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그리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그리시는 3세기 중반 로마 제국 내에서 자치를 누리며 왕국으로 발전한 고대 국가이다. 비잔틴 제국의 전략적 종속국이었으며 라지카 전쟁을 거쳐 7세기 조지아의 아랍 지배로 멸망했다. 이후 8세기 아랍 점령을 격퇴하고 압하지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11세기 통일 조지아 왕국으로 수렴되었다. 기독교를 수용하고 그루지야 교회 전통으로 바뀌었으며, 흑해 연안 무역의 중심지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후기 - 스틸리코
    스틸리코는 반달족 아버지와 로마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테오도시우스 1세의 신임을 얻어 서로마 제국의 로마군 총사령관이 되었고, 호노리우스 황제의 후견인으로서 제국을 방어했으나 정치적 음모로 처형당해 서로마 제국 멸망을 가속화시킨 인물이다.
  • 고대 후기 - 고대 후기 소 역사가 및 단편 역사가
    고대 후기 소 역사가 및 단편 역사가 문서는 3세기부터 6세기까지 활동한 역사가들과 그들의 저작을 다루며, 에우트로피우스, 필로스토르기오스 등의 저술을 통해 당대 사회상과 역사적 사건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압하지야의 역사 - 압하지야 분쟁
    압하지야 분쟁은 압하지야와 조지아 간의 복잡한 정치적, 군사적 갈등으로, 소비에트 시대부터 분리 독립 요구가 있었고, 1992년부터 1993년, 1998년, 2001년에 걸쳐 무력 충돌이 발생했으며,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으로 확대되어 현재까지 긴장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 압하지야의 역사 - 1992년 압하지야 전쟁
    1992년 압하지야 전쟁은 압하지야 독립 요구와 조지아 정부의 질서 회복 시도가 충돌하여 발발, 러시아 개입과 인권 유린 속에 압하지야의 사실상 독립과 미해결 분쟁으로 이어진 전쟁이다.
  • 콜키스 - 피춘다
    압하지야에 위치한 피춘다는 고대 그리스 도시에서 유래하여 로마 요새, 조지아 종교 중심지를 거쳐 소련 흐루쇼프의 휴양지로 유명했으며 현재는 관광지로, 러시아 리조트 단지 임대 문제로 논란이 있는 도시이다.
  • 콜키스 - 수후미
    수후미는 흑해 연안에 위치한 압하지야의 수도로,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역사를 이어왔고, 현재는 압하지야 분쟁의 중심지였다가 복구 중이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에그리시
기본 정보
일반 명칭라지카, 에그리시
상태왕국
존속 기간131년 ~ 697년
시대고전 고대
역사
시작 사건건국
주요 사건 1로마 제국의 속국 (3세기 ~ 5세기)
주요 사건 2라지카 전쟁 (541년 ~ 562년)
주요 사건 3라지카의 비잔티움 제국 합병 (7세기)
이전 국가 1로마 제국
후계 국가 1압하지야 왕국
현재 국가조지아
러시아
튀르키예
지도
4~5세기 라지카 왕국
4~5세기 라지카 왕국
수도
수도아르케오폴리스
언어
공용어잔어, 고대 조지아어
종교 언어그리스어 (종교)
종교
종교동방 정교회 (분열 이전)
통화
통화안토니니아누스 (서기 4세기까지), 이후 솔리두스
정치
직책
첫 번째 지도자말라사스
첫 번째 지도자 재임 시작131년
마지막 지도자세르기우스
마지막 지도자 재임 종료696년/697년

2. 명칭

스반어에서 스반인은 메그렐리아 지역을 라잔(Lazan)이라고 부르는데, La-는 스반어의 영토 접두사이며 라잔은 "잔족의 땅"을 의미한다.[3]

3. 역사

3세기 중반, 라지카는 로마 제국 내에서 부분적인 자치를 얻어 왕국으로 발전했다. 라지카는 대부분 비잔틴 제국의 속국이었으나, 라지카 전쟁 기간에는 사산 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4] 7세기에 조지아의 아랍 지배로 멸망했으나, 8세기에 아랍의 점령을 격퇴하고 압하지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는 11세기에 통일 조지아 왕국으로 이어지는 초기 중세 국가 중 하나였다.[4]

