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다르 1세 (세르비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다르 1세는 세르비아 왕국의 국왕으로, 밀란 1세의 퇴위로 1889년 13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섭정 통치 하에 있다가 1893년 쿠데타를 일으켜 친정을 시작했고, 1894년에는 1889년의 자유주의 헌법을 폐지하고 1869년의 보수적인 헌법을 부활시켰다. 1900년 드라가 마신과의 결혼으로 군대와 국민의 지지를 잃었고,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대한 경제적 의존 심화와 독단적인 헌법 개정으로 국내 불만을 키웠다. 1903년 흑수단의 쿠데타로 암살당했으며, 페타르 1세가 즉위하면서 오브레노비치 가문의 통치는 종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3년 살인 사건 - 드라가 마신
드라가 마신은 알렉산다르 1세와의 결혼으로 세르비아 왕비가 되었으나, 평민 출신과 국정 개입 논란, 흑수단 쿠데타로 남편과 함께 암살당해 오브레노비치 왕조 종말을 초래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사형된 세르비아 사람 - 드라자 미하일로비치
드라자 미하일로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체트니크를 결성하여 추축국에 저항했으나, 파르티잔과의 갈등 및 추축국과의 협력으로 연합군의 지원을 잃었고, 전후 반역죄와 전쟁 범죄로 처형되었으나 2015년 명예가 회복되었다. - 사형된 세르비아 사람 - 요반 블라디미르
요반 블라디미르는 1000년경 두클랴를 통치했으며, 비잔틴 제국과 불가리아 제국 사이의 전쟁에서 불가리아 차르 사무엘에게 항복 후 투옥되었다가 딸과 결혼하여 두클랴로 돌아왔으나 살해당해 성인으로 추앙받았고, 몬테네그로 바르의 수호 성인으로 5월 22일에 기념된다. - 오브레노비치 왕조 -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밀로시 오브레노비치는 19세기 초 세르비아의 지도자이자 오브레노비치 왕조의 창시자로, 제2차 세르비아 봉기를 주도하여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세르비아의 자치권을 획득하고 세르비아 공국의 세습 공작이 되었으며, 전제적 통치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세르비아 근대화의 초석을 다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 오브레노비치 왕조 - 드라가 마신
드라가 마신은 알렉산다르 1세와의 결혼으로 세르비아 왕비가 되었으나, 평민 출신과 국정 개입 논란, 흑수단 쿠데타로 남편과 함께 암살당해 오브레노비치 왕조 종말을 초래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알렉산다르 1세 (세르비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세르비아 왕 |
왕위 계승 | 1889년 3월 6일 ~ 1903년 6월 11일 |
대관식 | 1889년 7월 2일 |
선임자 | 밀란 1세 |
후임자 | 페타르 1세 |
섭정 | 전체 목록 |
배우자 | 드라가 마신 (1900년 8월 5일 결혼) |
왕가 | 오브레노비치 가문 |
부친 | 밀란 1세 |
모친 | 나탈리야 케슈코 |
출생일 | 1876년 8월 14일 |
출생지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
사망일 | 1903년 6월 11일 (향년 26세) |
사망지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
매장지 | 성 마르카 교회, 베오그라드 |
종교 | 세르비아 정교회 |
왕가의 문장 | |
![]() | |
호칭 | |
국왕의 칭호 | 폐하 |
경칭 | 폐하 |
2. 어린 시절과 즉위
알렉산다르 1세는 1876년 8월 14일 세르비아 왕국의 초대 국왕인 밀란 1세와 나탈리야 오브레노비치 왕비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오브레노비치 왕가의 일원으로, 이 가문은 세르비아 공국과 1882년부터 세르비아 왕국을 통치했다.
2. 1. 쿠데타와 친정
1889년 아버지 밀란 1세의 퇴위로 왕위를 이어받았다. 즉위 당시에는 나이가 13세였기 때문에 섭정이 대신 정치를 맡았다.[1]1893년 17세가 되던 해 첫 번째 쿠데타를 일으켜 의회를 해산하고 전제 군주제를 선포하여 왕실의 권위를 강화했다. 1894년 5월에는 다시 두 번째 쿠데타를 일으켜 1889년 자유주의 헌법을 폐지하고 1869년 보수적인 헌법을 부활시켰다.[1]
1897년 제1차 그리스-터키 전쟁 당시에는 중립 정책을 취하였으며,[1] 1898년 아버지 밀란 1세를 데려와 그 기간 동안에는 실질적인 통치자로 간주되기도 했다.[1]
3. 결혼과 정치적 혼란
1900년 여름, 알렉산다르는 이전에 사별한 드라가 마신과의 결혼을 갑작스럽게 발표했다. 알렉산다르는 1897년 드라가가 그의 어머니의 시녀로 일할 때 그녀를 만났다. 드라가는 왕보다 9살 연상이었고, 베오그라드 사회에서 평판이 좋지 않았으며, 여러 성관계를 가졌다는 소문과 불임이라는 소문이 널리 퍼져 있었다.[2] 알렉산다르는 외동아들이었기 때문에 왕위 계승을 위해 후계자를 낳는 것이 중요했다.
