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 매스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릭 매스킨은 미국의 경제학자로, 게임 이론, 인센티브 경제학, 계약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특히 메커니즘 설계 및 구현 이론, 동적 게임에 관한 논문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장 티롤과 함께 마르코프 완비 균형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매스킨은 2007년 레오니트 후르비치, 로저 마이어슨과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소프트웨어 특허가 혁신을 저해한다고 주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지저스 칼리지 교수 - 테리 이글턴
테리 이글턴은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으로 문학 이론과 문화 연구에 대한 다수의 저서를 출판하고 사회, 정치, 종교 등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는 영국의 문학 비평가이자 문화 이론가, 사회 비평가이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지저스 칼리지 교수 - 앤드루 콜린 렌프루
앤드루 콜린 렌프루는 인도유럽어족 기원 관련 아나톨리아 가설 제시, 고고학 방법론 및 이론 발전 기여, 인지 고고학 개척, 사피엔스 역설 공식화 등 고고학 및 언어학 분야에 큰 업적을 남긴 영국의 저명한 학자이다. - 뉴저지주의 경제학자 - 그레고리 맨큐
그레고리 맨큐는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교수이자 『맨큐의 경제학』 저자로, 메뉴 비용 이론과 점착 정보 모델 연구로 경제학계에 기여했으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의장을 역임했고, 신케인즈학파 경제학자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적 입장으로 공화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 뉴저지주의 경제학자 - 폴 볼커
폴 볼커는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공무원으로, 1979년부터 1987년까지 연방준비제도 의장을 역임하며 고물가 억제를 위한 긴축 통화정책을 단행하여 인플레이션을 잡았고, 닉슨 쇼크 당시 달러의 금태환 중단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연준 의장 재임 이후에는 '볼커 룰'이라는 은행 규제안을 통해 금융 시스템 안정에 기여한 인물이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 교수 -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페루 출신의 소설가이자 정치인, 에세이스트인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는 『영웅의 시대』, 『녹색 저택』, 『대성당에서의 대화』 등의 작품을 통해 라틴 아메리카 문학의 부흥을 이끌었으며 페루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고 자유주의적 견해를 피력하며 2010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 교수 - 마이클 영 (사회학자)
마이클 영은 영국의 사회학자, 사회 운동가로서, 능력주의 사회를 비판하고, 커뮤니티 연구소, 소비자 협회, 오픈 유니버시티 등 다양한 기관 설립에 참여하여 영국 사회 개혁에 기여했다.
에릭 매스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50년 12월 12일 |
출생지 | 미국 뉴욕주 뉴욕 |
분야 | 게임 이론 |
소속 | 하버드 대학교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
학력 | |
모교 | 하버드 대학교 (BA, MA, PhD) |
박사 지도교수 | 케네스 애로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제약된 영역에서의 사회적 선택 |
박사 학위 논문 URL | 박사 학위 논문 |
박사 학위 논문 년도 | 1976년 |
주요 지도 학생 | 아비지트 바네르지 드류 푸덴버그 로버트 W. 비쉬니 마티아스 드와트리퐁 데이비드 S. 샤프스타인 장 티롤 하라 치아키 |
업적 | |
기여 | 메커니즘 디자인 |
수상 | |
수상 | 노벨 경제학상 (2007년)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노벨 재단 보도 자료 데일리 프린스토니안 |
RePEc | |
RePEc 식별자 접두사 | f |
RePEc 식별자 | pma498 |
2. 생애 및 학력
1976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응용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지저스 칼리지에서 연구원(fellow)으로 활동하며 학문적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를 거쳐 하버드 대학교와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
2. 1. 출생 및 성장
1950년 12월 12일 뉴욕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은 뉴저지주 알파인에서 보냈다. 1968년 뉴저지주 테너플라이의 테너플라이 고등학교를 졸업했다.[5]이후 하버드 대학교에 진학하여 1972년 수학 전공으로 문학사(A.B.) 학위를 받았고, 1974년에는 같은 대학원에서 응용수학으로 문학 석사(A.M.)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과정 중이던 1975년부터 1976년까지는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다윈 칼리지에서 방문 학생으로 연구하기도 했다. 1976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응용수학으로 철학박사(Ph.D.) 학위를 받으며 학업을 마쳤다.
