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노쉬 코르나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노쉬 코르나이는 1928년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난 헝가리 출신 경제학자이다. 나치 점령과 수용소 경험을 겪은 후, 공산당에 가입하여 활동했으나, 공산주의적 신념 부족으로 해고된 후 경제학 연구에 몰두했다. 그는 사회주의 경제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시장 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부족 경제학' 등의 저서를 통해 동유럽의 경제 체제 전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버드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2021년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도경제학자 - 소스타인 베블런
    소스타인 베블런은 다윈주의와 제도주의 경제학을 바탕으로 진화 경제학을 발전시키고, 과시적 소비와 사업과 산업의 구분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를 분석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사회학자이다.
  • 제도경제학자 -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는 20세기 미국 자유주의와 진보주의를 이끈 케인스주의 경제학자이자 저술가로서, 하버드 대학교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UN과 미국 정부 요직 및 인도 대사를 지냈으며, 『풍요로운 사회』 등의 저서를 통해 미국 경제에 대한 독창적 관점을 제시하며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다.
  •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 데이비드 줄리어스
    데이비드 줄리어스는 캡사이신 감지 수용체 TRPV1을 클로닝하고 TRP 채널 특성을 규명하여 온도 및 화학 물질 감지 연구에 기여했으며, 2021년 아르뎀 파타푸티안과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 코다이 졸탄
    코다이 졸탄은 헝가리의 작곡가이자 민속 음악학자, 음악 교육자로, 바르토크 벨라와 함께 헝가리 민요를 연구하여 민족 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며, 민속 음악 요소와 서유럽 음악 전통을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과 혁신적인 음악 교육 방법인 '코다이 메소드'로 세계 음악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헝가리 유대인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헝가리 유대인 - 존 폰 노이만
    헝가리 출신의 존 폰 노이만은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폰 노이만 아키텍처는 현대 컴퓨터 설계의 기초가 되었고 게임 이론의 창시자로도 알려진 20세기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야노쉬 코르나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5년 야노시 코르나이
2005년 야노시 코르나이
출생 이름야노시 코른하우저
출생1928년 1월 21일
출생지부다페스트, 헝가리
사망2021년 10월 18일
사망지부다페스트, 헝가리
국적헝가리
배우자테레즈 라키 (1952년 결혼, 2005년 사별)
자녀안드라시 코르나이
학력 및 경력
모교카를 마르크스 경제대학교
학위박사 (카를 마르크스 경제대학교, 1961년)
소속하버드 대학교
코르비누스 대학교
중앙유럽대학교
사상 및 업적
학파제도학파 경제학
영향메르다드 바하비
주요 기여2단계 계획 이론
부족 경제
반대신고전파
참고
RePEc 식별자 접두사e
RePEc 식별자pko198

2. 생애

야노쉬 코르나이는 1928년 1월 21일 부다페스트의 유복한 헝가리계 유대인 가정에서 야노시 코르나우저로 태어났다.[4] 1944년, 나치 독일의 헝가리 점령 기간 동안 가족은 수용소에서 시간을 보냈고, 그의 아버지는 강제 노역에 동원된 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했다.[5][6]

코르나이는 부다페스트의 파즈마니 페테르 대학교(현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에서 2년 동안 철학을 공부했다. 1945년에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헝가리 공산당의 지도 하에 있던 청년 조직인 헝가리 민주 청년 동맹에 들어가 활동하며 그 안에서 공산당에 입당했다.

코르나이는 독학으로 경제학 지식을 습득했으며, 이후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에서 해당 분야의 후보 학위를 받았다. 그는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읽고 경제학자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썼다.[7][8] 1948년에는 헝가리 노동자당의 중앙 기관지 『자유 인민』 (''Szabad Néphu'') 에 채용되어 경제부 기자로 활약했다.[7] 1955년, 공산주의적 신념 부족으로 해고된후,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부속 경제 연구소로 옮겨갔다.

코르나이는 1958년부터 여러 외국 기관의 초청을 받았으나, 헝가리 당국이 여권 발급을 거부하여 1963년까지 해외여행이 금지되었다.[9] 1967년부터 1992년까지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경제연구소 연구 교수로 재직했다.[9] 1976년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통신 회원이 되었고, 1982년 정회원이 되었다.

1984년부터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1992년 앨리 S. 프리드 경제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1985년에는 중국 정부와 세계은행의 초청으로 제임스 토빈 등과 함께 중국을 방문하여 자오쯔양 총리 등 고위 관리들에게 경제 개혁에 대해 강의했다.

