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도권 전철 중앙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전철 중앙선은 용산에서 용문까지 운행하는 광역 철도로, 1978년 용산~청량리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되었다. 2005년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독립 노선이 되었으며, 2014년 경의선과 직결되어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었다. 현재는 32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하며, 용산, 이촌, 옥수, 왕십리, 청량리, 회기, 상봉, 구리, 덕소, 양수, 양평, 용문역 등에서 급행열차가 정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 운행 계통 -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역과 문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철도 노선인 수도권 전철 경의선은 일제강점기 국제선이었으나 광복과 한국 전쟁을 거치며 대륙으로의 직통 운행이 중단되었고, 2009년 광역전철로 개통되어 현재는 용산선과 직결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통합 운행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 운행 계통 - 포스코 통근열차
    포스코 통근열차는 포스코가 직원들의 통근 편의를 위해 1975년부터 2005년까지 포항역과 제철역 사이를 운행한 열차로, 약 30년간 657만 명이 이용했으나 협상 결렬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 197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을 연결하여 경기도 파주시 문산역에서 양평군 용문역 또는 지평역까지 운행하는 약 120km 길이의 수도권 광역 철도망으로, 급행 및 완행 열차가 운행되며 서울역, 용산역, 왕십리역, 청량리역, 상봉역 등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 197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오송선
    오송선은 세종시 교통 편의 증진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건설된 16.7km의 철도 노선으로, 현재 SRT 고속열차가 오송역과 서창역을 잇는 단선으로 운영되며, 향후 일반 철도 노선 증설이 검토 중이다.
  • 통합된 철도 노선 - 동해남부선
    일제강점기에 시작된 동해남부선은 부전에서 포항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로 개궤 및 동해본선으로 편입, 복선 전철화 사업을 통해 통근 교통 개선 및 화물 운송 기능이 강화되었다.
  • 통합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역과 문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철도 노선인 수도권 전철 경의선은 일제강점기 국제선이었으나 광복과 한국 전쟁을 거치며 대륙으로의 직통 운행이 중단되었고, 2009년 광역전철로 개통되어 현재는 용산선과 직결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통합 운행되고 있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
노선 정보
노선명수도권 전철 중앙선
노선색'#999'
노선망수도권 전철
기점용산역
종점용문역
역수28
개업2005년 12월 16일
폐지2014년 12월 26일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거리71.2 km
궤간1,435 mm
선로 수복선
전철화 방식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 방식
노선도
한국어 정보
한글수도권 전철 중앙선
한자首都圈電鐵中央線
히라가나しゅとけんでんてつちゅうおうせん
가타카나스도쿠온・촌초루・추우안손
영어 이름Metro Jungang Line
추가 정보
종류운행 계통
나라대한민국
체계수도권 전철
상태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참고
노선경원선, 중앙선
기점 (상세)용산역 (경원선)
(서울특별시 용산구)
종점 (상세)지평역 (중앙선)
(경기도 양평군)
개통일 (상세)1978년 12월 9일(경원선 용산~청량리)
2005년 12월 16일(중앙선 청량리~덕소)
2007년 12월 27일(중앙선 덕소~팔당)
2008년 12월 29일(중앙선 팔당~국수)
2009년 12월 23일(중앙선 국수~용문)
2017년 1월 21일(중앙선 용문~지평)
폐지일 (상세)2014년 12월 26일
영업 거리71.2 km
궤간 (상세)1,435 mm(표준궤)
선로 (상세)2
전철화 (상세)가공전차선
교류 25,000 볼트, 60 Hz
신호ATS

2. 역사

1978년 12월 9일 경원선 용산역~청량리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 운행이 시작되었다.[12] 초기에는 4량 편성 전동차가 용산역에서 성북역까지 운행했다. 1980년 4월 1일에는 회기역한남역이, 1985년 10월 18일에는 서울 지하철 3호선 개통과 함께 옥수역이 개통되었다.

2005년 12월 16일, 중앙선 청량리역~덕소역 구간 복선 전철화로 경원선 용산~성북 구간 전동차 운행이 중단되고,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용산역~덕소역 간 전동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중랑역, 양원역, 구리역, 양정역이 이때 개통되었다.

2007년 12월 27일 덕소역에서 팔당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라는 명칭이 정식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도심역이 개통되었다. 2008년 12월 29일 팔당역에서 국수역까지 연장 개통되었고, 능내역은 폐지되고 운길산역으로 대체되었다. 2009년 12월 23일 국수역에서 용문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신원역도 개통되었다.

