엥겔의 법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엥겔의 법칙은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가계 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한다는 경제 법칙이다. 이는 엥겔 곡선을 통해 시각적으로 나타나며, 소득 수준에 따라 재화 소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준다. 엥겔의 법칙은 국가의 생활 수준을 비교하는 지표로 활용되며, 엥겔 계수를 통해 빈곤 정도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엥겔 계수는 1965년 한국 도시 가계에서 56.7%에서 1975년 43.6%로 감소하는 등, 한국의 생활 수준 향상을 보여주는 지표로도 활용된다. 엥겔의 법칙은 경제 성장이 영양실조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농업 부문의 축소와 농산물 가격 변화가 빈곤층에 미치는 영향 등을 설명하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7년 경제 - 1857년 공황
1857년 공황은 오하이오 생명보험 신탁회사의 파산으로 시작된 미국의 심각한 경제 불황으로, 캘리포니아 금 생산 감소, 드레드 스콧 판결, 철도 투자 거품 붕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미국 전역에 은행 파산과 경제 혼란을 야기하고 남북 갈등을 심화시켜 남북 전쟁의 원인이 되었고 영국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 경제적 불평등 - 거품경제
거품경제는 자산 가격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지속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는 현상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자산 불평등 심화, 경제 불안정성 증대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 경제적 불평등 - 부동산 거품
부동산 거품은 자산의 실제 가치보다 가격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현상으로, 경제 위기를 초래할 수 있으며, 거시경제 정책 등을 통해 예방 및 대응할 수 있다. - 경제학 법칙 - 수확 체감
수확 체감은 생산 요소 투입 증가에 따라 한계 생산량이 감소하는 현상으로, 농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며 기술 발전에 따라 단기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경제학 법칙 - 세의 법칙
세의 법칙은 경제학에서 공급이 스스로 수요를 창출한다는 이론으로, 시장은 항상 균형 상태를 유지한다고 주장하지만, 유효수요 부족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엥겔의 법칙 | |
---|---|
개요 | |
![]() | |
정의 |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식료품에 지출되는 소득의 비율이 감소한다는 경제학의 경험적 관찰 |
설명 |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식료품비 지출액은 증가하지만, 소득 증가율보다는 낮은 비율로 증가한다. |
최초 언급 | 1857년 에른스트 엥겔 |
세부 내용 | |
내용 | 엥겔의 법칙은 가계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총 가계 지출에서 식료품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가계가 부유해질수록 식료품에 지출하는 돈은 늘어나지만, 소득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감소한다. |
엥겔 계수 | 가계 소비 지출 총액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 엥겔 계수가 높을수록 생활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
한국의 엥겔 계수 | 한국의 엥겔 계수는 선진국 중에서 높은 편이며, 28%를 초과한다. 이는 물가 상승 외에도 다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8ee2b3226d212bf02d734672b40bb3c8bb769eaa?page=2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필수재 사치재 기펜재 소비 (경제학) 생활 수준 |
2. 엥겔의 법칙
엥겔의 법칙은 가계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식료품비 지출 총액은 증가하지만, 소득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음식의 소득 탄력성은 0과 1 사이이다.[3] 예를 들어, 월 소득이 5,000달러인 가구가 음식에 2,000달러를 지출한다면, 이는 40%에 해당한다. 이 가구의 소득이 40% 증가하여 7,000달러가 된다면, 음식에 약 2,500달러를 지출하여, 음식에 대한 절대적인 지출은 25% 증가하지만, 상대적인 비율은 35.7%로 감소하게 된다.[3] 이는 소득이 낮은 가구는 소득에서 음식에 더 많은 비율을 지출하는 반면, 고소득 가구는 오락 및 사치품 등에 더 많은 돈을 지출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엥겔의 법칙은 소득이 증가해도 음식 지출이 변함없이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소득 증가율보다 낮은 비율로 음식 지출을 늘린다는 것을 뜻한다.[4][5]
독일의 사회 통계학자 에른스트 엥겔은 1857년 가구의 '''식료품 지출'''과 '''가구 소득'''이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가구 지출에서 식료품 지출이 차지하는 비율과 가구 소득 간의 관계는 매우 일관적이었으며, 식료품 지출의 소득 탄력성은 비탄력적(각 데이터 세트에서 약 0.86)으로, 가격 변화에 둔감했다.[10]
1965년에서 1975년까지 한국의 소비지출 변화를 살펴보면, 식료품비와 광열비 증가율은 낮은 반면, 주거비, 잡비, 피복비는 크게 증가했다. 엥겔 계수는 1965년 56.7%에서 1975년 43.6%로 낮아졌고, 광열비와 피복비도 감소한 반면 주거비와 잡비는 증가했다. 이는 도시 가계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문화적 지출이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1995년 전 도시 가구의 엥겔 계수는 25.5%였으며, 교육·교양·오락비는 13.3%로 나타났다.[19]
엥겔은 저서 『벨기에 근로자 가족의 생활비의 과거와 현재』(1885)에서 “노동자 가계의 총지출 중에 점하고 있는 식료비의 비중은 저소득호(低所得戶)일수록 높다”는 엥겔 법칙을 발견했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증가하면 주거비 지출 비중은 처음엔 감소하다가 어느 한도를 넘으면 불변하거나 증대되고, 피복비 비중은 처음에는 증대하지만 어느 한도를 넘으면 불변 혹은 감소된다. 문화, 교양 관계 비목 비중은 끊임없이 증대한다. 엥겔 계수의 저하는 문화, 교양, 오락의 향상, 주거, 피복 개선 등 생활 내용이 풍부해졌다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소득 계층 및 국가 간 빈부 격차나 경제 단계를 보여준다.
