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족은 중국 국적을 가진 한민족으로, 1954년 중국 정부가 공식 명칭으로 채택했다. 만주 지역으로 이주한 한반도 출신 이주민들의 후손으로, 중국 국적을 가지면서도 한국어, 고유 문화를 유지하며, 연변 조선족 자치주 등 자치 지역에 거주한다. 1990년대 한중 수교 이후 한국으로의 이주가 증가하여, 한국 내 최대 외국인 집단을 이루고 있으며, 한국 사회에서 긍정적, 부정적 인식이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족 - 옌볜 푸더
    1955년 창단하여 한때 중국 갑급연맹전 우승과 슈퍼 리그 승격을 이뤘으나 재정난, 승부 조작, 세금 체납 등으로 2019년 해체된 중국의 축구 클럽이다.
  • 조선족 - 서탑교회
    서탑교회는 1913년 한국인 여성 선교사들이 세운 선교 교회로, 중국 선양시에 위치하며, 오애은 목사의 주도로 재건되었고 다국적 교회를 지향하며 현재 3,000명의 교인과 함께 사회 참여 활동을 펼치고 있다.
  • 한민족 - 마한
    마한은 기원전 3세기부터 5세기까지 한반도 서남부에 존재했던 소국 연맹으로, 농업 기반의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다 백제에 병합되었다.
  • 한민족 - 고려인
    고려인은 19세기 이후 러시아 등 독립국가연합 지역으로 이주하여 러시아 친화적 문화를 가지며, 1937년 강제 이주를 거쳐 소련 붕괴 이후 독립국가연합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한민족을 지칭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조선족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연변 조선족 자치주 및 장백 조선족 자치현 위치
연변 조선족 자치주와 장백 조선족 자치현의 위치
이름조선족
중국어 이름中国朝鲜族 (중국 조선족)
한국어 이름조선족
로마자 표기Joseonjok
기타 명칭중국국적동포
중국 국적 동포
인구
총 인구 (2023)1,702,479–1,893,763명
거주 지역지린성
헤이룽장성
랴오닝성
산둥 반도
베이징
기타 중국 도시
언어
사용 언어한국어
중국어
종교
종교대승불교
기독교
민족적 관련성
관련 민족한민족
역사적 배경
기원만주 지역으로 이주한 한민족의 후손
형성 시기주로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
주요 거주 지역 변천사초기에는 간도 지역에 주로 거주
이후 중국 동북부 지역으로 확산
사회 및 문화
문화적 특징한민족의 전통과 문화를 상당 부분 유지
전통 복식전통적인 한복을 착용
언어한국어를 사용하지만, 중국어도 능통
교육조선족 학교를 통해 민족 정체성 유지
경제 활동초기에는 농업에 종사
현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종사
한국과의 관계대한민국과 활발한 교류
대한민국으로 이주하는 조선족 증가 추세
기타 특징중국 내 소수민족으로서의 독자적인 문화 유지
중국과 한국 사이의 문화적 가교 역할
기타 정보
재외동포 지위중국 국적의 한민족

2. 용어

"조선족"이라는 용어는 1954년 중국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으며, 중국 국적을 소지하고 중국 호적법에 따라 민족란에 "조선"으로 등기된 사람들을 지칭한다.[20] 1948년 8월, 중국 공산당 요녕성 위원회는 요녕성 및 기타 동북 지방에 거주하며 호적을 소지한 모든 한국인은 중국인이며, 호적 없이 일시적으로 거주하는 사람들은 한국(조선) 교포라고 규정하여 조선족과 한국(조선) 교포의 구분을 명확히 했다.[21]

역사적으로 한국인을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들이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고려인'''(高丽人|고려 사람들중국어), '''한인'''(韩人|한 사람들중국어), 그리고 '''조선인'''(朝鲜人|조선 사람들중국어)이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오늘날 국적에 관계없이 한국인을 의미하지만, 때때로 서로 바꿔 쓰거나 잘못 사용되기도 한다.[19]

"조선족"이라는 한자 용어는 청나라 시대 및 중화민국 시대에 조선 및 대한제국의 존재를 인식하고 있던 당시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신이 그 영토 내에 사는 조선 사람을 "한민(韓民)"이라고 칭했던 데 기원을 갖는다. 중국국민당과 함께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면서, 이 시기 중국 내에 거주하는 조선 사람들은 "한교(韓僑)"라고 불렸다. 1949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 공산당에 의해 건국되면서 "한교"라는 명칭은 다시 "조선 사람"으로 변경되었다. 1950년에 시작된 민족 식별 작업을 거쳐, "중국 국적의 조선 사람"은 "조선족"으로 범주화되었다. 이후 중국 국내에서의 표현으로는 중국 국적의 조선 사람을 포함한 전 세계의 조선·한국인 약 8천만 명을 "조선 민족"이라고 칭하고, "조선족"이라는 표기는 특히 그중 약 2% 정도인 약 170만 명의 "중국 국적을 가진 조선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확립되었다.[32]

한중 수교까지 조선족은 한국인과는 사실상 교류가 없었고, 문화대혁명에 의해 역사적인 연결이 없어지면서 “한 민족”이라는 의식이 줄어들었다. 중국 이외의 국가나 지역에서는 조선 민족이면서 중국 국적 소유자임을 명확히 하기 위해 조선족은 중국 조선족 또는 조선계 중국인이라고 불린다.[33]

3. 역사

조선족의 역사는 중국의 민족 식별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조선족'이라는 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국내 소수민족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생겨났다.

