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미 앳 더 게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너미 앳 더 게이트》는 2001년 개봉한 전쟁 영화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배경으로 한다. 소련군 저격수 바실리 자이체프와 독일군 저격수 쾨니히 소령의 대결을 중심으로, 전쟁의 참혹함과 인간의 갈등을 그린다. 영화는 실존 인물과 사건을 모티브로 했지만, 역사적 사실과 다른 허구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자크 아노 감독 영화 - 장미의 이름 (영화)
1986년 장 자크 아노 감독이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을 영화화한 《장미의 이름》은 14세기 이탈리아 수도원에서 숀 코네리 분)과 크리스찬 슬레이터 분)이 의문의 죽음을 조사하는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로, 세자르 외국어 영화상과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남우주연상 등을 수상했다. - 장자크 아노 감독 영화 - 블랙 골드
20세기 초 석유 발견으로 인한 아랍 왕국 간의 갈등 속에서 아우다 왕자가 지도자로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블랙 골드는 석유를 둘러싼 권력 다툼과 전통 및 근대화의 충돌을 다루었으나, 지루한 전개와 캐스팅에 대한 비판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독소 전쟁 영화 - 철십자 훈장
샘 페킨파 감독의 1977년 영화 철십자 훈장은 제2차 세계 대전 독소전의 동부 전선을 배경으로 철십자 훈장에 집착하는 장교와 전쟁의 참혹함에 고뇌하는 병사를 통해 전쟁의 부조리함과 인간 본성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 독소 전쟁 영화 - 병사의 발라드
《병사의 발라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년병 알료샤가 어머니를 만나기 위한 6일간의 휴가 중 전쟁의 참상과 인간애를 경험하는 이야기를 그린 그리고리 추흐라이 감독의 1959년 소련 영화로, 기술적 완성도와 감동적인 스토리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으며 칸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작품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 아일랜드의 영화 작품 - 도로시 (영화)
도로시 밀스를 치료하는 정신과 의사가 섬의 비밀과 소녀의 다중 인격을 마주하는 내용을 그린 2008년 아일랜드 영화이다. - 아일랜드의 영화 작품 - 비커밍 제인
《비커밍 제인》은 제인 오스틴과 토마스 레프로이의 사랑을 그린 2007년 영화로, 오스틴의 생애와 작품을 연결하여 소설 《오만과 편견》의 등장인물과 주제를 보여준다.
에너미 앳 더 게이트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장자크 아노 |
제작자 | 장자크 아노 |
각본 | 장자크 아노 알랭 고다르 |
출연 | 조지프 파인스 주드 로 레이첼 바이스 밥 호스킨스 에드 해리스 |
음악 | 제임스 호너 |
촬영 | 로베르 프레세 |
편집 | 노엘 부아송 험프리 딕슨 |
제작사 | 만달레이 픽처스 레페라주 필름 |
배급사 | 파라마운트 픽처스 (북미 및 일부 해외 지역) 파테 디스트리뷰션 (영국, 아일랜드, 프랑스) 콘스탄틴 필름 (독일) 서밋 엔터테인먼트 (해외) |
개봉일 | 2001년 3월 16일 |
상영 시간 | 131분 |
제작 국가 |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
언어 | 영어 독일어 러시아어 |
제작비 | 6,800만 달러 |
흥행 수익 | 미국: 9,700만 달러 일본: 11억 8천만 엔 |
기타 정보 | |
주제 | 스탈린그라드 전투 |
2. 줄거리
1942년 붉은 군대 소속 병사 바실리 자이체프는 스탈린그라드 전투 최전선에 투입된다. 소총 없이 탄약만 지닌 채 자살 돌격을 강요받던 바실리는 시체 더미에 숨어 독일군 장교들을 저격하여 정치장교 다닐로프를 구출한다.
니키타 흐루쇼프는 사기 진작을 위해 영웅을 만들고자 했고, 다닐로프는 바실리를 추천한다. 다닐로프는 군 신문에 바실리의 활약상을 영웅담으로 발표하고, 바실리는 저격수 부대에 배속되어 다닐로프와 친구가 된다. 바실리와 다닐로프는 타냐 체르노바에게 동시에 호감을 느끼지만, 다닐로프는 타냐를 정보 부대로 전출시킨다.