엥겔의 법칙은 여러 국가의 생활 수준을 비교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엥겔 계수는 특정 시점의 식비 예산 점유율을 의미하며,[8] 국제 연합([UN])에서는 엥겔 계수가 59% 이상이면 빈곤, 50-59%는 일상적인 욕구가 간신히 충족되는 상태, 40-50%는 중간 정도의 생활 수준, 30-40%는 좋은 생활 수준, 30% 미만은 부유한 생활을 나타낸다고 본다.[16]
엥겔 계수는 "식료품비 ÷ 소비 지출 × 100"의 식으로 산출된다.[22]
2. 1. 엥겔 곡선
엥겔의 법칙에 기반한 개념은 엥겔 곡선이다. 이 곡선은 특정 재화에 대한 지출이 비율 또는 절대 금액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준다. 곡선의 모양은 연령, 성별, 교육 수준 및 시각화하는 재화의 종류와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곡선을 따라 이동하는 것은 이러한 요인이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하며, 소득만 변경된다는 것을 의미한다.[8] 논리적으로 인구 통계학적 요인이 변경되면 엥겔 곡선도 그에 따라 이동한다. Pope (2012)는 대가족이 더 많은 식량을 소비할 뿐만 아니라 소득 및 기타 인구 통계학적 변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더라도 생애 주기 동안 소비 지출이 변경된다고 언급한다. 식량에 대한 예산 점유율은 평생 동안 증가한 다음 감소하여 역 포물선을 생성하며, 이는 식량 및 총 지출이 중년기에 최고조에 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8]소득 수준을 x축으로 하고 지출을 y축으로 하는 경우, 엥겔 곡선은 정상재에 대해 위쪽으로 기울기가 나타나며, 이는 수요의 소득 탄력성이 양수임을 나타낸다. 열등재는 음의 소득 탄력성을 가지며, 엥겔 곡선에 음의 기울기를 갖는다. 음식의 경우 엥겔 곡선은 양수이지만 감소하는 기울기를 가지며 아래로 오목하다.[9][8] 엥겔은 음식이 정상재이지만,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가계 예산에서 음식에 대한 점유율이 감소하여 음식이 필수재가 된다고 주장한다.[4][8]

3. 엥겔 계수의 활용과 한계
엥겔의 법칙은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식료품비 지출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법칙이지만, 엥겔 계수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그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엥겔은 1885년 저서에서 "노동자 가계의 총지출 중 식료품비 비중은 저소득 가구일수록 높다"는 엥겔 법칙을 발표했다.[18] 엥겔 계수는 "식료품비 ÷ 소비 지출 × 100"의 식으로 산출되며,[22] 소득 계층 간, 또는 국가 간 생활 수준을 비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득 수준이 높은 선진국(캐나다, 미국, 벨기에, 룩셈부르크, 스웨덴, 스위스 등)은 엥겔 계수가 상대적으로 낮다. 반면, 저개발 국가에서는 엥겔 계수가 50~60으로 높게 나타나 생활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소득이 증가하여 총지출액이 증가함에 따라 주거비 지출 비중은 처음에는 감소하다가 일정 수준을 넘으면 불변하거나 증가한다. 피복비 비중은 처음에는 증가하지만 일정 수준을 넘으면 불변하거나 감소한다. 문화, 교양 관련 비목 비중은 꾸준히 증가한다.