4세기 초, 피티우스에 기독교 교구가 설립되었고, 319년에 기독교가 공식 종교로 선포되었다.[5][6]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는 피티우스의 스트라토필루스 주교가 참석했다. 5세기에 구바제스 1세가 최초의 기독교 왕이 되면서 기독교는 라지카의 공식 종교가 되었다. 이후 귀족과 성직자들은 헬레니즘 교회 전통에서 그루지야 교회 전통으로 바뀌었고, 그루지야어가 문화와 교육의 언어가 되었다. 비취빈타 대성당은 바그라트 3세에 의해 건설된 그루지야 기독교 건축의 가장 오래된 기념물 중 하나이다.[10]

3. 1. 고대

3세기 중반에 라지카는 로마 제국 내에서 부분적인 자치를 부여받아 왕국으로 발전했다. 존속 기간 동안 대부분 비잔틴 제국의 전략적 종속국이었으며, 라지카 전쟁 동안 잠시 사산 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4] 7세기에 이 왕국은 조지아의 아랍 지배로 멸망했다. 8세기에 라지카는 아랍의 점령을 성공적으로 격퇴하고, 서기 780년경부터 압하지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는 11세기에 통일된 조지아 왕국으로 수렴될 초기 중세 국가 중 하나였다.[4]

라지카 제국의 일부는 수아니, 스킴니, 서부 압하지아, 동부 압하지아(압실리아), 미시미아니였으며, 이들의 통치자는 라지카의 왕이 임명하고, 비잔틴 황제의 공식적인 승인을 받았다.[4]

3. 2. 왕국 성립과 발전

3세기 중반에 라지카는 로마 제국 내에서 부분적인 자치를 부여받아 왕국으로 발전했다. 존속 기간 동안 대부분 비잔틴 제국의 전략적 종속국이었으며, 라지카 전쟁 동안 잠시 사산 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4] 7세기에 이 왕국은 조지아의 아랍 지배로 멸망했다. 8세기에 라지카는 아랍의 점령을 성공적으로 격퇴하고, 서기 780년경부터 압하지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는 11세기에 통일된 조지아 왕국으로 수렴될 초기 중세 국가 중 하나였다.[4]

라지카 제국의 일부는 수아니, 스킴니, 서부 압하지아, 동부 압하지아(압실리아), 미시미아니였으며, 이들의 통치자는 라지카의 왕이 임명하고, 비잔틴 황제의 공식적인 승인을 받았다.[4]

3. 3. 기독교 수용과 문화 변동

4세기 초, 피티우스에 기독교 교구(동부 주교 관구)가 설립되었으며, 이웃한 이베리아 왕국과 마찬가지로 319년에 기독교가 공식 종교로 선포되었다.[5][6] 피티우스의 스트라토필루스 주교는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 참석했다. 라지카의 다른 고대 주교좌로는 로도폴리스,[7] 사에시나,[8] 지가나[9]가 있었다. 라지카의 첫 기독교 왕은 구바제스 1세였고, 5세기에 기독교는 라지카의 공식 종교가 되었다. 이후 라지카의 귀족과 성직자들은 헬레니즘 교회 전통에서 그루지야 교회 전통으로 바뀌었고, 그루지야어가 문화와 교육의 언어가 되었다. 비취빈타 대성당은 그루지야 기독교 건축의 가장 오래된 기념물 중 하나로, 바그라트 3세 왕(978-1014, 정교회 성인)에 의해 건설되었다.[10]

3. 4. 쇠퇴와 멸망

3세기 중반에 라지카는 로마 제국 내에서 부분적인 자치를 부여받아 왕국으로 발전했다. 존속 기간 동안 대부분 비잔틴 제국의 전략적 종속국이었으며, 라지카 전쟁 동안 잠시 사산 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4] 7세기에 이 왕국은 조지아의 아랍 지배로 멸망했다. 8세기에 라지카는 아랍의 점령을 성공적으로 격퇴하고, 서기 780년경부터 압하지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는 11세기에 통일된 조지아 왕국으로 수렴될 초기 중세 국가 중 하나였다.[4]

4. 통치자

라지카의 통치자들은 초기에는 로마 제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후 동로마 제국과 사산 제국 사이에서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19] 7세기 후반에는 동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4. 1. 라지카의 통치자 목록

라지카의 알려진 통치자들은 다음과 같다.[19]