코르나이는 2002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은퇴한 후 중앙유럽대학교 석좌 연구 교수와 부다페스트 코르비누스 대학교 명예 교수를 역임했다.[10][11] 2001년까지 헝가리 국립 은행 이사를 역임했다. 2018년, 부다페스트 코르비누스 대학교는 그의 90번째 생일을 기념하는 종일 회의를 개최했고, 세체니 문학 예술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2] 2021년 10월 18일 부다페스트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1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야노쉬 코르나이는 1928년 1월 21일 부다페스트의 유복한 헝가리계 유대인 가정에서 야노시 코르나우저로 태어났다.[4] 나치 독일의 헝가리 점령 기간 동안 가족은 수용소에서 시간을 보냈고, 그의 아버지는 강제 노역에 동원된 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했다.[5][6] 코르나이는 부다페스트의 파즈마니 페테르 대학교(현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에서 2년 동안 철학을 공부했다. 1945년에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헝가리 공산당의 지도 하에 있던 청년 조직인 헝가리 민주 청년 동맹에 들어가 활동하며 그 안에서 공산당에 입당했다.

코르나이는 독학으로 경제학 지식을 습득했으며, 이후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에서 해당 분야의 후보 학위를 받았다. 그는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읽고 경제학자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썼다.[7][8] 1948년에는 헝가리 노동자당의 중앙 기관지 『자유 인민』 (''Szabad Néphu'') 에 채용되어 경제부 기자로 활약했다.[7] 1955년, 공산주의적 신념 부족으로 해고된후,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부속 경제 연구소로 옮겨갔다.

2. 2. 언론 활동 및 초기 학문 활동

야노쉬 코르나이는 1948년 헝가리 노동자당의 중앙 기관지 ''Szabad Néphu'' (사바드 네프)에 채용되어 경제부 기자로 활동했다.[7][8] 하지만 1955년 공산주의적 신념 부족으로 해고되었다.[7] 이후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부속 경제 연구소로 옮겨갔다. 1956년 박사 학위 논문 『경제 관리의 과도한 집권화』는 사회주의 경제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서방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82년에는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정회원이 되었다.[19]

2. 3. 해외 활동 및 학문적 성숙

야노쉬 코르나이는 1958년부터 여러 외국 기관의 초청을 받았으나, 헝가리 당국이 여권 발급을 거부하여 1963년까지 해외여행이 금지되었다.[9] 1967년부터 1992년까지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경제연구소 연구 교수로 재직했다.[9] 1976년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통신 회원이 되었고, 1982년 정회원이 되었다.[9]

1984년부터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19] 1992년 앨리 S. 프리드 경제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1985년에는 중국 정부와 세계은행의 초청으로 제임스 토빈 등과 함께 중국을 방문하여 자오쯔양 총리 등 고위 관리들에게 경제 개혁에 대해 강의했다.[19]

2. 4. 은퇴 이후

야노시 코르나이는 2002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은퇴한 후 중앙유럽대학교 석좌 연구 교수와 부다페스트 코르비누스 대학교 명예 교수를 역임했다.[10][11] 2001년까지 헝가리 국립 은행 이사를 역임했다.[10][11] 2018년, 부다페스트 코르비누스 대학교는 그의 90번째 생일을 기념하는 종일 회의를 개최했고, 세체니 문학 예술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2] 2021년 10월 18일 부다페스트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13]

3. 주요 연구 업적 및 이론

1950년대 후반, 야노쉬 코르나이는 타마스 립탁과 함께 2단계 계획 이론을 발전시키는 등 경제 계획에 수학적 방법을 도입한 선구자 중 한 명이었다.[14] 그는 최초의 대규모 경제 전반의 다단계 계획 프로젝트를 지휘하기도 했다.

코르나이의 초기 저서인 『경제 관리의 과도한 집권화』(1956)는 서방 세계에 반향을 일으켰으며, 공산주의 중앙 계획에 대한 그의 환멸을 처음으로 드러냈다.[14] 1958년에 영어판이 출간되어 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이 논문은 사회주의 경제가 정부 주도의 집권적 관리 하에 있으며, 이것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기능하게 하는 자극·보상 체계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는 것을 분석했다.

1971년 저서 『반균형』(Anti-Equilibrium)에서는 사이버네틱스적 수법을 사용하여 신고전학파 경제학, 특히 일반 균형 이론을 비판했다. 이 저작은 일반 균형론을 뛰어넘는 새로운 경제 시스템 이론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으며, 코르나이는 이 책을 통해 이론 경제학계에서 자신의 입지를 굳혔다.