한국의 경우 1965년 도시 가계의 엥겔 계수는 56.7%였으나, 1975년에는 43.6%, 1995년에는 25.5%로 감소했다. 이는 경제 성장과 소득 증대로 도시 가계 생활 수준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교육, 교양, 오락 관련 지출 비중이 높아지는 현상은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엥겔 계수는 동일 국가, 동일 기간 내 비교에만 유용하며, 다른 사회 집단 간 비교에는 부적절하다는 한계가 있다.[19] 특히 국가 간 비교 시에는 연령, 세대 구성, 상품 가격, 생활 양식, 주거비, 통신비, 수도광열비, 식생활, 외출 빈도, 기호품, 생활 환경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20]
예를 들어, 미국은 통계적으로 G7 국가 중 엥겔 계수가 가장 낮지만, 이는 가계 의료비 지출과 주택 임대료 상승으로 식료품비 비중이 낮아진 결과일 수 있다.[20] 이러한 이유로 국제적으로는 국가 간 비교 시 소비자 물가 지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1]
일본의 경우, 소득 계층별 식료품비 지출 비율 분석 결과, 최하위 20%와 최상위 20% 간 차이가 크지 않고, 중간층의 식료품비 지출 비율이 더 높은 경우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3]
또한, 고령화, 환율 변동, 식문화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엥겔 계수가 상승할 수 있어, 엥겔 계수 상승이 반드시 빈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24]
맞벌이 세대 증가는 세대 소득 증가로 이어져 엥겔 계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으며, 식품에 대한 세금 인상은 다른 생활 필수품 세금 변화에 따라 사회 전체 엥겔 계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일본에서는 2014년 소비세 인상 시 식료품은 증세되었지만 의료비, 학비, 지대 등은 비과세 품목이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엥겔 계수가 상승했다는 분석도 있다.[25]
3. 1. 생활 수준 지표
엥겔의 법칙은 가계 소득과 소비 지출, 특히 식료품비 지출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경제 법칙으로, 가계의 생활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엥겔 계수는 가계 총 소비지출 중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다음 공식을 통해 계산된다.[22]
- 엥겔 계수 = (식료품비 / 소비 지출) × 100
19세기 독일의 통계학자 에른스트 엥겔은 가계 소득이 증가할수록 식료품비 지출의 절대적인 액수는 늘어나지만, 총 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 즉 엥겔 계수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발견했다.[18][19] 이는 소득이 낮은 가계일수록 생존에 필수적인 식료품 구매에 지출의 상당 부분을 할애해야 하는 반면, 소득이 높은 가계는 식료품 외에 주거, 문화생활,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지출할 여유가 생기기 때문이다.
엥겔의 법칙은 소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가계의 소비 패턴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한 국가의 경제 발전 정도나 서로 다른 국가 간의 생활 수준을 비교하는 데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엥겔 계수가 50%를 넘으면 빈곤층으로 분류되며, 25% 이하면 소득 수준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의 경우, 1965년 도시 가계의 엥겔 계수는 56.7%였으나, 경제 성장과 소득 증대에 힘입어 1975년에는 43.6%로 낮아졌다. 1995년에는 25.5%까지 감소하여, 도시 가계의 생활 수준이 꾸준히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교육, 교양, 오락 관련 지출 비중이 높아지는 현상은 경제 성장에 따른 삶의 질 향상을 반영한다.
엥겔의 법칙은 국제 비교에도 유용한데, 국제 연합([UN])은 엥겔 계수를 활용하여 국가별 빈곤 정도를 측정한다.[16] 엥겔 계수가 59% 이상이면 빈곤, 50~59%는 생계 유지, 40~50%는 중간 수준, 30~40%는 양호, 30% 미만은 부유한 생활 수준으로 간주한다.[16]
엥겔의 법칙은 농업 부문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는 현상과도 관련이 있다. 경제가 성장하고 소득이 증가하면 식료품에 대한 지출 비중이 줄어들면서, 농업 부문의 상대적 중요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다만, 엥겔 계수는 식료품 가격 변동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쌀 가격이 다른 물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지면 엥겔 계수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8] 또한, 국가 간 생활 수준 비교에는 엥겔 계수보다 소비자 물가 지수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21]
3. 2. 빈곤선 설정
엥겔 계수를 사용하여 국가는 국가 빈곤선을 설정할 수 있으며,[2] 가장 일반적인 측정 방법은 영양가 있는 식단의 비용을 엥겔 계수로 나누는 것이다.[8]3. 3. 실질 소득 변화 측정
해밀턴(Hamilton, 2001)은 엥겔의 법칙을 해석하여, 식량에 지출되는 예산 점유율의 변화가 실질 소득 변화의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그는 논문에서 식량 예산 점유율 변화로부터 추론된 실질 소득과 직접 측정된 실질 소득의 불일치를 측정하고, 소비자 물가 지수(CPI)의 편향을 추정한다.[17] 식량은 소득 탄력성이 1.0과 충분히 다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의 좋은 지표 역할을 한다. 식량은 내구성이 없으므로 식량 지출은 본질적으로 소비와 같고, 식량은 소비자의 효용 함수에서 다른 상품과 쉽게 분리되며, 마지막으로 식량은 정의하기 쉬운 상품이다.[17]3. 4. 한계점
엥겔의 법칙은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식료품비 지출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법칙이지만, 여러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19]엥겔의 데이터와 결론 도출 방식은 현대적인 통계 방법론에 비추어 볼 때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엥겔이 사용한 데이터는 당시 뉴스 기사나 지역 연구를 바탕으로 한 근사치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최소 자승 추정과 같은 정교한 통계 기법은 엥겔의 논문 발표 이후에 등장했다.[15]