소련 저격수들의 활약이 커지자 독일군 소령 에르빈 쾨니히가 바실리를 제거하기 위해 파견된다. 쾨니히는 소련 저격수 부대를 전멸시키고, 쿨리코프를 죽여 바실리의 사기를 꺾는다. 다닐로프는 사샤 필리포프라는 소년을 통해 쾨니히에게 허위 정보를 제공한다. 바실리는 쾨니히를 위한 함정을 설치하고 타냐의 도움으로 그에게 부상을 입힌다. 그러나 두 번째 시도에서 바실리는 잠이 들고, 그의 저격 일지가 약탈당한다. 독일군 지휘부는 일지를 바실리 사망 증거로 여기지만, 쾨니히는 바실리가 살아있다고 믿는다.
쾨니히는 사샤를 통해 바실리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샤를 죽여 매달아 바실리를 유인한다. 바실리는 쾨니히를 죽이겠다고 맹세하고, 타냐와 다닐로프에게 사샤의 어머니를 대피시킨다. 타냐는 대피 중 파편에 맞아 부상을 당하고, 다닐로프는 자신의 질투와 회의감을 느끼며 쾨니히를 유인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한다. 쾨니히는 다닐로프를 바실리로 착각하고 사살하지만, 시체를 확인하려다 바실리의 저격에 의해 죽음을 맞이한다.
두 달 후, 스탈린그라드 전투는 소련의 승리로 끝나고, 바실리는 야전병원에서 회복 중인 타냐를 찾는다.
2. 1. 붉은 군대와 바실리 자이체프
1942년 아돌프 히틀러가 이끄는 독일 제3제국은 소비에트 연방 서부 지역을 점령하고 있었다. 독일군은 흑해와 카스피해 지역의 유전 지대를 장악하기 위해 스타링라드에서 격렬한 전투를 벌이고 있었으나, 소련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었다.우랄 지방의 양치기였던 바실리 자이체프는 어린 시절부터 할아버지에게 늑대 사냥을 배우며 자랐고, 붉은 군대에 소속되어 있었다. 하지만 무기가 부족하여 2명 중 1명만 소총을 지급받았고, 탄약만 지급받은 뒤 동료가 죽으면 그 총을 줍고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소련군의 돌격이 독일군에 의해 격퇴된 후, 바실리와 정치장교 다닐로프는 아군 시체 속에 죽은 척 숨어 목숨을 건졌다. 그곳에서 독일 장교들이 휴식을 취하는 모습을 목격한 다닐로프는 저격을 시도하지만 실전 경험이 부족했고, 바실리가 총기 사용에 "어느 정도 경험이 있다"는 것을 알고 저격을 바실리에게 맡긴다. 바실리는 포탄 폭발에 저격을 맞추는 교묘한 방법으로 순식간에 독일군 장교들과 경비병 5명을 사살하는 데 성공한다. 목숨을 구한 다닐로프는 바실리를 칭찬하며 두 사람은 절친이 된다.
정치장교에게 저격 능력을 인정받으면서 바실리의 처지는 극적으로 변한다. 홍보 담당인 다닐로프는 정치위원으로 파견된 흐루쇼프에게 바실리를 유능한 저격병으로 소개하고 소련 공산당의 기관지에서 홍보한다. 저격으로 독일 병사들을 잇달아 제거하는 바실리의 활약에 소련 적군의 사기는 고무되었고, 그는 순식간에 전쟁 영웅이 된다. 한편, 독일군은 바실리를 제거하기 위해 스타링라드에 저격 명수인 쾨니히 소좌를 파견한다.[34]
2. 2. 독일군의 반격과 쾨니히 소령
독일군은 정치장교인 바실리 자이체프를 제거하고 소련군의 사기를 꺾기 위해 쾨니히 소령을 파견한다. 쾨니히는 바실리의 저격수 부대를 전멸시키며 그를 압박한다. 붉은 군대 지휘부는 쾨니히의 제자였던 쿨리코프를 바실리에게 파견하여 쾨니히를 함께 제거하도록 하지만, 쾨니히는 쿨리코프를 죽이며 바실리의 사기를 꺾는다.프리드리히 파울루스 장군은 쾨니히가 사망하고 신원이 확인될 경우 소련의 선전에 이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그의 군번줄을 압수한다. 대신 쾨니히는 전투 초기에 사망한 제116 보병사단 소속 중위였던 아들에게 사후에 수여된 전쟁 공훈 십자훈장을 장군에게 준다. 쾨니히는 사샤가 자신이 부상당한 원인임을 알아채고 사샤에게 다음에 어디에 있을지 알려준다.
