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병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병환은 1878년 충청북도 증평에서 태어난 독립운동가로, 형제 연병호와 함께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관립외국어학교를 졸업하고 대한제국 시기 관료로 근무했으며, 만주로 건너가 중국인으로 귀화하여 용정 해관에서 근무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했다. 3.1 운동 이후 일본 경찰의 탄압을 피해 상하이와 산도오 해관으로 전근되었으며, 중광단의 군사 작전을 지원했다. 1926년 중국에서 사망했으며, 2008년 건국훈장 대통령 표창을 추서받았다. 2014년 유해가 대한민국으로 반환되어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2. 생애

1878년 10월 21일 조선 충청북도 증평에서 태어났으며, 형제로는 독립운동가 연병호가 있다. 유년기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으나, 관립외국어학교 영어학교를 졸업했다는 기록이 있다.

2. 1. 대한제국 시기 (1878-1910)

1897년 관립외국어학교 영어학교를 졸업하고 궁내부 주사로 발탁되었다.[1] 인천 해관과 부산 해관에서 근무했으며, 1901년 양지아문 양무위원으로 발령받았다.[1] 1906년 이후 통감부 체제에서 청주 군수로 발령받았으나 거부했다.[1] 만주로 건너간 연병환은 1907년 중국인으로 귀화한 뒤, 영어 능력과 세무직 경험에 대한 영국인 친구의 추천으로 1908년 7월부터 중국 용정 해관에서 일했다.[1]

만주로 건너간 이후에도 원래 부인이 고향에서 경작을 해 독립운동 자금을 지속적으로 지원했고,[2] 이 무렵 김정숙과 중혼해 딸이자 독립운동가인 연미당과 아들 연충렬을 낳았다. 1910년 8월 조선이 일본에 완전히 병합되자 충북 증평에 있던 형제들을 망명시키면서 모든 가족이 만주로 정착하게 된다.[1]

2. 2. 만주/중국 활동 시기 (1910-1926)

1907년 중국인으로 귀화한 연병환은 영어 능력과 세무직 경험을 바탕으로 1908년 7월부터 중국 용정 해관에서 근무하게 되었다.[1] 만주로 건너간 이후에도 원래 부인은 고향에서 경작을 통해 독립운동 자금을 계속 지원했고,[2] 이 무렵 김정숙과 중혼하여 딸 연미당과 아들 연충렬을 낳았다. 1910년 8월 조선이 일본에 완전히 병합되자 충북 증평에 있던 형제들을 망명시켜 모든 가족이 만주에 정착하게 되었다. 1911년 신해혁명 이후에도 계속 용정 해관에서 근무했다. 1912년 연길현에서 여자중학교를 운영하며 교육에도 종사하였고, 용정 세관에서 일하며 얻은 정보와 자금으로 독립운동을 지원했다.[1]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1919년 3.1 운동의 영향으로 용정에서 3월 13일 만세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를 지원했던 연병환을 일본 간도총영사관 경찰이 검거하고자 했다. 연병환에게 우호적이었던 중국 세관은 그를 톈진 세관으로 전근시키며 보호하려 했다. 그러던 중 송별회로 그가 집을 비운 사이 영사관 경찰이 자택에 들이닥쳐 아편이 발견되었다고 조작했다. 1919년 6월 19일 일본 경찰은 그를 상습 아편 음용범으로 몰아 체포했지만, 귀화 중국인 신분이었기에 2개월 간의 취조 끝에 풀어줄 수밖에 없었다. 1919년 10월 상하이 세관으로 발령된 그는 1920년 초 가족과 함께 상하이로 이사했다. 일본 제국은 그를 현직에서 퇴직시키고 배일(排日)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곳으로 전출시킬 것을 강력히 요구할 정도로, 연병환은 일제가 가장 경계하는 독립운동가 중 하나였다. 결국 중화민국 당국은 연병환을 복건성 산도오 해관으로 전근시키게 된다.[1]

《곡산연씨족보》에 따르면, 연병환은 중국 해관에서 근무하면서 만주 독립군 중광단의 군사공작에 가담하여 무기와 군자금을 제공했다. 이후 중광단은 청산리대첩에서 승리하게 된다. 1925년 7월 중화민국 하남군무독판공서 고문에 임명되어 1926년 5월 14일 진강 임소에서 별세할 때까지 근무했다.[1]

3. 사후

연병환의 가족들은 임시정부 동료들의 도움으로 그의 유해를 상하이의 외국인 공동묘지에 안장하였고, 경제적으로 지원한 그의 경력 덕에 장례식에는 많은 사람들이 참석했다.[1]

2008년 독립운동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다.[3] 2014년 11월 14일 연병환의 유해가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쑹칭링에서 대한민국으로 봉환되어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고, 이로써 연병환은 88년 만에 대한민국으로 돌아오게 되었다.[3] 2016년 5월 9일에는 연병환이 태어났던 충청북도 증평군에서 연병환, 연병호, 연미당 3인의 독립운동 화보집을 제작하기도 했다.[5]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연병호 (독립운동가)
연미당 (독립운동가)
아들연충렬


참조

[1] 웹인용 이달의 독립운동가 - 연미당 http://e-gonghun.mpv[...] 2019-03-15
[2] 뉴스 "증평 독립운동가 연병환 경제수준은 중농" https://www.joongang[...] 2019-03-15
[3] 뉴스 독립운동가 연병환 선생 유해 88년 만에 고국 송환 http://news.kbs.co.k[...] 2019-03-15
[4] 뉴스 "[독립운동 투신한 연병환 선생과 자손]" https://www.joongang[...] 2019-03-15
[5] 뉴스 증평 애국지사 연병환 선생일가 화보집 발간 http://www.cbinews.c[...] 2019-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