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보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의보주는 산스크리트어 '친타마니'를 한국어로 음역한 것으로, 소원을 이루는 보석을 의미한다. 불교에서 부처의 가르침과 자질을 상징하며, 관세음보살 등의 지물로 묘사된다. 힌두교, 불교, 티베트 불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지며, 불교 미술에서는 불상 장엄구로 사용되거나 불탑 상륜 또는 불당 꼭대기에 놓인다. 일본에서는 신도에도 영향을 미쳐 풍요의 여신 우카노미타마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아시아의 신화 - 날개옷 설화
날개옷 설화는 천상의 존재가 인간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다룬 전 세계적인 민담 유형으로, 옷이나 날개를 잃은 천상의 여인이 인간과 결혼 후 다시 하늘로 돌아가는 비극적 줄거리를 공유하며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 힌두 신화의 물건 - 비마나
비마나는 인도 신화에서 신들이 타고 다니는 비행 전차를 의미하며, 현대 남아시아 언어에서는 항공기를, 건축 양식을 뜻하기도 하고, 인도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신화의 물질 - 현자의 돌
현자의 돌은 비금속을 귀금속으로 바꾸고 불로불사의 영약을 제조하는 전설적인 물질로, 중세 연금술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문화권에서 탐구되었으며 만병통치약과 수명 연장 효과를 지닌 은유와 상징으로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 신화의 물질 - 만병통치약
만병통치약은 모든 질병을 치료한다고 주장하는 약으로 의학적으로는 존재할 수 없지만, 역사적으로 특정 물질이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졌으며, 현재는 과장 광고 규제 대상이자 건강이나 문제 해결 방안을 비유하는 데 쓰인다.
여의보주 | |
---|---|
일반 정보 | |
![]() | |
산스크리트어 | चिन्तामणि (Cintāmaṇi) |
중국어 | 如意寶珠 (Rúyì bǎozhū) |
일본어 | 如意宝珠 (Nyoihōju) |
한국어 | 여의보주 (如意寶珠) |
의미 | 소원을 들어주는 보석 |
종교 | 불교 힌두교 |
불교적 의미 | |
특징 | 모든 부처의 보석, 모든 보물의 왕 |
역할 | 소원을 들어줌 고통받는 존재를 도움 |
여의주 (한국) | |
상징 | 권능과 조화 |
관련 문화 | 신화 전설 민속 신앙 |
사용 | 왕이나 영웅의 능력 상징 |
관련 개념 | |
힌두교 | 친타마니 가네샤 |
불교 | 보주 |
2. 어원
'''친타마니'''(산스크리트어: चिन्तामणि)는 '소원을 이루는 보석'(ཡིད་བཞིན་ནོར་བུ|yid bzhin norbubo)을 뜻한다.[4] ''마니''(보석)는 중국어로 '소원대로 되는 구슬'을 뜻하는 ''루이''(如意) 또는 ''루이주''(如意珠)나 '소원대로 되는 보배 구슬'을 뜻하는 ''루이바오주''(如意寶珠)로 번역된다. ''루이바오주''는 일본어로 '뇨이호주'(nyoi-hōju, 如意宝珠) 또는 '뇨이호슈'(nyoi-hōshu, 如意宝珠)로 발음된다. ''루이주''는 한국어로 ''여의주''라고 발음한다.
여의보주는 힌두교와 불교에서 중요한 종교적 의미를 지닌다. 브리하드 바가바타미리타는 여의보주를 비슈누에 대한 헌신과 비교하며, 매우 희귀하고 얻기 힘든 보물로 묘사한다. 바가바타 푸라나에서는 세속적인 쾌락과 풍요를 가져다주지만, 영적인 진보를 위해서는 바이쿤타에 도달해야 한다고 말한다.[5]
산스크리트어에서 친타는 "사고", 마니는 "구슬"을 의미하는 단어로, "뜻대로 소원을 이루는 보물"로 해석할 수 있다. 여의보, 여의주, 또는 보주(寶珠)라고 불린다.