한편, 독일군은 바실리를 제거하기 위해 스타링라드에 저격 명수인 코니히 소좌를 파견한다.[1] 코니히 소좌의 제자였던 크리코프를 이용해 코니히 소좌를 유인하려 했던 바실리였지만, 오히려 코니히 소좌의 함정에 빠져 크리코프를 잃고 동요한다.[1]
마침내 사샤로부터 얻은 정보로 코니히 소좌의 매복을 눈치채고, 역으로 매복을 시도하는 바실리였지만, 며칠간의 피로로 잠이 들었고 저격 기록을 빼앗기며 독일군에 의해 전사한 것으로 오인된다.[1] 바실리 전사 소식을 접한 코니히 소좌는 베를린으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받는다. 그러나 바실리와의 대결에 집착하는 코니히 소좌는 전사 사실을 이용당하지 않도록 자신의 신분증과 훈장을 모두 반납하고 명령을 무시하고 한 남자로서 바실리와의 대결에 도전한다.[1]
2. 3. 타냐와의 사랑과 갈등
바실리 자이체프와 정치장교 다닐로프는 지역 민병대의 사병인 타냐 체르노바에게 호감을 느꼈고, 이들은 삼각관계가 된다. 다닐로프는 타냐의 안전을 염려하여 독일어 실력을 활용, 무선 정보를 해독하는 정보 부대로 전출시킨다.[1]타냐와 바실리는 사랑에 빠지고, 그날 밤 타냐는 몰래 소련 병영으로 가 바실리와 사랑을 나눈다. 질투심에 찬 다닐로프는 상관에게 바실리를 비난하는 편지를 쓴다.[1]
타냐는 배로 가는 도중 파편에 부상을 입는다. 타냐가 죽었다고 생각한 다닐로프는 바실리에 대한 질투와 공산주의에 대한 열정마저 의심하기 시작한다. 쾨니히를 매복하기 위해 기다리는 바실리를 발견한 다닐로프는 자신을 노출시켜 쾨니히가 자신을 쏘게 하고 위치를 드러내게 한다.[1]
2. 4. 최후의 대결
쾨니히는 사샤가 자신을 부상시킨 원인임을 알아채고, 다음에 어디에 있을지 알려준다. 한편, 타냐와 바실리는 사랑에 빠진다. 그날 밤 타냐는 몰래 소련 병영으로 가 바실리와 사랑을 나눈다. 질투심에 찬 정치장교 다닐로프는 상관에게 바실리를 비난하는 편지를 쓴다.쾨니히는 다음 매복 장소에서 타냐와 바실리를 발견하고, 사샤에 대한 의심을 확신한다. 그는 사샤를 죽이고 시체를 매달아 바실리를 유인한다. 바실리는 쾨니히를 죽이겠다고 맹세하고 타냐와 다닐로프에게 사샤의 어머니를 대피시키라고 한다. 타냐는 배로 가는 도중 파편에 부상을 입는다. 타냐가 죽었다고 생각한 다닐로프는 바실리에 대한 질투와 공산주의에 대한 열정마저 의심하기 시작한다. 쾨니히를 매복하기 위해 기다리는 바실리를 발견한 다닐로프는 헬멧을 쓰고 자신을 노출시켜 쾨니히가 자신을 쏘게 하여 위치를 드러낸다. 바실리를 죽였다고 생각한 쾨니히는 시체를 조사하려다 러시아 저격수의 조준경에 걸린다. 운명을 받아들인 쾨니히는 냉정하게 바실리를 바라본 후 총에 맞아 죽는다.
두 달 후,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소련군이 승리하고 독일군이 항복한 후, 바실리는 야전병원에서 회복 중인 타냐를 찾는다.
3. 등장인물
영화에는 실존 인물과 허구의 인물이 섞여 등장하여 극적인 재미를 더한다. 주요 인물 외에도 다양한 조연들이 등장한다.
