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나카드는 2014년 외환카드 분사 및 하나SK카드와의 합병을 통해 출범한 대한민국의 카드사이다.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등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취급하며, 국내 전용, 비자, 마스터, 아멕스, 은련 등 여러 브랜드의 카드를 발급한다. 2018년 신세계백화점 및 시코르와 제휴 카드를 출시하고, 2019년 자체 은련 체크카드를 출시하는 등 서비스를 확장했다. 하나머니를 포인트로 사용하며, 체크카드 비접촉 결제 보급에 적극적이다. 후불교통카드 기능도 제공하며, 수도권, 동남권, 대경권 등 광역권의 지하철/버스 및 일부 시외버스, 경전철, 유료도로에서 사용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나금융그룹의 자회사 - 하나은행
하나은행은 1971년 한국투자금융으로 설립, 1991년 사명 변경 후 여러 금융기관과의 합병을 거쳐 성장한 대한민국의 시중은행으로, 국내외 영업망을 통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제 외환 업무에 강점을 가지고 25개국에 걸쳐 글로벌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 하나금융그룹의 자회사 - 하나증권
하나증권은 대한민국의 증권 회사로서, 2023년과 2024년에 걸쳐 다양한 기업의 IPO와 스팩합병을 주관하는 등 활발한 상장 주관 활동을 하고 있다. - 하나금융그룹 - 부천 하나은행
부천 하나은행은 1997년 창단되어 부천을 연고지로 하는 대한민국의 여자 프로농구단으로, 하나금융그룹에 인수된 후 팀명을 변경하며 운영되고 있으며, WKBL 챔피언결정전에서 4회 우승을 차지하는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국적 위조 사건으로 징계를 받기도 했다. - 하나금융그룹 - 하나은행
하나은행은 1971년 한국투자금융으로 설립, 1991년 사명 변경 후 여러 금융기관과의 합병을 거쳐 성장한 대한민국의 시중은행으로, 국내외 영업망을 통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제 외환 업무에 강점을 가지고 25개국에 걸쳐 글로벌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카드사 - 우정사업본부
우정사업본부는 대한민국의 우편, 우체국예금, 우체국보험 등 우정 사업을 관장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중앙행정기관으로, 우편 및 금융 서비스 제공, 조직 형태와 명칭의 시대별 변천, 그리고 다양한 이슈들을 겪어왔다. - 대한민국의 카드사 - 부산은행
부산은행은 1967년 설립되어 1972년 주식 시장에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 은행으로, 2011년 BS금융지주(현 BNK금융지주) 출범 이후 본점을 문현동으로 이전했으며, 롯데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ATM 수수료 혜택을 제공하고 부산, 서울 등에서 영업하며 해외 지점도 운영한다.
하나카드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사 명칭 | 하나카드 주식회사 |
영문 명칭 | Hana Card Co., Ltd. |
종류 | 주식회사 |
설립일 | 2014년 9월 1일 |
이전 상호 | 외환카드㈜ (2014.9 ~ 2014.12) |
이전 회사 | 하나에스케이카드, 외환신용카드 |
시장 정보 | 비상장 |
본사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66 (을지로2가) |
대표자 | 이호성 (대표이사 사장) |
산업 | 여신 금융 서비스업 |
자본금 | 1,330,077,425,000원 (2015.12) |
주주 | 하나금융지주 : 100% |
모기업 | 하나금융그룹 |
슬로건 | 행복한 금융 |
웹사이트 | 하나카드 공식 웹사이트 |
재무 정보 (2015년) | |
영업 이익 | 10,616,818,844원 |
순이익 | 10,119,265,675원 |
자산 총액 | 6,737,653,211,404원 |
2. 연혁
- 2014년 9월 : KEB외환은행에서 '''외환카드''' 분사
- 2014년 12월 : 하나SK카드 합병, 통합 '''하나카드''' 출범
- 2015년 7월 : 전산 통합 완료
- 2018년 10월 : 신세계백화점&시코르 제휴 카드 발급 개시
- 2019년 1월 : 첫 자체 은련 체크카드 출시
- 2022년 7월 : 하나금융지주 완전자회사 편입
2. 1. 설립 초기 (2014년 ~ 2015년)
KEB외환은행에서 2014년 9월 '''외환카드'''가 분사되었다. 2014년 12월에는 하나SK카드와 합병하여 통합 '''하나카드'''가 출범했다. 2015년 7월에는 전산 통합이 완료되었다.2. 2. 서비스 확장 (2018년 ~ 현재)
2018년 10월 신세계백화점과 시코르 제휴 카드의 발급을 개시했다. 2019년 1월에는 첫 자체 은련 체크카드를 출시했다. 2022년 7월에는 하나금융지주의 완전자회사로 편입되었다.3. 취급 카드
하나카드는 국내 전용(JCB One Way 브랜드),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아멕스, 은련 등 다양한 브랜드의 신용카드를 취급한다.