병자호란 이후 1869년의 대기근, 1885년 청나라의 만주 이민 금지령 철폐, 1910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조선인들은 만주로 이주했다. 이들은 두만강 건너편의 북간도, 압록강 건너편의 서간도 등에 정착했다. 1931년 만주사변 이후 만주국이 세워지면서 더 많은 조선인들이 만주로 이주했고, 1945년에는 그 수가 216만 명에 달했다.

1945년 광복 이후, 만주에 있던 조선인 중 약 절반은 귀국했지만, 나머지 절반은 중국에 남아 '조선족'이 되었다. 중국 공산당은 이들을 소수민족으로 규정하고 '조선족'이라는 명칭을 부여했다.[85] 국공내전에서 조선의용대 출신 조선족들은 중국인민해방군을 도와 공을 세웠으나,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마오위안신홍위병에게 탄압받기도 했다.[86]

1992년 한중수교 이후 많은 조선족들이 대한민국으로 이주했지만, 일부 조선족 관련 범죄 사건으로 인해 부정적 인식이 심화되기도 했다. 특히 오원춘 사건과 같은 강력 범죄[87], 일부 조선족 여성들의 매춘 문제[88]는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한국 전쟁 당시 많은 조선족들이 중국인민지원군에 자원 입대하여 참전했는데, 이는 한국 사회에 조선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남기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3. 1. 만주 이주

병자호란 때 조선 북부의 조선인들이 만주족에 의해 강제로 끌려가 만주에 살게 되었는데, 가난한 노비들은 자유인이 될 돈을 내지 못해 그곳에 남겨졌다. 1869년 한반도 북부에 큰 기근이 발생하자 굶주림을 피해 조선 북부 하층민 출신 조선인들이 간도로 건너왔고, 이로 인해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국경 분쟁이 자주 발생했다. 조선에서는 두만강 건너편의 조선인 거주지를 북간도, 압록강 건너편의 조선인 거주지를 서간도라고 불렀다.

1885년 청나라 정부가 만주 이민 금지령을 철폐하면서 조선인들의 중국 동북 이주가 크게 증가했다. 1885년부터 1910년까지 중국으로 이주한 조선인은 26만 명으로 추정된다. 1910년부터는 일제에 의해 수많은 가난한 조선인들이 위안부, 강제징용 등으로 끌려가 동북3성에 강제로 거주하게 되면서 현재까지 조선족으로 남게 되었다. 그래서 현재 위안부와 강제징용 피해자 중에는 동북3성의 연변, 창바이가 고향인 조선족 출신자들이 많다.

1931년 일제는 만주사변을 일으켜 간도를 포함한 중국 동북부 지역에 괴뢰국인 만주국을 세우고 대륙 침략의 전진기지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1932년 일본만주국을 세우자 만주와 조선 북부에 사는 가난한 조선족들을 강제징용시켰다. 일본이 청나라를 침략해 만주국을 세우고 ‘만주개척운동’이라는 정책으로 조선인 출신 군인, 사업가, 지주, 학교 교장, 교사 등을 만주로 이주시켰는데, 이들은 조선의 평양과 경성 등에 자본과 가족들이 존재하였고 자주 이동을 하였으며 전쟁이 끝나고 돌아갔기 때문에 조선족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이후 만주(동북3성)에 살던 조선인의 수는 1945년에 216만 명까지 급증하였다. 이 시기에는 간도 지역뿐 아니라 만주 전역에 다양한 직업의 조선인이 흩어졌으며, 만주국 내에 거주하던 조선인 인구가 3백만이 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20세기 초에는 만주 지역의 조선인이 약 10만 명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하고 만주를 세력권 아래 두면서 오족협화를 추진했던 20세기 전반에, 조선총독부의 정책에 따라 조선반도 북부의 조선팔도에서 함경도평안도의 조선인들을 현재 중국의 지린성으로, 남동부의 경상도의 조선인들을 헤이룽장성으로, 남서부의 전라도의 조선인들을 랴오닝성으로 이주시켰다. 각 지역에 약 20만 명, 총 약 60만 명의 조선인이 이주했다고 알려져 있다.[58] 만주에 거주하던 조선인의 대부분은 논 개척과 벼농사에 종사했지만, 제철소나 탄광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3. 2. 중국 정착과 민족 식별

1945년 일제가 패망하면서 만주에 거주하던 조선인 216만 명 중 절반가량인 100만여 명이 조선으로 돌아갔지만, 나머지 116만 명은 중국에 남아 조선족이 되었다.[85] 귀국한 사람들은 주로 지원 세력이 있던 독립운동가와 1931년 만주 개척으로 파견된 조선인들이었다. 반면, 1869년부터 가난을 피해 이주한 조선족들과 1910년 위안부와 강제징용 등으로 끌려간 조선족들은 귀국할 방법을 찾지 못해 중국에 머물렀다.