배우 | 역할 |
---|---|
주드 로 | 바실리 자이체프 역 |
조지프 파인스 | 다닐로프 역 |
에드 해리스 | 메이저 쾨니히 역 |
레이철 바이스 | 타냐 역 |
에바 마테스 | 마더 필리포프 역 |
마티아스 하비히 | 파울루스 장군 역 |
소피 로이스 | 루드밀라 역 |
이반 쉬베도프 | 볼로댜 역 |
마리오 밴디 | 안톤 역 |
한스 마틴 스티어 | 붉은 군대 장군 역 |
클레멘스 쉭크 | 독일 NCO 역 |
렌 쿠드랴비츠키 | 기차의 동지 역 |
헨드릭 아른스트 | 팻 콜로넬 역 |
짐 다우덜 | 스터본 펠드베밸 역 |
맥심 코바레브스키 | 정치 지도원 / 저격병 역 |
겐나디 벤게로브 | 러시아 NCO 역 |
단 반 후센 | 행정관 역 |
로버트 스타드로버 | 정찰병 역 |
고트하드 랭 | 콥스 로버 역 |
홀거 한트케 | 폴러스의 보좌관 역 |
마크 잭 | 본부의 러시아 대위 역 |
톰 우라쉬하 | 병사 역 |
데이너 세불라 | 운동 여성 스나이퍼 역 |
웨너 댄 | 정치 지도원 역 |
마이클 쉔크 | 러시아 장교 역 |
3. 1. 주요 인물
- 바실리 자이체프(Василий Зайцев): 소련 붉은 군대의 저격수이다. 우랄 지방의 양치기였으며, 어린 시절부터 할아버지에게 늑대 사냥을 배웠다.[34]
- 다닐로프: 소련 붉은 군대의 정치장교이다. 바실리의 저격 능력을 알아보고 그를 영웅으로 만들었다.
- 에르빈 쾨니히(Erwin König): 독일군 저격수이다. 독일군이 바실리를 제거하기 위해 파견하였다.
- 타냐 체르노바: 스타링라드에 남겨진 시민들을 지키기 위해 자원입대한 민병대 여군이다. 바실리와 사랑에 빠진다.
- 사샤: 소년. 쾨니히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이중 스파이 역할을 한다.
- 크리코프: 자이체프의 전우. 개전 전 독일군 저격수 양성학교에서 쾨니히의 지도를 받은 적군 병사이다.
3. 2. 조연
니키타 흐루쇼프는 소련군 정치장교이다.[1] 쿨리코프는 소련군 저격수로, 에르빈 쾨니히의 제자였다.[2] 사샤 필리포프는 이중 스파이 역할을 하는 소년이다.[2]
4. 제작
영화 「에너미 앳 더 게이트」는 독일에서 촬영되었다. 장 자크 아노 감독, 알랭 고다르와 알리사 테이거가 제작 총괄을 맡았으며, 윌리엄 크레이그의 원작을 바탕으로 장 자크 아노와 알랭 고다르가 각본을 썼다. 영화 음악은 제임스 호너가 작곡했다.
볼가 강을 건너는 장면, 스탈린그라드 트랙터 공장, 붉은 광장 장면 등 주요 장면은 독일 각지에서 촬영되거나 세트로 제작되었다. 세트 건설은 1999년 10월에 시작되어 প্রায় 5개월이 걸렸으며[8], 마지막 장면은 세르조 레오네 감독의 영향을 받았다.[9] 제임스 호너가 작곡한 사운드트랙은 2001년 3월 31일에 발매되었다.[10]
4. 1. 촬영
영화 《에너미 앳 더 게이트》는 독일에서 주로 촬영되었다. 볼가 강을 건너는 장면은 브란덴부르크 남부 알트되베른 마을 근처 루사티아 호수 지방(Altdöberner See)의 인공 호수에서 촬영되었다. 뤼더스도르프 마을의 폐공장은 스탈린그라드 트랙터 공장 폐허를 재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스탈린그라드의 붉은 광장 야외 세트는 포츠담 근처 크람프니츠에 건설되었는데, 이곳은 이전 국방군 승마 학교이자 냉전 기간 소련 병영으로 사용되던 곳이다. 세트 건설은 1999년 10월에 시작되어 প্রায় 5개월 만에 완료되었다.[8] 휘날리는 코트가 나오는 마지막 장면은 세르조 레오네를 참고했다.[9]4. 2. 사운드트랙
영화 《에너미 앳 더 게이트》의 사운드트랙은 제임스 호너가 작곡하였으며, 2001년 3월 31일에 발매되었다.[10]
5. 평가
로튼 토마토에서는 139명의 평론가로부터 53%의 지지율을 얻었으며, 가중 평균 점수는 5.70/10점이다.[11][28] 메타크리틱은 33개의 평가를 바탕으로 평균 100점 만점에 53점을 매겼다.[12] 시네마스코어의 설문 조사에서 관객들은 A+에서 F까지의 등급 중 평균 "B" 등급을 매겼다.[13]
''뉴욕''의 피터 레이니어는 "마치 집착적인 영화광이 모든 나쁜 전쟁 영화 관습을 한 대의 컴퓨터에 모아서 시나리오를 만들어내도록 프로그래밍한 것 같다"라며 부정적인 평가를 했다.[15]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이 영화에 결점이 있다는 것을 인정했지만, "실행의 어떤 결함도 역사에 활력을 불어넣는 순간들에 비하면 초라하다"라고 말했다.[16]
