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원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 원수는 이탈리아 왕국과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에서 사용된 군 최고 계급이다. 이탈리아는 제1차 세계 대전 승전 후, 1924년 육군 대장 아르만도 디아츠와 루이지 카도르나, 해군 제독 파올로 타온 디 레벨을 원수로 임명하며 제도를 시작했다. 이후 1933년 공군 원수 직위가 추가되었고, 1938년에는 이탈리아 왕과 베니토 무솔리니가 제국 최고 원수로 임명되었다. 이탈리아 원수는 1943년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권 몰락 이후에도 임명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군사 - 이탈리아 제국 원수
이탈리아 제국 원수는 무솔리니가 자신과 국왕을 위해 만든 계급으로, 무솔리니와 국왕 간 갈등을 야기했으며 파시스트 정권 붕괴 후 사실상 무효화, 2008년 공식 폐지되었다. - 이탈리아의 군사 - 안살도
안살도는 1853년 이탈리아에서 철도 부품 제조 및 수리로 시작하여 조선, 항공기, 장갑차, 철도 차량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하며 군수 산업으로 성장했으나, 현재는 레오나르도 S.p.A.가 관리하는 일부 회사들이 에너지, 핵융합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이탈리아의 역사 -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왕국은 1861년 사르데냐 왕국의 주도로 통일되어 건국되었으며, 자유주의 시대를 거쳐 파시스트 정권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은 후 국민투표로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이탈리아의 역사 - 중프랑크 왕국
중프랑크 왕국은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성립되어 북해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영토를 차지했으나, 분열과 국경 변동을 겪다가 신성로마제국에 흡수되었다.
이탈리아 원수 | |
---|---|
개요 | |
![]() | |
국가 | 이탈리아 왕국 |
군 종류 | 이탈리아 왕국 육군 이탈리아 왕국 공군 |
약칭 | 해당 없음 |
계급 그룹 | 해당 없음 |
계급 | 해당 없음 |
NATO 계급 | 해당 없음 |
비 NATO 계급 | 해당 없음 |
급여 등급 | 해당 없음 |
형성 | 1924년 11월 4일 |
폐지 | 1947년 1월 18일 |
상위 계급 | 제1제국 원수 |
하위 계급 | 육군 대장 |
동급 계급 | 대제독 공군 원수 |
역사 | |
제정 | 1924년 11월 4일 |
폐지 | 1947년 1월 18일 |
2. 이탈리아 왕국 원수
사보이아 왕가이탈리아 왕국은 리소르지멘토를 거쳐 성립되었으며, 초기에는 대장 직위가 육해군의 최고 계급이었다. 이 제도는 19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유지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변화가 생겼다.
1924년 11월 4일, 베니토 무솔리니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승리를 기념하며 아르만도 디아츠와 루이지 카도르나를 원수로 임명했다. 해군에서는 파올로 타온 디 레벨이 해군 원수로 임명되었다. 1926년에는 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피에트로 바돌리오, 엔리코 카빌리아, 굴리엘모 페코리 지랄디, 가에타노 지아르디노가 원수로 임명되었다.
파시스트 사천왕 중 한 명인 이탈로 발보는 1933년 공군 원수로 임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피에트로 바돌리오의 뒤를 이어 우고 카발레로가 육군 참모총장이 되었고 1942년 원수로 임명되었지만, 곧 해임되었다. 같은 해 에토레 바스티코와 움베르토 왕세자가 원수로 임명되었다.
패전이 가까워지면서 조반니 메세가 육군 원수로 임명되었고, 그는 이탈리아 왕국 원수로서 임명된 마지막 인물이 되었다. 1947년 이탈리아 공화국에서는 원수직이 폐지되었다.