중국 공산당은 민족식별공작을 통해 기존에 조선인(朝鮮人), 한인(韓人)이나 한교(韓僑)로 불리던 이들을 소수민족으로 규정하고, 1949년 이전에는 없던 '조선족(朝鮮族)'이라는 새로운 명칭을 부여했다.[85] 국공내전에서 귀국하지 않고 중국에 남은 조선의용대 출신자들은 중국 국민당을 배격하고 토지개혁을 지지하는 중국인민해방군을 도와 전쟁에 적극 참여했다. 이들은 중국인민해방군을 도운 공로를 인정받아 초기에는 중국 인민으로 대우받는 소수민족이 되었다.

하지만 문화 대혁명 시기, 마오쩌둥의 조카 마오위안신은 연변에서 민족 분쟁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많은 조선족들이 희생되었다. 마오위안신은 홍색조반혁명위원회, 8·27 홍색반란단, 홍기전투연군, 노동자혁명위원회 등 홍위병 단체를 조직하여 조선족을 탄압했으며, 당시 강간당하거나 살해된 조선족은 수만 명에 달했다고 한다.[86]

중국 공산당 발표에 따르면, 국공 내전 시기 중국 공산당군에 참가한 조선인은 6만 4942명이며, 전사자는 3943명이었다. 그 외에 들것 부대, 수송대에 참가한 사람은 연변에서만 30만 2300명에 달했다. 1947년 5월 당시 제4야전군의 15~20%는 조선인이었다.

3. 3. 대한민국과의 관계

1992년 한중수교 이후 많은 조선족들이 경제적 기회를 찾아 대한민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재외동포(F-4) 비자 발급을 통해 조선족의 한국 입국을 허용했는데[87], 이는 조선족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대한민국 내에서 조선족 관련 범죄 사건들이 발생하면서 한국 사회에서 조선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심화되기도 했다.[87] 예를 들어, 오원춘 사건과 같은 강력 범죄는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국내 거주 외국인 중 살인, 강도, 강간, 절도, 폭력 등 5대 범죄를 저지른 외국인 중 절반이 넘는 59.3%가 중국인(조선족)으로 나타났다.[87]

일부 조선족 여성들의 매춘 문제 또한 대한민국의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다.[88] 특히, 중국에서 한국인 사업가들을 상대로 성매매를 하던 조선족 여성들이 한국 남성과 결혼한 후에도 성매매를 하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88] 이들은 대부분 결혼 비자로 한국에 왔지만, 경제적인 이유로 가족 몰래 성매매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한국 사회에 충격을 주었다.[89][90][91][92][93]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대한민국 사회 일각에서는 조선족을 잠재적 범죄자나 중국의 첩자로 간주하는 혐오 정서가 존재한다.[41] 한겨레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한국 사회의 깊은 인종차별이 반영된 결과"라고 보도하기도 했다.[41] 한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조선족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경향도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4. 한국전쟁과 조선족

1949년 가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부터 조선족에게는 중국 시민으로서의 충성심이 요구되는 '애국주의' 교육이 시작되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많은 조선족들이 '조국'인 조선 방위를 위해 중국인민지원군에 자원 입대하여 참전했다.[37] 당시 연변에서만 1만 9394명이 입대 지원을 했으며, 총 2만 명이 넘는 조선족이 참전했다.[56] 길림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서는 4만 6000명의 조선족 청년이 참전했다.

이들은 대부분 조선의 지리와 언어에 익숙했기 때문에 각 중대에 연락관으로 배치되어 길 안내, 야영지 조달, 적정 정찰, 대민 선전, 협상 등을 담당했다. 이는 중국군의 정찰력, 병참, 야간 전투 능력 및 추격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선족의 한국 전쟁 참전은 한국 사회에 부정적인 인식을 남겼다.[56] 조선족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위해 한국을 침략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인식되어, 조선족 전체에 대한 증오와 차별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56] 2021년 현재에도 한국에서는 조선족을 언제 중국 정부 편에 서서 한국을 배신할지 모르는 집단으로 의심하는 경향이 있다.[41]

4. 분포

조선족은 중국 동북 3성(만주)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는데, 길림성에 약 120만 명, 흑룡강성(하얼빈 시 등 포함)에 약 45만 명, 요녕성(선양 시 등 포함)에 약 25만 명이 분포한다.[94] 내몽골 자치구에는 약 2만 명의 조선족이 거주하며, 베이징 시, 톈진 시, 칭다오 시, 상하이 시 등 대도시에도 조선족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다.[94]

1869년 한반도 북부에 대규모 기근이 발생하자 굶주림을 피해 조선 북부 하층민들이 간도로 이주하면서 조선족의 중국 거주가 본격화되었다.[94] 1885년 청나라가 만주 이민 금지령을 철폐하면서 이주가 더욱 증가하였고, 1910년부터는 일제에 의해 강제 이주된 조선인들이 동북3성에 거주하게 되면서 조선족 인구가 급증하였다.[94] 1931년 만주사변 이후 만주국이 세워지면서 조선인 강제징용이 이루어졌고, 1945년에는 만주 지역 조선인 인구가 216만 명에 달했다.[94]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조선족의 대한민국 이민이 늘고 있으며, 대한민국 내 거주하는 중국 국적 조선족과 귀화 조선족은 80만 명이 넘는다.[94] 이들은 '재한조선족'으로 불리며, 서울 대림동구로동 등지에 밀집 거주하며, 조선족 학생 비율이 높은 초등학교도 존재한다.[94]

