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중근뼈대찾기사업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중근뼈대찾기사업회는 안중근 의사의 유해 발굴을 목표로 하는 단체이다. 1980년대부터 안중근 의사의 유해 매장 지역을 추적해 온 김영광의 사망 이후, EBS PD 안태근이 사업회를 조직하여 뤼순 감옥 묘지 발굴을 정부에 촉구하고 있다. 김호일이 이사장을, 안태근이 회장을 맡고 있으며, 유해 발굴을 위해 뤼순 감옥구지묘지 발굴과 유해 봉환을 추진한다. 2011년 3월 26일 공식 활동을 시작하여, 다큐멘터리 제작, 캠페인, 정부 기관 협력 요청, 도서 출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2. 출범 배경

안중근뼈대찾기사업회의 출범은 김영광으로부터 시작된다. 3선 국회의원 출신 김영광은 1980년대부터 중국 뤼순을 답사하며 안중근 유해 매장지역을 추적해왔다. 김영광은 뤼순감옥 동쪽에 위치한 감옥묘지를 안중근 유해매장지역으로 확신하고 해당 지역에 대한 발굴을 주장해왔다. 2010년 9월 13일 김영광이 숙환으로 사망하자, 김영광을 인터뷰했던 EBS 교양문화부 소속 PD 안태근은 안중근뼈대찾기사업회를 조직하여 김영광이 주장해왔던 지역에 대한 발굴을 정부에 촉구하고 있다.

3. 임원진

직책이름비고
이사장김호일중앙대 역사학과 명예교수/前 안중근의사기념관
회장안태근EBS 교육방송 퇴사
부회장조휘진EBS 교육방송 프로듀서
고문박성수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감사김병윤목원대 경영학과 교수
학술이사임성빈명지대 교통공학과 명예교수
황필홍단국대 철학과 교수
정낙은국립과학수사연구원 검시의
양정석수원대 사학과 교수
홍보이사허윤석의정부교구 신부
윤영기서울 성남고등학교 역사교사
이헌사업가
패티 김가수
출판이사이건웅도서출판 차이나하우스 대표
기획이사백운비역리학자
김성수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대외정책이사신일룡사업가
장화정작가
총무이사김영배사업가
고명진음반 프로듀서
사무처장공석
중국지회장김월배다롄외국어대학교 외국인 교수
미국지회장김승현미주대표/DK 쥬얼리 대표
자문위원이국성안중근 의사 묘 참배자/조선족 향토사학자


4. 사업 목표

안중근 의사의 유해 매장 추정지인 발굴을 통해 발굴된 유해를 대한민국으로 봉환하여 효창공원 삼의사묘역 내 안중근 의사 가묘에 안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5. 주요 활동

안중근뼈대찾기사업회는 2010년 3월 26일 안중근 의사 순국 101주년이 되는 날부터 공식 활동을 시작하였다. 효창공원안중근의사기념관에서 성명서 배포, 고등학생 대상 홍보 강연, 1인 시위, 온라인 서명 운동 등을 통해 사업을 알렸다.

2011년 4월 3일부터 9월 2일까지 Daum 아고라에서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 촉구 네티즌 서명 운동'을 벌여 1만 명 목표를 달성했고, 9월 3일부터는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 비용 대국민 모금 운동'을 시작했다.

사업회는 출범 전후로 다음과 같은 활동을 진행했다.


  • 2011년 3월 12일 안중근뼈대찾기사업회가 공식 출범하였다. (이사장: 前 안중근의사기념관 김호일 관장, 회장: EBS 교육방송 안태근 PD)
  • 2011년 4월 20일 청와대에 사업회 제안서를 제출하였다.
  • 2011년 4월 22일 김을동 의원 사무실에 전화하여 사업 협조를 제안하였다.
  • 2011년 12월 5일 2012년 임진년을 '안중근의 해'로 공식 선포하였다.
  • 2012년 6월 23일 류우익 통일부장관에게 안중근 의사 유해 남북공동발굴사업을 건의하였다.
  • 2012년 10월 23일 김월배 대련외국어대 교수를 본 회 중국지회장으로 임명하였다.

