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코프 트랴피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코프 트랴피친은 1897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무공을 세웠고, 러시아 내전 중 적위대에 가담하여 파르티잔 사령관으로 활동했다. 그는 니콜라예프스크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나, 1920년 니콜라예프스크 사건을 일으켜 일본군과 민간인을 대량 학살했다. 이후 체포되어 총살되었으며, 그의 행적은 소비에트 권력 투쟁의 일면으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잔혹 행위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극동 공화국 사람 - 바실리 블류헤르
바실리 블류헤르는 러시아 내전과 중일 전쟁에 참여하고 중국 국민당의 군사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1929년 중소 분쟁에서 승리했으나 1938년 숙청되어 처형된 소련의 군인이다. - 블라디미르현 출신 - 세르게이 프로쿠딘고르스키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프로쿠딘고르스키는 러시아의 사진작가이자 화학자로, 20세기 초 니콜라이 2세의 지원으로 러시아 제국을 기록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컬러 사진 기술의 선구자로서, 적색, 청색, 녹색 필터를 사용한 흑백 사진 합성 방식으로 러시아 제국의 다양한 모습을 담아냈고, 그의 작품은 미국 의회도서관에 의해 보존 및 복원되어 공개되었다. - 소련의 러시아 내전 참전 군인 - 니콜라이 바투틴
니콜라이 바투틴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군의 지휘관으로, 주요 전투에서 기동전 능력과 전술적 감각을 보였으나, 공격적인 작전 스타일과 정치적 의혹으로 인해 사후 평가가 엇갈리는 인물이다. - 소련의 러시아 내전 참전 군인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는 러시아 혁명과 소련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러시아 내전에서 활약하고 스탈린 시대에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나, 전쟁 초기 부실한 지휘와 대숙청 관여로 비판받았으며, 스탈린 사후 국가원수를 역임했으나 흐루쇼프 집권기에 몰락했다.
야코프 트랴피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야코프 이바노비치 트랴피친 |
생애 | |
출생일 | 1897년 4월 25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블라디미르 현 무롬스키 구 |
사망일 | 1920년 7월 9일 |
사망지 | 극동 공화국 연해주 케르비 |
사망 원인 | 총살형 |
군사 경력 | |
소속 | |
복무 기간 | 1916년–1920년 |
최종 계급 | 준위 파르티잔 사령관 전선 사령관 전선 사령관 |
지휘 | 파르티잔 분견대 니콜라옙스크 전선 오호츠크 전선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연합군 개입 시베리아 개입 동부 전선 |
기타 정보 | |
수훈 | 성 게오르기우스 훈장 |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야코프 이바노비치 트랴피친은 1897년 4월 25일, 러시아 제국 블라디미르 현 무롬스키 구역 사바스레이카 마을에서 농부 이반 스테파노비치 시도로프-트랴피친의 아들로 태어났다.[1][2][3][4][5][6][7] 그는 4년제 학교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고, 1915년에는 모르도프시크 조선소에서 기관차 조수 업무를 시작했다.
1919년 1월, 야코프 트랴피친은 이르쿠츠크에서 알렉산드르 콜차크 제독의 군대에 체포되었으나 탈출했다.[1][2][3][4][5][6][7] 같은 해 3월 말,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하여 항만 하역업자 중심의 지하 조직에 가입, 백군을 지원하는 일본 개입군에 대항하여 활동했다.[1][2][3][4][5][6][7]
리치 마을에서 열린 적군 지휘관 회의에서 빨치산 군대를 정규 적군으로 전환하는 결정이 내려졌고, 니콜라예프스크 전선이 수립되었다. 야코프 트랴피친은 니콜라예프스크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D.S. 부진-비치가 부사령관, T.B. 나우모프-메드베드가 참모장, A.I. 포크로프스키-체르니가 참모 서기로, F.V. 젤레진, A.I. 코마로프, S.I. 셰리가 선임 참모로 임명되었다. 이들은 빨치산 부대를 적군의 정규 연대로 재편성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1916년 여름, 러시아 제국군의 켁스홀름 연대에 입대하여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 소위(Praposhchik)까지 진급했으며, 성 게오르기 십자 훈장을 두 번 받았다.[1][2][3][4][5][6][7] 1918년 봄, 브레스트-리토프스크 강화 조약 체결로 제대한 후 적위대에 입대했다.[1][2][3][4][5][6][7]
1918년 6월부터 10월까지 사마라 봉기 진압에 참여했다. 그해 가을, 동부 전선을 거쳐 시베리아로 파견되었다.[1][2][3][4][5][6][7]
3. 파르티잔 사령관 시절
1919년 봄부터 프리모리예에서 파르티잔 부대에 참여, 일본인, 미국인, 백 러시아인과 전투를 벌였다.[1][2][3][4][5][6][7] 이후 이만 강으로 이동해 자신의 파르티잔 부대를 조직했다.