국내 전용(JCB One Way 브랜드) / 비자카드 / 마스터카드 / 마에스트로 / 아멕스 / 은련 브랜드로 발급받을 수 있다. 마스터카드와의 제휴가 활발하며, 토스뱅크 체크카드 등 다양한 제휴 체크카드를 발급한다.
대한민국의 카드사들 중 유일하게 아멕스가 달린 체크카드인 "글로벌 페이 체크카드"를 발행하고 있다. 단, 일반적인 체크카드와 달리 하나은행의 "글로벌 페이 통장"에만 연결되는 상품이며, 원화로 결제할 수 없고 USD로만 결제된다. 이 체크카드는 글로벌 페이 통장에다가 현금을 이체함과 동시에 달러로 전환된 후 해당 달러 잔액으로 사용하는 방식이어서 외화 선불카드와 비슷한 성격의 체크카드다. 외화 선불카드로 보더라도 아멕스가 달린 것은 이 카드가 유일하다. USD로 결제시 결제 수수료가 아예 없기 때문에 환전 수수료만 부과되나, USD 이외의 통화는 아멕스의 로열티인 1.4%가 부과된다. 아마존닷컴같은 곳에서 해외직구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나, 구글 플레이나 애플의 아이튠즈 스토어 등지에서 소액결제로는 이용할 수 없다. 외국에서 국제현금카드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1회 인출시 3달러가 든다.
3. 1. 신용카드
하나카드는 국내 전용(JCB One Way 브랜드),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아멕스, 은련 등 다양한 브랜드의 신용카드를 취급한다.3. 2. 체크카드
국내 전용(JCB One Way 브랜드) / 비자카드 / 마스터카드 / 마에스트로 / 아멕스 / 은련 브랜드로 발급받을 수 있다. 마스터카드와의 제휴가 활발하며, 토스뱅크 체크카드 등 다양한 제휴 체크카드를 발급한다.대한민국의 카드사들 중 유일하게 아멕스가 달린 체크카드인 "글로벌 페이 체크카드"를 발행하고 있다. 단, 일반적인 체크카드와 달리 하나은행의 "글로벌 페이 통장"에만 연결되는 상품이며, 원화로 결제할 수 없고 USD로만 결제된다. 이 체크카드는 글로벌 페이 통장에다가 현금을 이체함과 동시에 달러로 전환된 후 해당 달러 잔액으로 사용하는 방식이어서 외화 선불카드와 비슷한 성격의 체크카드다. 외화 선불카드로 보더라도 아멕스가 달린 것은 이 카드가 유일하다. USD로 결제시 결제 수수료가 아예 없기 때문에 환전 수수료만 부과되나, USD 이외의 통화는 아멕스의 로열티인 1.4%가 부과된다. 아마존닷컴같은 곳에서 해외직구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나, 구글 플레이나 애플의 아이튠즈 스토어 등지에서 소액결제로는 이용할 수 없다. 외국에서 국제현금카드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1회 인출시 3달러가 든다.
3. 2. 1. 글로벌 페이 아멕스 체크카드
대한민국의 카드사들 중 유일하게 아멕스가 달린 체크카드인 "글로벌 페이 체크카드"를 발행하고 있다. 단, 일반적인 체크카드와 달리 하나은행의 "글로벌 페이 통장"에만 연결되는 상품이며, 원화로 결제할 수 없고 USD로만 결제된다. 이 체크카드는 글로벌 페이 통장에다가 현금을 이체함과 동시에 달러로 전환된 후 해당 달러 잔액으로 사용하는 방식이어서 외화 선불카드와 비슷한 성격의 체크카드다. 외화 선불카드로 보더라도 아멕스가 달린 것은 이 카드가 유일하다. USD로 결제시 결제 수수료가 아예 없기 때문에 환전 수수료만 부과되나, USD 이외의 통화는 아멕스의 로열티인 1.4%가 부과된다. 아마존닷컴같은 곳에서 해외직구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나, 구글 플레이나 애플의 아이튠즈 스토어 등지에서 소액결제로는 이용할 수 없다. 외국에서 국제현금카드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1회 인출시 3달러가 든다.3. 3. 선불카드
4. 특징
KB국민카드, 신한카드와 더불어 체크카드 비접촉결제 보급에 적극적인 카드사이다. 대부분 후불교통카드에 비접촉결제가 기본적으로 탑재된다.