2021년 중국 정부 인구조사에 따르면 조선족 총 인구는 1,702,479명이다.[22] 그러나 더 나은 경제적 기회를 찾아 한국으로 이주하는 사례가 많아 중국 내 조선족 인구는 감소 추세에 있다.[22] 2020년 기준 길림성의 조선족 인구는 100만 명 아래로 감소했으며, 중국 전역으로 분산되는 경향을 보인다.[23]

"조선족"이라는 명칭은 1954년 중국 국적을 가진 조선족 소수 민족을 위한 공식 명칭으로 확립되었다.[20] 중국 공산당은 1948년 요녕성 위원회를 통해 호적 소지 여부에 따라 조선족과 한국(조선) 교포를 구분했다.[21] 중국 국적을 소유하고 호적상 민족란에 "조선"으로 기재된 사람만이 조선족으로 간주된다.[31]

4. 1. 자치 지역

중국 내 조선족의 최대 거주 지역은 길림성 동부에 위치한 연변 조선족 자치주이다.[94] 1955년에 자치구에서 자치주로 격하되었으며, 이때부터 조선족 출신 인사가 자치주 주장(州長)을 맡았다. 2010년 9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조선족을 창지투 지구 개방 선도구 개발 사업의 핵심 역할로 주목하기도 했다.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는 약 80만 명의 조선족이 집중되어 있다.[94]

창백 조선족 자치현은 길림성에 위치한 또 다른 조선족 자치현이다. 이외에도 중국 각지의 조선족 거주 지역에는 행정적으로 조선족 자치현과 여러 조선족 마을(향, 진)이 설치되어 있다.[94]

다음은 조선족 민족향, 민족진 목록이다.

지역민족향/진
룡하현(柳河県)삼원포조선족진(三源浦朝鮮族鎮)
해림시(海林市)신안조선족진(新安朝鮮族鎮)
환인 만주족 자치현야하조선족향
관전 만주족 자치현하로하조선족향
유수시연화조선족향
지린시창읍구토성자만주족조선족향
교하시오림조선족향
동풍현삼합만주족조선족향
집안시양수조선족향
매하구시소양만주족조선족향
통화현대천원만주족조선족향, 금두조선족만주족향
유하현강가점조선족향
휘남현누가조선족향
오상시민락조선족향
의란현영란조선족향
라북현동명조선족향
우의현성부조선족만주족향
철력시연풍조선족향
녕안시강남조선족만주족향, 와룡조선족향
벌리현행수조선족향, 길흥조선족만주족향
수화시북림구흥화조선족향
아롱기신발조선족향


5. 문화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연변에서는 1만 9394명의 남녀가 입대를 신청했다[56]。 이들 대부분은 중국인민지원군에 참전했고, 총 2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전했다[56]。 이들은 조선의 지리와 언어에 익숙했기 때문에 각 중대에 연락관으로 배치되어 길 안내, 야영지 조달, 적정 정찰, 대민 선전, 협상 등을 담당했다[56]。 이는 중국군의 정찰력, 병참, 야간 전투 능력 및 추격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56]。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과 함께 시작된 항미원조 운동에서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조선족만 해도 4만 6000명의 청년이 참전했는데, 이러한 사실은 한국에서도 알려져 있다[56]。 조선족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위해 한국 멸망에 공조했다는 이유로 한국에서 증오받고 있으며, 이는 깊은 차별의 원인이 되고 있다[56]。 2021년 현재에도 한국에서는 조선족이 언제 중국 정부 편에 서서 한국을 배신할지 모른다는 의심을 받는 집단으로 여겨지고 있다[41]

1949년 1월 21일, 민족 사업 간담회에서 임춘추는 연변을 북한에 귀속시킬 것을 주장했고, 임민호는 연변에 소련식 자치 공화국을 수립할 것을 주장했다[56]。 민족 사무소장 주덕해는 중국 영토 내에서의 자치를 제안했고, 이는 중국 공산당 길림성위의 지지를 얻었다[56]。 결국 중국 공산당과 중앙인민정부의 지도하에 충분한 민족 자치 권리를 향유하는 것으로 의견 일치를 보았다[56]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중국공산당1952년 민족 지역 자치 실시 요강을 발표하고 55개의 소수 민족에게 자치권을 부여했다. 이에 따라 길림성 남부에 연변조선족자치구가 탄생했고, 1955년에는 연변조선족자치주로 개칭되었으며, 자치주 주장에는 조선족이 취임했다. 주도인 연길에는 조선족을 위한 고등 교육 기관인 연변대학교도 설립되었다.

1990년대 한중 수교 이후, 한국으로 이주 또는 출입국한 조선족이 급증하면서 조선족 마을의 고령화·과소화가 두드러졌다. 또한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조선족의 출산율이 급락하여 조선족 인구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57]

6. 종교

조선족 사회에서는 종교나 신앙을 가진 사람이 많지 않았다. 불교와 토속신앙이 결합된 신앙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최근에는 대한민국미국과의 교류를 통해 개신교, 로마 가톨릭교회기독교 신앙을 갖는 사람들도 증가하고 있다.

