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크쉬르니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이크쉬르니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수사슴으로, 그 이름의 어원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와 《고 에다》의 《그리니르스말》에 묘사되며, 발홀에 서서 나무의 가지를 갉아먹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에이크쉬르니르의 뿔에서 떨어지는 물은 흐베르겔미르로 흘러들어가 여러 강들의 기원이 된다고 전해진다. 또한, 비디오 게임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와 《명일방주》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사슴 - 케리네이아의 암사슴
케리네이아의 암사슴은 헤라클레스의 열두 과업 중 하나로, 황금 뿔을 가진 아르테미스의 암사슴을 생포하여 미케네로 데려오는 과업이었다. - 신화의 사슴 - 기린 (전설)
기린은 사슴의 몸, 소의 꼬리, 말의 발굽, 이마의 뿔을 가진 상상의 동물로, 자애롭고 덕망 높은 존재로 묘사되며, 중국, 한국 등에서 다양한 상징성을 지닌다. - 노르드 신화의 생물 - 트롤
트롤은 노르드 신화에서 유래하여 악마, 귀신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신화적 존재로, 요툰의 한 종류로 묘사되며 인간에게 적대적인 특징을 갖고,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는 햇빛에 닿으면 돌로 변하는 늙고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나며, 대중문화에서는 괴물이나 인기 캐릭터, 온라인에서는 악성 댓글을 다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노르드 신화의 생물 - 요르문간드
요르문간드는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로키와 앙그르보다의 자식인 거대한 뱀으로, 오딘에 의해 바다에 던져졌지만 미드가르드를 둘러쌀 정도로 자라 꼬리를 물고 있으며, 토르와의 낚시 조우 및 라그나로크 전투, 꼬리를 문 모습으로 세상의 순환을 상징하는 모티프로 전해진다.
| 에이크쉬르니르 | |
|---|---|
| 개요 | |
![]() | |
| 어원 | 참나무 가시 |
| 문화 | 노르드 신화 |
| 종류 | 수사슴 |
| 거주지 | 발할라 |
| 관련된 신 | 오딘 |
| 설명 | |
| 외모 | 웅장한 흰색 수사슴 |
| 특징 | 뿔에서 물방울이 떨어진다. 물방울은 강의 근원이 된다. |
| 위치 | 발할라의 헤이드룬 위에 서 있다. |
| 신화적 중요성 | |
| 역할 | 세상의 강물의 근원 |
| 상징 | 생명 풍요 |
| 추가 정보 | |
| 다른 이름 | 에이크쉬르니르 (Eikþyrnir) |
| 털 색깔 | 흰색 |
| 먹이 | 레라드 나뭇잎 |
| 관련 동물 | 수사슴 |
2. 어원
에이크쉬르니르(Eikþyrnir)의 어원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아나톨리 리버먼은 북유럽 신화에서 가장 낮은 천국의 이름인 헤이쉬르니르(Heiðþyrnir, 'heið'는 '밝은 하늘')가 두 부분으로 나뉘었고, 그 조각들을 바탕으로 하늘의 수사슴 에이크쉬르니르(Eikþyrnir)와 하늘의 염소 헤이드룬(Heiðrún)의 이름이 만들어졌다고 제안한다. '-þyrnir'의 기원은 완전히 명확하지 않지만, 민간 어원에 의해 '가시'와의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2]
에이크쉬르니르는 신화 기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수사슴이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와 《고 에다》에서 에이크쉬르니르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3. 신화 기록
두 기록에 따르면, 에이크쉬르니르는 발홀에 서서 레라드라는 나무의 가지를 갉아먹는다. 그의 뿔에서는 많은 양의 물이 흘러나와 흐베르겔미르로 떨어지고, 거기에서 여러 강이 흘러나온다. 이 강들은 아시르의 거처 주변을 흐르거나 인간 세상 근처를 지나 헬로 떨어진다.[3]
브로듀어는 사슴을 "발홀 안에"라고 표현했지만, 다른 필사본과 안소니 폴크스의 번역에서는 사슴을 "발홀 위에"라고 표현하여, 사슴의 위치에 대한 해석이 엇갈리기도 한다.
3. 1. 산문 에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 중 길피의 속임수에서 헤이드룬에 대한 설명 다음에 에이크쉬르니르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3]
발홀에 서서 나무의 가지를 갉아먹는 수사슴 에이크쉬르니르의 뿔에서는 매우 많은 양의 물이 흘러나와 흐베르겔미르로 떨어진다. 거기에서 다음과 같은 강들이 흘러나온다: 시드, 비드, 쇠킨, 에이킨, 스봘, 군스토라, 퓌오름, 핌불툴, 기풀, 괴풀, 괴물, 게이르비물. 이 강들은 아시르의 거처 주변으로 흐른다. 또한 딘, 빈, 톨, 홀, 그라드, 군스토라, 니트, 뇌트, 넨, 흐뢴, 비나, 베그스빈, 횓누마와 같은 강들도 언급된다.
브로듀어는 ''산문 에다''의 T 필사본을 따라 사슴을 "발홀 안에"라고 표현했지만, 다른 필사본에서는 사슴을 "발홀 위에"라고 표현한다. 하지만 안소니 폴크스의 최근 번역은 증거의 맥락과 무게를 볼 때 사슴을 건물 꼭대기에 두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보았다.
