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로이시우스 암브로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로이시우스 암브로직은 슬로베니아 출신의 캐나다 가톨릭교회 추기경으로, 토론토 대교구장을 역임했다. 그는 1955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신학교 교수와 토론토 대교구 보좌주교를 거쳐 1990년 토론토 대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 1998년 추기경에 서임되었으며, 교황청에서 여러 위원으로 활동했다. 2006년 은퇴 후 2011년 사망했으며, 보수적인 성향으로 인해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추기경 - 마르크 우엘레트
1944년생 캐나다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인 마르크 우엘레트는 퀘벡 대교구 대주교, 주교성 장관 등을 역임하며 프란치스코 교황 선출에 기여했고, 신학자로서 교회 성추문 스캔들 관련 입장을 표명하는 등 사회 문제에 적극 참여했으나 2022년 성폭력 혐의로 고발되었다. - 슬로베니아계 캐나다인 - 엘비스 스토이코
엘비스 스토이코는 1990년대 세계 피겨 스케이팅계를 주름잡은 캐나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세계 선수권 3회 우승과 올림픽 은메달 2회 획득, 쿼드러플 점프와 가라테를 접목한 강렬한 연기로 유명하다. - 슬로베니아계 캐나다인 - 캐서린 바렐
캐서린 바렐은 캐나다의 배우이자 프로듀서, 감독으로, 《와이오나 어프》의 니콜 하우트 역과 《워킹 맘스》의 알리샤 러더퍼드 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킷 미디어를 설립하여 단편 영화 제작과 감독으로서도 활동하며 수상 경력이 있다.
알로이시우스 암브로직 | |
---|---|
기본 정보 | |
존칭 | 각하 |
이름 | 알로이시우스 암브로직 |
출생 이름 | 알로이지 마테이 암브로지치 |
출생일 | 1930년 1월 27일 |
출생지 | 가브리예, 유고슬라비아 왕국 (현재의 슬로베니아) |
사망일 | 2011년 8월 26일 |
사망지 | 토론토, 온타리오 주 |
매장지 | 홀리 크로스 묘지, 손힐, 온타리오 |
좌우명 | Iesus est Dominus (예수님은 주님이시다) |
![]() | |
직책 | |
직함 | 추기경, 토론토 대교구 명예 대주교 |
교구 | 토론토 |
착좌일 | 1990년 3월 17일 |
임기 종료일 | 2007년 1월 30일 |
선임자 | 제럴드 에멧 카터 |
후임자 | 토머스 크리스토퍼 콜린스 |
서품일 | 1955년 6월 4일 |
서품자 | 제임스 찰스 맥기건 |
주교 서임일 | 1978년 3월 26일 |
주교 서임자 | 필립 프랜시스 포콕 |
추기경 서임일 | 1998년 2월 21일 |
추기경 계급 | 사제 추기경 |
기타 직책 | 토론토 대교구 부교구장 대주교 |
스타일 | |
공식 호칭 | 각하 |
대교구 | 토론토 (명예) |
2. 생애
알로이시우스 암브로직은 유고슬라비아 왕국에서 태어나 1945년 오스트리아를 거쳐 1948년 캐나다로 이주하여 1955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뷔르츠부르크 율리우스 막시밀리안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1976년 토론토 대교구 보좌주교, 1986년 부교구장 대주교를 거쳐 1990년 대교구장이 되었다. 1998년 추기경에 서임되었으며, 교황청 여러 부서에서 활동하다 2006년 은퇴하였다. 2011년 8월 26일 오랜 투병 끝에 선종하였고, 장례 미사는 세인트마이클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1][2][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알로이시우스 암브로직은 유고슬라비아 왕국 가브리제 인근에서 알로이시우스와 헬렌 페카르 사이의 일곱 자녀 가운데 한 명으로 태어났다.[1] 1945년 5월 그의 가족은 오스트리아로 이주해 난민 수용소에서 생활했는데, 암브로직은 이곳에서 고등학교 교육을 마쳤다.