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로키랍토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트로키랍토르는 캐나다 앨버타의 호스슈 캐니언 층에서 발견된 소형의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이다. 1995년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2004년 새로운 속과 종으로 명명되었으며, "사나운 강도"라는 의미를 지닌다. 몸길이 약 2m, 몸무게 15kg 정도로 추정되며, 두개골이 높고 짧으며 강력한 턱힘을 가지고, 톱니 모양의 이빨과 낫 발톱을 특징으로 한다. 백악기 후기 마스트리히트절에 서식했으며, 알베르토사우루스 등과 공존했다. 깃털의 존재 여부와 먹이를 사냥하는 방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 - 유타랍토르
유타랍토르는 백악기 초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의 대형 육식 공룡으로, 거대한 뒷발톱이 특징이며 깃털을 지녔을 가능성이 높고, 유타주의 주 공룡으로 지정되어 대중문화에서도 등장한다. -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 - 벨로키랍토르
벨로키랍토르는 백악기 후기 동아시아에 서식한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의 공룡으로, 날렵한 몸놀림과 낫 모양의 발톱을 이용해 사냥했으며, 깃털 공룡이었고, 프로토케라톱스와 싸우는 화석을 통해 생태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지만, 영화 쥬라기 공원의 묘사는 실제와 차이가 있다. - 200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플로레스인
플로레스인은 200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 발견된 멸종된 인류의 일종으로, 작은 키와 뇌 용량 때문에 '호빗'이라고도 불리며 약 10만 년 전부터 5만 년 전까지 생존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기원과 진화 과정, 독립적인 종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200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딜롱
딜롱은 전기 백악기 중국에서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상과 공룡으로, 단순한 깃털로 덮여 있었고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는 특징을 가진 티라노사우루스과의 초기 형태 중 하나이다. -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의 공룡 - 트리케라톱스
트리케라톱스는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거대한 두개골과 뿔이 특징이며 백악기 말기에 번성했고, 현재는 두 종으로 분류된다. -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의 공룡 - 티라노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몸길이 15m에 달하는 거대한 육식 공룡으로, 강력한 턱힘과 짧은 앞다리, 긴 꼬리를 가진 최상위 포식자였으며, '수'와 '스카티' 등의 표본과 대중문화 속 인기 덕분에 그 생태와 행동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아트로키랍토르 | |
---|---|
기본 정보 | |
![]() | |
화석 범위 | 후기 백악기 (마스트리히트절), |
학명 | Atrociraptor marshalli |
명명자 | Currie & Varricchio, 2004 |
명명 년도 | 2004 |
분류 | |
속 | 아트로키랍토르속 |
과 |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 |
아과 | 사우로르니톨레스테스아과 |
특징 | |
학술 정보 | |
학명 (로마자) | Atrociraptor marshalli |
용어 정보 | |
앞턱뼈 (Dinogloss) | premaxillae |
위턱뼈 (Dinogloss) | maxilla |
치골 (Dinogloss) | dentaries |
2. 발견
1995년, 시간제 화석 수집가 웨인 마샬은 캐나다 앨버타 드럼헬러 근처 호스슈 캐니언 층에서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랩터) 공룡의 부분적인 두개골을 발견했다. 이 화석은 로열 티렐 고생물학 박물관에서 서쪽으로 약 5k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다.[3][1][2][30] 마샬은 흩어진 화석 조각들을 수집하여 박물관의 고생물학자 필립 J. 커리에게 전달했다.[3][1][2][30]
아트로키랍토르는 몸길이 약 2m, 몸무게 15kg 정도로 추정되는 소형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이다. 현재 발견된 화석은 두개골 일부와 이빨뿐이지만, 이를 통해 몇 가지 특징을 유추할 수 있다.