알렉산다르는 약혼 발표 전에 아버지 밀란이나 당시 만국 박람회 참석차 파리에 있던 총리 블라단 조르제비치와 상의하지 않았다.[3] 아버지 밀란은 아들을 위해 독일 왕족인 샤움부르크-리페의 알렉산드라 카롤리네 공주와의 결혼을 추진하고 있었다. 이 소식을 들은 총리는 즉시 사임했고, 알렉산다르는 새 내각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알렉산다르의 어머니 또한 결혼에 반대하여 이후 왕국에서 추방되었다.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가 축하와 함께 결혼식 증인으로 참석하겠다는 동의를 발표하면서 결혼에 대한 반대는 잠시 잦아들었다. 결혼식은 1900년 8월에 정식으로 거행되었다. 그러나 이 결혼으로 인해 왕은 군대와 국민들의 지지를 잃게 되었다.
3. 1. 정치적 화해 시도와 실패
알렉산다르 1세는 1901년 자신의 주도로 자유주의 헌법을 발표하여 정당들을 화해시키려 했다. 이는 세르비아 헌정 역사상 처음으로 양원제(''스쿠프슈티나''와 ''상원'')를 도입한 것이었다.[4] 정당들은 화해했지만, 국왕의 결혼에 불만을 품고 있던 군대는 더욱 불만을 갖게 되었다. 특히, 인기가 없던 드라가 왕비의 형제 중 한 명인 니코디예 중위가 추정 상속인으로 선포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기 때문이다.알렉산다르 1세의 우호적인 관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대한 국가의 의존성 증가는 세르비아 국민들에게 혐오감을 주었다.[4]
한편, 상원과 국무위원회의 독립성은 알렉산다르 1세를 점차 짜증나게 했다. 1903년 3월, 국왕은 헌법을 30분 동안 정지시켰는데, 이는 낡은 상원의원과 국무위원들을 해임하고 교체하는 법령을 공포하기에 충분한 시간이었다. 이 독단적인 행위는 국내의 불만을 더욱 증가시켰다.[7]
3. 2. 경제적 어려움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의존 심화
알렉산다르 1세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우호적인 관계, 그리고 세르비아가 오스트리아-헝가리에 경제적으로 점점 더 의존하게 되면서 세르비아 국민들은 반감을 가졌다.[4] 당시 세르비아 경제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전적으로 의존했고, 국민들은 더욱 가난해졌으며 기근으로 죽는 사람도 많았지만, 알렉산다르 1세는 이에 대해 신경 쓰지 않았다.4. 암살
1903년 6월 11일,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 대령이 이끄는 비밀 군사 조직 흑수단이 알렉산다르 1세 국왕과 드라가 왕비를 암살했다. 이들은 베오그라드 왕궁을 침입하여 국왕 부부를 살해하고, 시신을 훼손하여 창 밖으로 던졌다.[10] 이 사건은 드라가 왕비의 동생이 왕위 계승자로 지명될 가능성과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를 옹립하려는 움직임이 배경이 되었다.[9] 암살 이후, 국왕 부부의 시신은 베오그라드의 성 마르코 교회에 안치되었다.