2014년 12월 27일 용산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다. 경원선 용산역-회기역 구간은 1978년 개통 당시부터 4량 편성 전동차가 용산역-성북역 구간을 왕복 운행하는 등 독립적으로 운행되었다. 이후 지하철 1호선 계통 전동차 증편으로 차량이 부족해지자, 1980년부터 일본제 동차로 운행이 전환되었다가, 1988년부터 성북전동차사무소의 10량 편성 전동차 운행으로 복귀하였다.

2005년 중앙선 청량리역-덕소역 구간 광역전철화로 이 구간과 통합되어, 용산역-청량리역-성북역 운행에서 용산역-청량리역-덕소역으로 변경되었다. 이 노선은 "용산-덕소 전철"로 불렸으나, "중앙선"으로 표기된 노선도와 안내판이 많아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2007년 12월 덕소-팔당 구간, 2008년 12월 팔당-국수 구간, 2009년 12월 국수-용문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2014년 12월 27일부터 용산역에서 용산선을 경유하여 경의선 문산역까지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

2. 1. 개통 초기 (1978년 ~ 2005년)

1978년 12월 9일 경원선 용산역~청량리역 구간 5개 역이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 운행이 시작되었다.[12] 초기에는 4량 편성 전동차가 용산역에서 성북역까지 운행했다. 이후 1980년 4월 1일에는 경원선 회기역한남역이, 1985년 10월 18일에는 서울 지하철 3호선 개통과 함께 옥수역이 추가로 개통되었다.

2005년 12월 16일, 중앙선 청량리역~덕소역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면서 기존 경원선 용산~성북 구간 전동차 운행이 중단되고,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용산역~덕소역 간 전동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중랑역, 양원역, 구리역, 양정역이 개통되었다.

2007년 12월 27일에는 덕소역에서 팔당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라는 명칭이 정식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도심역이 개통되었다. 2008년 12월 29일에는 팔당역에서 국수역까지 연장 개통되었고, 기존 능내역은 폐지되고 운길산역으로 대체되었다. 2009년 12월 23일에는 국수역에서 용문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신원역도 함께 개통되었다.

날짜내용
1978년 12월 9일용산역~청량리역 간 5개 역 개통 (경원선 이촌역, 성수역(현 응봉역) 개통)
1980년 4월 1일경원선 회기역, 한남역 개통
1980년 7월 10일성수역응봉역으로 개칭
1983년 9월 16일왕십리역 서울 지하철 2호선 환승 개통
1985년 10월 18일경원선 옥수역 개통, 이촌역 서울 지하철 4호선 환승 개통
1995년 11월 15일왕십리역 서울 지하철 5호선 환승 개통
2005년 12월 16일회기역~덕소역 구간 개통, 수도권 전철 용산-덕소선 운행 개시, 중랑역, 양원역, 구리역, 양정역 개통
2007년 12월 27일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노선명 확정, 덕소역~팔당역 구간 및 도심역 개통
2008년 4월 1일1인 승무 개시
2008년 12월 1일상행선 급행열차 운행 개시
2008년 12월 29일팔당역~국수역 구간 개통
2009년 12월 23일국수역~용문역 구간 및 신원역 개통
2010년 8월 20일청량리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1호선)
2010년 12월 21일오빈역 개통, 상봉역, 망우역 환승 개통 (경춘선)
2011년 10월 4일6량 1편성으로 감축,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4개 편성 투입[13]
2012년 5월 21일8량 1편성으로 1일 42회 운행
2012년 6월 1일8량 1편성으로 1일 58회 운행, 361000호대 전동차 2개 편성 재도색 후 투입
2012년 10월 6일왕십리역 분당선 환승 개통
2014년 3월 1일모든 열차가 8량 1편성으로 환원
2014년 12월 27일용산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선 직결 운행 개시


2. 2. 중앙선 복선 전철화 및 노선 연장 (2005년 ~ 2014년)

2005년 12월 16일 중앙선 청량리-덕소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어 전동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용산~왕십리~성북간 전동차[12]를 운영했으나 이때 폐지되었다. 동시에 경원선 용산-청량리 구간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전동차가 용산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2007년 12월 27일에는 덕소역에서 팔당역까지 연장 개통하면서, 수도권 전철 노선도에 정식으로 '''중앙선'''이라는 명칭이 쓰였다. 2008년 12월 29일 팔당역에서 국수역까지 연장 개통되었고, 기존의 능내역은 선로 이설과 동시에 폐지되어 운길산역으로 대체되었다. 2009년 12월 23일 국수역에서 용문역까지 구간이 개통되었고, 동시에 2008년 12월 29일에 문을 열지 않았던 신원역도 개통되었다. 2010년 12월 21일에는 경춘선, 7호선과 환승 가능한 상봉역양평역~아신역 사이에 오빈역이 추가로 개통되었고, 2014년 12월 27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 운행하게 되었다.[13]