6. 1. 언어

조선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문화어를 기준으로 한국어를 사용한다.[1] 출신 지역에 따라 동북 방언, 서북 방언, 동남 방언 등 다양한 방언이 사용되며, 중국 동북3성 각지에 이루어진 집성촌에서 이런 지역 방언이 사용되고 있다.[1]

지역별 방언 사용은 다음과 같다.[1]

방언지역
동북 방언(함경도)지린성 연변지구, 헤이룽장성 동북부, 동남부, 두만강 연안 지구, 동북 6진 방언
서북 방언(평안도)랴오닝성 다수 지역(심양-안산-무순-본계), 랴오닝 성과 접한 지린 성 남부 지역
동남 방언(경상도)랴오닝 성 중부(선양 시), 연변지구를 포함한 지린 성 일부, 헤이룽장 성 서북부, 서남부
서남 방언(전라도)랴오닝 성 중부(선양 시-안산 시) 교차적 분포, 연변 왕칭 현
중부 방언(경기도, 충청도 등)지린 성 류허 현, 연변 도문시, 기타 지역 교차적 분포


7. 교육

조선족은 거주지와 가족 환경에 따라 주로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중국어한국어를 모두 배우고 있다. 중국 조선족의 교육 수준은 중국 평균보다 높으며,[59] 한족을 포함한 인구 100만 명 이상의 각 민족 중에서도 최고 수준이다.[60][61]

8. 저명한 조선족

교육주덕해(朱徳海)1911년 3월 - 1972년 7월 3일연변조선족자치주 초대 주장정치·
교육임민호(林民鎬)1904년 1월 3일 - 1970년 7월 14일정치가, 교육가. 연변대학교 설립, 초대 부교장(실질적인 교장). 문화대혁명(文革) 당시 고문으로 사망.정치·
교육정판룡(鄭判龍)1931년 10월 2일 - 2001년 10월 7일작가, 지식인, 교육가. 연변대학교 교수·부교장.정치이덕수(李徳洙)1943년 11월 -국가민족사무위원회 주임(각료)정치임현욱(林賢郁)1949년 -전 국가통계국 부국장, 제11기 전국정협위원.[62]정치전철수(全哲洙)1952년 3월 -중앙통전부 부부장, 전국공상련 당조서기.[63]정치김진길(金振吉)1959년 2월 -길림성 연길 출신. 길림대학교 졸업. 제10기 전국인대 대표. 전 길림성 인대 상무위원회 부주임, 당조서기.[64]정치공현우(孔鉉佑)1959년 7월 -외교관. 흑룡강성(黑龍江省) 출신. 상해외국어학원 일본어학과 졸업. 외무차관보, 조선반도 문제 특별대표, 외무차관.[65]정치장류성(張留成)-전 중국공산당 대외연락부 남북 담당 부장. 2010년 스파이 혐의로 처형.[66]문학이욱(1907년 ~ 1984년)-조선족 문단을 대표하는 시인. 문화대혁명 기간에 박해.[67]문학김학철(1916년 11월 4일 ~ 2001년 9월 25일)-조선의 독립운동가, 작가. "조선의용대 마지막 분대장".음악금염(金焔)1910년 4월 7일 - 1983년 12월 27일“중국 영화의 황제”.[68]음악정률성(鄭律成)1918년 8월 13일 - 1976년 12월 7일군가 작곡가, 광주광역시 출생, 본명 정부은. 의열단 활동, 중국공산당 입당, 조선인민군 교향악단 단장 및 평양음악대학 작곡부 부장 역임. 한국전쟁 후 중국 정착. “연안송”, “팔로군 군가” 등 작곡.음악최건(崔健)1961년 -베이징시 출생, 중국 최초의 록 가수.예술장률(張律)1962년 -영화 감독. 한국 거주.음악금해심(金海心)1978년 10월 30일 -여성 가수. 길림성 출신.음악황인준2000년 3월 23일 -가수. NCT 멤버. 길림성 출신.군조남기(1927년 4월 ~ )1927년 4월 ~군인, 정치가. 1988년 상장 진급. 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장,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군사과학원 원장,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역임.군이영태(1928년 ~ )1928년 ~공군 군인.[69] 한국전쟁 참전, 미군 F-86 전투기 4대 격추. 1988년 공군 중장 진급. 공군 부사령관 역임.군김인섭(1940년 12월 ~ 2008년 10월 2일)1940년 12월 ~ 2008년 10월 2일중국인민해방군 중장, 전 무경총부 참모장, 청두군구 참모장,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전국정협위원.[69]군최해룡(1928년 9월 ~ 1996년 4월 19일)1928년 9월 ~ 1996년 4월 19일군인. 문화대혁명기 연변주 지도자, 문화대혁명 종식 후 실각, 당적 박탈.[69]학술김희덕(金熙徳)1954년-옌지시 출신. 전 중국사회과학원 일본연구소 부소장. 도쿄대학 박사. 국가기밀 유출 혐의로 14년형.[70][71]학술김홍광(金紅光)1957년 5월 9일-열물리학 전문가, 중국과학원 원사.학술리상철(李相哲)1959년-헤이룽장성 출신, 류코쿠대학 교수.학술한대원(韓大元)1960년 10월-전 중국인민대학 법학원 원장, 중국법학회 헌법학연구회 회장.[72]학술금문학(金文学)1962년-선양시 출신, 후쿠야마 대학 강사, 일본 방송대학 객원교수.학술이현옥(李賢玉)1965년 4월 26일-미사일 전문가, 중국인민해방군 로켓군 최초의 여성 장군.[73]학술장경자(張景子)-일중한 연구가.스포츠
(축구)박성1989년 1월 27일 ~룽징시 출신. 중국 국가대표.스포츠
(축구)고준익1995년 8월 21일 ~연길시 출신. J리거.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소속, 중국 국가대표.스포츠
(야구)주권1995년 5월 31일 ~길림성 출신. 한국 국적. KT 위즈 소속.스포츠
(쇼트트랙)임효준-쇼트트랙 선수.스포츠
(바둑)송용휘1992년 7월 25일 ~바둑 기사. 하얼빈시 출신.스포츠
(바둑)박문요1988년 4월 25일 ~바둑 기사. 흑룡강성 출신.기타정수일(1934년 11월 - )1934년 11월 -조선로동당 대외정보조사부 간첩, 단국대학교 교수 역임.[1]