엥겔 계수는 동일 국가, 동일 기간 내의 비교에는 유용하지만, 다른 사회 집단 간의 비교에는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있다.[19] 특히 국가 간 비교 시에는 연령, 세대 구성, 상품 가격, 생활 양식, 주거비, 통신비, 수도광열비, 식생활, 외출 빈도, 기호품, 생활 환경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20]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의료비나 주택 임대료 상승으로 인해 식료품비 비중이 낮아져 엥겔 계수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20]
이러한 한계점 때문에 국제적으로는 국가 간 비교 시 소비자 물가 지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1]
일본의 경우, 소득 계층별 식료품비 지출 비율을 분석한 결과, 가장 가난한 20%와 가장 부유한 20% 간의 차이가 크지 않고, 오히려 중간층의 식료품비 지출 비율이 더 높은 경우도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3]
또한, 고령화, 환율 변동, 식문화 변화 등 복잡한 요인으로 인해 엥겔 계수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어, 엥겔 계수 상승이 반드시 빈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24]
맞벌이 세대의 증가는 세대 소득 증가로 이어져 엥겔 계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으며, 식품에 대한 세금 인상은 다른 생활 필수품에 대한 세금 변화에 따라 사회 전체의 엥겔 계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일본의 경우 2014년 소비세 인상 시 식료품은 증세되었지만 의료비, 학비, 지대 등은 비과세 품목이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엥겔 계수가 상승했다는 분석도 있다.[25]
4. 한국의 엥겔 계수
한국의 가계는 소득세 등 직접세를 제외한 가처분소득을 소비지출이나 저축에 사용한다. 소비지출은 식료비, 주거비, 피복비, 광열비, 잡비 등으로 구성된다. 1965년부터 1975년까지 엥겔 계수는 56.7%에서 43.6%로 낮아졌고, 1995년에는 25.5%로 더 낮아졌다. 2001년부터 2022년까지의 자료를 보면 엥겔계수는 지속적으로 20%대에 머무르고 있다.
연도 | 총 가구 | 2인 이상 가구 | 1인 가구 |
---|---|---|---|
2022년 | 26.0% | 26.6% | 24.2% |
2021년 | 26.6% | 27.2% | 24.8% |
2020년 | 27.0% | 27.5% | 25.4% |
2019년 | 25.4% | 25.7% | 24.6% |
2018년 | 25.5% | 25.7% | 24.6% |
2017년 | 25.5% | 25.7% | 24.5% |
2016년 | 25.7% | 25.8% | 25.1% |
2015년 | 25.0% | 25.0% | 25.1% |
2014년 | 24.0% | 24.0% | 23.8% |
2013년 | 23.6% | 23.6% | 23.5% |
2012년 | 23.6% | 23.5% | 24.1% |
2011년 | 23.6% | 23.6% | 23.5% |
2010년 | 23.2% | 23.3% | 23.1% |
2009년 | 23.4% | 23.4% | 23.1% |
2008년 | 23.2% | 23.2% | 23.0% |
2007년 | 22.9% | 23.0% | 22.5% |
2006년 | 23.1% | 23.1% | 22.9% |
2005년 | 22.7% | 22.9% | 22.1% |
2004년 | 23.0% | 23.0% | 23.0% |
2003년 | 23.1% | 23.2% | 22.6% |
2002년 | 23.3% | 23.3% | 23.3% |
2001년 | 23.2% | 23.2% | 22.9% |
이는 도시 가계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식료품비 비중이 줄고, 주거, 의복, 문화생활 등에 대한 지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특히 교육, 교양, 오락 관련 지출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세계 여러 나라와 비교했을 때, 한국의 엥겔 계수는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
|-
| 대한민국 || 32.9% ||
style="background:#99f; width:66px" | | style="background:#f99; width:134px" | |
|}
이는 캐나다, 미국, 벨기에 등 1인당 소득 수준이 높은 선진국들의 엥겔 계수가 낮은 것과 대조적이다.
4. 1. 역사적 변화
1965년을 기준으로 지난 5년간 한국의 연간 소비지출 변동 상황을 보면, 식료비와 광열비는 각각 30%, 43% 증가하여 5대 비목 중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주거비는 120%, 잡비는 138.8%, 피복비는 212.3% 증가했다. 이러한 소비 수준의 변동에 따라 엥겔 계수는 점차 낮아져 1965년 56.7%에서 1975년 43.6%로 13.1% 감소했다. 광열비는 5.8%에서 5.4%로 0.4%, 피복비는 1.6% 낮아진 반면, 주거비는 8.9%, 잡비는 3.2% 높아졌다. 이는 생활필수품인 식료품비와 광열비의 증가율이 낮아지고, 주택, 가구 장식, 피복 등 문화적 지출이 증가하여 도시 가계의 생활 수준이 점차 향상되고 있음을 나타낸다.[26]1995년 전 도시의 가구당 엥겔 계수는 25.5%였으며, 근로자 가구는 25.1%, 봉급자 가구는 23.3%였다. 주거비는 근로자 가구가 더 높았고, 전 가구로는 3.4%였다. 피복비는 전 가구 7.0%, 근로자 가구 6.9%, 봉급자 가구 6.9%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교육·교양·오락비는 전 가구 13.3%, 근로자 가구 12.6%, 봉급자 가구 12.9%로 나타났다. 도시 가계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가계 지출에서 식비가 차지하는 엥겔 계수는 점차 낮아지는 반면, 교육비나 교양·오락비에 쓰이는 비용은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
엥겔은 저서 『벨기에 근로자 가족의 생활비의 과거와 현재』(1885)에서 '노동자 가계의 총지출 중 식료비 비중은 저소득층일수록 높다'는 엥겔 법칙을 발표했다. 엥겔 계수는 고소득층일수록, 생활 수준이 향상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바우어(O.Bauer)의 정식에 따르면, 소득 증가에 따라 주거비 지출 비중은 처음엔 감소하다가 일정 한도를 넘으면 불변하거나 증대된다. 피복비 비중은 처음에는 증대하지만 일정 한도를 넘으면 불변 또는 감소한다. 문화, 교양 관계 비목 비중은 끊임없이 증대한다. 엥겔 계수의 감소는 문화, 교양, 오락의 향상이나 주거, 피복 개선 등 생활 내용이 풍부해졌음을 의미하며, 소득 계층 및 국가 간 상대적 계수의 차이는 빈부 격차나 경제 단계를 보여준다.