5. 1. 언론 보도 및 방송


  • 2010년 3월 26일 EBS 다큐멘터리 〈안중근 순국 백 년, 안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 방영
  • 2011년 3월 1일 〈안중근 순국 백 년, 안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 재방송
  • 2011년 4월 27일 《방송기술저널》 제121호에 '안중근 의사의 빈 무덤을 아십니까?'라는 제목의 기고문 게재
  • 2011년 5월 12일 수원대학교 신문 《수원대학보》 제275호에 사업회 광고 및 기고문 게재
  • 2012년 3월 14일 PD저널에 본 사업 소개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는다'
  • 2012년 3월 26일 한국교통방송 TBS '서화숙의 오늘' 전화 인터뷰 출연
  • 2013년 10월 25일 종합편성채널 《TV조선》과 안중근뼈대찾기사업에 대한 인터뷰
  • 2014년 1월 31일 하얼빈 안중근의사기념관 개관 기념으로 EBS 다큐멘터리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 재방송

5. 2. 캠페인 및 서명 운동

2011년 3월 26일 서울 남산 안중근의사기념관효창공원 삼의사묘역 앞에서 성명서를 배포하였다. 4월 2일에는 성남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 앞에서 홍보 강연을 진행하였다. 6월 4일 서울 광화문 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6월 6일에는 국립서울현충원 정문 앞에서 국가보훈처에 유해 발굴을 호소하는 1인 시위를 전개하였다.

4월 3일부터 Daum 아고라와 네이버 카페를 통해 범국민 온라인 네티즌 서명 운동을 전개하여, 9월 1일 서명 목표인 1만 명 달성에 성공하였다 (9월 3일 마감 기준 총 서명 인원: 10,321명). 9월 2일부터 Daum 아고라 희망해에서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 비용 대국민 모금 운동을 시작하여, 12월 14일 모금 운동을 종료하였다 (최종 모금액: 799.0999999999999만).

이외에도 길거리 성금 모금 및 서명 운동, 성명서 배포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5. 3. 정부 기관 협력 요청

안중근뼈대찾기사업회는 2010년 6월부터 국가보훈처에 '처장과의 대화'를 통해 5회 연속으로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 사업을 제안했다. 2011년 3월 20일에는 국가보훈처에 프로젝트 지원을 요청했고, 4월 1일에는 국가보훈처에 다시 한번 제안함과 동시에 청와대 국민신문고에도 프로젝트 지원을 요청했다. 4월 20일에는 청와대에 사업회 제안서를 제출했다.

2011년 4월 22일, 사업회는 김을동 국회의원 사무실에 전화하여 사업 협조를 제안하고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에 의견을 구했다. 6월 26일에는 미래희망연대 김을동 의원을 면담했다.

2011년 11월 8일, 안태근 회장은 외교통상부를 방문하여 회담을 가졌고, 11월 11일에는 국가보훈처 국립묘지정책과 임성현 과장과 통화했다. 12월 13일에는 국가보훈처 박승춘 처장과 행정안전부 맹형규 장관에게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을 위한 탄원서'를 발송했다.

2012년 1월 5일, 안태근 회장은 국가보훈처 국립묘지정책과 임성현 과장과 면담했다. 1월 9일에는 행정안전부에 국가보훈처의 '기부금품 모집등록 추천서' 발급 거절에 대한 민원을 제기했고, 1월 13일에는 국가보훈처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위원회 박걸순 자문위원(충북대 사학과 교수)과 통화했다.

2012년 6월 23일, 김경준 사무처장은 류우익 통일부장관에게 안중근 의사 유해 남북공동발굴사업을 건의했다. 8월 8일에는 안태근 회장과 김경준 사무처장이 통일부 사회문화교류과를 방문하여 브리핑을 했다.

2014년 4월 3일, 김경준 사무처장은 류길재 통일부장관에게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를 증정했고, 4월 13일에는 안태근 회장과 김경준 사무처장이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에게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를 증정했다.

