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군의 농어촌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산군의 농어촌버스는 예산군 지역의 대중교통으로, 2013년 8월 1일부터 운임이 인상되어 일반 1,300원, 청소년 1,040원, 어린이 650원으로 운영된다. 2014년 12월부터 예산군 내에서 1시간 이내 1회 무료 환승이 가능하며, 예산교통이 모든 노선을 운행한다. 2012년 1월 16일부터 노선번호제를 시행하며, 100번대는 대술 방면, 200번대는 신양 방면, 300번대는 응봉, 대흥, 광시 방면, 400번대는 신례원, 온양 방면, 500번대는 삽교, 덕산, 고덕 방면, 600번대는 오가, 양신 방면, 700~900번대는 대률, 딴산, 예산여중, 공주대 예산캠퍼스 방면으로 운행하며, 신경리를 기점으로 내포신도시 방면 노선도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의 버스 교통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충청남도의 버스 교통 - 내포시외고속버스정류장
내포시외고속버스정류장은 충청남도 홍성군에 위치하여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등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서울호남행 고속버스와 수도권 주요 도시 및 충청권, 호남권 지역으로 향하는 시외버스, 그리고 예산군과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를 운행한다. - 예산군의 교통 - 신례원역
신례원역은 충청남도 예산군 신례원면에 위치한 장항선 철도역으로, 조선시대 왕명 전달 기관인 신례원의 이름을 따랐으며, 1922년 개업 후 보통역으로 승격, 현재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에서 새마을호, 무궁화호, ITX-마음 등이 정차한다. - 예산군의 교통 - 삽교역
삽교역은 1923년 영업을 시작하여 수덕사역으로 변경되었다가 환원되었으며, 장항선 직선화로 역사가 이전되었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새마을호와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예산군의 농어촌버스 | |
---|---|
버스 정보 | |
지역 | 예산군 |
구분 | 농어촌버스 |
![]() | |
관리 기관 | 예산군청 건설교통과 |
서비스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
기타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공주시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당진시 충청남도 홍성군 |
노선 수 | 143 |
인가 대수 | 47 |
결제 정보 |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티머니 캐시비 마이비 레일플러스 한페이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M형과 MT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BC 삼성 신한 하나 현대M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
웹사이트 | |
사이트 | 예산군의 농어촌버스 노선 |
2. 운임
현재 운임은 2013년 8월 1일부터 인상된 것으로, 기존 운임보다 18.2% 인상되었다.[3]
예산군 지역에서만 단일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타 시·군으로 이동할 경우 km당 116.14원이 부과된다.(예: 신례원 - 합덕 이동시 청소년 기준 1,200원)
2014년 12월 1일부터 예산군 내에서 하차 후 1시간 이내에 1회 무료 환승이 적용된다.
2. 1. 운임 요금표
현재 운임은 2013년 8월 1일부터 인상된 것으로, 기존 운임보다 18.2% 인상되었다.[3]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
일반 | 어른 (만 19세 이상) | 1,300 | 1,25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040 | 990 | |
어린이 (만 6세 ~ 12세) | 650 | 600 |
예산교통이 2014년 12월 기준으로 모든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4]
예산군 지역에서만 단일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타 시·군으로 이동할 경우 km당 116.14원이 부과된다.(예: 신례원 - 합덕 이동시 청소년 기준 1,200원)
2014년 12월 1일부터 예산군 내에서 하차 후 1시간 이내에 1회 무료 환승이 적용된다.
3. 운수 업체
운행업체 보유 노선수 면허 대수 등록 대수 예산교통 143 47 47 합계 143 47 47
3. 1. 운수 업체 현황
wikitext
2014년 12월 기준이다.[4]
운행업체 | 보유 노선수 | 면허 대수 | 등록 대수 |
---|---|---|---|
예산교통 | 143 | 47 | 47 |
합계 | 143 | 47 | 47 |
4. 운행 노선
2012년 1월 16일부터 노선번호제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번호는 세 자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 숫자(백의 자리)는 노선 방면을 나타낸다.
