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브세이 리베르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브세이 리베르만은 러시아 제국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경제학자이다. 그는 민주집중제에 입각한 새로운 경제 계획 방법을 제안했으며, 1962년 프라우다에 "Plan, benefit and prisms"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코시긴 개혁의 기초를 마련했다. 리베르만은 기업 자율성 확대와 이윤에 따른 보상 지급을 통해 노동 의욕을 높이고 경제 효율을 향상시키려 했지만, 1960년대 그의 개혁은 소련 경제 활성화에 실패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산업 회사의 대차대조표 구조', '사회주의 기업의 수익성을 높이는 수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경제학자 - 빅토르 유셴코
    은행가 출신으로 우크라이나 국립은행 총재와 총리를 지낸 빅토르 유셴코는 오렌지 혁명의 주역 중 한 명으로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역임하며 친서방 정책을 추구했으나, 정치적 위기와 낮은 지지율 속에 2010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했다.
  • 우크라이나의 경제학자 - 아르세니 야체뉴크
    우크라이나의 정치인, 경제학자, 변호사인 아르세니 야체뉴크는 2014년 우크라이나 혁명 이후 총리를 역임하며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위기에 대처했고, 우크라이나-유럽 연합 제휴 협정 체결을 주도했다.
  • 소련의 경제학자 - 예고르 가이다르
    예고르 가이다르는 1990년대 초 러시아 정부에서 급진적인 시장경제 개혁인 "쇼크 요법"을 주도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이 개혁은 물가 상승을 초래했지만 시장경제 전환을 가져왔다는 평가와 사회적 비용 및 불평등 심화에 대한 비판을 동시에 받으며, 그의 개혁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린다.
  • 소련의 경제학자 - 레오니트 칸토로비치
    레오니트 비탈리예비치 칸토로비치는 소비에트 연방의 수학자이자 경제학자로, 선형 계획법 이론을 개발하고 자원 배분 최적화 이론에 기여한 공로로 1975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수학, 경제학 분야에서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 안톤 판네쿡
    네덜란드 천문학자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인 안톤 판네쿡은 은하수 구조 및 항성 분포 연구에 기여하고 천문학사를 저술했으며, 평의회 공산주의 이론을 발전시켜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예브세이 리베르만
기본 정보
예브세이 리베르만
예브세이 그리고리예비치 리베르만
인물 정보
이름예브세이 그리고리예비치 리베르만
로마자 표기Yevsey Grigor'yevich Liberman
출생1897년 12월 2일 (구력 11월 20일), 슬라부타
사망1981년 11월 11일, 하르키우
국적소련
직업경제학자, 교수
분야경제학
학력
교육키예프 상업 대학 졸업
경력
근무처하르키우 공학 경제 연구소 교수
하르키우 대학교 정치경제학과 학과장
수상
수상 내역노동 적기 훈장
명예의 징표 훈장

2. 생애

예브세이 리베르만은 러시아 제국 슬라부타의 부유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키이우 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33년 하르키우 국립경제대학교를 졸업하였다. 하르키우 공과대학, 하르키우 폴리테크닉 연구소, 하르키우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민주집중제에 입각한 새로운 경제 계획 방법을 제안했으며, 그의 논문은 프라브다(1962)에 "Plan, benefit and prisms"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이는 코시긴 개혁의 기초가 되었다.

1960년대 리베르만의 개혁은 실패로 끝났지만, 동독에서도 시행되었다.

아내 레지나 호로위츠는 유명한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호로비츠의 누이동생이었다. 증손녀 제니아도 콘서트 피아니스트이다. 1981년 하르키우에서 사망하였다.

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출판년도제목
1948산업 회사의 대차대조표 구조
1956사회주의 기업의 수익성을 높이는 수단
1963자원 사용 분석
1965소련 경제를 위한 계획과 이점
1967사회주의 계획


3. 리베르만 이론과 코시긴 개혁

예브세이 리베르만은 민주집중제에 입각한 새로운 경제 계획 방법을 제안했다. 그의 논문은 1962년 프라우다에 "계획, 이윤, 보너스"(Plan, pribyl', premiya)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으며, 이는 코시긴 개혁의 기초가 되었다.