5. 4. 도서 출판

安重根義士의 遺骸를 찾아라!|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중국어 집필 및 출간

날짜내용
2013년 2월 20일安重根義士의 遺骸를 찾아라!|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중국어 도서 집필 시작
2014년 2월 4일安重根義士의 遺骸를 찾아라!|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중국어 1차 출판 회의
2014년 2월 11일安重根義士의 遺骸를 찾아라!|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중국어 2차 출판 회의
2014년 3월 26일安重根義士의 遺骸를 찾아라!|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중국어 출간 및 출판기념회/헌정식(안중근의사기념관/효창공원)
2014년 4월 3일김경준 사무처장, 류길재 통일부장관에게 安重根義士의 遺骸를 찾아라!|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중국어 증정
2014년 4월 5일김경준 사무처장, 김삼웅독립기념관장에게 安重根義士의 遺骸를 찾아라!|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중국어 증정
2014년 4월 13일안태근 회장/김경준 사무처장,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에게 安重根義士의 遺骸를 찾아라!|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중국어 증정
2014년 4월 21일명사들에게 安重根義士의 遺骸를 찾아라!|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중국어 1차 우편 발송 및 서울 성남고등학교에 도서 기증
2014년 5월 16일명사들에게 安重根義士의 遺骸를 찾아라!|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중국어 2차 우편 발송


5. 5. 기타 활동


  • 2011년 6월 26일부터 7월 6일까지 안태근 회장이 중국 지역을 사전 답사하고, <여순일아감옥구지박물관> 왕진인 부관장과 회담을 가졌다.
  • 2011년 8월 4일부터 8월 13일까지 안태근 회장과 김경준 사무처장이 중국 지역을 2차 답사하고, <여순일아감옥구지박물관> 화문귀 관장과 2차 회담을 가졌다.
  • 2012년 4월 19일부터 4월 22일까지 안태근 회장이 중국 출장을 다녀왔다.
  • 2012년 9월 7일 본회 회원 김월배 교수가 뤼순감옥구지묘지 반무충 주임, 쉬즈강 직원과 뤼순감옥 일대를 현지 답사했다.
  • 2012년 9월 20일 김월배 교수가 다롄에서 현지 사료를 조사했다.
  • 2013년 3월 16일 김월배 중국지회장이 주상영 초대 뤼순감옥 관장 및 반무충 주임과 인터뷰했다.
  • 2013년 9월 18일 김월배 중국지회장이 대련대 유병호 교수와 면담했다.
  • 2013년 10월 18일 김호일 이사장이 중국 뤼순감옥을 방문했다.
  •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안중근의사숭모회 등 안중근 의사 관련 단체와 협력했다.
  • 2011년 4월 22일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에 의견을 구했다.
  • 2012년 9월 24일 안태근 회장이 안중근의사숭모회 자문위원으로 위촉되었다.
  • 2012년 10월 20일 김월배 교수가 안중근 의사 외손녀 황은실 여사에게 사업을 보고했다.
  • 안중근뼈대찾기사업회는 신년회, 회의, 간담회 등을 개최했다.
  • 2011년 11월 23일 김호일 이사장, 안태근 회장, 이국성 자문위원이 회동했다.
  • 2011년 11월 28일 안태근 회장이 김성수 상임이사(故 김영광 의원 장남)와 회동하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서중석 부장과 만났다.
  • 2011년 11월 30일 최다 기부자인 '네 손가락의 피아니스트' 이희아 씨와 만났다.
  • 2011년 12월 30일 김호일 이사장, 안태근 회장, 김경준 사무처장이 연말 회동을 가졌다.
  • 2012년 1월 15일 안태근 회장이 정낙은 학술이사와 회동했다.
  • 2012년 1월 26일 안태근 회장, 김경준 사무처장, 이국성 자문위원이 회동했다.
  • 2012년 2월 24일 김호일 이사장, 안태근 회장이 회동하여 중국 방문 일정을 협의했다.
  • 2012년 5월 29일 김호일 이사장, 안태근 회장이 회동했다.
  • 2012년 7월 16일 김호일 이사장, 안태근 회장이 대책회의를 가졌다.
  • 2012년 8월 23일 안태근 회장, 이국성 자문위원 간담회를 가졌다.
  • 2012년 11월 28일 안태근 회장, EBS 도마회, 이국성 자문위원이 회동했다.
  • 2013년 1월 23일 안중근뼈대찾기사업회 신년하례를 가졌다.
  • 2014년 2월 4일 안중근뼈대찾기사업회 신년회 및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아라!> 1차 출판회의를 가졌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