날짜내용
2005년 12월 16일청량리역-덕소역 (17.2km) 복선화 및 전동차 운행 개시
2007년 12월 27일덕소역-팔당역 (5.9km) 복선화 및 전동차 운행 개시, 전 열차 8량 편성으로 단축
2008년 4월 1일원맨 운전 개시
2008년 12월 1일상행선에 한해 급행열차 운행 개시
2008년 12월 29일팔당역-국수역 (15.5km) 복선화 및 전동차 운행 개시
2009년 12월 23일국수역-용문역 (19.7km) 복선화 및 전동차 운행 개시
2010년 12월 21일상봉역, 오빈역 개업, 상봉역-망우역 (0.6km) 복복선화 (경춘선 선로 증설)
2011년 10월 4일전 열차 6량 편성으로 단축, 차량 부족으로 분당선에서 351000계를 임차
2012년 5월 21일42회 왕복 운행 8량 편성으로 변경
2012년 6월 1일8량 편성 운행 편수를 58회 왕복으로 변경, 361000계 2편성 도색 변경 후 투입
2014년 3월 1일전 열차 8량 편성화
2014년 12월 27일경의선 직통 운행 개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됨에 따라 본 노선 폐지


2. 3. 경의선 직결 및 통합 (2014년 ~ 현재)

2014년 3월 1일 모든 열차가 8량 1편성으로 환원되었다.[13] 2014년 12월 27일 용산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 운행을 개시하였다. 경원선 용산역-회기역 구간은 개업 당시부터 거의 독립적으로 운행되었으며, 1978년 개업 당시부터 4량 편성 전동차가 용산역-성북역 구간을 왕복 운행했다. 이후 지하철 1호선 계통 전동차 증편으로 차량 수가 부족해지자, 1980년부터 일본제 동차로 운행이 전환되었다가, 1988년부터 성북전동차사무소의 10량 편성 전동차 운행으로 복귀하였다.

2005년 중앙선 청량리역-덕소역 구간이 광역전철화되면서 이 구간과 통합되어, 용산역-청량리역-성북역 운행에서 용산역-청량리역-덕소역으로 변경되었다. 이 노선의 명칭은 "용산-덕소 전철"이었으나, 많은 노선도와 안내판에서 "중앙선"으로 표기되어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2007년 12월 덕소-팔당 구간, 2008년 12월 팔당-국수 구간, 2009년 12월 국수-용문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2014년 12월 27일부터 용산역에서 용산선을 경유하여 경의선 문산역까지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

3. 운영

경원선(용산-회기)과 중앙선(청량리-용문) 구간을 운행하며, 이 두 노선의 선로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광역 철도이다. 중앙선의 복선 전철화에 따라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최근 국수역, 용문역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급행 열차도 도입되었다. 중앙선 선로에는 무궁화호 등 다른 열차도 함께 운행되어 선로 용량 포화가 우려되었고, 경원선 선로는 서울 도심 지역이라 선로 증설이 어려워 배차 간격이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3. 1. 운행

경원선(용산-회기)-중앙선(청량리-용문) 구간을 운행하며, 경원선과 중앙선 선로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광역 철도이다. 중앙선의 복선 전철화에 따라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최근 국수역, 용문역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급행 열차도 도입되었다. 중앙선 선로에는 무궁화호 등 다른 열차도 함께 운행되어 선로 용량 포화가 우려되었고, 경원선 선로는 서울 도심 지역이라 선로 증설이 어려워 배차 간격이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 완행

:**용산-용문 간 운행. 일부 열차는 청량리역 착발, 덕소역, 팔당역, 양평역 착발로 운행된다.

:**용산-덕소 구간은 기본적으로 1시간에 4회, 덕소-용문 구간은 기본적으로 1시간에 2회 운행한다.

  • 급행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 양평역용산역행 2회가 운행된다.

3. 2. 차량

이촌역에 진입하는 용산행 32118 편성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된 32101 편성


321000호대 전동차가 주로 운행된다.