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101 | 예산터미널 | ↔ | 고동 | 대술, 고새울, 방산, 고동 | 3회 | 첫차 방산-고동-고새울 경로로 운행 |
102 | 예산터미널 | ↔ | 송석 | 대술 | 3회 | |
103 | 예산터미널 | ↔ | 송석 | 대술, 곰실, 망실 | 1회 | |
104 | 예산터미널 | ↔ | 송석 | 대술, 농리 | 1회 | |
105 | 예산터미널 | ↔ | 고동 | 대술, 방산 | 1회 | 일,공휴일 운휴 |
120 | 예산터미널 | ↔ | 1.대술 2.이티 3.마전 | 1.이티, 마전, 밀미리 2.대술, 밀미리, 마전 3.대술, 이티 | 3회 | 첫차 쌍송배기 출발 |
123 | 예산터미널 | ↔ | 삼바실 | 대술, 이티, 마전 | 2회 | |
124 | 예산터미널 | ↔ | 망실 | 대술, 곰실, 농리 | 1회 |
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200 | 예산터미널 ↔ 청양 | 신양 | 3회 | |
201 | 예산터미널 ↔ 가지리 | 신양 | 2회 | 첫차 일,공휴일 운휴 |
202 | 예산터미널 ↔ 여래미 | 신양 | 3회 | 중간차 신양-여래리 구간 연장운행 |
203 | 예산터미널 ↔ 추광리 | 신양 | 2회 | |
205 | 예산터미널 ↔ 하천리 | 신양 | 1회 | |
206 | 예산터미널 ↔ 황계 | 귀곡2리, 시왕리, 신양, 하천, 신양 | 1회 | |
211 | 예산터미널 ↔ 신양 | 1회 | 일,공휴일 운휴 | |
212 | 예산터미널 ↔ 여래미 | 신양, 가지리 | 2회 | |
214 | 예산터미널 ↔ 추광리 | 귀곡, 신양 | 1회 | |
215 | 예산터미널 ↔ 시왕리 | 신양, 황계, 서계양, 신양 | 1회 | |
216 | 예산터미널 ↔ 차동 | 신양 | 2회 | |
217 | 예산터미널 ↔ 황계 | 신양, 차동, 신양 | 1회 | 일,공휴일 운휴 |
218 | 예산터미널 ↔ 시왕리 | 신양, 차동, 신양 | 1회 | |
250 | 예산터미널 ↔ 유구 | 신양 | 1회 | |
251 | 쌍송배기 ↔ 하천 | 신양, 차동, 신양 | 1회 | |
252 | 예산터미널 ↔ 유구 | 귀곡, 시왕리, 신양 | 1회 |
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300 | 예산터미널 ↔ 광시 | 응봉, 대흥 | 2회 | 막차 일,공휴일 운휴 |
301 | 예산터미널 ↔ 노전리 | 응봉, 대흥, 광시 | 2회 | |
302 | 예산터미널 ↔ 서초2리 | 응봉, 대흥, 광시, 신흥 | 1회 | |
303 | 예산터미널 ↔ 가덕리 | 응봉, 대흥, 광시, 대리 | 1회 | |
304 | 예산터미널 ↔ 노전리 | 응봉, 대흥, 광시, 가덕 | 1회 | |
305 | 예산터미널 ↔ 구례리 | 응봉, 대흥, 광시, 은사 | 1회 | 일,공휴일 운휴 |
307 | 예산터미널 ↔ 노전리 | 응봉, 운곡, 대흥, 광시, 운산2리 | 1회 | |
308 | 예산터미널 ↔ 운산1리 | 응봉, 대흥, 광시, 노전 | 1회 | |
309 | 예산터미널 ↔ 노전리 | 응봉, 운곡, 광시 | 1회 | 일,공휴일 운휴 |
