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흔은 삼국 시대 위나라와 서진의 장수이다. 263년 등애를 따라 촉한 정벌에 참여하여 강유 군을 공격하는 데 기여했고, 촉한 멸망 후 건위군 태수를 역임했다. 서진 시대에는 량주 자사를 지냈으며, 영호풍과 영호굉을 공격하여 참살했다. 278년 선비족과의 전투에서 패하여 사망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촉 정벌에 참여하여 강유와 싸우는 인물로 묘사된다.

2. 생애

경원 4년(263년), 위나라금성군 태수로, 등애를 따라 촉한 정벌에 참전했다. 등애의 명령으로 서쪽의 강족 지역인 감송으로 진군하여 강유에게 육박, 영병 30명이 봉작되는 등 촉한 멸망에 기여했다.

촉한 멸망 후 함희 원년(264년) 익주건위군 태수가 되었고, 태시 6년(270년) 라헌의 사망으로 파동 감군을 계승했다.

태시 8년(272년), 서진 량주 자사 재임 중 누나의 부고로 상을 치르던 동안, 차기장군부장사 한예가 강제로 그의 딸을 아내로 삼는 사건이 있었다. 돈황군 공조 송질이 독단적으로 의랑 영호풍을 태수로 삼자 이를 공격했으나 격파당했다.

함녕 2년(276년), 영호풍이 사망하고 동생 영호굉이 뒤를 잇자 다시 공격하여 그를 죽였다. 함녕 4년(278년) 6월, 사마준 부재 중 약라발능이 이끄는 선비무위군(고장현 서북쪽 산단령)에서 교전했으나 패사했다. 이에 앞서 사마독 마륭은 "양흔은 강융과의 화를 잃었고, 반드시 패할 것입니다"라고 상언했다.

2. 1. 위나라의 장수 시절

위나라의 장수로, 금성 태수(太守)였다.[1]

263년, 종회등애가 위의 촉 정벌을 감행하였을 때 사찬, 견홍, 왕기, 제갈서 등과 함께 등애의 부장으로 참전하였다.[2]

촉한의 장수 강유가 답중에서 왕기와 견홍을 격파하여 그들을 추격하고 있을 때, 군사를 이끌고 감송 땅의 모든 영채에 불을 질러 강유가 양흔에게 덤벼들었으나 양흔은 산길로 강유를 유인해 격파하였다.[3]

등애가 성도에 입성하였을 때는 다른 장수들과 함께 익주의 각 군에 태수(太守)로 임명되었다.[4] 경원 4년(263년), 촉한 정벌에 참전하여 강유 군을 포위하기 위해 등애의 명령으로 서쪽의 강족 지역인 감송으로 진군하여, 강유에 육박한 공적으로 영병 30명이 봉작되었다.[5]

2. 2. 진나라의 장수 시절

경원 4년(263년), 양흔은 위나라의 금성군 태수로, 등애를 따라 촉한 정벌에 참전했다. 강유 군을 포위하기 위해 등애의 명령으로 서쪽의 강족 지역인 감송으로 진군하여, 강유에 육박한 공적으로 영병 30명이 봉작되었다.[1]

촉한 멸망 후 함희 원년(264년)에는 익주건위군 태수로 전임되었다. 태시 6년(270년)에 라헌이 사망하자 파동 감군을 계승했다.[1]

태시 8년(272년), 양흔은 서진 량주 자사였다. 자사 재임 중, 누나의 부고로 상을 치르는 동안, 차기장군부장사 한예가 강제로 그의 딸을 아내로 삼는 사건이 있었다. 또한 돈황군 공조 송질이 독단적으로 의랑 영호풍을 태수로 삼았기에 공격했으나, 격파당했다.[1]

함녕 2년(276년), 영호풍이 사망하고 동생 영호굉이 뒤를 이었다. 양흔은 다시 영호굉을 공격하여 그를 죽였다.[1]

함녕 4년(278년) 6월, 사마준이 부재인 틈을 타, 약라발능이 이끄는 선비무위군(고장현에서 서북쪽의 산단령)에서 교전했으나, 패배하여 전사했다. 이보다 앞서, 사마독 마륭은 "양흔은 강융과의 화를 잃었고, 반드시 패할 것입니다"라고 상언했다.[1]

3. 《삼국지연의》의 양흔

삼국지연의》에서 양흔은 위의 촉 정벌 때만 등장하고, 다른 기록은 없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제116회에 등장한다. 사료와 마찬가지로 촉나라 정벌에 참가한다. 별동대로서 감송의 촉군 진지를 불태우지만, 강유가 황급히 달려오자 창을 맞대지도 않고 도망친다. 그 후, 강천에서 강유와 일기토를 벌이지만, 1합 만에 역시 도망친다. 뒤쫓아온 강유가 낙마하는 것을 보자, 말머리를 돌려 마무리를 지으려 하지만, 강유의 창에 말이 찔리고 자신도 낙마하고 만다. 병사들에 의해 간신히 구출된다.[1]

참조

[1] 서적 華陽国志
[2] 서적 삼국지
[3] 서적 晋書
[4] 서적 華陽国志
[5] 서적 華陽国志
[6] 서적 晋書 張輔伝
[7] 서적 자치통감
[8] 서적 위서
[9] 서적 자치통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