8. 1. 정치·교육 관련

공현우(孔鉉佑)


이름생몰년주요 경력
주덕해(朱徳海)1911년 3월 - 1972년 7월 3일연변조선족자치주 초대 주장
임민호(林民鎬)1904년 1월 3일 - 1970년 7월 14일정치가, 교육가. 연변대학교 설립자 중 한 명, 초대 부교장(실질적인 교장). 민족 교육 발전에 힘썼으나 문화대혁명(文革) 당시 고문으로 사망.
정판룡(鄭判龍)1931년 10월 2일 - 2001년 10월 7일작가, 지식인, 교육가. 연변대학교 교수·부교장.
이덕수(李徳洙)1943년 11월 -국가민족사무위원회 주임(각료)
임현욱(林賢郁)1949년 -전 국가통계국 부국장, 제11기 전국정협위원.[62]
전철수(全哲洙)1952년 3월 -중앙통전부 부부장, 전국공상련 당조서기.[63]
김진길(金振吉)1959년 2월 -길림성 연길 출신. 길림대학교 졸업. 제10기 전국인대 대표. 전 길림성 인대 상무위원회 부주임, 당조서기.[64]
공현우(孔鉉佑)1959년 7월 -외교관. 흑룡강성(黑龍江省) 출신. 상해외국어학원 일본어학과 졸업. 2015년 12월부터 외무차관보, 2017년부터 조선반도 문제 특별대표 겸임. 2018년 1월부터 외무차관.[65]
장류성(張留成)-전 중국공산당 대외연락부 남북 담당 부장. 2010년 6월 23일, 스파이 혐의로 비밀리에 처형되었다는 정보가 홍콩의 중국 정세지 『외참(外参)』에 보도됨.[66]


8. 2. 문학 관련

8. 3. 음악·예술 관련

최건(崔健)

8. 4. 군 관련


기간내용
1978년 ~ 1985년중국공산당 연변조선족자치주 당위 제1서기 → 길림성 부성장 → 중국공산당 길림성 당위 서기
1987년 ~ 1992년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장,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1992년 ~ 1995년인민해방군 군사과학원 원장
1998년 ~ 2003년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기간내용
1975년무한군구 공군사령관
1982년중국인민해방군 공군 부사령관

8. 5. 학술 관련

8. 6. 스포츠 관련

'''축구 선수'''

'''야구 선수'''

'''기타 스포츠 선수'''

8. 7. 기타

정수일(1934년 11월 - )은 조선로동당 대외정보조사부 간첩으로, 단국대학교 교수를 지냈다.[1]

