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얀 (보헤미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얀 (보헤미아)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7세의 아들로, 보헤미아 왕이자 룩셈부르크 백작이었다. 1310년 보헤미아 왕 바츨라프 3세의 여동생 엘리슈카 프르셰미슬로브나와 결혼하여 보헤미아 왕위에 올랐으며, 폴란드 왕위 요구자로 활동했다. 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선출 과정에서 루트비히 4세를 지지하고 뮐도르프 전투에서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 이후 시력을 잃었지만, 프랑스 편에 서서 백년 전쟁에 참전하여 크레시 전투에서 전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얀 (보헤미아) - [인물]에 관한 문서

2. 생애

얀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7세와 브라반트의 마르가레테 사이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성장했다. 1310년 보헤미아의 국왕 바츨라프 3세의 여동생인 엘리슈카 프르셰미슬로브나와 결혼하여 프라하에 입성했고, 같은 해 12월 3일 인드르지흐 코루탄스키를 몰아내고 보헤미아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1310년부터 1335년까지는 폴란드의 왕위 요구자로 남아 있었다.

1314년 신성 로마 제국의 새 황제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얀은 합스부르크 가 출신인 프리드리히 3세 대신 비텔스바흐 가 출신인 루트비히 4세를 지지했다. 1322년 뮐도르프 전투에서는 바이에른의 루트비히 4세 공작을 지원했다.

1335년 비셰그라드에서 헝가리의 국왕 카로이 1세, 폴란드의 국왕 카지미에시 3세와 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에서 얀은 폴란드의 왕위를 요구하지 않는 조건으로 폴란드의 카지미에시 3세 국왕으로부터 20000보헤미아 그로시 은화를 획득했다.

1340년경 완전히 시력을 잃었고, 백년 전쟁에서는 프랑스를 지지했다. 1346년 크레시 전투에서 필리프 6세가 이끄는 프랑스 군대에 참전하여 전투를 벌이던 도중에 에드워드 3세가 이끄는 잉글랜드 군대의 공격을 받고 전사했다. 그의 용맹함은 적과 아군 모두에게 칭송받았다.[7] 보헤미아의 왕위는 얀의 아들인 카를 4세가 승계받았다.

2. 1. 초기 생애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7세와 브라반트의 마르가레테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파리에서 성장했다. 마르가레테는 브라반트 공작 요한 1세와 플랑드르의 마르가레트의 딸이었다. 룩셈부르크의 보크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자란 얀은 프랑스식 교육을 받았지만, 독일 정치에 깊이 관여했다.

얀과 보헤미아의 엘리자베스의 슈파이어 결혼식


1310년, 얀은 보헤미아 국왕 바츨라프 3세의 여동생인 엘리슈카 프르셰미슬로브나와 결혼하여 프라하에 입성했다. 14세의 얀과 보헤미아의 엘리자베스의 결혼은 하인리히 7세가 주선했다. 결혼식은 슈파이어에서 열렸고, 신혼부부는 경험 많은 외교관이자 체코 문제 전문가인 아스펠트의 페터 마인츠 대주교가 이끄는 일행과 함께 프라하로 향했다. 황제가 황실 체코 연대를 뉘른베르크에서 프라하까지 동반하여 부부를 보호했기 때문에, 얀은 엘리자베스를 위해 보헤미아 왕국을 침략해야 했다. 체코군은 프라하를 장악하고 당시 국왕 보헤미아의 헨리를 퇴위시켰다. 헨리 국왕은 아내 보헤미아의 안나 (얀의 아내의 여동생)와 함께 케른텐 공작령으로 도망쳤다. 얀과 엘리자베스의 보헤미아 왕위 대관식은 1311년 2월 7일에 열렸고, 이로써 그들은 보헤미아의 왕과 여왕이 되었다. 프라하 성은 사람이 살 수 없는 상태였고, 얀은 구시가 광장의 집 중 하나에 거주하며 조언자들의 도움을 받아 체코 정세를 안정시켰다. 그는 이로써 신성 로마 제국의 7명의 선제후 중 한 명이 되었으며, 처남 보헤미아의 벤체슬라우스 3세의 뒤를 이어 폴란드헝가리 왕국 왕위를 요구했다.[1] 1310년부터 1335년까지는 폴란드의 왕위 요구자로 남아 있었다.

2. 2. 보헤미아 왕위 계승

1310년 바츨라프 3세의 여동생인 엘리슈카 프르셰미슬로브나와 결혼하면서 프라하에 입성했으며, 1310년 12월 3일에는 엘리슈카의 언니 안나의 남편인 인드르지흐 코루탄스키를 몰아내고 보헤미아의 국왕으로 즉위했다.[4] 1310년부터 1335년까지는 폴란드의 왕위 요구자로 남아 있었다.

