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병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병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청안중명학교, 북간도 창동학원, 베이징 대학을 졸업하고, 만주, 난징, 상하이 등지에서 독립운동을 펼쳤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고, 청년외교단을 조직하여 군자금 모금 활동을 했으며,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했다. 해방 후에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 환영회 영접부장 등을 역임했으며, 제1대 및 제2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2014년 4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으며, 그의 생가는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증평군 출신 - 이양호 (1937년)
    이양호는 대한민국 공군 출신으로 합동참모의장과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린다 김 사건에 연루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고 특별사면 후 2020년 사망했다.
  • 증평군 출신 - 소이현
    소이현은 2003년 드라마 《노란 손수건》으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예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배우로, 드라마 《부활》, 예능 《동상이몽 2 - 너는 내 운명》 등에 출연했으며 배우 인교진과 결혼하여 두 딸을 두고 있다.
  • 곡산 연씨 - 연형묵
    연형묵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부장, 서기를 역임하고 정무원 총리를 지내며 경제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했으며, 남북총리회담 개최와 한반도 비핵화 선언에 기여했다.
  • 곡산 연씨 - 연제민
    연제민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데뷔하여 여러 팀을 거쳤으며 다양한 연령대의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2012 AFC U-19 챔피언십과 2015 킹스컵 우승을 경험했고, K리그 통산 150경기 1득점을 기록, 2024년 2월에는 중국 1부 리그 쑤저우 동우에 입단했다.
  • 괴산군 출신 - 경대수
    경대수는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로서 대검찰청 마약조직범죄부장 등을 역임하고, 새누리당 소속으로 19대와 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국회 및 당내 주요 직책을 맡았으나 아들의 병역 면제 논란이 있었다.
  • 괴산군 출신 - 이기붕
    이기붕은 이승만 정권에서 요직을 두루 거치며 권력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으나,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몰락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연병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병호
인물 정보
이름연병호
출생일1894년 11월 22일
출생지조선 충청도 증평
사망일1963년 1월 25일
국적조선→대한제국→대한민국
본관곡산 연씨
직업독립운동가, 정치인
정치 경력
의원 선수미확인
의원 대수미확인
정당미확인
가족 관계
부모미확인
형제미확인
배우자미확인
자녀미확인
기타 정보
군 복무미확인
종교미확인
상훈건국훈장 독립장
서명미확인

2. 생애

충청도 괴산군(현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석곡리 출신이다.[9] 청안중명학교와 북간도 창동학교를 거쳐 중화민국 베이징 대학을 졸업했다.[9]

한일 병합 이후 국외로 망명하여 만주, 난징, 상하이 등지에서 활동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는 등 독립운동에 헌신했다.[9] 국내에 잠입하여 비밀 항일 단체를 조직하고 군자금 모금 활동을 벌이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기도 했으며, 출옥 후 다시 중국으로 건너가 여러 독립운동 단체에 참여하고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했다.[9] 망명 시기에는 조소앙의 동생 조용주, 안재홍, 신익희 등과 교류하며 활동했다.[9]

광복 후 귀국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영회 영접부장,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 등을 맡으며 정치 활동에 참여했고,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9]

1963년 1월 심장마비로 사망했으며,[9] 같은 해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9] 2002년 1월 11일에는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석곡리에 있는 생가가 충청북도기념물 제122호로 지정되었고,[9] 2014년 4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9]

2. 1. 독립운동

충청도 괴산군(현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석곡리 출신으로, 청안중명학교와 북간도 창동학원을 거쳐 중화민국으로 건너가 활동했다. 베이징에서는 광복군의 소개로 리다자오와 만나 교류했으며, 러시아를 통한 대한민국의 독립 지원금 확보를 위해 노력했다.[9]

일제에 의해 국권이 피탈되자 국외로 망명하여 만주, 난징, 상하이 등지를 오가며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만주에서는 길림군정서 분서 조직에 참여하고 서기장 참모를 역임했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이에 참여했으며, 국내에서 임시정부를 후원하기 위해 동지 송세호와 함께 입국했다. 국내에서는 이병철, 조용주 등을 규합하여 비밀 항일운동 단체인 청년외교단을 조직했다. 이 단체는 국내 정보를 수집하여 임시정부에 제공하고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여 송금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며, 여성 비밀결사인 대한애국부인회와 긴밀히 협력하며 군자금 모금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이 활동으로 인해 1920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9]