참조

[1] 웹사이트 Joseonjok and Goryeo Saram Ethnic Return Migrants in South Korea: Challenges of Co-Ethnic Hierarchization and Ethnonationalism https://gjia.georget[...] 2023-04-14
[2] 논문 Understanding the Push-Pull Factors for Joseonjok (Korean-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2024-01-22
[3] 웹사이트 'Victimised for being Chinese': the hard lives of South Korea's Joseon-jok https://www.scmp.com[...] 2019-05-10
[4] 웹사이트 Joseonjok and their evolving roles as mediators in transnational enterprises in Qingdao, China – HaeRan Shin, 2017 https://journals.sag[...]
[5] 웹사이트 国家统计 朝鲜族 http://www.cnstats.o[...] 2023-10-21
[6] 웹사이트 재외동포현황 거주자격별 중국국적동포 http://www.oka.go.kr[...] 2023-10-21
[7] 기타
[8] 웹사이트 The Korean Ethnic Group http://www.china.org[...] 2009-02-06
[9] 웹사이트 朝鲜族_中华人民共和国驻印度尼西亚共和国大使馆 http://id.china-emba[...] 2023-12-12
[10] 웹사이트 朝鲜族 https://www.zytzb.go[...] 2023-12-12
[11] 웹사이트 历史沿革 https://www.neac.gov[...] 2023-12-12
[12] 논문 Chaoxianzu's Traditions of Dress: An Exploration of Identity Within Contemporary Fashion Contexts https://hdl.handle.n[...] Auck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2020
[13] 논문 A Performance Analysis of Chaoxianzu Oral Traditions in Yanbian, China https://etd.ohiolink[...] The Ohio State University 2002
[14] 논문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지리적 해석 : 중국 동북3성 조선족 이주를 중심으로 :중국 동북3성 조선족 이주를 중심으로 https://www.dbpia.co[...] 2016-02
[15] 뉴스 그래서 조선족은 한국인인가 중국인인가? https://www.bbc.com/[...] 2023-11-29
[16] 웹사이트 朝鲜族 https://www.gov.cn/t[...] 2023-10-21
[17] 뉴스 통계로 본 국적취득자 절반이 중국 출신...[분석] 중국동포는 얼마나 될까? https://www.ekw.co.k[...] 2023-02-22
[18] 웹사이트 현행 1942년 중국 만주에서 출생한 중국국적동포가 대한민국국적을 가질 수 있는 방법 https://glaw.scourt.[...] 2023-11-29
[19] 웹사이트 왜 조선족은 "선족"이라고 부를 수 없을까? (Why Chaoxianzu cannot be called "Xianzu" ) http://www.minzu56.n[...] 2024-03-04
[20] 웹사이트 中国民族 https://www.gov.cn/t[...] 2023-11-29
[21] 웹사이트 边疆民族 http://www.historych[...] 2023-10-29
[22] 웹사이트 华夏风范之少数民族:曾经的高丽人,如今的朝鲜族_中国_表演_华媒 https://www.sohu.com[...] 2024-02-13
[23] 뉴스 중국 조선족 170만 명…14억 인구의 0.12% https://n.news.naver[...] 2023-10-21
[24] 웹사이트 한국 체류 중국동포: 국가의 경계를 초월한 삶의 주인공 https://csf.kiep.go.[...] 2023-10-21
[25] 뉴스 재한조선족사회 30년 총정리[2부] 현안분석과 제언 https://www.ekw.co.k[...] 2022-09-18
[26] 웹사이트 概况 https://www.neac.gov[...] 2023-10-24
[27] 뉴스 중국 조선족 170만 명…14억 인구의 0.12% https://n.news.naver[...] 2024-02-13
[28] 웹사이트 赶超延边!韩国常居朝鲜族人口突破70万 https://www.yazhouri[...] 2022-01-20
[29] 웹사이트 [재일조선족] 이홍매 '일본에서 살기' 저자와의 대화[동영상] https://www.ekw.co.k[...] 2022-12-10
[30] 웹사이트 asahi.com(朝日新聞社):朝鮮族 アジア結びたい――第10部〈鼓動潮流〉 - シリーズ「在日華人」 http://www.asahi.com[...]
[31] 웹사이트 中国では「朝鮮族」が韓国カルト布教の橋頭堡に 統一教会もガンガン進出(中央公論) https://news.yahoo.c[...]
[32] 웹사이트 朝鲜族是中国人?还是韩国人? {{!}} 韩联社 https://cn.yna.co.kr[...] 2010-02-19
[33] 뉴스 在中北朝鮮人「朝僑」、韓国への出稼ぎが増加 http://dailynk.jp/ar[...] デイリーNK 2017-02-04
[34] 뉴스 中国居住の北朝鮮住民、「国籍放棄」ブーム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1-01-05
[35] 웹사이트 第6次人口調査 http://www.stats.gov[...] 中華人民共和国国家統計局
[36] 뉴스 朝鮮族人口、30年後は半分に減る可能性も http://www.searchnav[...] 朝鮮族ネット -- 黒龍江新聞 2012-10-17
[37] 웹사이트 一橋大学大学院社会学研究科・社会学部 https://www.soc.hit-[...] 2022-02-09
[38] 웹사이트 [コラム]中国の朝鮮族、韓服を着たディアスポラ(ハンギョレ新聞) https://news.yahoo.c[...] 2022-02-09
[39] 웹사이트 脱北した在日朝鮮人医師が体験した脱出劇のリアル 道端に餓死者が転がる北朝鮮から脱出した脱北医師の手記 https://jbpress.isme[...] 2021-04-21
[40] 뉴스 "한반도는 대대로 중국 땅"?…미 교재 '엉터리 세계사' https://mnews.jtbc.j[...] 2020-10-14