왕으로서 얀의 첫 번째 조치는 권위를 재확립하고 국내 평화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1311년, 그는 "취임 외교 문서"라고 불리는 보헤미아 및 모라비아 귀족들과 합의에 도달했는데, 이를 통해 얀은 통치자와 귀족의 관계를 다소 제한했다. 귀족은 왕을 선출하고, 비상 과세 문제를 결정하며, 자신의 재산을 소유할 권리와 외국 전쟁에서 왕에게 군사적 지원을 제공할지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권리를 갖도록 허용되었다. 그러나 귀족들은 국내 평화가 위협받을 때 군대를 소집하도록 권장되었다. 반면, 왕이 외국 관리를 임명할 권한은 폐지되었다. 얀은 이러한 합의를 통해 보헤미아 왕국 내에서 통치자의 권력을 공고히 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 합의는 얀이 의도한 만큼 성공적이지 못했는데, 귀족들은 바츨라프 2세가 사망한 후 얻은 재산과 영향력을 포기할 의향이 없었기 때문이다.

귀족 내의 긴장이 고조되고 얀이 보헤미아에 지속적으로 부재했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부족해지면서 체코 귀족의 두 파벌 사이에 경쟁이 벌어졌다. 한 파벌은 린드르치흐 리파가 이끌었고 얀의 신뢰를 얻었다. 다른 파벌은 빌렘 자이치 발데크(Vilém Zajíc of Valdek)가 이끌었으며, 리파 공작이 얀을 전복하려 한다고 여왕을 설득했다. 그 결과, 1315년에 얀은 린드르치흐를 투옥했다.

1318년까지 얀은 귀족들과 화해하고 그들의 권리를 인정했으며, 국가의 이원론과 왕과 귀족 간의 정부 분할을 더욱 확립했다.

2. 3. 신성 로마 제국 내 정치 활동

1314년 신성 로마 제국의 새 황제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얀은 합스부르크 가 출신인 프리드리히 3세 대신 비텔스바흐 가 출신인 루트비히 4세를 지지했다.[5] 룩셈부르크 가의 강대화를 우려한 선제후들도 루트비히 4세를 지지했다. 그러나 합스부르크 가에서도 프리드리히 3세를 선출하여 이중 선거가 되었다. 프리드리히를 지지한 것은 라인 궁정 백루돌프 1세, 작센 공루돌프 1세, 쾰른 대주교 하인리히 폰 필네부르크, 케른텐 공 하인리히 6세였고, 루트비히를 지지한 것은 마인츠 대주교 페터 폰 아스펠트, 트리어 대주교발두인 폰 룩셈부르크 (얀의 삼촌), 보헤미아 왕 겸 룩셈부르크 백 얀, 브란덴부르크 변경백발데마르였다.

1322년 뮐도르프 전투에서 얀은 루트비히 4세를 지원했다.[5] 그러나 1323년 루트비히 4세가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위를 얀에게 주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합스부르크 가가 헝가리 왕 카로이 로베르트와 결탁하자 루트비히 4세와 얀의 관계는 대립으로 변화했다. 루트비히 4세는 대립을 계속했지만, 후에 합스부르크 가의 오스트리아 공알브레히트 2세 등의 중재로 화해하고, 얀은 세력 확대를 꾀했다.[6]

1327년 실레지아 제후들을 신종시키고 실레지아에 세력을 뻗쳤다. 다만, 시피드니차 공 볼코 2세만은 신종하지 않고, 헝가리나 폴란드와 동맹을 맺고 독립을 유지했기 때문에 실레지아의 완전한 병합은 1368년까지 걸리게 된다.

루트비히 4세가 로마 교황과 대립하여 파문을 당하자, 얀은 다시 황제 타도의 병사를 일으켰다.

2. 4. 외교 및 군사 활동

얀은 실레시아, 폴란드, 리투아니아, 티롤, 북부 이탈리아, 아비뇽 교황청 등 유럽 각지를 여행하며 외교 활동을 펼쳤다. 1326년부터 1332년까지 폴란드-튜튼 기사단 전쟁에서 튜튼 기사단을 지원했다. 또한 여러 실레시아 공작들에게 그에 대한 충성 서약을 하게 했다.[5] 1327년에는 실레지아 제후들을 신종시키고 실레지아에 세력을 뻗쳤다. 다만, 시피드니차 공 볼코 2세만은 신종하지 않고, 헝가리나 폴란드와 동맹을 맺고 독립을 유지했기 때문에 실레지아의 완전한 병합은 1368년까지 걸렸다.

1335년 비셰그라드에서 헝가리의 국왕 카로이 1세, 폴란드의 국왕 카지미에시 3세와 함께 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에서 얀은 폴란드의 왕위를 요구하지 않는 조건으로 폴란드의 카지미에시 3세 국왕으로부터 20000보헤미아 그로시(Groš) 은화를 획득했다.

1330년부터 다음 해에 걸쳐 두 차례 이탈리아 원정을 벌였으나, 이 원정은 아무런 이익도 가져다주지 못하고 실패로 끝났다.