3. 종교적 의의
불교에서 여의보주는 질병 치료, 물 정화 등 소원을 이루어주는 마법의 보석으로, 부처의 가르침과 자질을 상징한다. 관세음보살의 화신 중 하나는 친타마니를 든다고 하며, 티베트 불교에서는 하늘에서 떨어진 유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르네 게농은 여의보주를 현자의 돌과 동등한 것으로 보았다.[7]
3. 1. 힌두교
브리하드 바가바타미리타는 이 보석을 비슈누에 대한 헌신과 비교한다. 누구든 유리 조각을 얻을 수 있고 때로는 금 조각도 얻을 수 있지만, 친타마니는 매우 희귀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유사하게, 천국의 즐거움과 해탈은 쉽게 얻을 수 있지만, 프레마-박티는 극히 드물다고 한다.[5] 바가바타 푸라나는 친타마니가 스바르가에서 세속적인 쾌락과 풍요를 줄 수 있지만, 영적인 진보는 비슈누의 영역인 바이쿤타에 도달하게 해준다고 언급하는데, 이는 심지어 ''요기''들에게도 달성하기 어렵다.[5]
3. 2. 불교
불교에서 여의보주(मणि|마니sa, चिन्तामणि|친타마니sa, cintāmaṇi-ratna|친타마니-라트나sa)는 질병 치료, 물 정화, 의복, 음식, 보물 등 소원을 이루어주는 마법의 보석을 나타내는 중요한 신화적 상징이다. 이는 부처의 가르침과 자질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상징이다.[6]
관세음보살의 화신 중 하나는 친타마니차크라라고 불리며 친타마니를 든다.
티베트 불교에서 친타마니는 티베트의 라 토토리 냘첸 왕의 통치 기간 동안 하늘에서 떨어진 상자에서 나온 네 개의 유물 중 하나라고 한다. 왕은 물건의 목적을 이해하지 못했지만, 그것들을 경건한 위치에 보관했다. 수년 후, 두 명의 신비한 이방인이 왕의 궁정에 나타나 부처의 발우(아마도 싱잉볼)와 옴 마니 파드메 훔 만트라가 새겨진 마니석을 포함한 네 개의 유물을 설명했다. 이 몇 가지 물건들은 법을 티베트로 가져온 자들이었다.
킨타마니 발리의 산악 지역은 친타마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여의보주의 형태는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하부가 구형이고 상부가 산 모양으로 굽어 뾰족하다. 반면에 티베트 불교의 종교화나 건조물에서는 하부가 원통형으로 뻗어있고, 상부가 산 모양으로 굽어 뾰족하다.
여의보주를 표현하는 한 종류로서, 3개의 친타마니가 겹쳐진 것(대부분 아래에 2개가 가로로 나란히 있고 그 위에 1개가 놓인 형태)을 하나의 화염이 감싼 것이 있는데, 이것을 삼변보주라고 부른다.
친타마니는 부처나 부처의 가르침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지장보살, 허공장보살, 여의륜관음 등의 지물로 삼매야형으로 여겨진다. 친타마니는 무한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전해지며, 기도의 대상이 된다.
친타마니는 보통 불탑의 상륜 최상부에 부착된다. 그 외에는 불당의 꼭대기에 놓이는 경우가 있다.
난간 동자 (다리 난간 등 사찰 이외의 건조물의 장식)는 친타마니를 본뜬 것이라는 설이 있다.
'''여의보주'''의 개념은 천태 지의의 마하지관과 함께 일본에 전해졌다. 헤이안 시대에는 신도에도 받아들여져, 벼를 가진 풍요의 여신 우카노미타마가 부유의 신으로서 '''여의보주'''를 가진 모습으로 그려지게 되었다. 우카노미타마와 함께 신앙되어 온 '''여의보주'''의 도안은 구마노혼구 대사의 우교쿠보인(牛玉寶印)이나 후시미이나리 대사의 고슈인(御朱印)으로 계속 날인되어, 현대에도 신앙의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보주인의 원형으로 보이는 불꽃을 뿜는 액적의 도안은, 일본에 불교가 전해지기 전인 6세기경, 고구려의 고산동 1호분 북벽의 현무 벽화 중앙에 이미 그려져 있다.