2. 2. 학력
매스킨은 1950년 12월 12일 뉴욕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뉴저지주 알파인에서 성장했다.연도 | 내용 |
---|---|
1968년 | 뉴저지주 테너플라이 소재 테너플라이 고등학교 졸업[5] |
1972년 | 하버드 대학교 수학 A.B. 학위 취득 |
1974년 | 하버드 대학교 응용수학 A.M. 학위 취득 |
1976년 | 하버드 대학교 응용수학 Ph.D. 학위 취득 |
1975년–1976년 | 케임브리지 대학교 다윈 칼리지 방문 학생 |
에릭 매스킨은 1976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응용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며 학문적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지저스 칼리지 연구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교수, 하버드 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다. 2000년부터는 뉴저지주 프린스턴의 고등연구소에서 교수로 활동하다가, 2011년 다시 하버드 대학교로 복귀하여 현재 애덤스 대학교 석좌교수(Adams University Professor)로 재직 중이다.[9]
3. 학문적 경력
그의 주요 연구 분야는 게임 이론, 인센티브 경제학, 계약 이론 등 경제 이론의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으며, 특히 메커니즘 설계/구현 이론 및 동적 게임에 관한 연구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장 티롤과 함께 마르코프 완비 균형의 개념을 발전시키기도 했다. 그의 연구는 다양한 선거 규칙 비교, 불평등의 원인 조사, 연합 형성에 대한 연구 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한다.
매스킨은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10] ''계량경제학회'',[11] ''유럽 경제 학회''[12] 등 주요 학술 단체의 회원이며, ''영국 학사원''의 통신 회원이기도 하다.[13] 2003년에는 ''계량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4]
3. 1. 초기 경력
1976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매스킨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지저스 칼리지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이듬해인 1977년에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교수로 합류하여 1984년까지 재직했다. 1985년에는 다시 하버드 대학교로 돌아와 2000년까지 루이스 버크만 경제학 교수로 활동했다. 이 기간 중 1987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세인트 존스 칼리지 객원 연구원으로도 있었다. 1990년대에는 이탈리아 중앙은행의 채권 경매 운영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기도 했다.[6]
매스킨의 초기 연구는 게임 이론, 인센티브 경제학, 계약 이론 등 경제 이론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이루어졌다. 특히 메커니즘 설계/구현 이론 및 동적 게임에 관한 연구로 주목받았다. 그는 장 티롤과 함께 마르코프 완비 균형의 개념을 발전시키기도 했다.
그는 여러 학술 단체의 회원으로 활동했는데,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10] ''계량경제학회'',[11] ''유럽 경제 학회''[12] 회원이며, ''영국 학사원''의 통신 회원이기도 하다.[13]
연도 | 내용 |
---|---|
1976년 ~ 1977년 | 케임브리지 대학교 지저스 칼리지 펠로우 |
1977년 ~ 1980년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조교수 |
1980년 ~ 1981년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부교수 |
1981년 ~ 1984년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교수 |
1985년 ~ 1997년 | 하버드 대학교 교수 |
1997년 ~ 2000년 | 하버드 대학교 루이스 버크만 경제학 교수 (Louis Berkman Professor of Economics) |
3. 2. 하버드 대학교 및 고등연구소
1985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를 떠나 하버드 대학교로 돌아와 1997년까지 경제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97년부터 2000년까지는 루이스 버크만 경제학 석좌교수(Louis Berkman Professor of Economicseng)를 역임했다.2000년에는 뉴저지주 프린스턴에 있는 고등연구소(Institute for Advanced Study)로 옮겨 앨버트 허쉬만 사회과학 석좌교수(Albert O. Hirschman Professor of Social Scienceeng)가 되었고, 2011년까지 이 직위를 유지했다. 이 시기인 2000년부터 2012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경제학 객원 교수를 겸임하기도 했다.