스노리가 이 정보를 얻은 출처는 그리니르스말로 보이며, 다음과 같은 연이 있다.
에이크쉬르니르라는 사슴이 오딘의 홀 위에 서서 레라드의 가지를 갉아먹는다. 그의 뿔에서 떨어지는 것은 흐베르겔미르로 떨어지며, 거기서 모든 물이 솟아난다. 시드와 비드, 쇠킨과 에이킨, 스봘과 군트로, 퓌오름과 핌불툴, 린과 렌난디, 기풀과 괴풀, 괴물과 게이르비물은 신들의 거처를 돌며 흐른다. 딘과 빈, 톨과 홀, 그라드와 군토린, 비나는 하나라고 불리고, 두 번째는 베그스빈, 세 번째는 횓누마, 니트와 뇌트, 넨과 흐뢴, 슬리드와 흐리드, 실그와 윌그, 비드와 반, 벤드와 스트뢴드, 기올과 레이프트는 인간에게 가까이 떨어지며, 여기에서 헬로 떨어진다.
3. 2. 고 에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 중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헤이드룬에 대한 설명에 이어 에이크쉬르니르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Enn er meira mark at of hjörtinn Eirþyrni, [sic]non[3] er stendr á Valhöll ok bítr af limum þess trés, en af hornum
위 내용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더 주목할 만한 것은 발홀에 서서 나무의 가지를 갉아먹는 수사슴 에이크쉬르니르입니다. 그리고 그의 뿔에서는 너무나 풍부한 삼출액이 흘러나와 흐베르겔미르로 흘러들어가고, 거기에서 다음과 같은 강들이 흘러나옵니다. 시드, 비드, 쇠킨, 에이킨, 스봘, 군스토라, 퓌오름, 핌불툴, 기풀, 괴풀, 괴물, 게이르비물. 이들은 아시르의 거처 주변으로 흐릅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강들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딘, 빈, 톨, 홀, 그라드, 군스토라, 니트, 뇌트, 넨, 흐뢴, 비나, 베그스빈, 횓누마."
브로듀어는 다른 필사본이 사슴을 "발홀 위에"라고 표현하는 것과 달리, 《산문 에다》의 T 필사본의 텍스트를 따라 사슴을 "발홀 안에"라고 표현했다. 안소니 폴크스의 최근 번역은 증거의 맥락과 무게를 볼 때 훨씬 더 자연스러운 사슴을 건물 꼭대기에 두었다.
스노리가 이 정보를 얻은 출처는 거의 확실히 그리니르스말로, 다음 연이 발견된다.
Eikþyrnir heitir hiörtr, er stendr á höllo Heriaföðrs ok bítr af Læraðs limom; en af hans hornom drýpr i Hvergelmi, þaðan eigo vötn öll vega: Síð ok Víð, Sækin ok Eikin, Svöl ok Gunnþró, Fiörm ok Fimbulþul, Rín ok Rennandi, Gipul ok Göpul, Gömul ok Geirvimul, þær hverfa um hodd goða, Þyn ok Vin, Þöll ok Höll, Gráð ok Gunnþorin. Vína heitir enn, önnor Vegsvinn, þriðia Þióðnuma, Nyt ok Nöt, Nönn ok Hrönn, Slíð ok Hrið, Sylgr ok Ylgr, Víð ok Ván, Vönd ok Strönd, Giöll ok Leiptr, þær falla gumnom nær, en falla til heilar heðan.non (욘 헬가손의 판)
위 내용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에이크티르니라는 사슴이 있는데, 그는 오딘의 홀 위에 서서, 레라드의 가지를 갉아먹는다. 그의 뿔에서 떨어지는 것은 흐베르겔미르로 떨어지니, 거기서 모든 물이 솟아난다. 시드와 비드, 쇠킨과 에이킨, 스봘과 군트로, 퓌오름과 핌불툴, 린과 렌난디, 기풀과 괴풀, 괴물과 게이르비물은 신들의 거처를 돌며 흐른다. 딘과 빈, 톨과 홀, 그라드와 군토린, 비나는 하나라고 불리고, 두 번째는 베그스빈, 세 번째는 횓누마, 니트와 뇌트, 넨과 흐뢴, 슬리드와 흐리드, 실그와 윌그, 비드와 반, 벤드와 스트뢴드, 기올과 레이프는 인간에게 가까이 떨어지며, 여기에서 헬로 떨어진다."
4. 대중문화 속 에이크쉬르니르
에이크쉬르니르는 2024년 6월에 추가된 비디오 게임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에 등장한다.[4]
에이크쉬르니르는 또한 비디오 게임 명일방주에도 등장하는데, '''''[https://arknights.wiki.gg/wiki/The_Black_Forest_Wills_A_Dream Skógrinn Svartr Vill Einn Draumr]'''''에서 NPC로 처음 등장했고, 이후 ''[https://arknights.wiki.gg/wiki/Expeditioner%27s_Joklumarkar '''탐험가의''' '''요클룸마르크''']''에 다시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Orchard
[2]
서적
Liberman
[3]
문서
variants
[4]
웹사이트
New Fire Emblem Heroes Book VIII Characters and Event Introduced
https://www.silicone[...]
Gamurs
2024-06-07
[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7]
서적
Orchard
[8]
문서
varian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