4. 형태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하부가 구형이고 상부가 산 모양으로 굽어 뾰족하다. 반면에 티베트 불교의 종교화나 건조물에서는 하부가 원통형으로 뻗어있고, 상부가 산 모양으로 굽어 뾰족하다.
여의보주를 표현하는 한 종류로서, 3개의 친타마니가 겹쳐진 것(대부분 아래에 2개가 가로로 나란히 있고 그 위에 1개가 놓인 형태)을 하나의 화염이 감싼 것이 있는데, 이것을 삼변보주라고 부른다.
5. 기타
일본에서 여의보주는 일반적으로 하부가 구형이고 상부가 산 모양으로 굽어 뾰족한 형태를 띤다. 반면 티베트 불교의 종교화나 건조물에서는 하부가 원통형으로 뻗어있고, 상부가 산 모양으로 굽어 뾰족하다.
3개의 친타마니가 겹쳐진 것을 하나의 화염이 감싼 형태는 삼변보주라고 부른다.
친타마니는 부처나 부처의 가르침을 상징하며, 지장보살, 허공장보살, 여의륜관음 등 불상의 지물인 삼매야형으로 여겨진다. 친타마니는 무한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전해져 기도의 대상이 된다.
친타마니는 보통 불탑의 상륜 최상부에 부착되거나 불당의 꼭대기에 놓인다.
난간 동자 (다리 난간 등 사찰 이외의 건조물의 장식)는 친타마니를 본뜬 것이라는 설이 있다.
여의보주의 개념은 천태 지의(지의)의 마하지관과 함께 일본에 전해졌다. 헤이안 시대에는 신도에도 받아들여져, 벼를 가진 풍요의 여신 우카노미타마가 부유의 신으로서 여의보주를 가진 모습으로 그려지게 되었다. 우카노미타마와 함께 신앙되어 온 여의보주의 도안은 구마노혼구 대사의 우교쿠보인(牛玉寶印)이나 후시미이나리 대사의 고슈인(御朱印)으로 계속 날인되어, 현대에도 신앙의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에 불교가 전해지기 전인 6세기경, 고구려의 고산동 1호분 북벽의 현무 벽화 중앙에 이미 불꽃을 뿜는 액적의 도안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보주인의 원형으로 보인다.
참조
[1]
서적
The Concise Yoga Vāsiṣṭh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
서적
The Past before us: Historical traditions of early North India
Harvard
[3]
서적
Beyond price: pearls and pearl-fishing : origins to the Age of Discoveries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4]
간행물
'The First Four Themes of Klong chen pa's ''Tsig don bcu gcig pa'''
http://himalaya.soca[...]
Revue d'Etudes Tibetaines
2009-04
[5]
웹사이트
Nārada Meets Bhakti (Devotion in a Human Form) [Chapter 1]
https://www.wisdomli[...]
2022-08-12
[6]
Dictionary
"ruyizhu", in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http://www.buddhism-[...]
[7]
서적
Symbols of Sacred Science
https://books.google[...]
Sophia Perennis, USA
[8]
웹사이트
如意宝珠とは
http://monnbutuji.la[...]
日蓮正宗 真光寺
2020-05-02
[9]
웹사이트
稲荷神の概要
https://ameblo.jp/bl[...]
徒然草子
2020-05-02
[10]
서적
「熊野詣」五来重
講談社学術文庫
2004-12-10
[11]
웹사이트
ご朱印
https://xn----h36a23[...]
伏見稲荷大社
2020-05-02
[12]
서적
早乙女雅博監修「高句麗壁画古墳報道写真展」
共同通信社
2012-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