러시아에서는 미온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흥행에 성공했다. 일부 적군 스탈린그라드 참전 용사들은 영화의 부정확성과 적군의 묘사에 불쾌감을 느껴 2001년 5월 7일, 영화 개봉 직후 국가 두마에서 상영 금지를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7][18] 독일에서도 비평가들은 영화가 역사를 단순화하고 전쟁을 미화했다고 비판했다.[19][20][21] 베를리날레 영화제에서는 야유를 받았으며, 아노드 감독은 이후 베를리날레에 다른 영화를 출품하지 않겠다고 밝혔다.[22][23]
5. 1. 긍정적 평가
시카고 선타임스의 로저 에버트는 이 영화에 별 네 개 중 세 개를 주면서 "두 남자가 서로를 죽이기 위해 지능과 기술을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이야기다. 아노드 감독이 이 부분에 집중할 때, 영화는 놀라운 집중력으로 작용한다. 추가적인 플롯과 멜로드라마는 다소 아쉽다."라고 평했다.[14] 군사 역사가 데이비드 R. 스톤은 출연진을 칭찬하며 이 영화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부 전선 연구에 좋은 자료"라고 말했다.[27] 군사사학회의 역사가 로저 리스는 "허구화된 역사 작품으로서 이 영화는 오락 이상의 유용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서구 영화 관객들에게 소련 군인들이 조국을 방어하고 히틀러를 물리치기 위해 희생한 것을 알리고, 여전히 우리에게 대부분 익명으로 남아 있는 그 군대에 얼굴을 부여하는 것이다."라고 썼다.[25]5. 2. 부정적 평가
로튼 토마토에서는 139명의 평론가로부터 53%의 지지율과 함께 가중 평균 점수 5.70/10점을 받았다.[11][28] 해당 웹사이트는 "분위기 있고 스릴 넘치는 '에너미 앳 더 게이트'는 전쟁의 모습과 분위기를 잘 담아냈지만, 멜로드라마는 어울리지 않는 것 같다"라고 평가했다. 메타크리틱은 33개의 평가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평균 53점을 부여했다.[12]군사 역사가 데이비드 R. 스톤은 출연진을 칭찬하며 이 영화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부 전선 연구에 좋은 자료"라고 평가했지만, 역사적 부정확성과 묘사에 대해서는 비판했다.[27] 군사사학회의 역사가 로저 리스는 이 영화가 서구 영화 관객들에게 소련 군인들의 희생을 알리고 익명의 군대에 얼굴을 부여하는 유용한 목적을 가졌다고 평가했다.[25]
시카고 선타임스의 로저 에버트는 별 네 개 중 세 개를 주면서 "두 남자가 서로를 죽이기 위해 지능과 기술을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이야기"라고 평하며, 추가적인 플롯과 멜로드라마는 아쉽다고 언급했다.[14] 뉴욕의 피터 레이니어는 "마치 집착적인 영화광이 모든 나쁜 전쟁 영화 관습을 한 대의 컴퓨터에 모아서 시나리오를 만들어내도록 프로그래밍한 것 같다"라며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5]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영화에 결점이 있지만, "실행의 어떤 결함도 역사에 활력을 불어넣는 순간들에 비하면 초라하다"라고 평가했다.[16]
이 영화는 러시아에서 미온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일부 적군 스탈린그라드 참전 용사들은 영화의 부정확성과 적군의 묘사에 불쾌감을 느껴 국가 두마에서 상영 금지를 요구하기도 했다.[17][18] 독일에서도 비평가들은 영화가 역사를 단순화하고 전쟁을 미화했다고 비판했다.[19][20][21] 베를리날레 영화제에서는 야유를 받았으며, 아노드 감독은 이후 베를리날레에 다른 영화를 출품하지 않겠다고 밝혔다.[22][23]
5. 3. 대한민국에서의 반응
UIP 코리아를 통해 수입, 배급되었다.[1] MBC 성우진의 더빙판이 방영되었다.[1]6. 역사적 정확성
영화 《에너미 앳 더 게이트》는 스탈린그라드 전투라는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하지만, 여러 면에서 각색되었고 허구적인 요소가 가미되었다.[24][25][26] 영화는 윌리엄 크레이그의 1973년 논픽션 서적 『에너미 앳 더 게이트: 스타린그라드 전투』의 사건들을 차용했지만, 직접적인 각색은 아니다.