[1] 1948년 9월 오스트리아를 떠난 그의 가족은 캐나다로 이주해 토론토 인근에 정착했다.[1] 암브로직은 곧 세인트어거스틴 신학교에 입학하여 1955년 6월 4일 사제 서품을 받았다.[1] 사제가 된 암브로직은 온타리오주 포르콜본에서 사목 활동을 하다가 세인트어거스틴 신학교에서 신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로 이동하였다.[2][3]로마로 잠시 신학을 공부하러 유학을 갔다가 돌아온 그는 1960년부터 1967년까지 세인트어거스틴 신학교에서 성경학을 가르쳤다.[1] 이후 독일 뷔르츠부르크 율리우스 막시밀리안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여 1970년 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0년부터 1976년까지는 토론토 신학교에서 성경 해석을 가르쳤다.[2][3]
2. 2. 사제 활동
알로이시우스 암브로직은 1955년 6월 4일 사제 서품을 받았다.[1] 사제가 된 후, 온타리오주 포르콜본에서 사목 활동을 시작했고, 이후 세인트어거스틴 신학교에서 신학생들을 가르쳤다.[2][3]로마 유학을 통해 토마스 아퀴나스 교황청립대학교(Angelicum)에서 신학 학위를 받았다. 캐나다로 돌아온 후, 1960년부터 1967년까지 세인트어거스틴 신학교에서 성경을 가르쳤다. 이후 독일 뷔르츠부르크 율리우스 막시밀리안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여 1970년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0년부터 1976년까지는 토론토 신학교에서 성경 해석을 가르쳤다.[2][3]
2. 3. 토론토 대교구
1976년 5월 27일, 암브로직은 토론토 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되었다.[2][3] 1986년 5월 22일에는 토론토 대교구 부교구장 대주교가 되었으며, 1990년 3월 17일에 토론토 대교구장직을 승계받았다.[2][3]1998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암브로직을 추기경으로 서임하고, 산타 마르첼리노 에 피에트로 성당을 명의본당으로 지정하였다. 암브로직 추기경은 교황청 이주사목평의회(1990년), 교황청 성직자성(1991년), 교황청 문화평의회(1993년), 교황청 경신성사성(1999년)의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2006년 12월 16일, 암브로직은 은퇴하였다.[2][3] 2011년 8월 26일, 오랜 투병 끝에 선종하였으며, 그의 장례 미사는 2011년 8월 31일 토론토 주교좌 성당인 세인트마이클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 장례 미사에는 캐나다 연방정부 관계자들을 비롯하여 약 1,000여 명이 참석하였다.
3. 논란과 비판
암브로직은 보수적인 성향으로 인해 캐나다 가톨릭 내에서 논란이 많았으며, 자유주의적이거나 진보적인 가톨릭 신자들의 반대에 부딪혔다.[4]
3. 1. 보수적 성향
암브로직은 캐나다 가톨릭 내에서 다소 논란이 많은 인물이었으며, 그의 보수적인 입장 때문에 일부 자유주의적 또는 진보적인 가톨릭 신자들과 전 가톨릭 신자들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했다. 동시에 그는 토론토 전례 미사 협회(전례 일치 운동(Una Voce)의 현지 지부)가 토론토 대교구에서 성 베드로 사제단(Priestly Fraternity of St. Peter)을 초청하여 트렌트 미사를 봉헌해 달라는 요청을 거부했다.[4]4. 평가
(빈 문서)
참조
[1]
웹사이트
Archdiocese of Toronto
http://www.archtoron[...]
2013-07-12
[2]
웹사이트
Catholic Register articles
https://web.archive.[...]
2010-01-21
[3]
웹사이트
Biography of Cardinal Ambrožič
http://www.cccb.ca/s[...]
2022-02
[4]
웹사이트
Ambrozic Letter
https://web.archive.[...]
2013-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