소비자 지출에 대한 엥겔 계수를 세계 여러 나라와 비교하면, 캐나다, 미국, 벨기에, 룩셈부르크, 스웨덴, 스위스 등 1인당 소득 수준이 높은 선진국은 상대적으로 낮은 엥겔 계수를 기록한다. 반면, 후진 저개발 국가에서는 50~60의 높은 계수가 기록되어 생활 내용의 빈곤함을 보여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일본 도시 노동자의 엥겔 계수는 30%대였지만, 패전 후에는 60% 전후까지 상승했다.[26] 2020년에는 버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27]
연도 | 총 가구 | 2인 이상 가구 | 1인 가구 |
---|---|---|---|
2022년 | 26.0% | 26.6% | 24.2% |
2021년 | 26.6% | 27.2% | 24.8% |
2020년 | 27.0% | 27.5% | 25.4% |
2019년 | 25.4% | 25.7% | 24.6% |
2018년 | 25.5% | 25.7% | 24.6% |
2017년 | 25.5% | 25.7% | 24.5% |
2016년 | 25.7% | 25.8% | 25.1% |
2015년 | 25.0% | 25.0% | 25.1% |
2014년 | 24.0% | 24.0% | 23.8% |
2013년 | 23.6% | 23.6% | 23.5% |
2012년 | 23.6% | 23.5% | 24.1% |
2011년 | 23.6% | 23.6% | 23.5% |
2010년 | 23.2% | 23.3% | 23.1% |
2009년 | 23.4% | 23.4% | 23.1% |
2008년 | 23.2% | 23.2% | 23.0% |
2007년 | 22.9% | 23.0% | 22.5% |
2006년 | 23.1% | 23.1% | 22.9% |
2005년 | 22.7% | 22.9% | 22.1% |
2004년 | 23.0% | 23.0% | 23.0% |
2003년 | 23.1% | 23.2% | 22.6% |
2002년 | 23.3% | 23.3% | 23.3% |
2001년 | 23.2% | 23.2% | 22.9% |
연도 | 홋카이도 | 도호쿠 | 간토 | 호쿠리쿠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 | 오키나와 |
---|---|---|---|---|---|---|---|---|---|---|
2017년 | 24.5% | 25.6% | 25.8% | 26.2% | 25.2% | 27.1% | 25.9% | 24.5% | 24.3% | 28.0% |
4. 2. 가구 특성별 차이
1965년을 기준으로 5년간 연간 소비지출 비목별 변동 상황을 보면, 식료비와 광열비는 각각 30%, 43%씩 증가하여 5대 비목 중 증가율이 가장 낮았다. 반면 주거비는 120%, 잡비는 138.8%, 피복비는 212.3% 증가했다. 1965년 56.7%였던 엥겔 계수는 1975년 43.6%로 13.1% 낮아졌고, 광열비는 5.8%에서 5.4%로 0.4%, 피복비는 1.6% 낮아졌다. 반면 주거비는 8.9%, 잡비는 3.2% 높아졌다. 이는 도시 가계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문화적 지출이 증가했음을 보여준다.1995년 전 도시의 가구당 엥겔 계수는 25.5%였으며, 근로자 가구는 25.1%, 봉급자 가구는 23.3%였다. 주거비는 근로자 가구가 더 높았고(전 가구 3.4%), 피복비는 전 가구 7.0%, 근로자 가구 6.9%, 봉급자 가구 6.9%로 비슷했다. 교육·교양·오락비는 전 가구 13.3%, 근로자 가구 12.6%, 봉급자 가구 12.9%였다. 도시 가계의 생활 수준 향상으로 엥겔 계수는 낮아지는 반면 교육비나 교양·오락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바우어(O.Bauer)의 정식에 따르면, 소득 증가에 따라 주거비 지출 비중은 처음엔 감소하다가 일정 한도를 넘으면 불변하거나 증대된다. 피복비 비중은 처음에는 증대하지만 일정 한도를 넘으면 불변 또는 감소된다. 문화, 교양 관계 비목 비중은 꾸준히 증대한다.
