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쿱 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쿱 벡은 코칸트 칸국 출신의 군인으로, 1860년대 둥간 혁명을 틈타 동투르키스탄으로 진출하여 카슈가르 왕국을 건설했다. 그는 영국과 외교 관계를 맺고 무기를 지원받았으나, 가혹한 통치로 현지 주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청나라의 반격으로 인해 1877년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청나라는 동투르키스탄을 재정복했다. 야쿱 벡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며, 일부는 그를 칭찬하고, 다른 이는 그의 통치를 비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 사람 - 튜티 유수포바
    튜티 유수포바는 1880년 히바 칸국에서 태어나 134세 270일의 나이로 사망한 우즈베키스탄 인물로, 농장 노동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슈흐라트 메달을 받았으며, 다큐멘터리 영화의 주인공이 되었고, 정직, 근면, 타인 돕기를 장수 비결로 꼽으며 지역 사회에서 존경받았다.
  • 타슈켄트주 출신 - 라피크 니쇼노프
    라피크 니쇼노프는 우즈베키스탄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와 소련 최고회의 국가평의회 의장을 역임했으며, 농장 노동자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외무장관, 최고회의 의장, 소련 대통령 고문 등을 지냈다.
  • 타슈켄트주 출신 - 알렉산드르 게인리흐
    알렉산드르 게인리흐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공격수와 공격형 미드필더를 소화하며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에서 리그 우승과 컵 우승을 여러 차례 기록하고,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하며 AFC 아시안컵 4강 진출에 기여,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축구 선수상을 수상했다.
야쿱 벡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신앙의 옹호자 아버지" ()
통치
통치 기간1865년 – 1877년
국가예티샤르의 에미르
개인 정보
출생1820년경
출생지코칸트 칸국 피스켄트 (현재 우즈베키스탄)
사망1877년
사망지예티샤르 코를라 (현재 중국)
군사 경력
주요 참전 전투/전쟁둥간 봉기

2. 초기 생애 및 배경

야쿱 벡은 코칸트 칸국(현재의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주의 피스켄트에서 태어났다.[37] 출생년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1820년으로 추정된다.[9] 그의 아버지는 푸르 무함마드로 피스켄트에서 카디(판사)로 일하였다.[10]

정확한 민족적 배경은 불분명하나, D. C. 볼거와 소련 백과사전등에 따르면 타지크인으로 알려져 있다.[7] 티무르의 후손이라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여겨진다.[8]

출생지코칸트 칸국 피스켄트
민족타지크인 (추정)
아버지푸르 무함마드 (피스켄트의 카디)



그는 코칸트 칸국의 군인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빠르게 지위가 상승했다.[37] 호젠트 총독 무함마드 카림 카스카 밑에서 일하다가, 카스카가 암살당한 후에는 기병대에서 복무했다. 1847년경에는 키질로르다 요새 사령관을 역임했다.[37] 1849년경, 그는 처남의 영향으로 아크-메체트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852년 말, 무하마드 후다야르 칸의 쿠데타 시기에는 많은 킵차크족이 학살당했고, 이로 인해 호칸에 대한 킵차크족의 지배가 종식되었다. 1864년, 그는 타슈켄트가 러시아의 첫 번째 공격을 받을 때 도시를 방어하는 데 힘을 보탰다.[37]

3. 신장 침공과 카슈가르 왕국 건설

1864년, 동투르키스탄 각지의 무슬림들이 청나라 지배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코칸트 칸국의 군인이었던 야쿱 벡은 이듬해인 1865년 군대를 이끌고 타림 분지로 진입하여, 카슈가르, 옝기사르 등 청군 주둔군을 격파했다.[37] 1866년에는 야르칸드, 호탄을 점령하여 타림 분지 서부를 장악했고, 1870년에는 동부의 투루판과 톈산산맥을 넘어 우루무치까지 공략했다. 1871년에는 일리 지방을 점령하여 청나라 세력을 동투르키스탄 주요 지역에서 몰아냈다.