[41] 뉴스 ドラマ『朝鮮駆魔師』打ち切りに残された問い―歴史歪曲と人種主義的論争 http://japan.hani.co[...] 2021-03-29
[42] 웹사이트 http://www.recordchi[...]
[43] 뉴스 中国朝鮮族、人口減少の訳 http://dailynk.jp/ar[...] デイリーNK 2016-08-27
[44] 뉴스 中国朝鮮族の流出が止まらない https://business.nik[...] 日経BP 2018-09-06
[45] 웹사이트 稼ぐならソウル、ガッツリ稼いだら地元で商売 中国・延辺朝鮮族自治州 https://news.yahoo.c[...]
[46] 웹사이트 李成梁の故郷感情 https://megalodon.jp[...] 中国鉄嶺市政府公式サイト
[47] 웹사이트 簡明満洲族姓名全録(上中下) http://www.yezaifei.[...] 満学研究 2023-02
[48] 웹사이트 八旗満洲族の民族成分 http://www.youkecn.c[...] 満族風情・満族歴史
[49] 간행물 八旗満洲旗分佐領高麗姓氏 http://www.cnki.com.[...] 北京大学出版社 2000
[50] 웹사이트 満洲八旗中の高麗士大丈家族.html http://www.historych[...] 中国清史編委会, 中国人民大学清史研究所, 清史研究, 徐凱
[51] 웹사이트 満洲八旗中の高麗士大丈家族.pdf http://ishare.iask.s[...]
[52] 논문 朝鮮族の移動と東北アジアの地域的ダイナミズム http://hamada.u-shim[...] 2011-01
[53] 논문 朴氏朝鮮族の民族意識に関する初歩解析 http://www.lw23.com/[...] 延辺大学学報 2001-03
[54] 웹사이트 关于民族问题的决议 http://cpc.people.co[...] 中国共产党第六次全国代表大会
[55] 논문 「満州国」人口統計の推計 http://www.tku.ac.jp[...] 2005-02
[56] 서적 中国と朝鮮戦争 1988
[57] 논문 延辺朝鮮族の社会学的考察 エスニシティに対する接近を中心に https://www.jstage.j[...] 2002
[58] 서적 満洲事件 高麗大学校
[59] 웹사이트 中国民委教育科技司・司長発言 http://cpc.people.co[...] 中国共産党新聞公式サイト
[60] 뉴스 上昇から超越へ-人口100万人以上の各民族の進歩と問題解析 http://www.mzzjw.cn/[...] 中国民族報 2004-02-13
[61] 뉴스 上昇から超越へ-人口100万人以上の各民族の進歩と問題解析 http://www.mzb.com.c[...] 中国民族報 2004-02-13
[62] 웹사이트 国家新任命统计局高层官员 https://www.yicai.co[...] 2023-12-13
[63] 웹사이트 中國共產黨“十七大”代表中有8名朝鮮族,超出人口比率的2倍 https://www.donga.co[...] 2007-10-13
[64] 웹사이트 朝鮮族ネット-中国の朝鮮族に関するニュースポータルサイト http://www.searchnav[...] 2023-12-13
[65] 웹사이트 中国、知日派が外務次官に昇格=香港紙「日本との関係改善望むサイン」 https://www.recordch[...] 2023-12-13
[66] 웹사이트 “金正日ー胡錦濤の通訳の中国の幹部がスパイ行為で処刑” https://dailynk.jp/a[...] 2023-12-13
[67] 웹사이트 朝鮮族ネット-中国の朝鮮族に関するニュースポータルサイト http://www.searchnav[...] 2023-12-13
[68] 웹사이트 朝鮮族ネット-中国の朝鮮族に関するニュースポータルサイト http://www.searchnav[...] 2023-12-13
[69] 웹사이트 從趙南起上將談起: 中國軍中的朝鮮族將領 – 新華澳報 https://www.waou.com[...] 2023-12-13
[70] 뉴스 韓国・日本に‘金正日の健康悪化’知らせたとして…中国 裁判所、朝鮮族学者に懲役14年宣告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新聞 2011-02-27
[71] 웹사이트 한·일에 ‘김정일 건강악화’ 알려줬다고… https://www.hani.co.[...] 한겨레신문 2022-02-09
[72] 웹사이트 北京市第十六屆人民代表大會法制委員會主任委員、副主任委員、委員名單 (19名)_人事任免_首都之窗_北京市人民政府門戶網站 https://www.beijing.[...] 2023-12-13
[73] 웹사이트 導彈專家李賢玉晉升女將軍 曾是黑龍江理科狀元--時政--人民網 http://politics.peop[...] 2023-12-13
[74] 웹사이트 https://boke123.net/[...]
[75] 웹사이트 http://www.oka.go.kr[...]
[76] 기타
[77] 웹인용 조선족의 역사 https://korean.cri.c[...] 2024-11-11
[78] 웹사이트 https://m.iybtv.com/[...]
[79] 웹인용 재외동포의창 http://webzine.korea[...] 2024-11-11
[80] 웹인용 [재일조선족] 이홍매 '일본에서 살기' 저자와의 대화[동영상] https://www.ekw.co.k[...] 2024-11-11
[81] 웹인용 "재일조선족, 보이지 않는 소수자" https://www.dongpone[...] 2024-11-11
[82] 웹인용 조선족 https://www.gov.cn/t[...] 2023-10-20
[83] 웹인용 历史沿革 https://www.neac.gov[...] 2023-10-20
[84] 웹인용 재외동포청 http://oka.go.kr/ 재외동포청 2023-10-20
[85] 저널 중국의 민족식별작업에 관한 고찰 https://www.dbpia.co[...] 2014-01
[86] 뉴스 문화대혁명 시기 조선족에게는 무슨 일이 http://news.mk.co.kr[...] 연합뉴스 2010-00-00
[87] 블로그 https://m.blog.naver[...]
[88] 웹인용 조선족이 조선족 고용해 변태 성매매 http://www.ilyoseoul[...] 2024-12-14
[89] 웹사이트 http://www.ilyoseoul[...]
[9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t591.ndsoftne[...] 2021-11-26
[91] 웹사이트 https://www.kihoilbo[...]
[92] 웹사이트 http://www.banwol.ne[...]
[93] 웹사이트 https://www.ilyosisa[...]
[94] 웹사이트 https://www.hankooki[...]
[9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kr.lnd.com.cn[...] 2019-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