2004년, 커리와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바리치오는 이 표본 (RTMP 95.166.1)을 새로운 속과 종의 홀로타입인 ''Atrociraptor marshalli''로 명명했다. 속명은 라틴어 단어 atroxla ('사나운'을 의미)와 raptorla ('강도'를 의미)에서 유래했다. 종명은 발견자인 마샬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3][1][4]
아트로키랍토르의 모식 표본 '''RTMP 95.166.1'''은 앨버토사우루스의 뼈 퇴적층을 포함하는 호스슈 캐니언 층에서 발견되었다. 해당 뼈 퇴적층은 호스슈 캐니언 층의 Unit 4의 최상부에 위치하며,[39] 약 6850만 년 전의 지층이었다.[40] 모식 표본은 위아래 턱의 일부(양쪽 전상악골, 오른쪽 상악골, 양쪽 치골)와 이빨 및 수많은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3. 특징
아트로키랍토르의 두개골은 다른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들에 비해 높고 짧은 형태를 띠고 있어, 무는 힘이 상당히 강력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빨은 크기가 서로 달랐지만, 모두 거의 같은 형태를 띠고 있었다. 또한, 이빨에는 살점을 찢기 쉽도록 톱날 모양의 구조가 발달되어 있었는데, 아트로키랍토르는 이 톱날 구조의 크기가 이빨에 비해 매우 컸다. 미국의 공룡학자 그레고리 폴은 아트로키랍토르가 강력한 치악력을 이용해 다른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들과는 달리 무는 방식으로 사냥감을 제압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앞턱뼈는 깊고, 위턱 이빨은 대부분의 다른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 공룡보다 더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위턱뼈에는 11개의 이빨이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빨의 크기는 거의 균일하다. 이빨은 비교적 곧지만, 턱뼈 안에서 비스듬하게 솟아 있어 강하게 굽은 형태를 띤다.[3]
모식 표본 '''RTMP 95.166.1'''은 1995년에 웨인 마셜이 드럼헬러 부근에서 앨버토사우루스의 뼈 퇴적층을 포함하는 호스슈 캐니언 층에서 발견되었다. 해당 뼈 퇴적층은 호스슈 캐니언 층의 Unit 4의 최상부에 위치하며[39], 약 6850만 년 전의 지층이었다.[40]
3. 1. 깃털
젠위안롱과 같은 다른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 화석들은 이 그룹에 속하는 비교적 큰 공룡들조차 팔에 큰 날개와 꼬리에 긴 깃털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12] 따라서 아트로키랍토르 역시 깃털로 덮여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깃털은 아마도 체온 조절, 과시, 또는 초기 비행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4. 분류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내에서 ''아트로키랍토르''는 에우드로마이오사우리아(진정한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의 일원으로, 이 그룹에는 사우르니톨레스테스아과, 벨로키랍토르아과, 드로마이오사우루스아과가 포함된다.[18]
에우드로마이오사우루스의 분산 패턴은 과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사우르니톨레스테스아과가 이 그룹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구성원이라고 제안했다.[18] 만약 그렇다면, 이는 에우드로마이오사우리아의 북아메리카 기원을 시사한다.[19] 그러나 사우르니톨레스테스아과가 벨로키랍토르아과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 백악기 말에 아시아에서 북아메리카로 이주했을 수도 있다.[23] 에우드로마이오사우리아의 내부 분류에 대한 불확실성은 ''아트로키랍토르''의 위치에 대한 논의를 복잡하게 만든다.[21] 이는 알려진 유해의 불완전성(두개골 뼈 4개와 여러 개의 이빨)으로 인해 더욱 심화된다. ''아트로키랍토르''의 두개골과 이빨은 ''드로마이오사우루스'', ''슈리'', ''사우르니톨레스테스'', ''쿠루''를 포함한 많은 드로마이오사우루스 분류군과 유사점을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연구에서는 계통 발생학적 분석에서 발견한 상호 관계의 명확성을 높이기 위해 ''아트로키랍토르''를 연구 결과에서 완전히 제외하기도 한다.[18]
''아트로키랍토르''가 2004년에 처음 기술되었을 때, 데이노니쿠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아시아의 후기 백악기에서 주로 알려진 그룹인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의 아과인 벨로키랍토르아과로 분류되었다. 이는 위턱 이빨의 앞쪽과 뒤쪽 톱니의 크기 차이와 두 번째 앞위턱 이빨의 크기를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3] 2009년, 고생물학자 니콜라스 롱리치와 커리는 분석을 통해 ''아트로키랍토르''를 새로운 아과인 사우르니톨레스테스아과의 일부로 ''사우르니톨레스테스''와 함께 묶었다.[13]
2013년,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에반스와 동료들은 ''아케로랍토르''에 대한 설명을 통해 ''아트로키랍토르''가 사우르니톨레스테스아과보다 더 진화했지만 벨로키랍토르아과와 드로마이오사우루스아과 모두에 속하지 않는 분기도에서 훨씬 더 오래된 속인 ''데이노니쿠스''의 자매 분류군이라고 제안했다.[15]