2011년, 매스킨은 다시 하버드 대학교로 복귀하여 애덤스 대학교 석좌교수(Adams University Professoreng)이자 경제학 및 수학 교수로 임용되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9]
3. 3. 기타 경력
매스킨은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10] 계량경제학회,[11] 그리고 유럽 경제 학회의 회원이며,[12] 영국 학사원의 통신 회원이다.[13] 그는 2003년 계량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4]1987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세인트 존스 칼리지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6] 1990년대에는 이탈리아 중앙은행의 채권 경매 운영에 대해 자문했다.[6] 또한 히브리 대학교의 예루살렘 경제학 여름학교 소장을 맡고 있다.[7] 2014년에는 나이지리아 코버넌트 대학교의 객원 교수로 임명되었다.[15]
그는 여러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는데, 2010년 캄보디아 대학교에서 명예 경제학 박사 학위를,[8] 2017년 9월에는 HEC 파리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6][17]
2018년에는 인포시스 상 사회 과학 심사 위원으로 활동했으며,[18] 국제 경제 올림피아드의 자문 위원회 의장을 맡고 있다.[18]
네드 폴리와 함께, 그는 볼드윈 투표 방법을 "총 투표 결선 투표"라는 이름으로 제안했다. 이는 미국 관할 구역에서 결선 투표 방식("순위 선택 투표")의 문제를 해결하고, 승자의 과반수 지지를 보장하며, 보다 폭넓게 수용 가능한 후보자를 선출하는 방법으로 제시되었다.[19][20][21][22]
4. 연구 업적 및 주요 이론
에릭 매스킨은 게임 이론, 인센티브 경제학, 계약 이론, 메커니즘 설계, 동적 게임 등 경제 이론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메커니즘 설계 분야에 대한 기여로 잘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선거 제도 비교, 불평등의 원인, 연합 형성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10] ''계량경제학회'',[11] ''유럽 경제 학회''의 회원이며,[12] ''영국 학사원''의 통신 회원이다.[13] 2003년에는 ''계량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4]
4. 1. 주요 연구 분야
매스킨은 게임 이론, 인센티브 경제학, 계약 이론 등 경제 이론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쳤다. 그는 특히 메커니즘 설계 이론과 구현 이론, 그리고 동적 게임에 관한 연구로 널리 알려져 있다. 장 티롤과 함께 마르코프 완비 균형이라는 개념을 발전시키기도 했다.그의 주요 연구 업적 중 하나는 메커니즘 설계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인 마스킨 단조성을 제창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선거 제도 규칙을 비교하고, 사회적 불평등의 원인을 규명하며, 연합 형성에 대한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네드 폴리와 함께 볼드윈 투표 방법을 "총 투표 결선 투표"라는 이름으로 제안하기도 했다. 이는 미국 등에서 사용되는 결선 투표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 당선자가 과반수의 지지를 확보하며 보다 폭넓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후보자를 선출하는 방안으로 제시되었다.[19][20][21][22]
4. 2. 메커니즘 설계 이론
매스킨은 게임 이론, 인센티브 경제학, 계약 이론 등 경제 이론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했다. 그는 특히 메커니즘 설계/구현 이론 및 동적 게임에 관한 논문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장 티롤과 함께 마르코프 완비 균형의 개념을 발전시켰으며, 마스킨 단조성을 제창했다.그의 현재 연구 프로젝트에는 다양한 선거 규칙 비교, 불평등의 원인 조사, 연합 형성에 대한 연구 등이 포함된다. 일례로 네드 폴리와 함께 볼드윈 투표 방법을 "총 투표 결선 투표"라는 이름으로 제안했다. 이는 미국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결선 투표 방식(순위 선택 투표)의 단점을 보완하고, 당선자의 과반수 지지를 확보하며 더 폭넓은 지지를 받는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방안이다.[19][20][21][22]
4. 3. 마스킨 단조성
에릭 매스킨은 게임 이론, 인센티브 경제학, 계약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메커니즘 설계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이 연구 과정에서 그는 중요한 개념인 마스킨 단조성을 제창했다.4. 4. 기타 연구
매스킨은 게임 이론, 인센티브 경제학, 계약 이론 등 경제 이론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했으며, 특히 메커니즘 설계(구현 이론) 및 동적 게임에 관한 논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마스킨 단조성 개념을 제창했으며, 장 티롤과 함께 마르코프 완비 균형의 개념을 발전시켰다.그의 현재 연구 프로젝트에는 다양한 선거 제도 규칙 비교, 불평등의 원인 조사, 연합 형성에 대한 연구 등이 포함된다. 1990년대에는 이탈리아 중앙은행의 채권 경매 운영에 대한 자문을 하기도 했다.[6]
또한, 네드 폴리와 함께 볼드윈 투표 방법을 "총 투표 결선 투표"라는 이름으로 제안했다. 이는 미국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결선 투표 방식(소위 "순위 선택 투표")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고, 당선자의 과반수 지지를 확보하며 보다 폭넓게 수용될 수 있는 후보자를 선출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19][20][21][22]
그는 국제 경제 올림피아드의 자문 위원회 의장을 맡고 있다.[18]
5. 소프트웨어 특허에 대한 입장
에릭 매스킨은 소프트웨어 특허가 혁신을 촉진하기보다는 오히려 저해한다는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그는 특히 변화가 빠르고 기술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소프트웨어, 반도체, 컴퓨터 산업과 같은 분야에서는 특허가 오히려 발전을 가로막고 사회 전체의 이익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본다.