군 | 성명 | 임관일 | 군 경력 |
---|---|---|---|
육군 | 아르만도 디아스 | 1924년 11월 4일 | 육군 참모 총장, 육군 대신 |
육군 | 루이지 카도르나 | 1924년 11월 4일 | 육군 참모 총장, 연합군 최고 사령부 이탈리아 대표 |
해군 | 파올로 타온 디 레벨 | 1924년 11월 4일 | 해군 총사령관 |
육군 | 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 1926년 6월 25일 | 군 사령관 |
육군 | 피에트로 바돌리오 | 1926년 6월 25일 | 육군 참모 총장 |
육군 | 엔리코 카빌리아 | 1926년 6월 25일 | 육군 대신 |
육군 | 가에타노 자르디노 | 1926년 6월 25일 | 군 사령관 |
육군 | 굴리엘모 페코리 지랄디 | 1926년 6월 25일 | 군 사령관 |
공군 | 이탈로 발보 | 1933년 8월 13일 | 공군 장관 |
육군 | 에밀리오 데 보노 | 1935년 11월 16일 | 군 사령관 |
육군 | 로돌포 그라치아니 | 1936년 5월 9일 | 육군 참모 총장 |
육군 | 우고 카발레로 | 1942년 7월 1일 | 육군 참모 총장 |
육군 | 에토레 바스티코 | 1942년 8월 12일 | 군 사령관 |
육군 | 움베르토 2세 | 1942년 10월 29일 | 군 사령관 |
육군 | 조반니 메세 | 1943년 5월 12일 | 육군 참모 총장 |
2. 1. 제1차 세계 대전과 전간기 (1924-1935)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 왕국은 영국, 프랑스와 함께 연합국 군의 중심 국가로서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에 승리하여 전승국이 되었고, 국제 연맹의 상임 이사국이 되었다.1924년 11월 4일, 베니토 무솔리니는 제1차 세계 대전 승전을 기념하기 위해 전쟁 후반 참모총장이었던 아르만도 디아츠 육군 대장에게 '''이탈리아 왕국 원수''' 칭호를 부여했다. 동시에, 전쟁 전반 참모총장이었으나 군사적 실책으로 해임된 루이지 카도르나 대장도 원수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디아츠의 전 상관인 카도르나의 체면을 고려한 조치였다. 해군에서는 성 이슈트반을 격침시킨 MAS 어뢰정 부대 설립 등 해군 지휘에 공헌한 파올로 타온 디 레벨 제독이 해군 원수(Grand Admiral)에 임명되었다.
1926년 6월 25일, 사보이아 가문 출신이자 제3군 사령관이었던 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가 원수로 임명되었다. 이어서 엔리코 카빌리아, 가에타노 자르디노, 구글리에르모 페코리 지랄디 등 전쟁 당시 군 사령관들이 원수로 선출되었다. 당시 육군 참모총장이었던 피에트로 바돌리오 육군 대장은 전쟁 당시에는 장교였지만, 빠르게 원수로 임명되었다.
파시스트 사천왕 중 한 명이자 왕립 공군을 이끌던 이탈로 발보 공군 장관은 대서양 무착륙 비행에 성공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1933년 8월 13일, 발보는 공군 원수(''Maresciallo dell'Aria'')에 임명되었다. 1935년 11월 16일, 파시스트 사천왕 중 한 명으로 퇴역 군인 계층을 관리했던 에밀리오 데 보노 육군 대장이 8번째 육군 원수로 임명되었다. 1936년 5월 9일, 제2차 에티오피아 전쟁 종결 후, 피에트로 바돌리오 원수의 부관으로 소말릴란드 방면군을 지휘한 로돌포 그라치아니 육군 대장이 원수로 임명되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1935-1943)
1935년 11월 16일 에밀리오 데 보노가 원수로 임명되었고, 1936년 5월 9일에는 로돌포 그라치아니가 원수로 임명되었다.1942년에는 세 명의 원수가 임명되었다. 7월 1일 우고 카발레로가 원수로 임명되었으나, 1943년 7월 해임되었다. 8월 12일에는 에토레 바스티코가 에르빈 롬멜과 동급으로 진급하여 원수가 되었다. 10월 29일에는 움베르토 왕세자가 원수로 임명되었다.
1943년 5월 12일, 지오반니 메세가 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이탈리아 왕국 원수로서 임명된 마지막 인물이다.
초상 | 이름 | 임명 날짜 | 군 | 비고 |
---|---|---|---|---|
![]() | 에밀리오 데 보노 | 1935년 11월 16일 | 1922년 로마 진군의 공동 지도자 | |
![]() | 로돌포 그라치아니 | 1936년 5월 9일 | 카시빌레 휴전 이후 국립 공화군 지휘 | |
![]() | 우고 카발레로 | 1942년 7월 1일 | ||
![]() | 에토레 바스티코 | 1942년 8월 12일 | 이탈리아령 리비아 총독.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추축국 군대의 사령관; 에르빈 롬멜 원수와 동급으로 진급 | |
![]() | 피에몬테 공작 움베르토 | 1942년 10월 29일 | 훗날 국왕 움베르토 2세 | |
![]() | 조반니 메세 | 1943년 5월 12일 |
1938년 3월 30일, 무솔리니는 사보이아 왕가 아래 통치되는 모든 국가(이탈리아 식민 제국)의 최고 사령관직으로서 왕국 원수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대원수(제국 원수 수석, Primo maresciallo dell'Impero)직을 제정했다. 그리고 사보이아 왕가의 당주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와, 치세를 맡고 있는 자신이 최초의 대원수로 취임하는 것을 선언했다. 대원수에 공동 취임함으로써 여전히 사보이아 가문의 후원을 받는 형태였지만, 무솔리니는 통수권 획득에도 성공했다.
