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정역 (남양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정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양정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전철역이다. 2005년 12월 16일 중앙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14년 12월 27일 경의선 용산선 구간 개통으로 경의·중앙선이 되었다. 상대식 승강장의 고가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인접한 역으로는 도농역과 덕소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진접역
    진접역은 2022년 3월 19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종착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하역이며, 주변에 해밀마을, 학교, 공원, 경복대학교 등이 위치하고 다음 역은 오남역이다.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오남역
    오남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4호선 진접선의 지하역으로, 2022년 3월 19일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진접(경복대)역과 별내별가람역 사이에 위치한다.
  • 을종위탁발매소 - 도고온천역
    도고온천역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선장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 및 이전을 거쳐 2007년 현재의 고가역으로 이전했으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된다.
  • 을종위탁발매소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양정역 (남양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양정역 역사의 모습
역사의 모습
주소경기도 남양주시 경강로 237 (이패동 398-32)
좌표37.60541, 127.19357
운영 정보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KORAIL)
노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역 번호K125
역 종류을종대매소
관리역망우역
역 등급무배치간이역 (도농역 관리)
승강장2면 2선
구조고가역
개업일2005년 12월 16일
노선 거리청량리역 기점 14.9 km
이용 정보
2023년 일평균 승차 인원613명
2023년 일평균 승강 인원1,132명
역 주변 정보
인근 동이패동
이전 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도농역 (K124)
역간 거리도농역 - 3.7 km

2. 역명 유래

양정 양씨가 처음 와서 살던 곳이어서 양정이라 하였다는 설과, 조선 중엽 전주 최씨의 양정재(養正齋)라는 묘막이 있어 그 후부터 "양정"이라 불리게 되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3. 역사

2005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과 함께 영업이 개시되었다.[4] 2014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용산선) 공덕역~용산역 구간 개통으로 중앙선과 직결 운행이 시작되면서, 두 노선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었다.

3. 1. 개통과 연혁

4. 역 구조

양정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고가역으로, 승강장 사이에 통과선이 2선 있다. 곡선 승강장이므로 승하차 시 발빠짐에 주의해야 하며, 두 승강장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4. 1. 승강장


  • - 경의·중앙선 도농 방면
  • - 경의·중앙선 덕소 방면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1경의·중앙선덕소·양평·용문·지평 방면
2경의·중앙선구리·청량리·용산·문산 방면


5. 이용객 변동

2005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5년 12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5]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
경의·중앙선승차311551761726709796805828861878[5]
하차290481593575573656686718737756
노선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경의·중앙선승차880890871881902709685657613
하차759762769758769622598561519


6. 역 주변

수석호평도시고속화도로 이패 나들목

7. 인접한 역

한국철도공사
-- 경의·중앙선 완행도농역 (K124)문산 방면덕소역 (K126)지평 방면
한국철도공사
-- 경의·중앙선 급행통과


참조

[1] 웹사이트 Statistical Data Korea Railroad Corporation https://info.korail.[...] 2022-12-29
[2] 웹사이트 統計資料 – 韓国鉄道公司 https://info.korail.[...]
[3] 문서 도라산 기점 84.9 km
[4]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98호 2005-12-08
[5]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