1980년 저서 『부족 경제학』(Economics of Shortage)은 아마도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저서일 것이다. 이 책은 1970년대 후반 동유럽에서 나타났고 1980년대에도 지속된 만성적인 상품 부족 현상이 계획가의 오류나 잘못된 가격 책정의 결과가 아니라, 체계적인 결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헝가리 국내에서 "『부족』이 부족하다"라고 신문이 보도할 정도의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영어, 프랑스어, 폴란드어로 번역되었다. 중국어판은 비문학 부문의 연간 베스트셀러상을 받았다. 러시아어 번역본은 처음에는 비합법적으로 유통되다가 미하일 고르바초프 정권에 의해 합법화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통해 체제 전환의 필요성을 인식했으며, 예고르 가이다르는 1980년대에 시장 사회주의의 불가능성을 증명한 코르나이에게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1988년 저서 『사회주의 체제, 공산주의 정치 경제학』(The Socialist System,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에서 그는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의 절대적인 통제에 기반한 명령 경제가 중앙 계획과 관리를 통해 관료제적 정부 기업의 지배와 행정적 가격 결정을 사용하여 시장의 영향을 제거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시스템의 인센티브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초래하며, 이는 결핍 경제로 알려진 관찰 가능하고 피할 수 없는 경제 현상으로 이어진다. 코르나이는 시장 사회주의를 창출하려는 노력에 대해 매우 회의적이었다.

그의 후기 저서로는 『자유 경제로 가는 길』(1990), 『고속도로와 뒷길』(1995), 『투쟁과 희망』(1997) 및 『전환기의 복지(Welfare in Transition)』(2001)가 있으며, 이는 후소련 국가의 경제 전환기 동안 거시 경제적 측면과 정치와 경제 정책 간의 상호 작용을 다루고 있다. 그는 나중에 콜레기움 부다페스트에서 ''탈사회주의 전환의 빛 속에서 정직과 신뢰''라는 포괄적인 연구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3. 1. 과도한 중앙집권화 비판 (1956)

야노쉬 코르나이는 1956년 저서 『경제 관리의 과도한 집권화』를 통해 공산주의 중앙 계획 경제의 문제점을 비판했다.[14] 이 논문은 사회주의 경제가 정부 주도의 집권적 관리 하에 있으며, 이것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기능하게 하는 자극·보상 체계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는 것을 분석했다. 이 책은 서방 세계에 반향을 일으켰으며, 공산주의 중앙 계획에 대한 그의 환멸을 처음으로 드러냈다.[14]

3. 2. 반균형 이론 (1971)

야노쉬 코르나이는 1971년 저서 『반균형』(Anti-Equilibrium)에서 사이버네틱스적 수법을 사용하여 신고전학파 경제학, 특히 일반 균형 이론을 비판했다.[14] 이 저작은 일반 균형론을 뛰어넘는 새로운 경제 시스템 이론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으며, 코르나이는 이 책을 통해 이론 경제학계에서 자신의 입지를 굳혔다.[20]

3. 3. 부족 경제학 (1980)

야노쉬 코르나이는 1980년 저서 『부족 경제학』(Economics of Shortage)을 통해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나타나는 만성적인 상품 부족 현상이 단순한 계획 오류나 가격 정책의 문제가 아니라 체계적인 결함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20] 이 책은 동유럽, 중국, 러시아 등 사회주의 국가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20] 특히, 헝가리에서는 "『부족』이 부족하다"라고 신문이 보도할 정도로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영어, 프랑스어, 폴란드어, 중국어 등으로 번역되었다.[20] 중국어판은 비문학 부문 연간 베스트셀러상을 수상했고, 러시아어 번역본은 처음에는 비합법적으로 유통되다가 미하일 고르바초프 정권에 의해 합법화되었다.[20]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통해 체제 전환의 필요성을 인식했으며,[20] 예고르 가이다르는 1980년대에 시장 사회주의의 불가능성을 증명한 코르나이에게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평가했다.[20] 그는 1971년 저서 『반균형』(Anti-Equilibrium)에서는 신고전학파 경제학, 특히 일반 균형 이론을 비판했다.

