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양군은 충청남도 중앙에 위치한 군으로, 공주시, 보령시, 부여군, 홍성군, 예산군과 인접해 있다. 칠갑산이 유명하며, 1914년 청양군, 정산군, 홍주군 일부 지역을 합쳐 발족했다. 현재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5년 기준 인구는 32,191명으로 충청남도에서 가장 적다. 지역 경제는 농림어업, 광업 및 제조업, 상업 및 서비스업으로 구성되며, 주요 교통 시설로는 시외버스터미널과 고속도로, 국도 등이 있다. 칠갑산, 장곡사, 칠갑산천문대 등 관광 명소가 있으며, 김혜수, 홍석천, 이천희 등 유명 인물을 배출했다. 서울 영등포구, 서초구 등 국내 여러 도시와 중국 랴오양시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양군 - 청양도서관
청양도서관은 1973년 개관하여 시설 확장과 환경 개선을 거쳐 2020년 증축 공사를 완료한 충청남도 청양군의 공공 도서관으로, 문화 강좌 시설, 종합자료실, 유아독서방, 열람실 등을 갖추고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며 월요일과 공휴일은 휴관한다. - 청양군 - 청양군의 농어촌버스
청양군의 농어촌버스는 청양군 내 여러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청양운수(주)에서 시작하여 청양교통(주)으로 분사되었고, 2006년 노선 번호제를 도입했으며, 청양, 정산, 청남 기점 노선과 칠갑산 순환 노선이 주요 노선이다. - 충청남도의 군 - 부여군
부여군은 충청남도 서남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마지막 수도였던 사비가 있던 곳으로, 역사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읍 15면으로 구성되었고, 금강 유역의 평야와 구릉지, 온대 기후, 풍부한 백제 유적을 바탕으로 관광 및 서비스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 충청남도의 군 - 예산군
예산군은 충청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유구한 역사의 군으로,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2읍 10면으로 구성되었으며, 농업과 축산업이 주요 산업이고 윤봉길 의사 등 유명 인물을 배출하며 내포신도시 개발로 발전하고 있다. - 1914년 폐지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914년 폐지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청양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청양군 |
한글 | 청양군 |
한자 | 靑陽郡 |
로마자 표기 | Cheongyang-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Ch'ŏngyang-gun |
위치 | 호서 |
방언 | 충청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1읍 9면 |
인구 | |
총 인구 | 29,687 |
인구 밀도 | 77.6 |
인구 조사 시점 | 2024년 9월 |
남자 인구 | 15,427 |
여자 인구 | 14,741 |
세대 | 16,426 |
총인구 (2022년 3월) | 30,547 |
총인구 (2023년) | 30,168 |
면적 | |
총 면적 | 479.57 |
면적 (확인됨) | 479.67 |
상징 | |
![]() | |
![]() | |
군목 | 느티나무 |
군화 | 철쭉 |
군조 | 원앙 |
정치 | |
군수 | 김돈곤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공주시·부여군·청양군) |
기타 | |
군청 소재지 | 청양읍 문화예술로 222 (송방리 100) |
홈페이지 | 청양군청 |
2. 지리
충청남도의 정 중앙에 자리잡고 있으며, 비교적 산지가 많고 칠갑산이 유명하다. 동쪽으로 공주시, 서쪽으로 보령시와 홍성군, 남쪽으로 부여군, 북쪽으로는 예산군과 접한다.[1]
- 산: 칠갑산
- 하천:
- 호소:
2. 1. 인접 지역
충청남도의 정 중앙에 자리잡고 있으며, 동쪽으로 공주시, 서쪽으로 보령시, 홍성군, 남쪽으로 부여군, 북쪽으로는 예산군과 접한다.3. 역사
삼국사기에는 청양·정산의 이름이 나온다. 본래 백제의 영토로 고량부리·열기가 있었다. 경덕왕 때 고량부리는 청정으로, 열기는 열성으로 각각 이름이 바뀌었다. 고량부리가 청정이 된 것은 신라 시대 군대(10정) 중 하나로, 깃발 색깔이 청색이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3]
3. 1. 근현대
- 1914년 4월 1일 - 군면병합에 따라 청양군·정산군 및 홍주군의 화성면·상천면·흥구향면 및 읍방면 일부 지역을 합쳐 다시 '''청양군'''이 발족하였다. 청양군에 읍내면, 운곡면, 대치면, 사양면, 화성면, 비봉면, 정산면, 목면, 청하면, 적곡면(10면)이 설치되었다.[4]
- 1917년 10월 1일 - 읍내면이 청양면으로 개칭되었다.[5]
- 1942년 10월 1일 - 청하면이 청남면으로 개칭되었다.