2001년부터 2022년까지의 소비 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다음과 같다.[28]
연도 | 총 가구 | 2인 이상 가구 | 1인 가구 |
---|---|---|---|
2022년 | 26.0% | 26.6% | 24.2% |
2021년 | 26.6% | 27.2% | 24.8% |
2020년 | 27.0% | 27.5% | 25.4% |
2019년 | 25.4% | 25.7% | 24.6% |
2018년 | 25.5% | 25.7% | 24.6% |
2017년 | 25.5% | 25.7% | 24.5% |
2016년 | 25.7% | 25.8% | 25.1% |
2015년 | 25.0% | 25.0% | 25.1% |
2014년 | 24.0% | 24.0% | 23.8% |
2013년 | 23.6% | 23.6% | 23.5% |
2012년 | 23.6% | 23.5% | 24.1% |
2011년 | 23.6% | 23.6% | 23.5% |
2010년 | 23.2% | 23.3% | 23.1% |
2009년 | 23.4% | 23.4% | 23.1% |
2008년 | 23.2% | 23.2% | 23.0% |
2007년 | 22.9% | 23.0% | 22.5% |
2006년 | 23.1% | 23.1% | 22.9% |
2005년 | 22.7% | 22.9% | 22.1% |
2004년 | 23.0% | 23.0% | 23.0% |
2003년 | 23.1% | 23.2% | 22.6% |
2002년 | 23.3% | 23.3% | 23.3% |
2001년 | 23.2% | 23.2% | 22.9% |
2017년 일본 지방별 소비 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다음과 같다.[28]
연도 | 홋카이도 | 도호쿠 | 간토 | 호쿠리쿠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 | 오키나와 |
---|---|---|---|---|---|---|---|---|---|---|
2017년 | 24.5% | 25.6% | 25.8% | 26.2% | 25.2% | 27.1% | 25.9% | 24.5% | 24.3% | 28.0% |
4. 3. 지역별 차이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엥겔 계수는 도시 노동자의 경우 30%대였지만, 패전 후에는 60% 전후까지 상승했다.[26] 2020년은 버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27]연도 | 총 가구 | 2인 이상 가구 | 1인 가구 |
---|---|---|---|
2022년 | 26.0% | 26.6% | 24.2% |
2021년 | 26.6% | 27.2% | 24.8% |
2020년 | 27.0% | 27.5% | 25.4% |
2019년 | 25.4% | 25.7% | 24.6% |
2018년 | 25.5% | 25.7% | 24.6% |
2017년 | 25.5% | 25.7% | 24.5% |
2016년 | 25.7% | 25.8% | 25.1% |
2015년 | 25.0% | 25.0% | 25.1% |
2014년 | 24.0% | 24.0% | 23.8% |
2013년 | 23.6% | 23.6% | 23.5% |
2012년 | 23.6% | 23.5% | 24.1% |
2011년 | 23.6% | 23.6% | 23.5% |
2010년 | 23.2% | 23.3% | 23.1% |
2009년 | 23.4% | 23.4% | 23.1% |
2008년 | 23.2% | 23.2% | 23.0% |
2007년 | 22.9% | 23.0% | 22.5% |
2006년 | 23.1% | 23.1% | 22.9% |
2005년 | 22.7% | 22.9% | 22.1% |
2004년 | 23.0% | 23.0% | 23.0% |
2003년 | 23.1% | 23.2% | 22.6% |
2002년 | 23.3% | 23.3% | 23.3% |
2001년 | 23.2% | 23.2% | 22.9% |
연도 | 홋카이도 | 도호쿠 | 간토 | 호쿠리쿠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 | 오키나와 |
---|---|---|---|---|---|---|---|---|---|---|
2017년 | 24.5% | 25.6% | 25.8% | 26.2% | 25.2% | 27.1% | 25.9% | 24.5% | 24.3% | 28.0% |
- 일본 총무성통계국 『가계 조사 연보』 1가구당 1개월 간의 수입과 지출에서
5. 비판적 시각과 정책적 함의
엥겔의 법칙은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식료품비 지출 비중이 감소한다는 법칙이지만, 여러 비판적 시각과 함께 다양한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엥겔은 그의 저서에서 저소득 가계일수록 총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엥겔 법칙을 발견했다.[19] 엥겔 계수는 소득이 높아지고 생활 수준이 향상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문화, 교양, 오락, 주거, 피복 등의 지출 비중은 증가한다. 이는 생활 내용이 풍부해짐을 의미하며, 소득 계층 간, 국가 간 빈부 격차나 경제 발전 단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하지만 엥겔 계수는 단기적으로 재화나 서비스 가격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쌀값이 상대적으로 낮으면 엥겔 계수도 낮아진다. 세계 여러 나라의 엥겔 계수를 비교하면, 캐나다, 미국 등 1인당 소득 수준이 높은 선진국은 엥겔 계수가 낮고, 저개발 국가는 엥겔 계수가 높게 나타나 생활 수준의 차이를 보인다.
