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크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리크 1세는 1095년부터 1103년까지 덴마크를 통치한 국왕이다. 스벤 2세의 아들로, 이복형 크누드 4세를 지지하다가 반란에 가담했다. 올라프 1세의 짧은 통치 이후 덴마크 의회의 심의를 거쳐 왕위에 올랐으며, 기근을 종식시켜 백성들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그는 성지 순례를 떠나기 전 키프로스에서 사망했으며, 부인 보딜 역시 예루살렘에서 사망했다. 에리크 1세는 덴마크 왕위 계승자였던 크누드 라바르를 두었으며, 그의 손자 발데마르 1세는 덴마크의 국왕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60년 출생 - 윌리엄 2세 (잉글랜드)
윌리엄 정복왕의 아들인 윌리엄 2세는 1087년 잉글랜드 왕위를 계승하여 형과의 전쟁으로 노르망디를 지배하고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캔터베리 대주교와의 갈등, 스코틀랜드와 웨일스 정복의 어려움, 그리고 사냥 중 의문사로 백성들에게 인기가 없던 통치자로 평가받는다. - 1060년 출생 - 후지와라노 모토토시
후지와라노 모토토시는 헤이안 시대의 서예가로, 일본 서도 역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다카 절 등의 서적을 남겼다. - 1103년 사망 - 사량좌
북송 시대 유학자 사량좌는 정호와 정이에게 학문을 배워 정문 사선생으로 불렸으며, 지행합일을 강조한 학풍과 《논어설》, 《상채어록》 등의 저서를 남겨 유학 발전에 기여했다. - 1103년 사망 - 완안 영가
완안 영가는 금나라의 추존 황족으로, 요나라에서 생여진 절도사로 임명되었으며, 금 희종에 의해 효평황제로 추존되었다. - 에스트리센가 - 마르그레테 1세
마르그레테 1세는 14세기 말 칼마르 동맹을 성립시켜 스칸디나비아 3국을 통합한 덴마크 여왕이자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섭정으로, 아들 올라프 2세 사후 에리크를 후계자로 삼아 3국의 왕으로 옹립하여 동맹을 통치하며 북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에스트리센가 - 발데마르 4세
발데마르 4세는 에스트리센 왕조 출신으로 덴마크 국왕(1340~1375)이며, 파산하고 분할된 덴마크를 재건하고 왕권을 강화했으나 과도한 세금 정책과 한자 동맹과의 갈등을 겪어 덴마크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만들었다.
에리크 1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에리크 1세 |
별칭 | 에리크 에예고드 |
로마자 표기 | Erik Ejegod |
출생 | 기원전 1056년경 |
출생지 | 슬랑에루프, 덴마크 |
사망 | 1103년 7월 10일 |
사망지 | 파포스, 키프로스 |
매장지 | 파포스, 키프로스, 크리소폴리티사 대성당 |
통치 | |
칭호 | 덴마크 국왕 |
재위 기간 | 1095년 - 1103년 |
이전 통치자 | 올라프 1세 |
다음 통치자 | 닐스 |
가문 | |
왕가 | 에스트리센 가문 |
아버지 | 스벤 2세 |
배우자 | 보딜 투르고츠다테르 |
자녀 | 크누드 라바르 사생아: 하랄 케샤 에리크 2세 라근힐 쥐데 에리크스다테르 |
2. 생애
에리크 1세는 비보르 의회에서 성지 순례를 선언했다. 그는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정복한 이후 최초로 성지 순례에 나선 군주였다. 비잔티움 제국 황제의 초청을 받아 아내 보딜 투르고트스도테르(Boedil Thurgotsdatter)와 함께 러시아를 경유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는 긴 여행을 떠났으나, 도중에 병을 얻었다. 1103년 7월 키프로스 파포스에서 사망하여 그곳에 매장되었다.[6] 아내 보딜 또한 병을 얻어 예루살렘에서 사망했고, 올리브 산 기슭에 안치되었다.