3. 4. 사회주의 체제 분석 (1992)

야노쉬 코르나이는 1992년 저서 『사회주의 체제, 공산주의 정치 경제학』(The Socialist System,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의 절대적인 통제에 기반한 명령 경제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했다.[14] 그는 이러한 체제가 중앙 계획과 관리를 통해 관료제적 정부 기업의 지배와 행정적 가격 결정을 사용하며, 시장의 영향을 제거한다고 주장했다.[14] 이러한 특징은 시스템의 인센티브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초래하며, 이는 결핍 경제로 알려진 관찰 가능하고 피할 수 없는 경제 현상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코르나이는 시장 사회주의를 창출하려는 노력에 대해 매우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20] 그는 1980년 저서 『부족』에서 사회주의 제도 하에서는 물자나 서비스의 부족이 항시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동서 경제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20]

3. 5. 시장 사회주의 비판

야노쉬 코르나이는 시장 사회주의를 창출하려는 노력에 대해 매우 회의적인 입장을 견지했다.[20] 1980년대에 가이다르는 시장 사회주의의 불가능성을 증명하는 코르나이에게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20]

그의 1980년 저서 ''결핍의 경제학''(Economics of Shortage)은 1970년대 후반 동유럽에서 나타났고 1980년대에도 지속된 만성적인 상품 부족 현상이 계획가의 오류나 잘못된 가격 책정의 결과가 아니라, 체계적인 결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했다.[14] 헝가리에서 "『부족』이 부족하다"라고 신문이 보도할 정도의 베스트셀러였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중국어판은 비문학 부문 연간 베스트셀러상을 수상했고, 러시아어 번역본은 고르바초프 정권에 의해 합법화되었다.[20]

1988년 저서 ''사회주의 체제, 공산주의 정치 경제학''(The Socialist System,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에서 그는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의 절대적인 통제에 기반한 명령 경제가 중앙 계획과 관리를 통해 관료제적 정부 기업의 지배와 행정적 가격 결정을 사용하여 시장의 영향을 제거한다고 주장했다.

3. 6. 전환 경제 연구

야노쉬 코르나이는 후기 저서에서 탈사회주의 국가들의 경제 전환 과정을 연구했다.[14] 『자유 경제로 가는 길』(1990), 『고속도로와 뒷길』(1995), 『투쟁과 희망』(1997), 『전환기의 복지(Welfare in Transition)』(2001) 등을 통해 후소련 국가의 경제 전환기에 나타나는 거시 경제적 측면과 정치, 경제 정책 간의 상호 작용을 분석했다.[14] 그는 콜레기움 부다페스트에서 ''탈사회주의 전환의 빛 속에서 정직과 신뢰''라는 연구 프로젝트를 이끌기도 했다.

1950년대 후반, 코르나이는 타마스 립탁과 함께 2단계 계획 이론을 발전시키는 등 경제 계획에 수학적 방법을 도입한 선구자 중 한 명이었다.[14] 1956년 저서 『경제 관리의 과도한 집권화』는 공산주의 중앙 계획에 대한 그의 환멸을 드러낸 초기 저작으로, 서방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14] 1971년 저서 『반균형』(Anti-Equilibrium)에서는 신고전학파 경제학, 특히 일반 균형 이론을 비판했다.[14] 1980년 저서 『부족의 경제학』(Economics of Shortage)은 1970년대 후반 동유럽에서 나타나 1980년대에도 지속된 만성적인 상품 부족 현상이 계획가의 오류나 잘못된 가격 책정 때문이 아니라, 체계적인 결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하여 큰 영향을 미쳤다.[14]

1988년 저서 『사회주의 체제, 공산주의 정치 경제학』(The Socialist System,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에서 그는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의 절대적인 통제에 기반한 명령 경제가 결핍 경제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그는 시장 사회주의를 창출하려는 노력에 대해서도 매우 회의적이었다.

4. 한국과의 관계

5. 비판

코르나이의 이론은 주로 사회주의 계획 경제의 실패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자본주의 시장 경제의 문제점, 특히 불평등 심화, 금융 불안정, 환경 파괴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20] 일부 학자들은 코르나이의 시장 경제 옹호론이 지나치게 이상적이며, 현실의 복잡한 정치, 사회적 요인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예고르 가이다르는 1980년대의 모든 사람이, 시장 사회주의의 불가능성을 증명하는 코르나이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평가했다.[20]

6. 저서

야노쉬 코르나이는 1950년대 후반 경제 계획에 수학적 방법을 도입한 선구자 중 한 명이었다.[14] 그는 타마스 립탁과 함께 2단계 계획 이론을 발전시켰고, 최초의 대규모 경제 전반의 다단계 계획 프로젝트를 지휘했다. 초기 저서인 ''과도한 중앙집권화''(1956)는 서방 세계에 반향을 일으켰으며, 공산주의 중앙 계획에 대한 그의 환멸을 처음으로 드러냈다.[14]