5. 1. 혁신 저해 주장
에릭 매스킨은 소프트웨어 특허가 개발 의욕을 자극하는 긍정적인 측면보다는 혁신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측면이 더 크다고 주장한다.[1][2][3] 그는 소프트웨어, 반도체, 컴퓨터 등의 산업 분야는 역사적으로 특허에 의한 보호가 약했음에도 불구하고 혁신적으로 발전해 왔다는 점을 지적한다.[1][2][3]매스킨에 따르면, 이들 산업에서의 혁신은 순차적이고 상호 보완적인 성격을 가지므로, 경쟁이 오히려 기업의 미래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1][2] 그는 공동 저자인 제임스 베슨과의 연구를 통해, 이렇게 역동적인 산업에서는 "특허 보호가 전체적인 혁신과 사회적 복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1][2]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매스킨은 1980년대 미국에서 특허 보호가 소프트웨어 분야로 확대되었던 시기를 '자연 실험'의 사례로 제시한다.[1][2] 일반적으로 특허가 강화되면 해당 기업들의 연구개발(R&D) 투자나 생산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매스킨의 모델과 일치하게 실제로는 그러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1][2] 이 외에도 독특한 상호 라이선스 패턴이나, 혁신율과 신규 기업의 시장 진입 사이에 나타나는 긍정적인 관계 등이 그의 모델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된다.[1][2]
5. 2. 특허 보호의 부정적 효과
매스킨은 소프트웨어 특허가 진보를 촉진하기보다는 오히려 혁신을 저해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소프트웨어, 반도체, 컴퓨터 산업이 역사적으로 특허 보호가 약했음에도 불구하고 혁신적으로 발전해 왔다는 점을 근거로 든다. 이러한 산업 분야의 혁신은 순차적이고 상호 보완적인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경쟁이 오히려 기업의 미래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본다.매스킨은 공동 저자인 제임스 베슨과 함께 진행한 연구를 통해, 이처럼 역동적인 산업에서는 "특허 보호가 전체적인 혁신과 사회적 복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그는 1980년대에 특허 보호가 소프트웨어 분야로 확대된 것을 일종의 '자연 실험'으로 간주했다.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특허를 받은 기업들 사이에서 연구개발(R&D) 투자 강도나 생산성이 눈에 띄게 증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매스킨은 이러한 결과가 자신들의 모델과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이 모델을 뒷받침하는 다른 증거로는 해당 산업에서의 독특한 상호 라이선스 패턴과, 혁신 속도와 신규 기업 진입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 등이 있다.
6. 수상 및 영예
매스킨은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10], 계량경제학회[11], 유럽 경제 학회[12] 회원이며, 영국 학사원 통신 회원이다.[13]
주요 수상 및 영예는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비고 |
---|---|---|
1980년 | 존 사이먼 구겐하임 기념 재단 펠로우십 | 1981년까지 |
1981년 | 계량경제학회 펠로우[11] | 2003년 회장 역임[14] |
1983년 | 알프레드 P. 슬론 재단 슬론 리서치 펠로우십 | 1985년까지 |
1994년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펠로우[10] | |
2003년 | 영국 학사원 통신 회원[13] | |
2004년 | 유럽 경제 학회 펠로우[12] | |
2007년 | 노벨 경제학상 수상 | 레오니트 후르비치, 로저 마이어슨과 공동 수상 |
2008년 | 미국 과학 아카데미 회원 | |
2010년 | 캄보디아 대학교 명예 경제학 박사 학위[8] | |
2010년 | 하버드 대학교 백년 기념 메달 | |
2011년 | 크리스토발 가바론 재단 경제학상 | |
2017년 | HEC 파리 명예 박사 학위[16][17] |
7. 기타 활동
매스킨은 다양한 학술 및 사회 활동에 참여했다. 그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10], ''계량경제학회''[11], ''유럽 경제 학회''의 회원이며,[12] ''영국 학사원''의 통신 회원이다.[13] 2003년에는 ''계량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4]
1990년대에는 이탈리아 중앙은행의 채권 경매 운영에 대한 자문을 제공했으며,[6] 히브리 대학교의 예루살렘 경제학 여름학교 소장을 맡고 있다.[7] 또한 2014년 나이지리아의 코버넌트 대학교 객원 교수로 임명되었다.[15]
여러 대학에서 명예 학위를 수여받았는데, 2010년 캄보디아 대학교에서 명예 경제학 박사 학위를,[8] 2017년 9월에는 HEC 파리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6][17]
2018년에는 인포시스 상 사회 과학 부문 심사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국제 경제 올림피아드의 자문 위원회 의장을 맡고 있다.[18]
