들은 알-라트를 숭배했으며, 그리스 여신 아테나와 튀케, 로마 여신 미네르바와 동일시했다.[7] 이들은 다국어 비문에서 알-라트를 "위대한 여신"이라고 불렀다. 나바테아인들은 알-라트를 신들의 어머니로 여겼으며, 가족 관계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두샤라의 배우자 또는 어머니로 여겨지기도 했다. 나바테아 문자 비문에서는 알-라트와 알-우자를 "두샤라의 신부"라고 칭하기도 한다.[7]
알-라트는 알-우자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으며, 나바테아 왕국 일부 지역에서는 이 둘을 동일한 여신으로 여기기도 했다.
3. 2. 팔미라와 알-라트
팔미라는 알-라트 숭배의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신전의 여주인"이라는 칭호가 이를 뒷받침한다.[8] 알-라트 신전은 팔미라 아랍 부족들의 숭배 중심지였으며,[8] 점 화살을 던지는 것과 같은 점술 의식이 행해졌다.[8]
2세기경 팔미라의 알-라트는 아테나의 스타일로 묘사되기 시작했으며 "아테나-알라트"라고 불렸지만, 이러한 동일시는 그녀의 도상학을 넘어서지 않는다.[8] 팔미라 황제 바발라투스는 자신의 이름(''Wahballāt'', "알-라트의 선물")의 라틴어 형태인데, 자신의 이름의 그리스어 형태로 ''아테노도로스''를 사용하기 시작했다.[8]
4. 이슬람 시대의 기록
이슬람 이전 아랍 시에도 알-라트가 언급되었다.[15] 알-라트는 알-우자, 마나트와 함께 알라의 딸로 불리기도 했다. 무함마드의 명령에 따라 타이프의 알-라트 신전은 파괴되었다.
4. 1. 꾸란과 사탄의 시
꾸란 53장 19-22절에는 알-라트가 알 웃자, 마나트와 함께 언급된다.[9] 이 구절들은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가 "사탄의 유혹"을 받아 신성한 계시로 착각했다는, 이른바 사탄의 시 사건과 관련되어 있다.[9]
여러 판본에 따르면, 무함마드가 꾸란의 수라 안-나즘을 암송하던 중 다음 구절에 이르렀을 때, 사탄이 그에게 "그들은 숭고한 가라니크이며, 그들의 중재가 희망된다."라는 말을 덧붙이도록 유혹했다.[9] 그러나 천사 가브리엘이 이 말을 한 것에 대해 무함마드를 질책했고, 해당 구절은 새로운 계시로 대체되었다.[9]
대부분의 무슬림 학자들은 '''이스마'''(예언자의 무오류성, 즉 무함마드를 실수로부터 보호하는 신성한 보호) 교리와 약한 ''이스나드''(전달 과정)를 근거로 이 사건이 실제로 일어났다는 것을 부정한다.[10] 사탄의 시에 대한 이야기는 전달 과정에 문제가 있어 어떤 정통 하디스 모음집에도 포함되지 않았다.[10] 그러나 이 시에 대한 언급과 해석은 알-타바리의 ''Tārīkh ar-Rusul wal-Mulūk'' 및 이븐 이샤크의 ''Sīrat Rasūl Allāh'' (알프레드 기욤에 의해 복원됨) 같은 초기 역사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9]
4. 2. "맷돌" 전설
중세 이슬람 전통에 따르면 알라트의 기원에 대한 여러 전설이 전해지는데, 그중 하나는 알라트의 돌을 곡물을 가는 남자('알-라트', "맷돌")와 연결하는 이야기이다.[1] 이 돌은 그 남자(유대인)가 메카 순례자들을 위해 곡물을 가는 데 사용되었다.[2] 이 전설에서 남자는 주로 타이프에 있었다고 하지만, 다른 판본에서는 메카 또는 '우카즈'에 있었다고도 한다.[1] 그 남자가 죽은 후, 돌 또는 돌의 형태를 한 남자는 신격화되었다.[2] 일부 전설에 따르면 바누 쿠자아가 주르훔을 메카에서 몰아낸 후, 혹은 암르 이븐 루하이가 맷돌을 신격화했다고 한다.[1]
마이클 쿡은 이 이야기가 알라트를 남성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고 언급했다.[3] 제럴드 호팅은 알라트를 '알-라트', 즉 "맷돌"과 연결하는 다양한 전설이 알라트를 메카와 관련시키려는 시도라고 보았다.[1] 그는 또한 이 전설을 카바 안에서 간통을 하다가 돌이 되었다는 이사프와 나일라 전설과 비교했다.[2]
5. 신화적 역할
F. V. 위네트는 알 라트가 아인 에슈-샬레에서 초승달과의 연관성, 그리고 리히얀 비문에 '''fkl lt'''라는 칭호 위에 와드의 이름이 언급된 점을 들어 달의 여신으로 보았다. 르네 뒤소와 곤자그 릭망은 알 라트를 금성과 연관시켰고, 다른 학자들은 태양의 여신이라고 생각했다.[3] 존 F. 힐리는 알 웃자가 메카의 판테온에서 별개의 신이 되기 전에 알 라트의 별칭이었을 수도 있다고 본다. ''디오니소스를 재정의하다''에서는 알 라트가 식물의 신, 대기 현상의 천체의 신, 하늘의 신이었을 수 있다고 본다.[3] 벨하우젠에 따르면, 나바테아인들은 알 라트가 후발의 어머니(따라서 마나트의 시어머니)라고 믿었다.[11]
알라가 알 라트의 배우자였다는 가설이 있는데, 이는 그 지역의 신들이 배우자를 두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이다.