1971년 저서 ''반균형''(Anti-Equilibrium)은 신고전학파 경제학, 특히 일반 균형 이론을 비판한다.[14] 1980년 저서 ''결핍의 경제학''(Economics of Shortage)은 1970년대 후반 동유럽에서 나타났고 1980년대에도 지속된 만성적인 상품 부족 현상이 계획가의 오류나 잘못된 가격 책정의 결과가 아니라, 체계적인 결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한다.[14] 1988년 저서 ''사회주의 체제, 공산주의 정치 경제학''(The Socialist System,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에서 그는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의 절대적인 통제에 기반한 명령 경제가 중앙 계획과 관리를 통해 관료제적 정부 기업의 지배와 행정적 가격 결정을 사용하여 시장의 영향을 제거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시스템의 인센티브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초래하며, 이는 결핍 경제로 알려진 관찰 가능하고 피할 수 없는 경제 현상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14]

그의 후기 저서로는 ''자유 경제로 가는 길''(1990), ''고속도로와 뒷길''(1995), ''투쟁과 희망''(1997) 및 ''전환기의 복지(Welfare in Transition)''(2001)가 있으며, 이는 후소련 국가의 경제 전환기 동안 거시 경제적 측면과 정치와 경제 정책 간의 상호 작용을 다루고 있다.[14]

2007년 코르나이는 자신의 연구와 그가 연구를 수행한 사회적, 정치적 환경을 다룬 회고록 ''사고의 힘으로''(By Force of Thought)를 출판했다.[17]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경제 관리의 과도한 집권화'' (1956)
  • ''반균형'' (Anti-Equilibrium, 1971)
  • ''결핍의 경제학'' (Economics of Shortage, 1980)
  • ''사회주의 체제, 공산주의 정치 경제학'' (The Socialist System,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 1992)
  • ''자유 경제로 가는 길'' (The Road to a Free Economy, 1990)
  • ''고속도로와 뒷길'' (Highway and Byways, 1995)
  • ''투쟁과 희망'' (Struggle and Hope, 1997)
  • ''전환기의 복지'' (Welfare in Transition, 2001)
  • ''사고의 힘으로'' (By Force of Thought, 2007, 자서전)

참조

[1] 서적 Modalities of Change: The Interface of Tradition and Modernity in East Asia Berghahn Books 2012
[2] 웹사이트 The Hungarian economist, after whom we have to rethink Marx - Budapesti Corvinus Egyetem https://www.uni-corv[...] 2021-06-15
[3] 학술지 Janos Kornai: a non-mainstream pathway from economic planning to disequilibrium economics
[4] 서적 By Force of Thought: Irregular Memoirs of an Intellectual Journey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08-09-26
[5] 웹사이트 Elhunyt Kornai János közgazdász https://hvg.hu/ittho[...] 2021-10-18
[6] 웹사이트 Janos Kornai http://www.hetwebsit[...] 2021-10-19
[7] 간행물 Les Mémoires politiques et intellectuels d'un grand économiste hongrois 2008
[8] 학술지 Marx after Kornai 2020-08-19
[9] 학술지 An Interview with János Kornai https://www.research[...] 1999-09-01
[10] 웹사이트 János Kornai 1928 – 2021, Economist https://www.ceu.edu/[...] 2021-10-25
[11] 웹사이트 János Kornai https://economics.ha[...] 2021-10-25
[12] 웹사이트 Elhunyt Kornai János közgazdász https://hvg.hu/ittho[...] 2021-10-18
[13] 뉴스 János Kornai ist gestorben https://www.faz.net/[...] 2021-10-19
[14] 웹사이트 Economics of socialism and transition: The life and work of János Kornai, 1928-2021 https://voxeu.org/ar[...] 2021-10-23
[15] 웹사이트 János Kornai, Professor Emeritus of Corvinus University, has passed away - Budapesti Corvinus Egyetem https://www.uni-corv[...] 2021-10-19
[16] 웹사이트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Members and Foreign Associates Elected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6-05-03
[17] 서적 By Force of Thought: Irregular Memoirs of an Intellectual Journey MIT Press
[18] 문서 János válogatott művei sorozat a pozsonyi Kalligram kiadásában 2012-02
[19] 웹사이트 モンスター・中国の世界的脅威と日本がすべきこと https://webronza.asa[...] 朝日新聞デジタル 2019-09-23
[20] PDF https://www.issj.net[...]
[21] 학술지 Janos Kornai: a non-mainstream pathway from economic planning to disequilibrium economics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