1922년 출옥 후 다시 상하이로 건너가 안창호, 여운형 등과 함께 시사책진회를 조직하여 활동했다. 또한 1921년에는 세계한인동맹회에 참여했으며, 1922년1933년 두 차례에 걸쳐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25년 말에는 다시 만주로 이동하여 재만 조선인 항일 조직인 신민부에 참여했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는 국제 공산당 측과 독립군 자금 지원 문제 등을 협의했다.[9]

1929년에는 난징으로 이동하여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한국혁명당 결성에 참여했으며, 당 중앙집행위원 겸 선전부장을 맡았다. 1930년에는 중국 국민당의 요청으로 항저우에서 조선 독립 운동에 관한 연설을 하기도 했다. 이후 1934년 신한독립당, 1935년 조선민족혁명당 결성에 참여했으나, 조선민족혁명당 내 이념 갈등으로 인해 연병호를 포함한 구 신한독립당 계열 인사들은 탈퇴했다.[9]

1936년에는 월간 『독립공론』의 주간을 맡았으나, 잡지의 논조 문제로 김구 세력과 대립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김구파 청년단에게 폭행을 당해 입원하기도 했다. 이후 일본의 침략이 격화되면서 난징을 떠났다. 1937년 1월, 상해 거류 조선인 회장 이갑녕에 대한 저격 사건에 연루되어 상하이에서 체포되었고, 조선으로 압송되어 1944년까지 옥고를 치렀다.[9]

독립운동 기간 동안 동아혁명위원회를 조직했으며, 조소앙의 동생 조용주, 안재홍, 신익희 등과 함께 활동했다. 해방 이후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영회 영접부장,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 한국독립당 선열사적조사위원장 겸 훈련부장, 대한민국 정무위원 겸 농민부장 등을 역임했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으며, 2014년 4월에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2002년 1월 11일에는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석곡리에 위치한 그의 생가가 충청북도기념물 제122호로 지정되었다.[9]

2. 2. 해방 이후 정치 활동

해방경성부에 머물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 환영회 영접부장을 맡았다. 이후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 한국독립당 선열사적조사위원장 겸 훈련부장, 대한민국 정무위원 겸 농민부장 등을 역임했다.[1][2] 1948년 제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괴산군 선거구에서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였으며,[1][2]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대한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1][2] 1963년 1월 심장마비로 사망하였고,[1][2] 같은 해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1][2]

3. 가족 관계

형 연병환과 동생 연병주, 연병오가 있다. 형 연병환은 중국으로 망명하여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며, 두 동생 연병주와 연병오 역시 독립운동에 헌신했다.[3]

독립운동가 연미당은 조카(형 연병환의 딸)이며, 연미당의 남편은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인 엄항섭이다.[4]

4.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결과
1948년제헌 총선충북 괴산군무소속당선 (초선)
1950년2대 총선충북 괴산군대한국민당당선 (재선)
1954년3대 총선충북 괴산군무소속낙선


4.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충북 괴산군, 무소속)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충북 괴산군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40,319표 (득표율 77.54%)를 얻어 1위로 당선되었다. 이 선거를 통해 처음으로 국회의원이 되었다.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충북 괴산군, 대한국민당)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소속으로 충북 괴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7,989표(득표율 16.01%)를 얻어 1위로 당선, 재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충북 괴산군, 무소속)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충북 괴산군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10,250표(득표율 19.43%)를 얻어 2위로 낙선하였다.

5. 평가 및 기념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망명 시대에는 조소앙의 동생 조용주, 안재홍, 신익희 등과 함께 활동했으며, 2014년 4월의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6. 관련 문화재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석곡리에 위치한 증평 연병호 생가는 초가 한옥으로, 2002년 1월 11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122호로 지정되었다.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공훈전자사료관 - 연병호 https://e-gonghun.mp[...] Ministry of Patriots & Veterans Affairs 2023-08-20
[3] 웹사이트 성씨의 고향곡산연씨 https://www.joongang[...] 1984-06-29
[4] 웹사이트 충북 증평군, ‘곡산 연씨’ 일가 독립운동사 책 출간 https://m.khan.co.kr[...] 2016-02-26
[5] 웹사이트 연병호(延秉昊) https://encykorea.ak[...] 2023-08-20
[6]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3-08-20
[7] 웹사이트 충청북도 기념물 증평 연병호 생가 (曾坪 延秉昊 生家)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https://www.heritage[...] 2023-08-20
[8]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9]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