2020년대에 이르러,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계통학은 약간 다른 결과를 생성한 몇 개의 독특한 계통 발생학적 데이터 세트를 포함하게 되었다.[21] 이러한 각 매트릭스에 대한 가장 최신 분석들에서는 최근에 기술된 분류군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아트로키랍토르''가 일관적으로 사우르니톨레스테스아과의 일원으로 밝혀졌다.[22][21][13][19][23][24]
2022년 연구 및 분석에서는 아트로키랍토르와 Acheroraptor|아케로랍토르영어를 함께 사우롤니토레스테스아과로 분류하는 것이 지지되었다.[45]
5. 고생물학
두개골 일부와 이빨밖에 발견되지 않아 알려진 것이 많지 않지만, 몸길이는 약 2m, 몸무게는 15kg 정도로 추정된다.[43] 두개골은 다른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 공룡들과 비교해 유난히 높고 짧아 무는 힘이 강력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빨들은 크기는 달랐지만 모두 거의 같은 형태를 띠고 있었고, 살점을 찢기 편하도록 톱날 모양의 구조가 발달해 있었는데, 이 톱날 구조의 크기가 이빨에 비해 아주 컸다.[42]
2016년 고생물학자 그레고리 S. 폴(Gregory S. Paul)은 ''아트로키랍토르''(Atrociraptor)가 비교적 큰 먹이를 공격하여 강한 머리와 이빨로 친척들보다 더 큰 상처를 입힐 수 있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10] 2022년 파워스와 동료들은 깊은 위턱을 가진 모든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가 상대적으로 큰 크기, 작지만 큰 톱니 모양의 이빨, 휘어진 낫발톱, 그리고 매우 발달된 후각 시스템을 바탕으로 포식자로 여겨진다고 언급했다. 또한 깊은 주둥이의 발달은 아마도 척추동물 먹이를 다루기 위한 적응이었을 것이며, ''아트로키랍토르''와 ''데이노니쿠스''(Deinonychus)의 환경에 있는 다양하고 풍부한 먹이는 이러한 깊은 주둥이를 가진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가 큰 몸집의 먹이에 특화된 식단을 갖도록 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19] 깃털 공룡이었다고 여겨진다.
5. 1. 낫 발톱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는 두 번째 발가락에 큰 낫발톱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발톱은 먹이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발톱을 어떻게 사용했는지에 대해서는 베는 데 사용했다는 것부터 자신보다 큰 먹이를 기어오르는 데 사용했다는 것까지 다양한 이론이 있었다. 고생물학자 덴버 W. 파울러와 동료들의 2011년 연구는 이러한 생각들이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대신 발톱이 현대의 맹금류의 발톱처럼 먹이를 잡고 억류하여 입으로 해체하는 동안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제안했다. 파울러와 동료들은 이것을 "랩터 먹이 제압" 모델이라고 불렀으며, 잡는 발은 앞다리가 점점 더 깃털이 됨에 따라 먹이를 제압하기 위해 손 대신 발을 사용하는 것으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주었다고 덧붙였다. 앞다리는 대신 맹금류에서 볼 수 있는 "안정 날갯짓"에 사용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꼬리의 움직임과 함께 포식자가 먹이와 싸울 때 제자리에 있도록 도왔을 것이다.[25] 2019년, 고생물학자 피터 J. 비숍은 ''데이노니쿠스''의 뒷다리에 대한 근골격 3D 모델을 통해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낫발톱의 생체역학을 연구했다. 그 결과 발톱이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자신보다 작은 먹이를 잡고 억류하는 데 사용되었다는 것을 뒷받침했지만, 쪼그리고 앉는 것과 관련된 다른 행동, 예를 들어 근거리에서 먹이를 찌르고 자르는 것도 배제하지 않았다.[26]6. 고생태
Atrociraptorla의 모식 표본은 로열 티렐 고생물학 박물관 서쪽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3][30] 이 지역은 호스슈 캐니언 층의 두 번째로 오래된 멤버인 호스시프 멤버의 일부이다. 호스시프 멤버는 약 7220만 년 전에서 7150만 년 전까지, 즉 약 70만 년의 기간에 걸쳐 존재했다.[27] 호스슈 캐니언 층의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이빨은 Atrociraptorla로 분류되었는데, 만약 이 분류가 맞다면 Atrociraptorla는 넓은 지리적, 시간적 분포를 가졌을 것이다. 이러한 잔해는 Atrociraptorla의 가장 늦은 출현 시기를 톨먼 멤버(약 7090만~6960만 년 전)까지 밀어붙이며, 이 속이 200만 년 이상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8][29]
초기 마스트리히트절에 라라미디아 대륙(오늘날의 북아메리카)은 오늘날 북아메리카보다 약 8도의 위도 더 북쪽에 있었다.[30]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의 평균 기온은 거의 확실히 오늘날보다 훨씬 더 따뜻했다. 초기 마스트리히트절의 연평균 기온은 약 10°C로 추정되었으며,[33] 현재는 4.5°C이다.[31] 모식 표본이 발견된 호스슈 캐니언 층의 하부 부분은 배수가 잘 되지 않는 퇴적물에 해당하며, 이는 많은 물이 고여 있는 퇴적 환경을 반영한다. 호스시프 멤버의 퇴적물은 주로 석탄, 셰일, 사암, 그리고 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퇴적물은 유기물이 풍부하며, 이는 매우 습하고 다습한 환경, 아마도 해안 평원 또는 선상지 시스템으로, 서부 내륙 해로의 가장자리에 있었음을 반영한다.[32] 이는 이 지역이 매우 습하고 높은 지하수위를 가진 주로 습지로 구성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층의 하부 멤버에서 상부 멤버보다 더 다양한 종류의 거북이 존재한다는 사실로 더욱 뒷받침된다.[33]
