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디 사보이아아오스타 공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디 사보이아아오스타 공작은 1869년 제노바에서 태어나 1931년 토리노에서 사망한 인물이다. 그는 스페인 국왕 아메데오 1세의 아들이자 아오스타 공작이었다. 이탈리아 육군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제3군을 지휘했으며, 1926년 이탈리아 원수로 진급했다. 1895년 오를레앙가의 엘레나 공녀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다리와 순양함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오스타 공작 -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는 사보이아 공작이자 사르데냐 왕국의 왕으로,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과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내정 개혁, 군대 강화, 교육 진흥, 예술 분야 발전에도 기여했다. - 아오스타 공작 - 아마데오 1세
아마데오 1세는 스페인 국왕으로 즉위했으나 정치적 혼란으로 자진 퇴위하고 이탈리아로 돌아가 아오스타 공작 칭호를 사용했으며, 여러 지명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 이탈리아의 왕족 - 아마데오 1세
아마데오 1세는 스페인 국왕으로 즉위했으나 정치적 혼란으로 자진 퇴위하고 이탈리아로 돌아가 아오스타 공작 칭호를 사용했으며, 여러 지명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 이탈리아의 왕족 - 마리사 알라시오
마리사 알라시오는 1950년대에 다양한 이탈리아 영화에 출연하며 활동한 배우로, 《용서해줘!》, 《전쟁과 평화》, 《가난하지만 잘생긴》 등의 작품에서 연기했고, 《오늘날의 소녀들》에서는 각본 작업에도 참여했다. - 19세기 유럽 사람 - 주세페 운가레티
이탈리아 시인 주세페 운가레티는 제1차 세계 대전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시와 『묻힌 항구』, 『환희』 등의 작품에서 헤르메티시즘적 시풍을 보였으며, 파시즘 지지에도 불구하고 인간 존재에 대한 성찰과 희망을 담아 후대 이탈리아 시에 영향을 미쳤다. - 19세기 유럽 사람 - 에우제니오 몬탈레
에우제니오 몬탈레는 1975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이탈리아의 시인, 산문가, 문학 평론가, 번역가이며,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반파시스트 지식인 선언에 서명하고 10편이 넘는 시집을 출간했으며, 이탈리아 상원의 종신 상원의원으로 활동했다.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디 사보이아아오스타 공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비토리오 에우제니오 알베르토 제노바 주세페 마리아 |
칭호 | 아스투리아스 공 아오스타 공작 |
출생일 | 1869년 1월 13일 |
출생지 | 이탈리아 제노바 |
사망일 | 1931년 7월 4일 |
사망지 | 이탈리아 토리노 |
묻힌 곳 | 레디푸글리아 전쟁 기념관 |
별칭 | 무패의 공작 |
가문 | |
왕가 | 사보이아 가 |
아버지 | 아메데오 디 사보이아 |
어머니 | 마리아 비토리아 달 포초 데 델라 치스테르나, 치스테르나 공녀 6세 |
배우자 | 엘렌 도를레앙 (1895년 6월 25일 결혼) |
자녀 | 아메데오 2세 아이모네 디 사보이아 아오스타 공작 |
군사 경력 | |
소속 | 이탈리아 왕국 |
군종 | 육군 |
계급 | 이탈리아 원수 |
지휘 | 이탈리아 제3군 |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
작위 | |
공작 계승 순위 | 아오스타 공작 |
재위 시작 | 1890년 1월 18일 |
재위 종료 | 1931년 7월 4일 |
이전 공작 | 아메데오 1세 |
다음 공작 | 아메데오 2세 |
2. 생애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는 이탈리아의 왕족이자 군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군을 지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이름을 딴 것으로는 1942년 완공된 로마의 아오스타 공작 다리, 1927년 개통된 피아베 강의 예솔로 다리, 로마의 거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양도된 순양함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두카 다오스타''가 있다.