1322년 뮐도르프 전투에서는 바이에른의 루트비히 4세 공작을 지원했다. 그러나 1323년 루트비히 4세가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위를 얀에게 주는 약속을 어긴 점과 합스부르크가가 헝가리 왕 카로이 로베르트와 결탁하는 등의 영향으로 루트비히 4세와 얀의 관계는 대립으로 변화했다. 루트비히 4세는 대립을 계속했지만, 후에 합스부르크가의 오스트리아 공알브레히트 2세 등의 중재를 받아 일단 화해하고, 얀은 만회하여 세력 확대를 꾀한다.

2. 5. 실명과 크레시 전투

Johann von Böhmende은 1340년경 완전히 시력을 잃었다.[7] 백년 전쟁에서는 프랑스를 지지하여 참전했다.[7] 1346년 크레시 전투에서 필리프 6세가 이끄는 프랑스 군대에 참전, 에드워드 3세가 이끄는 잉글랜드 군대의 공격을 받고 전사했다.[7] 중세 연대기 작가 장 프로아사르는 그의 마지막 전투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그의 용맹함은 적과 아군 모두에게 칭송받았다.[7]

3. 가족 관계

얀은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바츨라프 2세의 딸인 엘리자베스였고, 이 결혼으로 7명의 자녀를 두었다. 두 번째 부인은 부르봉 공작 루이 1세의 딸인 베아트리스였으며, 이 결혼으로 아들 하나를 두었다. 얀의 사생아 니콜라우스는 1350년부터 1358년까지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를 지냈다.[1]

3. 1. 첫 번째 결혼

Eliška Přemyslovna|엘리슈카 프르셰미슬로브나cs와의 결혼으로 얀은 7명의 자녀를 두었다.

얀과 엘리슈카 사이의 자녀들[1]
이름출생사망비고
룩셈부르크의 마르가레테1313년 7월 8일1341년 7월 11일바이에른의 하인리히 14세와 결혼
룩셈부르크의 보네1315년 5월 21일1349년 9월 11일프랑스의 장 2세와 결혼
룩셈부르크의 카를 4세1316년 5월 14일1378년 11월 29일보헤미아 왕위 계승, 이후 신성 로마 황제 즉위
오토카르1318년 11월 22일1320년 4월 20일보헤미아 공자
룩셈부르크의 얀 헨리크1322년 2월 12일1375년 11월 12일모라비아의 변경백
룩셈부르크의 안나1323년1338년 9월 3일오스트리아 공작 오토와 결혼
엘리자베스1323년1324년안나와 쌍둥이


3. 2. 두 번째 결혼

부르봉의 베아트리스와 1334년 12월에 두 번째 결혼을 했다. 베아트리스는 부르봉 공작 루이 1세의 딸이었다. 이 결혼을 통해 아들 한 명을 두었다.

얀과 부르봉의 베아트리스의 자녀
이름출생사망비고
벤첼 1세1337년 2월 25일1383년 12월 7일룩셈부르크 공작이자, 브라반트 공작부인 조안나와 결혼하여 브라반트 공작이 됨.


3. 3. 사생아

그의 사생아 아들 니콜라우스는 1350년부터 1358년까지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를 지냈다.[1]

4. 평가

얀은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외교적 수완을 가진 인물이었다. 보헤미아 내정보다는 대외 활동에 더 치중했다. 그는 여러 차례 재정 악화를 초래했고, 세금 징수할 때에나 프라하에 돌아온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보헤미아를 비우는 기간이 길었다. 이 때문에 체코 귀족들의 세력이 확대되었고, 얀은 그들과의 대립에서 양보를 강요받기도 했다.[8] 1333년에는 체코 귀족들이 그의 아들 카를을 초청하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얀은 오늘날 체코에서는 평가가 좋지 않다. 반면 룩셈부르크에서는 룩셈부르크 백령의 발전에 적극적이었기 때문에 인기가 높다.

그의 통치 시기는 중세 봉건 사회에서 근대 국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성격을 보여준다. 1346년 크레시 전투에서 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잉글랜드군에 맞서 용감하게 싸우다 전사한 그의 기사로서의 삶은 적과 아군 모두에게 큰 칭찬을 받았다.[9][10]

참조

[1] 웹사이트 The Royal Route http://www.kralovska[...] 2013-07-11
[2] 웹사이트 The Grand Ducal Family of Luxembourg https://sip.gouverne[...] 2019-02-25
[3] 웹사이트 "[Luxemburgensia] Jean l'aveugle" https://lequotidien.[...] 2017-01-19
[4] 웹사이트 Origins of the Surname Lepore in Bohemia and Moravia (Czechia and Slovakia) http://digilander.li[...]
[5] 서적 A History of the Czech Lands Karolinum Press 2009
[6] 웹사이트 Louis IV Holy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7] 서적 The Hundred Years' War Routledge 1990
[8] Webarchive Chronicon Ecclesiae Pragensis https://www.digitale[...] 2016-03-04
[9] 인용문 http://www.clavmon.c[...]
[10] 기타 Benessii De Weitmil Chronicon Ecclesiae Pragensis https://www.digitale[...]
[11] 기타
[12] 백과사전 Daniel John king of Bohemia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