3. 1. 카슈가르 왕국의 통치와 외교

야쿱 벡은 이슬람 가치를 중시하며 지역 주민의 지지를 얻으려 했다. 이를 위해 동투르키스탄에서 모스크와 성자묘를 보호하고 기부하는 활동을 활발히 했다.[37] 그러나 현지 카슈가르 출신 전사이자 족장의 아들은 "중국 통치 시대에는 모든 것이 있었지만, 지금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할 정도로, 야쿱 벡의 통치는 현지인들에게 인기가 없었다. 무역 또한 쇠퇴했다.[13] 야쿱 벡은 튀르크계 무슬림 백성들에게 과도한 세금을 부과하고 이슬람 샤리아 율법을 가혹하게 적용하여 미움을 샀다.[14][15] 한국의 역사학자 김호동은 그의 치명적이고 부정확한 명령이 현지인들을 실패하게 만들었고, 그들이 결국 중국군의 귀환을 환영했다고 지적한다.[16]

당시 대영제국과 러시아 제국중앙아시아 지배권을 놓고 경쟁하고 있었다. (이른바 '그레이트 게임') 야쿱 벡은 영국령 인도에서 대량의 무기를 지원받았고, 1874년에는 영국과 조약을 체결하여 카슈가르에 영국 영사를 상주시키기도 했다. 이 조약에서 야쿱 벡은 카슈가르와 야르칸드의 아미르로 칭해졌기 때문에, 영어로는 야쿱 벡의 왕국을 카슈가르 왕국이라고 부른다. 그는 서투르키스탄의 부하라 칸국오스만 제국과도 외교 관계를 맺었다. 특히, 오스만 제국에는 종주권을 인정하는 대신 무기 원조와 군사 고문 파견을 요청하여,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아미르로 공인받는 등 일정한 성과를 얻었다.[6]

4. 청나라의 반격과 야쿱 벡의 죽음

1876년 3월, 청나라의 흠차대신 좌종당은 8만 9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숙주에 진주했다. 같은 해 6월, 야쿱 벡의 군대와 청군은 우루무치 인근 흑구역(黑溝驛)에서 충돌했고, 야쿱 벡의 군대는 크게 패했다. 야쿱 벡이 지키려던 고목지, 우루무치 3개 성이 함락되었다. 7월에는 청군이 천산 북로의 회군을 모두 제압했다.

1877년, 겨울을 피해 청군은 우루무치 동남쪽의 달반성을 공격하여 불을 이용해 제압했다. 야쿱 벡 왕국을 영국러시아 제국 사이의 완충국으로 생각했던 영국은 청나라의 맹공에 놀랐다. 야쿱 벡은 사이이드 야쿱을 런던에 파견하여, 야쿱 벡 왕국이 버마와 마찬가지로 청나라의 종주권을 인정할 용의가 있다고 전했다. 같은 해 6월, 영국 인도성의 솔즈베리는 이를 받아들여 청나라와 야쿱 벡 측의 회담을 준비했지만, 이때는 이미 청군이 투루판을 총공격하고 있었다. 청나라 조정에서도 좌종당과 대립하던 해방파가 영국의 제안을 받아들이도록 이홍장에게 알렸다.

1877년 5월 30일, 야쿱 벡은 투루판 함락 소식을 듣고 쿠얼러에서 자살했다. 야쿱 벡의 자살 정보가 영국에 도착한 것은 7월 16일이었다. 그의 사인은 불분명하며, 타임즈와 러시아의 《투르케스탄 가제트》는 짧은 병치레 후 사망했다고 보도했다.[38]