2007년까지는 1호선과 차량을 공유했다. 새로 도입된 6000호대 전동차는 교류 전용으로 중앙선에서만 운행되었다. 2007년 12월 27일 중앙선 복선 전철화의 팔당 연장에 맞추어 차량 편성을 10량 1편성에서 8량 1편성으로 변경했고, 2011년 10월부터는 8량 1편성에서 6량 1편성으로 다시 감축하여 1호선과 차량 운용 체계를 분리하였다. 이 차량들은 2012년 4월 2일까지 신이문역석계역 사이에 있는 이문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었으며, 차량 회송은 청량리역에서 광운대역까지 기존 경원선 구간을 사용하였으나, 2012년 4월 3일 용문차량사업소 완공과 함께 소속이 이관되었다.[14] 2008년 말부터 차번 개정이 시작되어 기존 중앙선을 운행하던 모든 통근형 전동차는 321000호대로 차번이 개정되었다. 2011년 10월 중앙선에 4개 편성이 부족해져 351000호대 전동차가 차출된 적이 있었으며, 2012년 6월 8량 편성으로 1일 58회를 운행함에 따라 경춘선에서 운행 중이던 361000호대 전동차 2개 편성을 도색 개조를 거쳐 차출한 적도 있었다.[15] 2014년 3월 1일부터 모든 편성이 8량으로 환원되었다. 승강장을 비롯한 모든 시설은 10량 1편성을 기준으로 건설되었다.

과거에 운행되었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 321000호대 전동차
  • 1000호대 전동차
  • 5000호대 전동차 (321000호대 전동차로 편입)
  • 6000호대 전동차 (2007년 1월부터 영업 개시, 321000호대 전동차로 편입)

3. 3. 급행열차 (2008년 ~ 2014년)

2008년 12월 1일부터 출근 급행 운행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도심역 출발이었으나, 2008년 12월 29일 국수역까지 연장되면서 기점이 양수역으로 변경되었고, 2009년 12월 23일 용문역까지 연장되면서 기점이 양평역으로 변경되었다.

평일 출근 시간대에 양평에서 용산 방향으로 2회 운행했으며, 용산에서 양평 방향으로는 운행하지 않았다. 급행열차의 정차역은 다음과 같았다.

2010년 7월 17일부터는 경인선, 경부선 등지에서 용산삼각선을 경유하여 본 노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주말 맞춤 특급열차가 운행하였으나, 이용 승객 저조로 2010년 12월 1일에 운행이 중지되었다.

2014년 12월 27일부터 용산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 운행을 실시하면서 경의중앙선에 일괄적으로 통폐합되었고, 양방향 모두 급행열차가 운행하기 시작하였으며, 급행열차 또한 용문역에서 출발/도착하게 되었다.

4. 역 목록

경부선-0.0서울특별시용산구K111이촌Ichon二村● 4호선1.9km1.9kmK112서빙고Seobinggo西氷庫1.7km3.6kmK113한남Hannam漢南1.9km5.5kmK114옥수Oksu玉水● 3호선1.6km7.1km성동구K115응봉Eungbong鷹峰1.8km8.9kmK116왕십리Wangsimni往十里● 2호선
5호선
경의·중앙선1.4km10.3kmK117청량리Cheongnyangni淸凉里● 1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경원선
중앙선2.4km12.7km동대문구중앙선K118회기Hoegi回基● 1호선1.4km14.1kmK119중랑Jungnang中浪1.8km15.9km중랑구K120상봉Sangbong上鳳● 7호선
중앙선
망우선0.8km16.7kmK121망우Mangu忘憂● 경춘선0.6km17.3kmK122양원Yangwon養源1.9km19kmK123구리Guri九里3.2km22.2km경기도구리시K124도농Donong陶農1.7km23.9km남양주시K125양정Yangjeong養正3.7km27.6kmK126덕소Deokso德沼2.3km29.9kmK127도심Dosim陶深1.5km31.4kmK128팔당Paldang八堂4.2km35.6kmK129운길산Ungilsan雲吉山6.4km42kmK130양수Yangsu兩水1.9km43.9km양평군K131신원Sinwon新院4.7km48.6kmK132국수Guksu菊秀2.9km51.5kmK133아신Asin我新4.1km55.6kmK134오빈Obin梧濱2.8km58.4kmK135양평Yangpyeong楊平2.2km60.6kmK136원덕Wondeok元德5.8km66.4kmK137용문Yongmun龍門중앙선4.8km71.2kmK138지평Jipyeong砥平중앙선3.8km75km


참조

[1] 일반
[2] 일반
[3] 일반
[4] 일반
[5] 일반
[6] 일반
[7] 일반
[8] 일반
[9] 일반
[10] 일반
[11] 웹사이트 http://www.letskorai[...]
[12] 일반
[13] 뉴스 코레일, 수도권 출퇴근 열차 대폭 증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2-05-18
[14] 일반
[15] 일반
[16] 일반
[17] 일반
[18]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