2. 1. 출생과 가문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는 제노바에서 아메데오 1세(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차남)와 그의 첫 번째 부인 마리아 비토리아 달 포초 델라 치스테르나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70년 아메데오 1세는 스페인 국왕으로 선출되었지만, 1873년 퇴위하고 이탈리아로 돌아왔다. 1890년 아메데오 1세가 사망하자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가 아오스타 공작 지위를 계승했다.1895년 6월 25일, 런던 킹스턴 어폰 템스에서 오를레앙가의 당주 파리 백작 필리프의 차녀 엘레나(1871년 - 1951년)와 결혼하여 2명의 아들을 두었다.[3]
이름 | 출생일 - 사망일 | 비고 |
---|---|---|
아메데오 움베르토 이자벨라 루이지 필리포 마리아 주세페 조반니 | 1898년 - 1942년 | 제3대 아오스타 공 |
아이모네 로베르토 마르게리타 마리아 주세페 토리노 | 1900년 - 1948년 | 크로아티아 국왕 토미슬라브 2세, 제4대 아오스타 공 |
2. 2. 군 경력
1905년 나폴리에서 사령관으로 이탈리아 육군에서 경력을 시작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Armata invitta"(무패 군대)라는 별명을 얻은 이탈리아 제3군을 지휘했다. 전쟁 후 1926년 베니토 무솔리니에 의해 이탈리아 원수로 진급했다.2. 3. 사망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는 1931년 토리노에서 사망했다.[4] 그는 유언에 따라 레디푸글리아 군사 묘지에 제3군 소속 군인 수천 명과 함께 묻혔다.[4]3. 가족
1895년 6월 25일, 킹스턴 어폰 템스(런던)에서 엘레나(1871년 - 1951년)와 결혼하였다. 엘레나는 오를레앙가의 당주 파리 백작 필리프의 차녀였다.
3. 1. 자녀
엘렌 도를레앙과의 사이에서 두 아들을 두었다.사진 | 이름 | 생일 | 사망 | 기타 |
---|---|---|---|---|
![]() | 아메데오 디 사보이아아오스타 공작 | 1898년 10월 21일 | 1942년 3월 3일 (43세) | 안 도를레앙과 결혼, 슬하 2녀 |
![]() | 아이모네 디 사보이아아오스타 공작 | 1900년 3월 9일 | 1948년 1월 29일 (47세) | 그리스의 이리니 공주와 결혼, 슬하 1남 |
4. 서훈
수여 국가 | 훈장 | 수여일 |
---|---|---|
이탈리아 왕국 | 안눈치아타 기사단 기사 | 1890년 3월 14일[1] |
이탈리아 왕국 | 성 마우리치오와 라자로 기사단 대십자 기사 | 1890년 3월 14일[1] |
이탈리아 왕국 | 이탈리아 왕관 기사단 대십자 기사 | 1890년 3월 14일[1] |
이탈리아 왕국 | 사보이 군사 훈장 대십자 기사 | 1916년 12월 28일[2] |
이탈리아 왕국 | 군사 훈장 금메달 | 1937년 6월 24일[2] |
오스트리아-헝가리 | 헝가리 왕립 성 슈테판 훈장 대십자 기사 | 1895년[3] |
오스트리아-헝가리 | 금모직 기사단 기사 | 1899년[4] |
프로이센 왕국 | 검은 독수리 훈장 기사 | 1893년 5월 17일[5] |
샴 | 차크리 왕가 훈장 기사 | 1897년 6월 1일[6] |
스웨덴-노르웨이 | 세라핌 훈장 기사 | 1897년 9월 18일[7] |
영국 | 가터 훈장 이방인 기사 | 1902년 7월 15일[8] |
작센 왕국 | 루 크라운 훈장 기사[9] | |
스페인 | 카를로스 3세 훈장 대십자 기사 (칼라 포함) | 1923년 12월 28일[10] |
5. 가계도
1.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 |||||||
---|---|---|---|---|---|---|---|
2. 스페인의 아메데오 1세 | 3. 마리아 비토리아 달 포초 델라 치스테르나 | ||||||
4. 이탈리아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 5. 오스트리아의 아델라이데 대공녀 | 6. 카를로 에마누엘레 달 포초 델라 치스테르나 | 7. 메로데-웨스터로 백작부인 루이즈 | ||||
8. 사르데냐의 카를로 알베르토 | 9.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대공녀 | 10. 오스트리아의 라이너 대공 | 11. 사보이의 엘리자베트 공주 | 12. 주세페 알폰소 달 포초 델라 치스테르나 | 13. 마리아 안나 발보 베르토네 데이 콘티 디 삼비 | 14. 메로데-웨스터로 백작 베르너 | 15. 스팡겐 디 위테르네스 백작부인 빅투아르 |
참조
[1]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Unione tipografico-editrice
[2]
웹사이트
Di Savoia Emanuele Filiberto Duca di Aosta
http://www.quirinale[...]
2018-08-05
[3]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tornai.com/re[...]
[4]
웹사이트
Chevaliers de la Toisón d'Or - Knights of the Golden Fleece
http://www.antiquesa[...]
2019-06-25
[5]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supp.)
[6]
학술지
พระราชทานเครื่องราชอิสริยาภรณ์ที่ประเทศยุโรป
http://www.ratchakit[...]
1897-09-19
[7]
간행물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8]
뉴스
London Gazette
1902-07-15
[9]
서적
Almanach de Gotha
https://archive.org/[...]
1913
[10]
학술지
Guía oficial de España
http://hemerotecadig[...]
2020-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