1919년 여름, 아무르강으로 이동하여 백군 및 연합국에 맞서 싸웠다.[1][2][3][4][5][6][7] 1919년 11월,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로 행군을 시작했다.[1][2][3][4][5][6][7] 지머마노프카 방어전에서 백군을 격파하고, 칼리노프카 마을을 점령했다.[1][2][3][4][5][6][7] 백군 지휘관 비츠 대령과의 협상을 통해 백군 부대 병사들을 흡수하여 파르티잔 부대를 약 1,400명 규모로 확장했다.[1][2][3][4][5][6][7]
4. 니콜라예프스크 전선 사령관
1918년 9월부터 니콜라예프스크는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어 있었다. 1920년 초, 도시에는 약 15,000명의 러시아인과 약 300명의 백군 부대 외에도, 이시카와 소령이 지휘하는 일본 제국 육군 제14 보병 사단 소속 350명의 일본군과 약 450명의 일본 민간인이 있었다.
1920년 2월 10일, 니콜라예프스크 전선의 군인과 빨치산들은 흐니라 요새를 점령하고, 탈취한 대포로 니콜라예프스크 인근 일본군 진지를 포격했다. 이후 외국 영사관의 압력으로 일본군은 중립을 선언하고 협상에 나섰다. 협상에는 백군 장교 2명도 옵저버로 참석했다. 일본군은 중립 협정에 서명했고, 적군 부대가 도시에 진입했다.
그 해 초, 백군과 일본군에 의해 체포되어 처형된 19명의 전직 소련 및 당 간부의 장례식에서 트랴피친은 니콜라예프스크 주민들에게 연설했다. 그는 자본주의자들과 제국주의 옹호자들을 비난하며, 노동자와 농민의 권리를 강조했다.
특별위원회(체카)는 백군 방첩 문서에 연루된 거의 모든 직원을 체포하여 총살했다. 1918년에 일본 천황에게 군대 파견을 요청하는 공동 청원에 서명한 전 혁명 이전 시의회 관계자 및 대표자들 역시 처형되었다.
1920년 3월 12일, 사할린 지역 소비에트 회의가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에서 열려 소비에트 권력 복원을 선언하고, 북사할린과 하부 아무르 지역에 대한 러시아 SFSR의 법적 주권을 확립했다.
4. 1. 니콜라예프스크 사건과 극동 공화국
1920년 3월 10일, 야코프 트랴피친은 니콜라예프스크의 일본군 주둔군에게 무장 해제하고 무기와 탄약을 붉은 군대에 넘기라는 최후통첩을 보냈다.[1][2][3][4][5][6][7] 일본군은 이를 거부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3월 12일 이른 아침, 일본군은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르에 주둔한 붉은 군대의 중앙 사령부를 기습 공격했다.[1][2][3][4][5][6][7] 이 공격으로 트랴피친은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 많은 붉은 군대 병사들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1][2][3][4][5][6][7] 그러나 며칠 간의 전투 끝에 붉은 군대는 일본군을 격퇴하고 도시를 장악했다.[1][2][3][4][5][6][7]
일본군과의 전투 후, 트랴피친은 생존한 일본군과 민간인들을 처형하고, 적색 테러를 통해 자신의 군대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되는 사람들을 처형했다.[1][2][3][4][5][6][7] 트랴피친은 니콜라예프스크 공격이 일본의 소련 극동 지역 공격의 예행연습이라고 믿었다.[1][2][3][4][5][6][7]
극동 공화국 수립에 대해 트랴피친은 강하게 반대했다. 그는 모스크바로 보낸 전보에서 "완충국의 창설은 전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일본은 오직 힘에서 열등합니다."라고 주장하며, 극동 공화국이 일본의 침략을 막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2][3][4][5][6][7]
이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1920년 4월 22일 트랴피친은 오호츠크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2][3][4][5][6][7] 5월 말, 일본 구원 원정대가 접근하자 트랴피친은 도시의 모든 붉은 군대 병력과 주민들을 철수시키고, 남아있던 일본인과 러시아인을 포함한 모든 주민을 처형하고 도시를 불태웠다.(니콜라예프스크 사건)[1][2][3][4][5][6][7]