다음은 영화에서 부정확하다고 지적되는 부분들이다.
- 바실리 자이체프에 대한 묘사, 전쟁의 전개 과정, 상세 묘사가 실제와 다르다.[29]
- 러시아, 우크라이나, 발트 3국을 독립국으로, 스위스와 터키를 나치 독일이 침공한 것으로 묘사하는 현대 지도가 등장한다.[29]
- 실제 자이체프는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 284차 톰스크 소총 사단 제1047 소총 연대 제2대대의 상급 중사였다.
- 여성의 역할이 과소평가되었다. 영화에서는 두 명의 여성 저격수가 등장하지만, 실제 사격 장면은 없다. 그러나 실제 소련 여성 저격수들은 전투에서 1만 명 이상의 적을 사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6. 1. 바실리 자이체프와 쾨니히 소령의 결투
영화에서 묘사된 바실리 자이체프와 에르빈 쾨니히 소령 간의 결투는 실제 역사적 기록과는 차이가 있다.[24][25][26] 안토니 비보어를 포함한 여러 역사학자들은 이 결투 자체가 허구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29] 자이체프와 쾨니히 소령 간의 직접적인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26]자이체프 자신이 쓴 책[30] "볼가 너머 우리에게 땅은 없었다. 저격수의 기록"(«За Волгой земли для нас не было. Записки снайпера»)은 윌리엄 크레이그의 책과 영화에서 제시된 견해와는 전혀 상반되는데, 이는 고려되지 않았다.
6. 2. 소련군 묘사
이 영화는 소련군의 차단 부대 역할을 잘못 묘사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25] "한 발짝도 물러설 수 없다!"라는 제227호 명령이 있었지만, 기관총 사수들은 후퇴하는 모든 사람을 죽이라는 명령을 받고 일반 병력 뒤에 배치되지 않았으며, 처벌 부대에만 사용되었다. 제227호 명령에 따라 각 부대는 200명당 3~5개의 차단 분대를 두었다.[28]영화의 첫 장면은 바실리 자이체프를 포함한 새로운 소련군이 스탈린그라드 전투 전선에 도착하여 지휘관들에게 고함을 지르고 위협을 받으며 전반적으로 모욕당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 다음 탈영을 막기 위해 붐비는 짐칸에 수송되어 갇힌다. 군사 역사가 보리스 율린(Boris Yulin)은 이것이 금지되었고 비현실적이며, 독일군의 공습이나 포격이 있을 경우 병사들이 사망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28]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관한 여러 권의 책을 쓴 역사가 알렉세이 이사예프(Alexey Isaev)는 차단 부대가 스타린그라드에서 대부분 "일반 전투 연대"로 사용되었지만, 영화는 "대부분의 소련 병사들은 전투에 나가기 위해 문자 그대로 등에 총을 맞아야 했다"는 메시지를 강조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많은 영웅적인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소련 병사들이 두려움으로만 동기 부여를 받았을 가능성은 낮다고 주장한다.[28]
이사예프는 전쟁 초기에 발생하고 1942년에 바뀐 무기 부족과 관련하여 "무장하지 않은 병사들을 공격에 보낸 적이 없다.... ''에너미 앳 더 게이트''에 나오는 것은 순전히 허튼소리다."라고 말했다.[28] 영화 초반부에 묘사된 것처럼 소총 없이 탄약만 지급받은 채 자살 돌격을 강요받는 장면은 과장된 것이다.