다이너스 클럽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제 브랜드를 지원하지만, 은련은 다소 늦게 지원을 시작했다. JCB는 해외신판 수수료 적용 여부 때문에 One way가 적용된 것과 오리지널 JCB를 구분해야 하며, 오리지널 JCB는 대부분 하나BC카드에 있다.
체크카드는 마스터카드와 상대적으로 더 친한 편이다.
자사의 카드 사용으로 적립되는 포인트는 하나머니로 불리며, 옛 외환카드의 포인트인 예스포인트 등의 체계를 통합하여 개칭했다.
하나머니를 결제용으로 이용하는 선불카드도 발급하고 있으며, 2022년 7월에는 마스터카드가 달린 하나머니 선불카드인 "트래블로그"를 출시했다. 이후에는 트래블로그의 은련 버전을 추가했다.
4. 1. 비접촉결제
KB국민카드, 신한카드와 더불어 체크카드 비접촉결제 보급에 적극적인 카드사이다. 대부분 후불교통카드에 비접촉결제가 기본적으로 탑재된다.4. 2. 국제 브랜드
4. 3. 포인트 제도
4. 4. 발급 수수료
2020년 7월 6일부터 체크카드 발급 수수료 2,000원을 부과한다. 발급한 체크카드로 발급한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1만 원 이상 이용하면 발급비를 캐시백해 준다. 지역화폐 및 바우처 기능의 체크카드에 대해서는 발급 수수료를 면제하며, 신분증(학생증 포함) 기능이 탑재된 체크카드에 대해서는 최초 1회 발급 시에만 발급 수수료를 면제한다. 기명식 선불카드인 하나머니 카드는 발급 수수료를 받지 않으며, 동일한 카드 전산 시스템을 공유하는 토스뱅크 체크카드에도 이 조항을 적용한다.5. 발급 기관 및 제휴사
토스뱅크를 비롯한 은행권과 증권사의 카드들은 제휴금융기관의 현금카드 탑재가 가능하다. 단, 체크카드는 하나은행으로 연결하지 않으면 해외신용판매가 안 되고, 현금카드로도 이용할 수 없다.
은련이 달린 체크카드는 하나BC의 "벗 체크카드"만 나왔지만 IC칩 호환성 문제로 2016년 5월 23일에 발급이 잠시 중단됐다가, 전국호환형 티머니로 교체함과 동시에 발급이 재개됐다. 2019년 9월 24일에는 L.pay 체크카드가 추가됐다. 2019년 1월 30일에는 첫 자체 은련 체크카드인 "길한통 체크카드"를 출시했으며, 이후 시코르 체크카드에 은련이 추가됐다. 단, 은련의 로열티를 받지 않는 길한통과 달리, 시코르는 은련의 브랜드 로열티를 받는다. 길한통 체크카드는 보기 드물게 은련의 비접촉 결제 서비스인 퀵패스를 장착한 체크카드다.
은련은 브랜드 로열티 0.8% 중 0.2%를 하나카드에서 부담해 왔으나, 2019년 9월에 약관을 개정하면서 비자카드와 함께 은련의 브랜드 로열티 전액을 사용자들로부터 받기로 했다.
자사의 JCB One Way 카드의 경우 KB국민카드의 JCB K-world, NH농협카드의 JCB W처럼 국내 전용 연회비 그대로 국제 결제 수수료 없이 해외 이용 및 해외 특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1%의 국제 결제 수수료가 부과된다.
선불카드는 한동안 맥스카드 기반으로 발행하다가 2013년 3월 7일에 자체 선불카드인 "내 카드"를 출시해서 발행한 적이 있었으나, 2017년 1월 26일에 발급이 중단됐다. 이후로는 핀크 혹은 자체 카드 포인트인 하나머니 기반의 선불카드를 발행하고 있으며, 핀크 및 하나멤버스 앱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2022년에는 마스터카드가 장착된 선불카드인 "트래블로그"를 출시했고, 2023년에는 트래블로그의 은련 버전이 추가됐다.