이 학살 소식에 일본 정부는 볼셰비키 정부에 항의했고, 소련 정부는 트랴피친과 그의 참모들을 체포하여 재판에 회부했다.[1][2][3][4][5][6][7] 트랴피친과 그의 참모들은 1920년 7월 9일 총살되었다.[1][2][3][4][5][6][7] 일본 정부는 이 사건을 빌미로 사할린 섬 북반부를 점령하고, 1925년까지 소련과의 외교적 승인을 지연시켰다.[1][2][3][4][5][6][7]
5. 체포 및 처형
야코프 트랴피친은 농민 가정 출신으로 블라디미르 지방의 리핀 셰로마 군 사바슬레이카 마을에서 태어났다.[1][2][3][4][5][6][7] 이후 니콜라예프스크 지도자를 자처하며 볼셰비키 측에게 인정받았으나, 대규모 학살과 파괴로 악명을 떨쳤다.[1][2][3][4][5][6][7]
1920년 5월 말, 일본 구호 원정대가 접근하자 트랴피친은 도시의 모든 붉은 군대 병사, 참모, 소련 인원의 철수를 명령했고, 남아있던 일본인과 러시아인을 포함한 모든 주민을 처형하고 도시를 불태웠다.
볼셰비키 정부는 니콜라예프스크에서의 학살 소식을 듣고 일본 정부의 항의와 보상 요구에 직면했다. 트랴피친은 소련 정책에 대한 잦은 비난과 중앙 정부에 대한 비판으로 이미 중앙 위원회의 신임을 잃은 상태였다.[1][2][3][4][5][6][7] 결국 1920년 7월 7일, 소련 정부의 명령에 따라 프리모르스키의 케르비 마을에서 그의 연대 사령관 및 전 참모와 함께 체포되었다.[1][2][3][4][5][6][7]
사할린 지역의 볼셰비키 계열 중앙 위원회 위원이자 전 백군 장교인 I.T. 안드레예프가 주재한 재판에서 트랴피친과 그의 참모, 연대 사령관, 오호츠크 전선 참모장 니나 레베데바(32세) 등 32명이 사형을 선고받고 1920년 7월 9일 총살되었다.[1][2][3][4][5][6][7]
일본 정부는 이 사건을 빌미로 사할린 섬 북반부를 점령하고, 1925년까지 소련과의 외교적 승인을 지연시켰다.
6. 평가
야코프 트랴피친은 볼셰비키 측에서 소비에트 권력을 위한 투사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니콜라예프스크 사건으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된다.[1][2][3][4][5][6][7] 바실리 블류헤르는 그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며, 그가 소비에트 권력을 위한 전사였다고 평가했다.[7]
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그의 잔혹 행위가 반공주의 정서와 맞물려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6.25 전쟁 이후 북한 공산 정권의 만행과 연결되어 부정적 인식이 더욱 강화되었다. 니콜라예프스크 사건 당시, 극동지역 한인 사회 역시 트랴피친 부대에 의해 큰 피해를 입었다.
7. 기타
7. 1. 갤러리

참조
[1]
저널
К портрету Нестора Каландаришвили (1876-1922): уголовник-авантюрист, партизан и красный командир
2018
[2]
저널
Allied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and Japanese Troops in Russia’s Far East, 1918–1922
https://brill.com/vi[...]
2019
[3]
저널
The Nikolaevsk massacre and Japanese expansion in Siberia
https://www.proquest[...]
1998
[4]
서적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A)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49; 1920년대 전반 만주. 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천안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5]
저널
ЯКОВ ТРЯПИЦЫН БЕЗ ЛЕГЕНД: НОВЫЕ ДАННЫЕ О СУДЬБЕ ПАРТИЗАНСКОГО КОМАНДИРА
https://rhga.ru/uplo[...]
2018
[6]
저널
Гражданская война и проза 1920-х годов.
https://cyberleninka[...]
2013
[7]
저널
Суд над террором: партизан Яков Тряпицын и его подручные в материалах судебного заседания.
https://www.elibrary[...]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