7. 같이 보기
- 스탈린그라드 전투
- 바실리 자이체프
참조
[1]
웹사이트
Summit, Mandalay extend relationship till 2004
https://www.screenda[...]
2001-12-17
[2]
웹사이트
Enemy at the Gates (2001)
http://www.bbfc.co.u[...]
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2019-03-08
[3]
웹사이트
Enemy at the Gates (2001)
http://en.unifrance.[...]
2017-09-30
[4]
웹사이트
British Film Institute: Enemy at the Gates (2001)
https://www.bfi.org.[...]
British Film Institute
2020-07-11
[5]
웹사이트
Enemy at the Gates
http://www.boxoffice[...]
2018-07-10
[6]
웹사이트
Interview mit Jean-Jacques Annaud
http://www.epilog.de[...]
[7]
웹사이트
Biografiya: Vasiliy Zaytsev
http://www.warheroes[...]
2022-10-07
[8]
웹사이트
Enemy at the Gates
http://www.cinemarev[...]
2019-03-09
[9]
뉴스
'Duell': Wer weiß in Japan, wo Stalingrad liegt?
https://www.welt.de/[...]
2001-03-09
[10]
웹사이트
Enemy at the Gates Soundtrack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2-01
[11]
웹사이트
'Enemy at the Gates' Movie Reviews
http://www.rottentom[...]
Fandango
2021-02-12
[12]
웹사이트
Enemy at the Gates: Reviews
http://www.metacriti[...]
Metacritic
2014-09-09
[13]
웹사이트
Home
https://www.cinemasc[...]
2023-06-20
[14]
뉴스
Enemy At The Gates
http://rogerebert.su[...]
2001-03-16
[15]
뉴스
Is War Hell, Or What?
http://nymag.com/nym[...]
2001-03-26
[16]
간행물
Enemy at the Gates | Movie Reviews
https://www.rollings[...]
2001-03-16
[17]
웹사이트
Stalingrad veterans demand ban of Enemy at the Gates
http://www.lenta.ru/[...]
2001-03-08
[18]
웹사이트
Veterans upset by Western move on Stalingrad
https://www.rferl.or[...]
2001-05-10
[19]
웹사이트
Allesfilm.com – all about film
http://www.allesfilm[...]
2017-09-30
[20]
웹사이트
Filmspiegel – Filme & Kritiken
http://www.filmspieg[...]
2022-01-15
[21]
웹사이트
Duell – Enemy at the Gates
http://www.filmszene[...]
2017-09-30
[22]
뉴스
Jean-Jacques Annaud: 'Töten ist nie lustig'
http://www.spiegel.d[...]
2001-02-07
[23]
뉴스
Berlinale-Eröffnung: Buhrufe statt Prominenz
http://www.spiegel.d[...]
2001-02-08
[24]
웹사이트
Under fire: Does Enemy at the Gates take liberties with history?
http://www.theguardi[...]
2001-03-15
[25]
웹사이트
Review: Enemy at the Gates
https://www.smh-hq.o[...]
Society for Military History
[26]
웹사이트
Is Enemy at the Gates a True Story?
https://thecinemahol[...]
2022-08-01
[27]
웹사이트
Review of Enemy at the Gates
https://www.h-net.or[...]
H-Net
2002-06
[28]
웹사이트
'Enemy at the Gates' – How accurately was the Battle of Stalingrad portrayed in the film?
https://www.rbth.com[...]
2019-02-04
[29]
웹사이트
The Many Movie Mistakes Of Enemy At The Gates
https://www.warhisto[...]
2015-09-25
[30]
웹사이트
Зайцев Василий Георгиевич: Досье
https://web.archive.[...]
[31]
웹사이트
Enemy at the Gates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2-04-07
[32]
문서
映連興行収入
2001
[33]
뉴스
Ветераны Сталинграда требуют запретить фильм "Враг у ворот"
https://lenta.ru/new[...]
Культура: Lenta.ru
2023-08-23
[34]
웹사이트
日曜洋画劇場|テレビ朝日|アフレコ現場から2012/03/18放送「シャーロック・ホームズ」
https://web.archive.[...]
[35]
웹사이트
Enemy at the Gates Soundtrack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