311 | 예산터미널 ↔ 고덕 | 응봉, 월산, 삽교, 용동 | 1회 | |
312 | 예산터미널 ↔ 서초2리 | 응봉, 대흥, 광시, 장신 | 1회 | 막차 일,공휴일 운휴 |
314 | 예산터미널 ↔ 1.서초2리 2.3.4.고개골 | 1.응봉, 대흥, 광시, 장신2리, 신흥 2.응봉, 대흥, 마사리, 광시, 신흥 3.응봉, 대흥, 광시, 장신2리, 신흥 4.응봉, 대흥, 광시, 신흥 | 4회 | |
318 | 쌍송배기 ↔ 신장1리 | 응봉, 대교, 응봉, 신장2리 | 1회 | 일,공휴일 운휴 |
319 | 예산터미널 ↔ 용두리 | 응봉, 대흥, 광시, 대리 | 1회 | |
320 | 예산터미널 ↔ 광시 | 응봉, 대흥, 서초2리, 고개, 신흥 | 2회 | |
322 | 예산터미널 ↔ 가덕리 | 응봉, 대흥, 장신2리, 용두, 광시 | 1회 | |
330 | 예산터미널 ↔ 건지화리 | 역탑, 응봉, 계정1리, 계정2리, 지석 | 2회 | 첫차 일,공휴일 운휴 |
331 | 예산터미널 ↔ 계정1리 | 역탑, 응봉, 계정2리 | 1회 | |
332 | 예산터미널 ↔ 계정리 | 면허장, 응봉, 지석, 건지화 | 1회 | |
350 | 예산터미널 ↔ 면허장 | 2회 | 일,공휴일 운휴 | |
351 | 예산터미널 ↔ 신장1리 | 면허장, 신장2리 | 2회 | |
면허장 | 역탑, 신장1리, 신장2리 | 2회 | 일,공휴일 운휴 | |
360 | 예산터미널 ↔ 건지화리 | 원평, 예당휴게소, 상중, 교촌2리 | 1회 | |
363 | 예산터미널 ↔ 은사 | 원평, 예당휴게소, 서초2리, 신흥, 구례 | 1회 | |
364 | 예산터미널 ↔ 건지화리 | 원평, 예당휴게소, 교촌2리 | 1회 | |
365 | 예산터미널 ↔ 평촌 | 원평, 신장2리, 예당휴게소 | 1회 | |
370 | 예산터미널 ↔ 건지화리 | 원평, 예당휴게소 | 1회 |
예산군의 농어촌버스 400번대 노선은 예산터미널 및 쌍송을 기점으로 신례원, 온양 방면으로 운행한다.
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횟수 | 비고 |
---|---|---|---|---|
402 | 쌍송 ↔ 삽교천 | 예산터미널, 신례원, 신언리 | 1회 | 일,공휴일 운휴 |
403 | 쌍송 ↔ 신언리 | 예산터미널, 신례원 | 2회 | 막차 일,공휴일 운휴 |
410-1 | 예산터미널 ↔ 온양 | 대술, 농은리, 갈티 | 5회 | 첫차 쌍송 출발 첫차 일,공휴일 운휴 |
410-2 | 예산터미널 ↔ 온양 | 1.대술, 농은리, 신언리, 도고온천 2.대술, 망실, 농은리, 도고온천 | 2회 | 첫차 일,공휴일 운휴 |
411 | 쌍송 ↔ 신례원 | 예산터미널 | 4회 | 2회 일,공휴일 운휴 |
412 | 쌍송 ↔ 간양리 | 예산터미널, 신례원 | 4회 | 3회 일,공휴일 운휴 |
413 | 쌍송 ↔ 수철리 | 예산터미널, 신례원 | 2회 | |
414 | 쌍송 ↔ 신례원 | 예산터미널, 건강공단 | 2회 | 막차 일,공휴일 운휴 |
415 | 쌍송 ↔ 신례원 | 예산터미널, 건강공단, 수철리, 간양리 | 1회 | 일,공휴일 운휴 |
419 | 쌍송 ↔ 신창역 | 예산터미널, 건강공단, 신례원, 갈티 | 1회 | |
420 | 쌍송 ↔ 신창역 | 예산터미널, 신례원 | 8회 | |