정치 시스템 개선에도 관심을 보여, 네드 폴리와 함께 볼드윈 투표 방법을 "총 투표 결선 투표"라는 이름으로 제안했다. 이는 미국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결선 투표 방식("순위 선택 투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당선자의 과반수 지지를 확보하며 보다 폭넓게 수용될 수 있는 후보자를 선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9][20][21][22]
8. 저서 및 주요 논문
- 할인된 반복 게임에서 혹은 불완전 정보 하에서의 민속 정리 (D. 푸덴버그 공저), Econometrica (1986)
- 중앙 집중식 및 분산식 경제에서의 신용과 효율성 (M. 데와트리퐁 공저), Review of Economic Studies (1995)
- 내쉬 균형과 후생 최적성, Review of Economic Studies (1999)
참조
[1]
학위논문
Strategic behavior in economic rivalry
http://library.mit.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81
[2]
학위논문
Informational aspects of securities markets
http://library.mit.e[...]
MIT
2018-04-05
[3]
보도자료
The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 2007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08-08-15
[4]
뉴스
Economics professor wins Nobel – The Daily Princetonian
http://www.dailyprin[...]
[5]
문서
Minutes of Library Board Meeting
http://www.tenaflynj[...]
Tenafly Public Library
2008-01-22
[6]
문서
Eric Maskin: Premio Nobel de Economía 2007
https://grupobcc.com[...]
BCC International
2024-07-12
[7]
웹사이트
The 23rd Jerusalem School in Economic Theory - Intertemporal Public Economics the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http://www.as.huji.a[...]
[8]
웹사이트
Welcome to The University of Cambodia (UC)
http://uc.edu.kh/ucb[...]
2018-05-07
[9]
뉴스
Maskin-Economics-Princeton Economics Nobel Laureate Eric Maskin Returning to Harvard
http://www.thecrimso[...]
2011-10-25
[10]
웹사이트
Eric Stark Maskin
https://www.amacad.o[...]
2021-03-24
[11]
웹사이트
Fellows ! The Econometric Society
https://www.economet[...]
2021-03-24
[12]
웹사이트
Fellows ! EEA
https://www.eeassoc.[...]
2021-03-24
[13]
웹사이트
Professor Eric Maskin FBA
https://www.thebriti[...]
2021-03-24
[14]
웹사이트
Past Presidents ! The Econometric Society
https://www.economet[...]
2021-03-24
[15]
뉴스
Nobel laureate joins Covenant varsity
http://newtelegrapho[...]
2014-07-16
[16]
뉴스
Nobel Prize Eric MASKIN Conference on "Improving French and American presidential elections"
http://www.hec.edu/K[...]
2018-04-02
[17]
웹사이트
HEC PARIS HONORIS CAUSA PROFESSOR 2017 REWARDS LIFELONG WORK OF NOBEL LAUREATE ERIC MASKIN
https://www.hec.edu/[...]
2019-11-10
[18]
웹사이트
Governing bodies
https://ecolymp.org/[...]
[19]
뉴스
Alaska's ranked-choice voting is flawed. But there's an easy fix.
https://www.washingt[...]
2022-11-09
[20]
웹사이트
"Total Vote Runoff" tweak to Ranked Choice Voting
https://electionlawb[...]
2022-11-09
[21]
웹사이트
An Additional Detail about "Total Vote Runoff"
https://electionlawb[...]
2022-11-09
[22]
웹사이트
"Total Vote Runoff" & Baldwin's method
https://electionlawb[...]
2022-11-10
[23]
학술논문
Sequential innovation, patents, and imitation
http://publications.[...]
[24]
학위논문
Strategic behavior in economic rivalry
http://library.mit.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81
[25]
보도자료
The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 2007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08-08-15
[26]
뉴스
Economics professor wins Nobel – The Daily Princetonian
http://www.dailypr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