2020년 7월 6일부터 체크카드는 발급 수수료 2,000원을 받는다. 발급한 체크카드로 발급한 달의 익월 말일까지 1만 원 이상 이용하면 발급비를 캐시백해 준다. 지역화폐 및 바우처 기능의 체크카드에 대해서는 발급 수수료를 면제하며, 신분증(학생증 포함) 기능이 탑재된 체크카드에 대해서는 최초 1회 발급 시에만 발급 수수료를 면제한다. 기명식 선불카드인 하나머니 카드는 발급 수수료를 받지 않으므로, 동일한 카드 전산 시스템을 공유하는 토스뱅크 체크카드에도 개정된 조항을 적용한다.
;전산 시스템 공유
- 토스뱅크 (체크카드)
5. 1. 은행
토스뱅크를 비롯한 은행권과 증권사의 카드들은 제휴금융기관의 현금카드 탑재가 가능하다. 단, 체크카드는 하나은행으로 연결하지 않으면 해외신용판매가 안 되고, 현금카드로도 이용할 수 없다.은련이 달린 체크카드는 하나BC의 "벗 체크카드"만 나왔지만 IC칩 호환성 문제로 2016년 5월 23일에 발급이 잠시 중단됐다가, 전국호환형 티머니로 교체함과 동시에 발급이 재개됐다. 2019년 9월 24일에는 L.pay 체크카드가 추가됐다. 2019년 1월 30일에는 첫 자체 은련 체크카드인 "길한통 체크카드"를 출시했으며, 이후 시코르 체크카드에 은련이 추가됐다. 단, 은련의 로열티를 받지 않는 길한통과 달리, 시코르는 은련의 브랜드 로열티를 받는다. 길한통 체크카드는 보기 드물게 은련의 비접촉 결제 서비스인 퀵패스를 장착한 체크카드다.
은련은 브랜드 로열티 0.8% 중 0.2%를 하나카드에서 부담해 왔으나, 2019년 9월에 약관을 개정하면서 비자카드와 함께 은련의 브랜드 로열티 전액을 사용자들로부터 받기로 했다.
자사의 JCB One Way 카드의 경우 KB국민카드의 JCB K-world, NH농협카드의 JCB W처럼 국내 전용 연회비 그대로 국제 결제 수수료 없이 해외 이용 및 해외 특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1%의 국제 결제 수수료가 부과된다.
선불카드는 한동안 맥스카드 기반으로 발행하다가 2013년 3월 7일에 자체 선불카드인 "내 카드"를 출시해서 발행한 적이 있었으나, 2017년 1월 26일에 발급이 중단됐다. 이후로는 핀크 혹은 자체 카드 포인트인 하나머니 기반의 선불카드를 발행하고 있으며, 핀크 및 하나멤버스 앱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2022년에는 마스터카드가 장착된 선불카드인 "트래블로그"를 출시했고, 2023년에는 트래블로그의 은련 버전이 추가됐다.
2020년 7월 6일부터 체크카드는 발급 수수료 2,000원을 받는다. 발급한 체크카드로 발급한 달의 익월 말일까지 1만 원 이상 이용하면 발급비를 캐시백해 준다. 지역화폐 및 바우처 기능의 체크카드에 대해서는 발급 수수료를 면제하며, 신분증(학생증 포함) 기능이 탑재된 체크카드에 대해서는 최초 1회 발급 시에만 발급 수수료를 면제한다. 기명식 선불카드인 하나머니 카드는 발급 수수료를 받지 않으므로, 동일한 카드 전산 시스템을 공유하는 토스뱅크 체크카드에도 개정된 조항을 적용한다.
전산 시스템을 공유하는 곳으로는 토스뱅크(체크카드)가 있다.