430-1 | 쌍송 ↔ 온양 | 예산터미널, 신례원, 신언리, 도고온천 | 12회 | 4회 일,공휴일 운휴 |
430-2 | 쌍송 ↔ 온양 | 예산터미널, 신례원, 갈티, 도고온천, 도고중학교 | 9회 | 1회 일,공휴일 운휴 |
440 | 쌍송 ↔ 중예리 | 예산터미널, 신례원, 예림, 조림 | 4회 | |
441 | 쌍송 ↔ 중예리 | 예산터미널, 신례원, 기술원, 신택, 예림, 조림 | 1회 | |
442 | 쌍송 ↔ 조림 | 예산터미널, 신례원, 예림 | 2회 | |
450 | 쌍송 ↔ 합덕 | 예산터미널, 신례원, 신종 | 5회 | |
451 | 쌍송 ↔ 합덕 | 예산터미널, 신례원, 농업기술원, 신종 | 1회 | |
452 | 쌍송 ↔ 합덕 | 예산터미널, 신례원, 신종, 하평리 | 1회 | |
453 | 쌍송 ↔ 신택리 | 예산터미널, 신례원, 신종, 신택리 | 2회 | 첫차 농업기술원 경유 |
454 | 쌍송 ↔ 신종리 | 예산터미널, 신례원 | 1회 | |
455 | 쌍송 ↔ 1.신암중학교 2.하평리 | 1.예산터미널, 신례원, 신종, 하평, 신택리 2.예산터미널, 신례원, 신종, 신택 | 2회 | |
458 | 쌍송 ↔ 마교리 | 예산터미널, 신례원, 종경, 별리, 고덕 | 1회 | |
459 | 쌍송 ↔ 고덕 | 예산터미널, 신례원, 종경, 별리 | 3회 | 중간차 덕산-상기리 연장 운행 |
460 | 쌍송 ↔ 덕산온천 | 예산터미널, 신례원, 종경, 별리, 고덕 | 1회 | |
461 | 쌍송 ↔ 신택리 | 예산터미널, 신례원, 종경 | 2회 | 첫차 일,공휴일 운휴 |
462 | 쌍송 ↔ 하평리 | 예산터미널, 신례원, 종경, 신택 | 1회 | 일,공휴일 운휴 |
463 | 쌍송 ↔ 오추리 | 예산터미널, 신례원, 종경, 별리, 고덕, 상몽 | 1회 | |
465 | 쌍송 ↔ 금치리 | 예산터미널, 신례원, 종경, 별리, 고덕, 봉산 | 1회 |
예산군의 농어촌버스 500번대 노선은 예산종합버스터미널 및 쌍송을 기점으로 삽교읍, 덕산면, 고덕면 방면으로 운행한다.
{| class="wikitable"
|-
! 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500'''
|예산터미널 ↔ 서산시 해미
|삽교, 덕산
|2회
|막차 삽교역 경유
|-
|'''501'''
|예산터미널 ↔ 서산시 해미
|삽교, 덕산, 스파캐슬
|3회
|막차 삽교역 경유
|-
|'''508'''
|예산터미널 ↔ 마교리
|삽교, 덕산, 고덕
|2회
|삽교역 경유
|-
|'''509'''
|예산터미널 ↔ 1.3.별리
2.구만리
|1.2.삽교, 덕산, 고덕
3.삽교, 덕산, 고덕, 구만리
|3회
|첫차 쌍송 출발
중간차 삽교역 경유
|-
|'''512'''
|예산터미널 ↔ 마교
(당진시 경계)
|삽교, 덕산, 고덕
|2회
|첫차 삽교역 경유
|-
|'''515'''
|예산터미널 ↔ 당진시 면천
|삽교, 덕산, 고덕
|1회
|삽교역 경유
|-
| rowspan=2|'''517'''
|rowspan=2|예산터미널 ↔ 합덕
|삽교, 덕산, 고덕, 상궁
|2회
|
|-
|상궁리
|삽교, 덕산, 고덕
|2회
|
|-
|'''519'''
|예산터미널 ↔ 오추리
|삽교, 덕산, 고덕, 상몽
|1회
|
|-