에리크 1세는 보딜 왕비와의 사이에서 아들 크누드 라바르를 낳았다. 크누드 라바르는 1131년 1월 7일 덴마크 왕위 계승 과정에서 경쟁 관계에 있던 에리크 1세의 조카이자 닐스 국왕의 아들인 망누스 1세에게 살해당했다. 이후 손자 발데마르가 덴마크 국왕이 된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에스트리센가 출신으로, 셸란섬 북부의 슬랑에루프(Slangerup)에서 스베인 아스트리다르손(스벤 2세) 국왕의 아들로 태어났다.이복형 크누드 4세가 덴마크 국왕으로 있던 동안에는 크누드 4세의 열렬한 지지자였지만, 이후 크누드 4세에 대한 반란에 가담했다. 이 과정에서 크누드 4세는 오덴세에서 살해당했다. 크누드 4세의 뒤를 이어 올라프 1세가 덴마크 국왕으로 즉위했지만, 그의 재위 기간은 짧았다.
1095년 덴마크 의회의 여러 차례 심의 끝에 에리크 1세가 덴마크 국왕으로 즉위했다. 에리크 1세의 즉위와 함께 올라프 1세 재위 기간 동안 덴마크를 괴롭혔던 기근이 종식되었기 때문에, 덴마크 국민들로부터 하느님이 보내준 선왕이라는 별칭을 얻었다.[5]
삭소 그라마티쿠스 등의 중세 연대기 작가들과 신화는 에리크를 평민들에게 어필하는 "건장한 친구"로 묘사했다. 네 명의 남자가 최선을 다해 그를 움직이려 했지만, 그는 꼼짝하지 않았다고 한다. 에리크는 말솜씨가 뛰어나 사람들이 그의 말을 들으려고 애썼으며, ''팅'' 회의가 끝나면 동네를 돌아다니며 사람들을 만났다. 그는 파티를 좋아하고 다소 방탕한 사생활을 즐기는 시끄러운 사람이었지만, 귀족들과의 충돌을 피하면서 외교관처럼 행동했고, 강도와 해적들에게는 무자비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12]
2. 2. 통치와 업적
에스트리센가 출신으로, 셸란섬 북부 슬랑에루프(Slangerup)에서 스베인 아스트리다르손(스벤 2세) 국왕의 아들로 태어났다.이복형 크누드 4세가 덴마크 국왕으로 있던 동안에는 크누드 4세의 열렬한 지지자였지만, 이후 크누드 4세에 대한 반란에 가담했다. 이 과정에서 크누드 4세는 오덴세에서 살해당했다. 크누드 4세의 뒤를 이어 올라프 1세가 덴마크 국왕으로 즉위했지만, 올라프 1세의 재위 기간은 짧았다.
1095년 덴마크 의회의 심의를 거쳐 에리크 1세가 덴마크 국왕으로 즉위했다. 에리크 1세 즉위 후 덴마크의 기근이 종식되자, 덴마크 국민들은 그를 하느님이 보내준 선왕이라 칭송했다.
삭소 그라마티쿠스 등 중세 연대기 작가들은 에리크를 평민들에게 인기 있는 "건장한 친구"로 묘사했다. 네 명의 장정이 그를 움직이려 했지만 꼼짝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에리크는 말솜씨가 뛰어나 사람들이 그의 말을 경청했으며, ''팅'' 회의 후에는 마을을 돌아다니며 사람들을 만났다. 그는 파티를 좋아하고 다소 방탕한 생활을 즐기는 호탕한 인물로 알려졌다. 강력한 중앙 집권적 왕권을 지지했지만, 귀족들과의 충돌을 피하며 외교적으로 행동했다. 또한 강도와 해적에게는 무자비했다.
로마 교황을 방문하여 에리크 1세는 이복형제 크누드 4세의 성인 추대와 함부르크-브레멘 대주교 관할에서 벗어나 덴마크(현재 스캐니아의 룬드)에 대주교구를 설치하는 것을 승인받았다. 이후 아세르 주교가 초대 룬드 대주교가 되었다.