4. 1. 야쿱 벡 사후

1878년, 청나라가 동투르키스탄을 다시 정복했다.[38] 청나라는 러시아 제국1879년 9개월에 걸친 협상 끝에 10월 2일, 리바디아 궁전에서 18개 조항에 이르는 〈리바디아 조약〉을 체결했다.[38] 그러나 이 조약은 러시아 측의 의향에 따른 것으로, 일리 지방 서부와 남부를 러시아에 할양하고, 하미, 투루판, 우루무치 등 7개소에 러시아 영사관을 설치하며, 러시아와의 면세 무역을 허용한다는 내용이었다.[38]

청나라 조정과 여론은 들끓었고, 좌종당은 러시아와의 전쟁을 주장했다.[38] 결국 외교를 맡았던 충후는 서태후에게 사형을 선고받았으나,[38] 영국이 청나라에 러시아를 분노하게 할 행위를 하지 말라며 충후의 사면을 건의했고, 청나라는 그 제안을 받아들여 사면을 결정했다.[38]

러시아는 청나라와의 전쟁을 준비하며 군함을 황해로 파견했다.[38] 한편, 좌종당은 일리 공격 계획을 수립한 후 1880년 4월, 숙주를 출발하여 하미에 이르렀다.[38] 그러나 좌종당은 ‘경비고문’(京備顧問)으로 조정에 돌아갔고, 러시아와의 평화 협상이 시작되어 1881년 2월 〈일리 조약〉이 체결되었다.[38]

5. 평가 및 유산

야쿱 벡의 통치는 억압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지만, 이슬람 문화 부흥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34] 그는 이슬람 가치를 중시하고 강조하며 지역 주민의 지지를 얻고자 했으며, 동투르키스탄에서 모스크와 성자묘에 대한 보호와 기부를 활발히 했다.

현대 알 카에다와 같은 극단주의 단체들은 야쿱 벡을 지하드의 옹호자로 칭송하기도 한다.[35][36] 알누스라 전선의 영문 잡지 ''Al-Risalah''는 야쿱 벡이 시행한 샤리아를 칭찬하고 그를 지하드의 옹호자로 인용하며 청나라를 공격했다. 무스타파 세트마리암 나사르는 야쿱을 "아탈릭 가지"이자 "훌륭한 사람"이라고 불렀다.[34]

야쿱 벡의 이야기는 소설 등 다양한 매체에서 다뤄지기도 했다.


  • 조지 맥도날드 프레이저의 소설 ''플래시먼 기병대의 돌격'' 후반부에 등장한다.[33]
  • 1973년에 출판된 소설 ''플래시맨 앳 더 차지(Flashman at the Charge)''의 조연으로 등장한다.
  • 드미트리우스 찰스 불거, ''[http://www.openlibrary.org/details/lifeofyakoobbega00boulrich 야쿱 벡의 삶; 아탈리크 가지, 바다울렛; 카슈가르의 아미르] '', 런던: Wm.H. 앨런 & Co., 1878 (오픈 라이브러리(Open Library)에서)
  • 토드 깁슨의 소설 ''내부 아시아 이야기(Tales of Inner Asia)''에 야쿱 벡의 삶을 각색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레비야 카데르는 야쿱 벡을 칭찬했다.[29] 율바르스 칸 장군이자 정치인의 아들 중 한 명의 이름은 야쿱 벡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30][31][32]