4. 1. 5월 타도 (1903년)
알렉산다르 국왕은 드라가 왕비의 동생 니코디예 루녜비차 중위를 후계자로 선포하려 했고, 니코디예 중위는 전 국왕 밀란 1세의 이모의 손녀 안카 오브레노비치 공주와 결혼했다.[8]이에 왕비의 동생이 왕위에 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육군 대령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는 비밀 육군 장교 그룹인 흑수단을 조직하고 알렉산다르 국왕 대신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를 새 국왕으로 모시기로 결정했다. 흑수단은 훗날 반오스트리아 정서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암살한다.[9]
1903년 6월 11일 이른 아침, 흑수단은 베오그라드 왕궁으로 쳐들어가 시종들을 살해했고, 국왕 부부와 총리 니콜라 파시치는 침실의 비밀 벽장으로 숨었다. 한참 후 안전하다고 생각한 드라가 왕비가 도움을 요청했으나, 이를 들은 흑수단이 다시 쳐들어와 수색을 펼쳐 국왕 부부를 찾아냈다.[10]
국왕 알렉산다르와 드라가 왕비는 총에 맞아 암살되고 시체는 절단되고 배가 갈려 2층 창문에서 정원 비료 더미 위에 던져졌다.[10] 알렉산다르 1세 국왕과 드라가 마신 왕비의 시신은 베오그라드 성 마르카 교회에 안치되었다. 이후 흑수단의 추대로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가 페타르 1세로 즉위하면서 오랫동안 원수 지간이던 오브레노비치 가문과 카라조르제비치 가문 간의 권력 다툼은 알렉산다르 왕의 죽음으로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이 정권을 쥐게 되면서 끝나게 되었다.
4. 2. 암살의 여파
알렉산다르 국왕은 드라가 왕비의 동생 니코디예 루녜비차 중위를 후계자로 선포하려 했고, 니코디예 중위는 전 국왕 밀란 1세의 이모의 손녀인 안카 오브레노비치 공주와 결혼했다.이에 왕비의 동생이 왕위에 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육군 대령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가 비밀 육군 장교 그룹인 흑수단을 조직하고 알렉산다르 국왕 대신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를 새 국왕으로 모시기로 결정했다. 흑수단은 훗날 반오스트리아 정서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암살한다.
1903년 6월 11일 이른 아침, 흑수단은 베오그라드 왕궁으로 쳐들어가 시종들을 살해했고, 국왕 부부와 총리 니콜라 파시치는 침실의 비밀 벽장으로 숨었다. 얼마 후, 안전하다고 생각한 드라가 왕비가 도움을 요청했으나, 이를 들은 흑수단이 다시 쳐들어와 수색을 펼쳐 국왕 부부를 찾아냈다.
국왕 알렉산다르와 드라가 왕비는 총에 맞아 암살되었고, 시체는 절단되고 배가 갈려 2층 창문에서 정원 비료 더미 위에 던져졌다.[10] 알렉산다르 1세 국왕과 드라가 마신 왕비의 시신은 베오그라드 성 마르카 교회에 안치되었다. 이후 흑수단의 추대로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가 페타르 1세로 즉위하면서 오랫동안 원수 지간이던 오브레노비치 가문과 카라조르제비치 가문 중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이 정권을 쥐게 되었다.
5. 유산 및 평가
- 참고: 계열 템플릿은 제거해야 하지만, 이 경우 내용 파악 및 요약에 필수적인 정보(국가)를 담고 있으므로 유지했습니다. 단, 표 안에 넣어 가독성을 높였습니다.
참조
[1]
서적
Kosovo
1992-10
[2]
서적
The sleepwalkers : how Europe went to war in 1914
HarperCollins Publishers
2012
[3]
웹사이트
Die Memoiren des Königs Milan. Zehn Kapitel aus dem Leben des ersten Serbenkönigs by Milan:: Halbleinen, Frakturschrift (1902) | Versandantiquariat Schäfer
https://www.abebooks[...]
[4]
간행물
On Parliamentary Democracy in Serbia 1903–1914 Political Parties, Elections, Political Freedoms
2017
[5]
웹사이트
Popisom iz 1846. Na prostoru Hrvatske živelo skoro 2,5 miliona Srba
https://redportal.pi[...]
[6]
웹사이트
СРБИ У АУСТРОУГАРСКОЈ МОНАРХИЈИ
http://tspupin.org/o[...]
2024-09-15
[7]
웹사이트
Kralj Aleksandar Obrenović (Seminarski Rad) 10.03.2012. | PDF
https://www.scribd.c[...]
[8]
웹사이트
Biography of Prince Mihajlo Petrovic Njegos
http://www.njegoskij[...]
The Njegoskij Fund Public Project
2007-09-28
[9]
문서
The Fall of Eagles
Crown Publishers
1977
[10]
문서
[11]
웹사이트
Orders and Medals
http://www.royalhous[...]
2020-09-16
[12]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tornai.com/re[...]
[13]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1896
[14]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Unione tipografico-editrice
[15]
간행물
Subsídio para a história das relações bilaterais entre Portugal ea Sérvia
http://revistas.lis.[...]
2010
[16]
서적
Almanach de Gotha
[17]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19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