5. 2. 증권사
하나금융투자, SK증권, 미래에셋증권 등의 증권사에서 하나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5. 3. 기타
토스뱅크와 전산 시스템을 공유한다. 체크카드는 발급 수수료 2,000원을 받지만, 발급된 카드로 익월 말일까지 1만원 이상 사용하면 발급비를 캐시백해 준다. 토스뱅크의 경우 하나은행으로 연결해야 해외신용판매 및 현금카드로 이용이 가능하다.6. 후불교통카드
wikitext
지하철/버스사용 | 사용가능지역 |
---|---|
지하철 버스 사용지역 | 수도권(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 서해선 광역전철 포함), 동남권(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양산시 - 동해선 광역전철 포함), 대경권(대구광역시, 경산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아산시, 천안시, 춘천시, 경전철 |
버스 전 사용지역 | 울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상북도, 강원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
경남 일부 버스 사용 지역 | 창원시, 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함안군, 의령군, 거제시, 통영시,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김해 차후 사용예정) |
경전철사용 지역 |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부산-김해 경전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시외 버스 사용 지역 | 경기, 충북, 제주, 경남 (강원, 충남, 전북, 전남, 경북 차후 사용예정) |
- 유료도로
사용지역 | 사용가능도로 |
---|---|
서울 | 남산터널(1, 3호), 우면산터널, 용마터널, 강남순환도로 |
인천 | 만월산터널, 문학터널 |
대전 | 갑천도시고속도로 |
대구 | 동부순환도로(범안로) |
고속도로 | 한국도로공사 구간,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인천대교, |
6. 1. 사용 가능 지역
wikitext지하철/버스사용 | 사용가능지역 |
---|---|
지하철 버스 사용지역 | 수도권(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 서해선 광역전철 포함), 동남권(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양산시 - 동해선 광역전철 포함), 대경권(대구광역시, 경산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아산시, 천안시, 춘천시, 경전철 |
버스 전 사용지역 | 울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상북도, 강원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
경남 일부 버스 사용 지역 | 창원시, 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함안군, 의령군, 거제시, 통영시,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김해 차후 사용예정) |
경전철사용 지역 |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부산-김해 경전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시외 버스 사용 지역 | 경기, 충북, 제주, 경남 (강원, 충남, 전북, 전남, 경북 차후 사용예정) |
- 유료도로
사용지역 | 사용가능도로 |
---|---|
서울 | 남산터널(1, 3호), 우면산터널, 용마터널, 강남순환도로 |
인천 | 만월산터널, 문학터널 |
대전 | 갑천도시고속도로 |
대구 | 동부순환도로(범안로) |
고속도로 | 한국도로공사 구간,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인천대교, |
6. 1. 1. 지하철/버스
wikitable지하철/버스사용 | 사용가능지역 |
---|---|
지하철 버스 사용지역 | 수도권(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 서해선 광역전철 포함), 동남권(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양산시 - 동해선 광역전철 포함), 대경권(대구광역시, 경산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아산시, 천안시, 춘천시, 경전철 |
버스 전 사용지역 | 울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상북도, 강원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
경남 일부 버스 사용 지역 | 창원시, 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함안군, 의령군, 거제시, 통영시,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김해 차후 사용예정) |
경전철사용 지역 |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부산-김해 경전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시외 버스 사용 지역 | 경기, 충북, 제주, 경남 (강원, 충남, 전북, 전남, 경북 차후 사용예정) |
6. 1. 2. 경전철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부산-김해 경전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에서 사용 가능하다.6. 1. 3. 시외버스
wikitext경기, 충북, 제주, 경남에서 시외버스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강원, 충남, 전북, 전남, 경북은 추후 사용 예정)
6. 2. 유료도로
하나카드는 서울의 남산1호터널, 남산3호터널, 우면산터널, 용마터널, 강남순환도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인천에서는 만월산터널과 문학터널에서 사용 가능하다. 대전에서는 갑천도시고속도로, 대구에서는 동부순환도로(범안로)에서 하나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고속도로의 경우, 한국도로공사 구간과 민자고속도로에서 사용 가능하다. 민자고속도로는 2016년 11월 11일부터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사용 가능한 민자고속도로는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인천대교, 천안-논산, 대구-부산, 서울-춘천, 평택-시흥, 부산-울산, 평택-파주, 광주-원주 등이 있다.
참조
[1]
문서
상법 상 본점 주소
[2]
문서
하나 비씨카드 발급 및 현금카드 탑재 불가
[3]
문서
BC카드 미포함
[4]
문서
KB국민카드 가맹점망 공유
[5]
문서
NH농협은행 소속 브랜드
[6]
문서
BC카드 미포함
[7]
문서
농협은행과 농축협의 다른 회원사 취급
[8]
문서
한미은행(현 한국씨티은행)의 신세계백화점 카드 신용부문 인수
[9]
문서
롯데카드와 롯데백화점카드 통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