한국의 관점에서 야쿱 벡은 19세기말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복잡한 역학 관계와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그리고 이에 대한 지역 사회의 저항을 상징하는 인물로 평가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야쿱 벡의 실패가 외세 의존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반면, 국민의힘과 같은 보수 진영에서는 야쿱 벡의 이슬람 극단주의적 성향과 억압적인 통치를 비판하며, 지역 안정과 국가 주권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Central Asia and the Anglo-Russian Frontier Question https://books.google[...] Books on Demand 1874
[2] 서적 Understanding Religious Violence: Radicalism and Terrorism in Religion Explored Via Six Case Studies Springer
[3] 백과사전 Atalik https://books.google[...] 2010-08-22
[4] 백과사전 Yakub Beg https://www.britanni[...] 2019-09-15
[5] 서적 Imperial Rivals: China, Russia, and Their Disputed Frontier
[6] 문서 Boulger, page 118 and 220
[7] 문서 Якуб-бек (Yakub-bek)
[8] 서적 Report of "The Mirza's" Exploration from Caubul to Kashgar https://books.google[...] 1871
[9] 백과사전 Yakub Beg: Tajik adventurer https://www.britanni[...]
[10] 서적 Journey to Kashgariya and Kun-Lun https://books.google[...] 1894
[11]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2] 서적 A Chinese biographical dictionary, Volume 2 https://archive.org/[...] B. Quaritch 2011-07-13
[13] 서적 The life of Yakoob Beg: Athalik ghazi, and Badaulet; Ameer of Kashgar https://archive.org/[...] W. H. Allen 2012-01-18
[14] 서적 A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Plain Label Books 2010-11-30
[15] 서적 China's last Nomads: the history and culture of China's Kazaks https://archive.org/[...] M.E. Sharpe 2010-11-30
[1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Late Chʻing, 1800–1911, pt. 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문서 Kim (2004), pp. 167–169
[18] 웹사이트 Central and North Asia, 1800–1900 A.D. http://www.metmuseum[...] metmuseum.org 2006-12-14
[19] 문서 The stroke version e.g. here: N. Veselovsky (Н. Веселовский), Badaulet Yaqun Beg, Ataliq of Kashgar (Бадаулет Якуб-бек, Аталык Кашгарский)
[20] 서적 Problems of the Far East – Japan-Korea-China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10-06-28
[21] 서적 China revolutionized https://archive.org/[...] The Bobbs-Merrill company 2010-06-28
[22] 서적 Appletons' annual cyclopaedia and register of important events, Volume 4 https://archive.org/[...] TD. Appleton and company 2011-05-12
[23] 서적 A Chinese biographical dictionary, Volume 2 https://archive.org/[...] B. Quaritch 2011-07-13
[24] 서적 Translations of the Peking Gazette https://books.google[...] 2011-05-12
[25] 서적 Appletons' annual cyclopaedia and register of important events https://archive.org/[...] D. Appleton and Company 2011-05-12
[26] 서적 Clarence King Memoirs: The Helmet of Mambrino https://archive.org/[...] G.P. Putnam's Sons 2016-09-19
[27] 뉴스 THE PROTECTION OF CHILDREN.; CASE OF THE KINGMA CHILDREN--LETTER FROM THE STATE DEPARTMENT. https://query.nytime[...] 2016-09-19
[28] 서적 Empress Dowager Cixi: The Concubine Who Launched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Anchor 2016-11-03
[29] 서적 Dragon Fighter: One Woman's Epic Struggle for Peace with China https://archive.org/[...] Kales Press
[30] 웹사이트 Real Life China 1978–1983 http://www.thwaites.[...] Rich Communications, Canberra, Australia 2006-12-14
[31] 서적 Xinjiang and the Expansion of Chinese Communist Power: Kashga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8-01
[32] 서적 Warlords and Muslims in Chinese Central Asia: A Political History of Republican Sinkiang 1911-1949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86-10-09
[33] 서적 Community matters in Xinjiang, 1880–1949: towards a historical anthropology of the Uyghur https://books.google[...] BRILL 2010-06-28
[34] 웹사이트 Muslims in Central Asia and The Coming Battle of Islam https://archive.org/[...] 1999
[35] 뉴스 El Risale Dergisi'nden Türkistan Dağları -2. Bölüm- http://www.islahhabe[...] 2015-10-30
[36] 웹사이트 New issue of the magazine: "al-Risālah #2" http://jihadology.ne[...] 2015-10-25
[37] 백과사전 Yakub Beg: Tajik adventurer https://www.britanni[...]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38] 서적 Kim (2004), pp. 167–16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