엥겔 계수는 생활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지만, 세대 구성, 인구 비율, 가격 체계, 생활 관습 등이 다른 사회 집단을 비교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는다.[19] 따라서 같은 국가, 동일 기간 내에서 비교해야 하며, 국가 간 비교 시에는 소비자 물가 지수를 사용하는 추세이다.[20]
일본의 경우, 소득 수준에 따른 식비 비율 차이가 크지 않고, 중간층의 식비 비율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3] 또한, 고령화, 환율 변동, 식문화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엥겔 계수가 상승할 수 있으며, 상승이 곧 빈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다만, 저소득층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유용하다.[24]
최근 일본에서는 소비세 증세와 고령화에 따른 무직 세대 증가가 엥겔 계수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25]
5. 1. 사회 구조 변화
1965년을 기준으로 한국 가계의 소비 지출 변화를 살펴보면, 식료비와 광열비의 증가율은 낮았던 반면, 주거비, 잡비, 피복비는 크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엥겔 계수는 1965년 56.7%에서 1975년 43.6%로 13.1%나 감소했고, 광열비와 피복비도 소폭 감소한 반면, 주거비와 잡비는 증가했다. 이는 도시 가계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문화적 지출이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1995년 전 도시 가구의 엥겔 계수는 25.5%였으며, 교육·교양·오락비 지출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엥겔은 저서에서 소득이 낮은 가계일수록 식료비 비중이 높다는 '엥겔 법칙'을 제시했다. 엥겔 계수는 소득 증가와 생활 수준 향상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문화, 교양, 오락, 주거, 피복 등의 지출 비중이 증가한다. 이는 생활 내용의 풍부함을 나타내며, 소득 계층 및 국가 간 빈부 격차와 경제 단계를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된다.
하지만 엥겔 계수는 단기적으로 재화 및 서비스 가격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쌀값이 상대적으로 낮으면 엥겔 계수도 낮아진다.
세계 여러 나라의 엥겔 계수를 비교하면, 캐나다, 미국 등 1인당 소득 수준이 높은 선진국은 엥겔 계수가 낮고, 저개발 국가는 엥겔 계수가 높게 나타나 생활 수준의 차이를 보인다.
엥겔 계수는 생활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지만, 세대 구성, 인구 비율, 가격 체계, 생활 관습 등이 다른 사회 집단을 비교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19] 엥겔 계수는 같은 국가, 동일 기간 내에서 비교해야 하며, 국가 간 비교 시에는 소비자 물가 지수를 사용하는 추세이다.[20]
일본의 경우, 소득 수준에 따른 식비 비율 차이가 크지 않고, 중간층의 식비 비율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3]
고령화, 환율 변동, 식문화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엥겔 계수가 상승할 수 있으며, 상승이 곧 빈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다만, 저소득층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유용하다.[24]
맞벌이 세대 증가로 인한 중식 증가는 엥겔 계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식품에 대한 세금 증가가 다른 필수품에 대한 세금 증가보다 클 경우 사회 전체의 엥겔 계수가 상승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2014년 소비세 증세와 고령화로 인한 무직 세대 증가가 엥겔 계수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25]
5. 2. 식생활 변화
1965년을 기준으로 5년간 연간 소비지출의 비목별 변동 상황을 보면, 식료품비와 광열비는 각각 30%, 43%씩 증가하여 5대 비목 중 증가율이 가장 낮았으며, 주거비는 120%, 잡비는 138.8%, 피복비는 212.3%로 실질 수준이 증가했다. 소비 수준 변동에 따라 소비 구조 면에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즉, 엥겔 계수는 점차 낮아져 1965년에 56.7%였던 것이 1975년에는 43.6%로 13.1%나 낮아졌고, 광열비는 5.8%에서 5.4%로 0.4%, 피복비는 1.6% 낮아진 반면, 주거비는 8.9%, 잡비는 3.2% 높아졌다. 이처럼 생활필수품인 식료품비와 광열비 증가율이 구성비 면에서 낮게 나타나고, 주택, 가구 장식, 피복 지출 등 문화적 지출이 증가한 현상은 도시 가계의 생활 수준이 점차 향상됨을 보여준다.1995년 전 도시 가구당 엥겔 계수는 25.5%였으며, 계층별로는 근로자 가구가 25.1%, 봉급자 가구가 23.3%였다. 주거비는 근로자 가구가 높았으며, 전 가구로는 3.4%였다. 피복비는 전 가구가 7.0%, 근로자 가구와 봉급자 가구가 각각 6.9%로 비슷했다. 교육·교양·오락비는 전 가구가 13.3%, 근로자 가구가 12.6%, 봉급자 가구가 12.9%로 나타나, 도시 가계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가계 지출에서 식비가 차지하는 엥겔 계수는 점차 낮아지는 반면 교육비나 교양·오락비 지출은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
아사히 신문은 엥겔 계수가 높은 수준이 된 배경에 식생활 변화가 영향을 미쳤다고 보도했다.[24] 닛세이 기초 연구소의 하제 코이치는 맞벌이 세대 증가는 세대 소득 증가로 이어지므로, 중식에 의한 식비 증가는 엥겔 계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25]
5. 3. 정책적 함의