|'''520'''
|예산터미널 ↔ 오추리
|삽교, 덕산, 고덕
|1회
|
|-
| rowspan=2|'''521'''
|rowspan=2|예산터미널 ↔ 합덕
|rowspan=2|삽교, 덕산, 고덕, 호음
|2회
|
|-
|남산
|1회
|
|-
|'''522'''
|예산터미널 ↔ 상몽리
|삽교, 덕산, 고덕
|1회
|
|-
|'''526'''
|예산터미널 ↔ 고도리
|삽교, 덕산, 고덕, 봉산, 금치리
|1회
|삽교역 경유
|-
|'''527'''
|예산터미널 ↔ 금치리
|삽교, 안치, 덕산, 고덕, 봉산, 고도리
|1회
|
|-
|'''530'''
|예산터미널 ↔ 금치리
|삽교, 덕산, 고덕, 봉산, 고도리
|1회
|
|-
|'''532'''
|예산터미널 ↔ 봉림
(서산시 경계)
|삽교, 덕산, 고덕, 봉산, 고도리
|1회
|
|-
|'''535'''
|예산터미널 ↔ 원평리
|삽교, 덕산, 당곡
|2회
|첫차 삽교역 경유
막차 옥전 경유
|-
|'''539'''
|예산터미널 ↔ 상가리(가야산)
|삽교, 덕산
|2회
|
|-
| rowspan=4|'''544'''
|쌍송 ↔ 수덕사
|삽교, 덕산온천, 내포시
|1회
|
|-
|rowspan=3|예산터미널 ↔ 내포시
|삽교, 덕산온천
|2회
|
|-
|삽교, 덕산, 내포시, 용봉산
|9회
|1회 일,공휴일 운휴
|-
|삽교, 덕산, 내포시, 용봉산
|1회
|
|-
|'''545'''
|예산터미널 ↔ 내포시
|삽교, 이리
|2회
|첫차 삽교역 경유
막차 용봉산까지 연장 운행
|-
|'''547'''
|예산터미널 ↔ 광천리
|삽교, 덕산, 스파캐슬, 수덕사
|1회
|
|-
|'''549'''
|예산터미널 ↔ 수덕사
|삽교, 덕산, 스파캐슬
|1회
|삽교역 경유
|-
|'''550'''
|쌍송 ↔ 복당리
|삽교, 덕산, 수덕사
|1회
|
|-
|'''551'''
|예산터미널 ↔ 복당리
|1.삽교, 덕산, 스파캐슬, 수덕사
2.삽교, 덕산, 스파캐슬, 수덕사, 광천
|2회
|삽교역 경유
|-
|'''553'''
|예산터미널 ↔ 복당리
|삽교, 덕산, 스파캐슬, 수덕사
|1회
|삽교역 경유
|-
|'''555'''
|예산터미널 ↔ 수덕사
|삽교, 덕산, 가루실
|1회
|삽교역 경유
|-
|'''556'''
|예산터미널 ↔ 복당리
|삽교, 덕산, 스파캐슬, 가루실, 수덕사
|1회
|삽교역 경유
|-
|'''557'''
|예산터미널 ↔ 복당리
|삽교, 덕산, 가루실, 수덕사
|1회
|
|-
|'''558'''
|예산터미널 ↔ 수덕사
|삽교, 덕산, 스파캐슬, 가루실
|2회
|첫차 삽교역 경유
|-
|'''559'''
|예산터미널 ↔ 고덕
|삽교, 용동, 사리
|1회
|
|-
|'''560'''
|예산터미널 ↔ 가리
|삽교, 덕산, 창정
|2회
|
|-
|'''563'''
|예산터미널 ↔ 고덕
|삽교, 용동
|1회
|
|-
|'''564'''
|예산터미널 ↔ 1.덕산
2.고덕
|1.삽교, 가리, 창정
2.삽교, 창정, 덕산
|1회
|
|-
|'''566'''
|예산터미널 ↔ 별리
|삽교, 용동, 구만리
|1회
|삽교역 경유
4. 1. 대술 방면 (100번대)
번호2.이티
3.마전
2.대술, 밀미리, 마전
3.대술, 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