6. 도상학
타이프에서 알-라트의 주요 숭배상은 때때로 흰색으로 묘사되는 입방체 돌이었다. 와키디가 '라바'의 '머리'(ra's)를 언급한 것은 이 상이 사람이나 동물의 형태로 인식되었음을 암시할 수 있지만, 율리우스 벨하우젠은 이러한 암시를 거부했다.[1]
초기 팔미라의 알-라트 묘사는 아타르가티스(앉아 있을 때) 및 아스타르테(서 있을 때)와 도상학적 특징을 공유한다. 그녀의 사원[알-라트의 사자]을 장식했던 알-라트의 사자는 사자와 가젤을 묘사하는데, 사자는 그녀의 배필을 나타내고, 가젤은 알-라트의 부드럽고 사랑스러운 특징을 나타낸다. 알-라트의 보복으로 인해 유혈 사태가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2]
알-라트는 나바테아, 하트라, 팔미라에서 그리스 여신 아테나(로마의 미네르바)와 연관되었다. 아테나와의 동일시는 단지 도상학의 변화였던 것으로 보이며, 알-라트와 동일시된 곳에서 알-라트의 성격은 호전적인 아테나를 눈에 띄게 부드럽게 만들었다. 아테나-알-라트의 한 나바테아 부조는 아테나와 알-라트의 속성을 모두 지닌 여신을 묘사한다. 이 부조는 아테나 스타일로 여신을 묘사하지만, 고르곤 대신 나바테아 종교 양식의 눈-베틸을 가지고 있다.[2]
알-라트는 바빌론 여신 이슈타르와도 동일시될 수 있으며, 두 여신 모두 번영, 전쟁에 참여하고 나중에는 아프로디테와 아테나와 연결되었다. 두 여신의 유사점은 그들의 상징에서도 나타났는데, 둘 다 사자, 샛별, 그리고 초승달과 연관되었다. 알-라트처럼 이슈타르의 기원도 셈족이었다.[2]
7. 현대적 의의
알-라트의 사자 조각상은 팔미라에 있는 알라트의 신전을 장식했지만, 2015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IL)에 의해 훼손되었으나 이후 복원되었다. 현재는 다마스쿠스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지만, 미래에 팔미라로 반환될 수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afsir Ibn Kathir - 53:19 - english
https://quran.com/53[...]
2021-05-21
[2]
서적
al-Lat
Bosworth, Donzel, Lewis, Pellat
[3]
서적
Dushara and Allāt alias Dionysos and Aphrodite in Herodotus 3.8
Bernabé, Jáuregui, Cristóbal, Hernández
[4]
문서
Histories
[5]
문서
Histories
[6]
서적
South Arabia, Religions in Pre-Islamic
McAuliffe
[7]
서적
Dushara and Allāt alias Dionysos and Aphrodite in Herodotus 3.8
Bernabé, Jáuregui, Cristóbal, Hernández
[8]
서적
Palmyra: From a Tribal Federation to a City
Freyberger, Henning, Hesberg
[9]
Quran
Quran 53:19-22
https://www.perseus.[...]
2020-09-23
[10]
간행물
Ibn Taymiyyah and the Satanic Verses
Maisonneuve & Larose
1998
[11]
웹사이트
Hans Krause
http://hanskrause.de[...]
2005-02-16
[12]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13]
서적
Encyclopedia of Goddesses and Heroines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12-18
[14]
뉴스
Museum of Lost Objects: The Lion of al-Lat
https://www.bbc.com/[...]
BBC News
2016-03-04
[15]
웹사이트
Wiktionary - Ἀλιλάτ
https://en.wiktionar[...]
2024-08-15
[16]
서적
The Greek Myths
Penguin Books Inc.
1955
[17]
서적
"The Greek Myths"
Penguin Books Inc
195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