엥겔의 법칙은 소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가계 소비 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한다는 법칙이다. 이는 엥겔 계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엥겔 계수는 특정 시점의 식비 예산 점유율을 나타낸다. 엥겔 계수는 국가 간 또는 국내 계층 간 생활 수준을 비교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8]엥겔의 법칙과 엥겔 계수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 국가 빈곤선 설정: 엥겔 계수를 활용하여 국가 빈곤선을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양가 있는 식단의 비용을 엥겔 계수로 나누어 빈곤선을 산출한다.[2]
- 생활 수준 변화 추적: 농촌과 도시 지역 간 식량 예산 점유율의 수렴 등을 통해 생활 수준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8]
- 실질 소득 변화 지표: 식량 예산 점유율의 변화는 실질 소득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 물가 지수(CPI)의 편향을 추정할 수도 있다.[17]
- 농업 부문 비중 감소 예측: 엥겔의 법칙에 따라 경제가 성장하면서 농업 부문이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8]
- 농산물 가격 정책의 영향 분석: 농산물 가격 상승은 빈곤층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므로, 관련 정책 수립 시 엥겔의 법칙을 고려해야 한다.[8]
하지만 엥겔 계수는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 엥겔 계수는 1세대당 인원수, 생산 연령 비율, 가격 체계, 생활 관습 등이 다른 사회 집단을 비교하는 데는 적절하지 않다.[19] 특히 국가 간 비교 시에는 고령화율, 맞벌이율, 식문화, 의료비 부담, 주거비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20]
일본의 경우, 지출에서 식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소득 계층별로 큰 차이가 없으며, 오히려 중간층이 더 높은 경우도 있다.[23] 또한, 고령화, 환율 변동, 식문화 변화 등 복잡한 요인으로 인해 엥겔 계수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엥겔 계수 상승이 반드시 빈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24]
최근 일본에서는 소비세 증세와 고령화에 따른 무직 세대 증가가 엥겔 계수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25]
참조
[1]
웹사이트
Engel's law
https://www.merriam-[...]
2021-03-21
[2]
간행물
Engel's Law Around the World 150 Years Later (PDF)
https://www.peri.uma[...]
2021-03-21
[3]
웹사이트
Engel's Law
https://corporatefin[...]
2021
[4]
간행물
Die Productions- und Consumtionsverhältnisse des Königreichs Sachsen
1857
[5]
서적
Food policy Analysis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3
[6]
서적
Structural Change and Growth in Capitalism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1967
[7]
서적
Structural Change and Economic Growth: a Theoretical essay on the dynamics of the wealth of nation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8]
간행물
Engel's Law
https://www.jstor.or[...]
2012-12-31
[9]
간행물
Retrospectives: Engel Curves
https://www.iris.sss[...]
2021-03-21
[10]
간행물
Engel's law revisited
https://are.berkeley[...]
2021-03-21
[11]
간행물
Prices and Cost of Living. Reprint of 16th Annual Report of the Massachusetts Bureau of Statistics and Labor for 1885.
https://www.iris.sss[...]
2021-03-21
[12]
간행물
Ernst Engel's law of expenditures for food
https://academic.oup[...]
2021-03-21
[13]
간행물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household expenditure patterns, commemorating the centenary of Engel's law
https://www.jstor.or[...]
2021-03-21
[14]
간행물
Engel's Law Around the World 150 Years Later (PDF)
https://www.peri.uma[...]
2021-03-21
[15]
간행물
Engel's Law Revisited
https://www.jstor.or[...]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1975-08-01
[16]
웹사이트
Engel's Law Explained
https://www.romecono[...]
2021-03-21
[17]
간행물
Using Engel's Law to Estimate CPI Bias
https://pubs.aeaweb.[...]
2001-06-01
[18]
문서
エンゲルの法則
ブリタニカ・ジャパン
[19]
문서
エンゲル係数
小学館
[20]
문서
週刊SPA!2016年3/1号p 38-39
[21]
웹사이트
日本のエンゲル係数は先進国で「圧倒的1位」28%超…今後も「食費率」が上がり続ける物価高以外の2つの根本理由(プレジデントオンライン)
https://news.yahoo.c[...]
2024-12-21
[22]
웹사이트
家計調査 用語の解説
https://www.stat.go.[...]
総務省統計局
2024-09-21
[23]
뉴스
軽減税率は貧困対策に効果的なのか? / 飯田泰之×荻上チキ SYNODOS -シノドス- 2015年11月11日
https://synodos.jp/e[...]
2021-03-15
[24]
뉴스
エンゲル係数、29年ぶり高水準 食生活の変化が影響か 朝日新聞デジタル 2017年3月30日
https://www.asahi.co[...]
2021-03-15
[25]
PDF
基礎研レポート エンゲル係数の上昇を考える ニッセイ基礎研究所 2017年5月
https://www.nli-rese[...]
2021-03-15
[26]
서적
概論日本歴史
吉川弘文館
2000
[27]
문서
出典:家計調査速報 総務省
[28]
웹사이트
明治から続く統計指標:エンゲル係数
https://www.stat.go.[...]
総務省統計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