마스트리히트절이 진행되면서 서부 내륙 해로가 줄어들기 시작했고, 이는 이 지역의 고기후학적 재구성에 반영되어 있다. 후기의 퇴적물은 후기 캄파니아절의 퇴적물보다 더 내륙에 위치하고 덜 습했던 것으로 여겨진다.[33] 이는 이 기간 동안의 동물상 변화의 원인이 되었을 수 있다.[35] 이러한 기후 변화가 Atrociraptorla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잔해가 희소하기 때문에 불분명하지만, 지질학적으로 더 젊은 톨먼 멤버에서 이빨이 발견된 것은 이 분류군이 이 기간 동안 생존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28] 기온과 습도의 뚜렷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이 기간 동안 주요 홍수 사건이 계속되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Atrociraptorla로 언급된 이빨이 포함된 Albertosaurusla 골층은 호스슈 캐니언 층의 상부 멤버 중 하나에 속하며, 주요 폭풍 동안 퇴적된 것으로 여겨진다.[34] 서부 내륙 해로의 퇴각에도 불구하고, 백악기의 앨버타는 층의 가장 윗부분에서(약 6800만 년 전) 더 습해지고 다습해졌으며, 호스시프 멤버와 유사한 상태로 돌아갔다. 이러한 가장 젊은 퇴적물에서 나온 잔해는 Atrociraptorla로 분류되지 않았으며, 이는 기후 변화로 인해 이 작은 수각류가 다른 곳으로 이동했거나 멸종되었음을 시사한다.[35]
7. 대중 문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에서는 유전자 조작된 동물 병기 형태로 아트로키랍토르 4마리(고스트, 팬테라, 레드, 타이거)가 등장한다.[46] 영화 속 아트로키랍토르는 실제보다 크고 깃털이 없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는데, 이는 과학적 사실과는 다르다.
참조
[1]
웹사이트
Stories of discovery: the Savage Robber
https://albertashist[...]
Historic Resources Management Branch of Alberta Culture, Multiculturalism and Status of Women
2022-08-03
[2]
뉴스
Dig this: Canada's fertile dinosaur country still has plenty of well-preserved bones to pick
https://www.latimes.[...]
1990-07-08
[3]
간행물
Feathered Dragon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4
[4]
웹사이트
atrox
https://logeion.uchi[...]
The University of Chicago
2024-08-12
[5]
서적
Investigations on Canadian Dinosaurs
Senckenbergische Naturforschende Gesellschaft
1997
[6]
서적
Dinosaur Facts and Figures: The Theropods and Other Dinosaurifor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7]
웹사이트
"Jurassic World Dominion': meet The 'brutal, vicious' new ''Atrociraptor''s – exclusive image"
https://www.empireon[...]
2021-12-20
[8]
웹사이트
"'Jurassic World Dominion' Reveals The Atrociraptor, A Very Real And 'Brutal' New Dino"
https://www.slashfil[...]
2021-12-20
[9]
서적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Random House
[10]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논문
New dromaeosaurids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Utah, and the evolution of the dromaeosaurid tail
2012
[12]
논문
A large, short-armed, winged dromaeosaurid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China and its implications for feather evolution
2015
[13]
논문
A microraptorine (Dinosauria–Dromaeosauridae) from the Late Cretaceous of North America
[14]
논문
A review of dromaeosaurid systematics and paravian phylogeny
2012
[15]
논문
A new dromaeosaurid (Dinosauria: Theropoda) with Asian affinities from the latest Cretaceous of North America
[16]
논문
The first giant raptor (Theropoda: Dromaeosauridae) from the Hell Creek Formation
2015
[17]
논문
Morphological variations within the ontogeny of ''Deinonychus antirrhopus'' (Theropoda, Dromaeosauridae)
2015
[18]
논문
A new dromaeosaurid (Dinosauria: Coelurosauria) from Khulsan, Central Mongolia
https://digitallibra[...]