그의 가장 주목할 만한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산업 기업의 대차대조표 구조" (Structure of the balance of an industrial company, 1948년)
  • "사회주의 기업의 수익성을 높이는 수단" (Means to raise the profitability of the socialist companies, 1956년)
  • "자원 사용 분석" (Analysis of the use of resources, 1963년)
  • "소련 경제를 위한 계획과 이점" (Plan and benefits for the Soviet economy, 1965년)
  • "사회주의 계획" (Planning of the socialism, 1967년)

3. 1. 리베르만 이론

예브세이 리베르만은 민주집중제 원칙에 기반한 새로운 국가 계획 기법인 '리베르만 이론'을 제창했다. 이 이론은 중앙 정부에서 하달하는 지표의 수를 줄이고, 기업의 자율성을 높이는 것을 골자로 한다. 또한, 이윤을 많이 낸 기업과 개인에게 높은 보상을 지급하여 노동 의욕을 높이고, 경제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했다. 이윤 추구를 강조한 이 아이디어는 1962년 9월 프라우다에 게재된 "계획, 이윤, 그리고 보상금"이라는 논문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1964년에는 소련 최고 지도자였던 니키타 흐루쇼프 서기장이 시험적으로 보상금 제도를 도입하기도 했다.

흐루쇼프 실각 후에도 리베르만 이론은 계속 추진되었다. 1962년 9월, 흐루쇼프의 후임인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기장은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등과 함께 기업 분권화를 추구하는 경제 개혁(코시긴 개혁)을 추진했다. 다만, 이 개혁에서 리베르만 이론은 원래 제안과는 달리 보상금 대상을 기업으로 한정했다. 리베르만 이론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것은 1966년부터였지만, 1968년에 개혁 자체가 좌초되었다.

리베르만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산업 기업의 대차대조표 구조" (1948년)
  • "사회주의 기업의 수익성을 높이는 수단" (1956년)
  • "자원 사용 분석" (1963년)
  • "소련 경제를 위한 계획과 이점" (1965년)
  • "사회주의 계획" (1967년)

3. 2. 코시긴 개혁

예브세이 리베르만이 민주집중제 원칙에 기반하여 국가 계획의 새로운 기법(리베르만 이론)을 제창했다. 이 기법은 1962년 9월 프라우다에 기고된 '계획, 이윤, 그리고 보상금' 논문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1964년 니키타 흐루쇼프 최고 지도자 겸 서기장은 시험적으로 보상금 제도를 도입했다.

흐루쇼프 실각 후인 1965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기장은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등과 함께 기업 분권화를 꾀하는 경제 개혁(코시긴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 개혁에서 리베르만 이론은 원래 제창된 것과 달리 보상금 대상이 기업에 한정되었다. 리베르만 이론은 1966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었지만, 1968년 개혁 자체가 좌절되었다.

3. 3. 개혁의 실패와 영향

리베르만은 민주집중제 원칙에 기반한 새로운 국가 계획 기법(리베르만 이론)을 제창했다. 이 기법은 상부에서 내려오는 지표의 수를 줄이고 기업의 자율성을 높이는 것이었다. 또한, 큰 이윤을 낸 기업이나 개인에게 높은 보상금을 주어 노동 의욕을 높이고 경제 효율을 꾀했다. 이윤 추구를 중요시한 이 생각은 1962년 9월 프라우다에 실린 '계획, 이윤, 그리고 보상금'이라는 논문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1964년에는 당시 최고 지도자였던 니키타 흐루쇼프 서기장이 시험적으로 보상금 제도를 도입했다.

흐루쇼프 실각 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기장은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등과 함께 기업 분권화를 꾀하는 경제 개혁(코시긴 개혁)을 추진했다. 다만, 이 개혁에서 리베르만 이론은 원래 리베르만이 제창한 것과는 달리 보상금 대상을 기업에 한정했다. 리베르만 이론이 본격적으로 실시된 것은 1966년부터였지만, 1968년에 개혁 자체가 좌절되었다.

1960년대 리베르만의 개혁은 소련 경제를 활성화시키려는 시도였지만 실패로 끝났다. 리베르만의 개혁 제안은 동독에서도 시행되었다.

4. 주요 저서

제목저자출판사연도언어비고
생산의 규범적 회계 (Normativnyy uchet v proizvodstve)E.G. 리베르만소유즈오르구체트1932러시아어
공장 내 원가 회계 (Vnutrizavodskiy khozraschet)E.G. 리베르만Izd-vo 및 1-야 팁. 마쉬기자 v L.1950러시아어
기계 건설 기업의 조직 및 계획 (Organizatsiya i planirovanie mashinostroitel'nykh predpriyatiy)Yu.E. 즈뱌긴체프, A.N. 졸로타레프, E.G. 리베르만마쉬기즈1960러시아어E.G. 리베르만 편집
공공 생산 효율성 향상을 위한 경제적 방법 (Ekonomicheskie metody povysheniya effektivnosti obshchestvennogo proizvodstva)E.G. 리베르만경제1970러시아어
산업 기업의 균형 구조E.G. 리베르만1948
사회주의적 기업의 수익성 향상 수단E.G. 리베르만1956
자원 사용의 해석E.G. 리베르만1963
소비에트 경제를 위한 계획과 이윤E.G. 리베르만1965
사회주의의 계획E.G. 리베르만19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