3. 제국 최고 원수 (1938-1945)
사보이아 가문에게는 사르데냐 왕국 시대에 발생한 1848년 혁명에 대한 대응으로서 당시 가주 카를로 알베르토 디 사보이아가 제정한 헌법(알베르토 헌법) 이후 사보이아 가문의 군대를 사보이아 가문 외의 인물에게 맡긴 유일한 사례가 되었다.초상 이름 임명 날짜 군 비고 루이지 카도르나 1924년 11월 4일 아르만도 디아스 1924년 11월 4일 파올로 타온 디 레벨 1924년 11월 4일 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1926년 6월 25일 피에트로 바돌리오 1926년 6월 25일 1943년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권의 몰락 이후 무솔리니의 뒤를 이어 총리직을 수행 엔리코 카빌리아 1926년 6월 25일 가에타노 지아르디노 1926년 6월 25일 구글리에르모 페코리 지랄디 1926년 6월 25일 이탈로 발보 1933년 8월 13일 1922년 로마 진군의 공동 지도자. 이탈리아 왕립 공군 원수. 1940년 토부르크 상공에서 아군 오사 사고로 사망 에밀리오 데 보노 1935년 11월 16일 1922년 로마 진군의 공동 지도자 로돌포 그라치아니 1936년 5월 9일 카시빌레 휴전 이후 국립 공화군 지휘 우고 카발레로 1942년 7월 1일 에토레 바스티코 1942년 8월 12일 이탈리아령 리비아 총독.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추축국 군대의 사령관; 에르빈 롬멜 원수와 동급으로 진급 피에몬테 공작 움베르토 1942년 10월 29일 훗날 국왕 움베르토 2세 조반니 메세 1943년 5월 12일
4.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1943-1945)
5. 폐지
Maresciallo d'Italiait 계급은 1946년 이탈리아 왕국이 폐지되면서 함께 폐지되었다.
6. 참고사항
초상 | 이름 | 임명 날짜 | 군 | 비고 |
---|---|---|---|---|
루이지 카도르나 | 1924년 11월 4일 | |||
아르만도 디아스 | 1924년 11월 4일 | |||
파올로 타온 디 레벨 | 1924년 11월 4일 | |||
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 1926년 6월 25일 | |||
피에트로 바돌리오 | 1926년 6월 25일 | 1943년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권의 몰락 이후 무솔리니의 뒤를 이어 총리직을 수행 | ||
엔리코 카빌리아 | 1926년 6월 25일 | |||
가에타노 지아르디노 | 1926년 6월 25일 | |||
구글리에르모 페코리 지랄디 | 1926년 6월 25일 | |||
이탈로 발보 | 1933년 8월 13일 | 1922년 로마 진군의 공동 지도자. 이탈리아 왕립 공군 원수. 1940년 토부르크 상공에서 아군 오사 사고로 사망 | ||
에밀리오 데 보노 | 1935년 11월 16일 | 1922년 로마 진군의 공동 지도자 | ||
로돌포 그라치아니 | 1936년 5월 9일 | 카시빌레 휴전 이후 국립 공화군 지휘 | ||
우고 카발레로 | 1942년 7월 1일 | |||
에토레 바스티코 | 1942년 8월 12일 | 이탈리아령 리비아 총독.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추축국 군대의 사령관; 에르빈 롬멜 원수와 동급으로 진급 | ||
피에몬테 공작 움베르토 | 1942년 10월 29일 | 훗날 국왕 움베르토 2세 | ||
조반니 메세 | 1943년 5월 12일 |
참조
[1]
웹사이트
Page
http://www.esercito.[...]
2007-12-23
[2]
웹사이트
DECRETO LEGISLATIVO DEL CAPO PROVVISORIO DELLO STATO 18 gennaio 1947, n. 66 - Normattiva
https://www.normatti[...]
2022-04-09
[3]
웹사이트
Le Insegne di grado dal 1945 al 1972
http://www.esercito.[...]
Italian Army
2022-02-16
[4]
웹사이트
Page
http://www.eserci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