- 1973년 7월 1일 - 비봉면의 일부가 청양면에 편입되었다.
- 1979년 5월 1일 - 청양면이 청양읍으로 승격되었다.[6]
- 1987년 1월 1일
- * 적곡면이 장평면으로 개칭되었다.
- * 사양면이 남양면으로 개칭되었다.
- 1995년 6월 27일 - 군수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소속의 정원영이 당선되었다.
- 1998년 6월 4일 - 군수 선거에서 정원영이 재선되었다.
- 2002년 6월 13일 - 군수 선거에서 김시환이 당선되었다.
- 2006년 5월 31일 - 군수 선거에서 김시환이 재선되었다.[7]
4. 행정 구역
청양군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청은 청양읍에 위치한다. 청양군의 면적은 479.30km2이다. 2015년을 기준으로 충청남도 내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32,191명이 청양군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 중 32.2%가 청양읍에 거주하고 있다.[15] 1966년에는 105,354명이 청양군에 살았다.[15]
구분 | 한자 | 면적 | 인구 |
---|---|---|---|
청양읍 | 靑陽邑 | 36.1 | 10,357 |
운곡면 | 雲谷面 | 47.0 | 2,394 |
대치면 | 大峙面 | 74.4 | 2,362 |
정산면 | 定山面 | 62.1 | 4,012 |
목면 | 木面 | 34.4 | 1,747 |
청남면 | 靑南面 | 35.1 | 2,247 |
장평면 | 長坪面 | 50.7 | 2,757 |
남양면 | 南陽面 | 58.9 | 3,106 |
화성면 | 化城面 | 42.6 | 2,530 |
비봉면 | 飛鳳面 | 38.0 | 2,499 |
읍·면 | 법정리 |
---|---|
청양읍 | 교월리, 군량리, 백천리, 벽천리, 송방리, 읍내리, 장승리, 적루리, 정좌리, 청수리, 학당리 |
운곡면 | 광암리, 묘곡리, 미량리, 신개리, 영양리, 위라리, 추광리, 효제리, 후덕리 |
대치면 | 광금리, 광대리, 농소리, 구치리, 대치리, 상갑리, 수석리, 시다리, 오룡리, 이화리, 작천리, 개곡리, 장곡리, 주정리, 탄일리, 형산리 |
남양면 | 구룡리, 금정리, 대봉리, 매곡리, 백금리, 봉암리, 신왕리, 온암리, 온직리, 용두리, 용마리, 흥산리 |
화성면 | 광평리, 구재리, 기덕리, 농암리, 매산리, 산정리, 수정리, 신정리, 용당리, 장계리, 화강리, 화암리 |
비봉면 | 강정리, 관산리, 록평리, 방한리, 사점리, 신원리, 양사리, 용천리, 장재리, 중묵리 |
정산면 | 광생리, 남천리, 내초리, 대박리, 덕성리, 마치리, 백곡리, 서정리, 송학리, 신덕리, 역촌리, 와촌리, 용두리, 천장리, 학암리, 해안리 |
목면 | 대평리, 본의리, 송암리, 신흥리, 안심리, 지곡리, 화양리 |
청남면 | 내직리, 대흥리, 동강리, 상장리, 아산리, 왕진리, 인량리, 중산리, 지곡리, 천내리, 청소리 |
장평면 | 관현리, 구룡리, 락지리, 미당리, 분향리, 은곡리, 적곡리, 죽림리, 중추리, 지천리, 화산리 |
5. 인구
청양군의 2017년 12월 기준 상주인구는 33,426명이고 주간인구는 30,700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5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972명, 유출인구는 542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320명, 유출인구는 297명으로 전체 유입인구가 1,453명 더 많은데, 이는 충청남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14]
6. 산업
淸陽郡중국어은 2012년 기준 지역 내 총생산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의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에서는 사업서비스업, 공공행정, 건설업, 도소매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3]
6. 1. 지역 경제
청양군의 2012년 지역 내 총생산은 19.133조원으로 충청남도 지역 내 총생산의 0.7%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2,206억 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0.005조원으로 52.53%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6,877억 원으로 35.94%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특히 사업서비스업(2.12%)과 공공행정(7.06%), 건설업(6.67%)과 도소매업(1.86%)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3]7. 교통
청양군에서는 청양시외버스터미널과 정산정류소를 통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청양군청에서 열차표를 예매할 수 있다.[16] 칠갑산순환버스도 운행한다.