통치자재위 기간비고
아그로스약 2세기경
말라즈130년경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의 봉신, 아리아누스에 의해 언급됨
미르다트약 360년경 ~ 약 380년경
바라즈-마쿠르약 380년경 ~ 약 395년경
이베리아약 395년경 ~ 약 450년경
구바제스 1세약 456년경 ~ 466년
담나제스? ~ 521/522년
자트 1세521/522년 ~ 527/528년
옵사테스541년 이전, 정확한 통치 기간은 불명
구바제스 2세약 541년경 ~ 555년
자트 2세554년 ~ ?
동로마 제국570년 ~ 약 660년경
바르누크 1세660년 ~ 약 670년경
그리고르670년 ~ 약 675년경
바르누크 2세675년 ~ 691년경
파코루스안토니누스 피우스(재위 138–161) 시대발행한 동전에서 이름 발견
레바르니키우스약 662테오도시우스와 테오도르의 《Hypomnensticum》에서 "라지카의 파트리키우스"로 언급
세르기우스약 696/697


5. 주요 도시 및 요새

라지카의 도시들에 대한 정보는 비잔틴 역사가들의 저술에 보존되어 있다.[11] 비잔틴 자료에 언급된 도시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페트라 (치히스지리)
  • 아르케오폴리스 (노칼라케비)
  • 네소스 (이술라)
  • 텔레피스 (톨레비)
  • 로도폴리스 (바르치케)
  • 스칸다
  • 사라파니스 (쇼르파니)
  • 파시스 (포티)
  • 피티우스
  • 코타욘 (쿠타이시)
  • 오노구리스


라지카에서 가장 비옥하고 풍요로운 지역은 리오니강 계곡이었다. 콜키스 영토의 인구 밀집 지역으로, 대부분의 라즈 도시가 이곳에 위치해 있었다.[12] 서기 4~5세기에는 아르케오폴리스, 로도폴리스, 코타욘과 같은 대도시가 라지카에 나타났고, 주로 파시스 지역을 중심으로 해안 지역의 인구가 증가했다.[13]

흑해 연안에서 이란으로 이어지는 주요 무역 및 군사 경로의 요충지에 위치한 라지카 요새의 건축물은 비잔틴 건축의 영향을 보여준다.[11]

6. 경제

해상 무역은 에그리시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 중심은 파시스 항구였다.[14] 무역은 주로 당시 로마의 지배를 받던 폰토스와 보스포루스 왕국(크림반도)와 이루어졌다. 가죽, 모피 및 기타 원자재뿐만 아니라 노예도 대량으로 수출되었다. 그 대가로 소금, , 포도주, 값비싼 직물 및 무기를 수입했다.[15] 자유 무역의 파괴와 라지카에서 로마의 독점 도입이 라지카 전쟁의 원인 중 하나였다고 여겨진다.[15]

라지카에서 무역에 사용된 주요 통화는 4세기까지 로마의 안토니니아누스였다. 이후에는 비잔틴 솔리두스로 대체되었다.[16]

참조

[1] 학술지 Essays on the history of Georgia: In eight volumes: Volume II https://dspace.nplg.[...]
[2] 서적 Georgia in Antiquity A History of Colchis and Transcaucasian Iberia, 550 BC-AD 562
[3] 서적 A History of the Georgian People from the Beginning Down to the Russian Conquest in the Nineteenth Century
[4] 서적 Georgia in Antiquity A History of Colchis and Transcaucasian Iberia, 550 BC-AD 562
[5] 서적 The Church Triumphant: A History of Christianity Up to 1300
[6] 서적 Georgian Reader
[7]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8]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9]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10] 서적 A history of the Georgian people
[11] 서적 Early feudal states of Transcaucasia in the III-VII centuries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SR
[12] 서적 Essays on the history of Georgia : In eight volumes : Volume I Tbilisi: Metsniereba
[13] 서적 Georgia in antiquity : a history of Colchis and Transcaucasian Iberia, 550 BC-AD 562 Oxford: Clarendon Press
[14] 서적 Lazika in the III - IV centuries. // World History: In ten volumes M.: Politizdat
[15] 서적 History of Georgia: from ancient times to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Part I State. publishing house
[16] 학술지 Essays on the history of Georgia: In eight volumes: Volume II https://dspace.nplg.[...]
[17] 서적 Georgia in Antiquity: A History of Colchis and Transcaucasian Iberia, 550 BC-AD 562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4-09-08
[18] 서적 A history of the Georgian people
[19] 웹사이트 http://web.raex.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