에리크 1세는 비보르 의회에서 성지 순례를 선언했다.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정복한 이후 최초로 성지 순례에 나선 군주였다. 비잔티움 제국 황제의 초청으로 아내 보딜 투르고트스도테르(Boedil Thurgotsdatter)와 함께 러시아를 경유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향하던 중 병을 얻었다. 1103년 7월 키프로스 파포스에서 사망하여 그곳에 매장되었다. 보딜 왕비 또한 병을 얻어 예루살렘에서 사망, 올리브 산 기슭에 안치되었다.[6]
2. 3. 성지 순례와 죽음
에리크 1세는 비보르 의회에서 자신이 성지 순례에 나설 것임을 선언했다. 에리크 1세는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정복한 이후 최초로 성지 순례에 나선 군주였다. 비잔티움 제국 황제의 초청을 받은 에리크 1세는 아내 보딜 투르고트스도테르(Boedil Thurgotsdatter)와 함께 러시아를 경유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는 긴 여행을 떠났으나, 도중에 병을 얻었다. 1103년 7월 키프로스 파포스에서 에리크 1세는 사망하여 그곳에 매장되었다.[6] 아내 보딜 또한 병을 얻어 예루살렘에서 사망했고, 올리브 산 기슭에 안치되었다.3. 가족 관계
에리크 1세는 에스트리센가 출신으로 스베인 아스트리다르손(스벤 2세) 국왕의 아들이었다. 그는 보딜 투르고트스도테르(Boedil Thurgotsdatter) 왕비와의 사이에서 아들 크누드 라바르(Knud Lavard)를 낳았다.[7] 크누드 라바르는 1131년 1월 7일에 덴마크의 왕위 계승 경쟁자였던 에리크 1세의 조카이자 닐스 국왕의 아들인 망누스 1세에게 살해당했다.[7] 크누드의 아들 발데마르는 나중에 덴마크의 국왕이 되었다. 에리크 1세는 혼외 관계를 통해 두 아들 에리크 2세와 베네딕트, 그리고 딸 라그닐(훗날 에리크 3세 국왕의 어머니)을 두었다.[7]
에리크 1세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배우자 | 보딜 투르고트스도테르 |
---|---|
적자 | 크누드 레바르트 (1096년 - 1131년) - 슐레스비히 공작 |
서자 |
4. 유산
에리크 1세와 보딜 사이에는 적자 크누드 라바르드가 있었다. 하랄드 케샤는 크누드의 이복 형제였다. 에리크 1세는 혼외 관계에서 두 아들—에리크 2세와 베네딕트—과 딸 라그닐레(미래의 국왕 에리크 3세의 어머니)를 두었다.[7]
에리크 1세의 적자 아들인 크누드 라바르드는 기사도 정신이 투철하고 인기 있는 덴마크의 왕자였다. 크누드는 1131년 1월 7일, 왕위 경쟁자로 여긴 에리크 1세의 조카 마그누스 1세, 즉 닐스 국왕의 아들에 의해 살해되었다. 크누드의 죽음은 그의 아들 발데마르 1세의 출생 며칠 전에 일어났으며, 발데마르 1세는 1157년부터 1182년까지 덴마크의 국왕이 되었다. 에리크 1세는 후대 덴마크 군주의 조상이다.
참조
[1]
서적
The Dictionary of Historic Nickname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Publications
[2]
서적
The cabinet cyclopaedia: History of Denmark, Sweden, and Norway, Vol. 2
https://books.google[...]
Longman, Orme, Brown, Green & Longmans and John Taylor
[3]
서적
The Saga Library, Vol. 6
B. Quaritch
[4]
서적
Corpus Poeticvm Boreale: The Poetry of the Old Northern Tongu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Thirteenth Century, Vol. 2
Clarendon Press
[5]
웹사이트
Erik Ejegod – heimskringla.no
https://heimskringla[...]
[6]
뉴스
Denmark and Cyprus pay tribute to 12th century king
http://in.reuters.co[...]
2008-03-27
[7]
문서
Huitfeldt, Arild
[8]
서적
The Dictionary of Historic Nickname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Publications
[9]
서적
The cabinet cyclopaedia: History of Denmark, Sweden, and Norway, Vol. 2
https://books.google[...]
Longman, Orme, Brown, Green & Longmans and John Taylor
[10]
서적
The Saga Library, Vol. 6
B. Quaritch
[11]
서적
Corpus Poeticvm Boreale: The Poetry of the Old Northern Tongu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Thirteenth Century, Vol. 2
Clarendon Press
[12]
웹사이트
Erik Ejegod
https://heimskringla[...]
2022-12-24
[13]
문서
下津 1982, p. 3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