서천공주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9호선 등이 청양군을 지난다.
7. 1. 도로
wikitext- 서천공주고속도로
- 익산평택고속도로
- 국도 제29호선
- 국도 제36호선
- 국도 제39호선
- 지방도 제606호선
- 지방도 제610호선
- 지방도 제619호선
- 지방도 제645호선
- 지방도 제723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7. 2. 대중교통
청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대전, 보령(대천), 부여, 아산(온양), 천안, 홍성, 서산, 태안, 광천, 서울(강남), 동서울, 남서울, 인천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산, 광천, 홍성, 보령 방면 시내버스도 이 터미널에서 탈 수 있다.[16] 정산정류소에서는 대전, 보령(대천), 아산(온양), 서울(강남)행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16]청양군청에서 열차표를 예매할 수 있다.
8. 교육
9. 문화·관광
- '''칠갑산''' : 청양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칠갑산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아름다운 경치 덕분에 등산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장곡사''', '''장승공원''', '''칠갑산자연휴양림'''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 '''장곡사''' : 신라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국보 2점과 보물 4점 등 귀중한 문화재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
- *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국보 제58호)
- * 장곡사 미륵불괘불탱 (국보 제300호)
- '''칠갑산천문대''' : 국내 최대 규모인 304mm 굴절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 칠갑산 문화제
10. 출신 인물
11. 자매 도시
청양군은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11. 1. 국내
서울특별시의 영등포구, 서초구, 강동구, 마포구, 금천구, 대전광역시 동구, 경기도의 안산시, 군포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11. 2. 국외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 날짜가 연도만 주어져서 1월 1일로 설정했습니다.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3]
웹사이트
네이バー知識百科:韓国民族文化大百科
http://terms.naver.c[...]
[4]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5]
법령
道令第8号
1917-09-25
[6]
법령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7]
웹사이트
청양군 역사
http://www.cheongyan[...]
[8]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9]
웹사이트
청양의 역사
http://www.cheongyan[...]
[10]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1]
간행물
도령 제8호
1917-09-25
[12]
법률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3]
웹사이트
충청남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14]
웹사이트
충청남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15]
웹사이트
청양군 자연환경
http://www.cheongyan[...]
2015-07-02
[16]
기타
안양 노선 폐지됨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현장] 환경장관에 “기후환경댐 건설 가부 올해 안 발표하나” 묻자
8월의 크리스마스·공동경비구역 JSA 등 상영···청양군 ‘작은영화관 기획전’ 개최
“부르면 달려가유”…청양군, 심부름꾼 서비스 ‘인기’
노인 많은 청양군, ‘주민 心부름꾼, 부르면 달려가유’ 서비스 호응
“부르면 달려가유” 청양군 ‘심(心)부름꾼’ 서비스 눈길
지천댐 건설 놓고 ‘관관’ 갈등…충남도·청양군 갈등
“청양 예산 다 빼라” 충남지사에 “지방자치 가치 훼손” 맞받아친 청양군수
청양·부여 지천댐 찬성 주민들…"환경부, 댐 건설 지연 없어야"
환경부에 6200여명 지천댐 반대 서명부 전달···“백지화해야”
2023년 산사태 두고…‘인위적’ 원인 지목한 행안부, ‘자연’ 때문이라는 산림청
폭우로 충남 피해 ‘3664억’ 달해···“특별지원금 지급”
칠갑산 터널서 차량 전복···운전자 1명 숨져
청양 칠갑산터널 입구서 사고 후 차량화재…1명 숨져
집중호우에 ‘덩실덩실’ 구리시장…“정신나간 공직자” 모아 보니
500㎜ 넘게 쏟아진 서산…농민들 “올해 농사 결딴나”
‘물 폭탄’ 비 더 쏟아진다…남부, 내일 오후 산사태 발생 ‘매우 위험’
다리가 '폭삭', 강처럼 변한 마을…주민들 고립
[르포] 토사 ‘와르르’ "눈 떠보니 하늘만"…산사태 현장 가보니 ‘처참’
충남 '114.9mm' 폭우…산사태에 주민 2명 매몰됐다 구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