2021
[19]
논문
A new hypothesis of eudromaeosaurian evolution: CT scans assist in testing and constructing morphological characters
2021
[20]
논문
A new paravian dinosaur from the Late Jurassic of North America supports a late acquisition of avian flight
2019
[21]
논문
Osteology and reassessment of ''Dineobellator notohesperus'', a southern eudromaeosaur (Theropoda: Dromaeosauridae: Eudromaeosauria) from the latest Cretaceous of New Mexico
https://onlinelibrar[...]
2022
[22]
논문
Skull of a dromaeosaurid ''Shri devi''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the Gobi Desert suggests convergence to the North American forms
https://www.research[...]
2023
[23]
논문
The first juvenile dromaeosaurid (Dinosauria: Theropoda) from Arctic Alaska
2020
[24]
논문
Pennaraptoran theropod dinosaurs past progress and new frontiers
https://www.biodiver[...]
2020
[25]
논문
The predatory ecology of ''Deinonychus'' and the origin of flapping in birds
2011
[26]
논문
Testing the function of dromaeosaurid (Dinosauria, Theropoda) 'sickle claws' through musculoskeletal modelling and optimization
2019
[27]
논문
High-precision U-Pb CA-ID-TIMS dating and chronostratigraphy of the dinosaur-rich Horseshoe Canyon Formation (Upper Cretaceous, Campanian–Maastrichtian), Red Deer River valley, Alberta, Canada
https://www.nrcresea[...]
[28]
논문
Multivariate analyses of small theropod dinosaur teeth and implications for paleoecological turnover through time
2013
[29]
논문
A history of ''Albertosaurus'' discoveries in Alberta, Canada
2010
[30]
웹사이트
5 km west of Royal Tyrrell Museum (Cretaceous of Canada)
https://paleobiodb.o[...]
2009
[31]
웹사이트
Drumheller Climate (Canada)
https://en.climate-d[...]
2024
[32]
논문
A revised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history for the Horseshoe Canyon Formation (Upper Cretaceous), southern Alberta plains
http://dx.doi.org/10[...]
2012-09
[33]
논문
Palaeoenvironmental and palaeoclimatic reconstruction of the Upper Cretaceous (late Campanian–early Maastrichtian) Horseshoe Canyon Formation, Alberta, Canada
[34]
논문
Stratigraphy, sedimentology, and taphonomy of the ''Albertosaurus'' bonebed (Upper Horseshoe Canyon Formation; Maastrichtian), southern Alberta, Canada
2010
[35]
논문
Faunal assemblages from the upper Horseshoe Canyon Formation, an early Maastrichtian cool-climate assemblage from Albert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lbertosaurus sarcophagus'' bonebed
2010
[36]
웹사이트
"'Albertosaurus' bonebed, Dry Island Buffalo Jump: Early Maastrichtian, Canada collected by B. Brown & Kaisen, P. Currie 1910, 1997–2005"
https://paleobiodb.o[...]
[37]
논문
Preservational bias controls the fossil record of pterosaurs
2016
[38]
서적
Identification Guide to the Fossil Plants of the Horseshoe Canyon Formation of Drumheller, Alberta
University of Calgary Press
2009
[39]
간행물
Faunal assemblages from the upper Horseshoe Canyon Formation, an early Maastrichtian cool-climate assemblage from Albert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lbertosaurus sarcophagus bonebed This article is one of a series of papers published in this Special Issue on the theme Albertosaurus
2010
[40]
논문
A Cretaceous armoury: Multiple ankylosaurid taxa in the Late Cretaceous of Alberta, Canada and Montana, USA
[41]
간행물
"Baby hadrosaurid material associated with an unusually high abundance of ''Troodon'' teeth from the Horseshoe Canyon Formation, Upper Cretaceous, Alberta, Canada"
[42]
서적
"A new dromaeosaurid from the Horseshoe Canyon Formation (Upper Cretaceous) of Alberta, Canada"
http://lesdinos.fre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4
[43]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44]
논문
"A microraptorine (Dinosauria-Dromaeosauridae) from the Late Cretaceous of North America"
2009
[45]
논문
A new hypothesis of eudromaeosaurian evolution: CT scans assist in testing and constructing morphological characters
https://www.tandfonl[...]
[46]
문서
Jurassic World Dominion
Uniiversal City Studios LLC and Amblin Entertainment,Inc.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